KR101609075B1 -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 Google Patents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075B1
KR101609075B1 KR1020147000059A KR20147000059A KR101609075B1 KR 101609075 B1 KR101609075 B1 KR 101609075B1 KR 1020147000059 A KR1020147000059 A KR 1020147000059A KR 20147000059 A KR20147000059 A KR 20147000059A KR 101609075 B1 KR101609075 B1 KR 10160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ubsystem
location
baseban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363A (ko
Inventor
로날드 케이. 후앙
모르간 그레인저
로버트 메이어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3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01S5/02524Creating or updating the radio-map
    • G01S5/02525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 G01S5/02526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using non-dedicated equipment, e.g. user equipment or crowd-sour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들에 대한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는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그 자신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현재 위치에 의해 특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에 기초하여, 그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또한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치와 셀룰러 신호 정보를 상관시키고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많은 수의 널리 분포되어 있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셀룰러 신호를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각자의 프로파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현재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지 않은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차후의 위치 결정 요청을 수행함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이 서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BASEBAND ON-BOARD LOCATION MONITORING}
이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의 위치-기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무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 및/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예컨대, WiFi 또는 GPS) 송수신기를 비롯한 다수의 종래의 전자 장치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ata assistant)는 전화 서비스는 물론, 연락처를 작성하는 것, 음악을 재생하는 것, 이메일 통신을 제공하는 것,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는 것 등을 위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호스팅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모바일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와 통합되어 있거나 그에 결합되어 있는 위치 확인 시스템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이 위치-기반 서비스(예컨대, 지도 서비스, 위치-기반 검색 조정)를 제공할 기회를 제공한다.
전화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둘 다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는 통상적으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시 활성 모드(constant active mode)에서 동작하는 기저대역 운영 체제를 지원한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외부 이벤트에 대한 실시간 응답을 발생할 수 있고, 종종 모바일 장치의 전화 기능을 위해 예비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 및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 내에 설치되고 실행된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활성 모드(active mode)와 휴면 모드(dormant mode)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저대역 서브시스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긴 유휴 기간 후에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전력을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예컨대,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픽스(location fix)]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의 위치-관련 결정 논리와 함께, 모바일 장치의 보다 나은 전력 관리 및 효율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는, 상당한 전력 소모의 야기 또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개입 없이,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 값을 그 신호가 수신된 각자의 위치와 상관시키고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기 위해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서버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수의 기지국에 대한 프로파일을 발생하기 위해 그리고 기지국 알마낙(base station almanac)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모바일 장치들로부터 이러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e)"할 수 있다. 서버는 또한 셀-기반 위치 확인 서비스를, 예를 들어, GPS 시스템이 현재 인에이블되어 있지 않는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 알마낙 내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는, 특정의 위치 확인 요청에 관계없이, 가끔 서버에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고, 이 경우, 그 때마다 다수의 기지국(예컨대, 사용자와 연관되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모든 기지국)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번들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프로파일 정보 번들(profile information bundle)과 연관되어 있는 유효 기간(예컨대, 1일) 동안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 번들의 유효 기간 동안, 모바일 장치는 위치를 변경하고, 새로운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반복하여 서버에 접촉하는 일 없이, 현재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 및 사전 로드된 기지국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셀룰러-기반 또는 셀룰러-지원 자가-위치 결정(self-posit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측면에서,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확인할 시에,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의 다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저장 장치에 인코딩되어 있는, 이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은 모니터링하는 단계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연속적인 위치 픽스가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를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에,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 -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에,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는 단계 -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의 온보드 GPS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좌표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2 세트의 연속적으로 획득된 GPS 위치 좌표가 모바일 장치가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를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을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와 상관시키는 단계; 및 상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 및 GPS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 서버는 적어도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발생함- 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방법은 제1 복수의 모바일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각자의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각자의 값, 및 각자의 신호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위치를 나타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픽스를 포함하고, GPS 위치 픽스 및 신호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되었음 -; 및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의 다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저장 장치에 인코딩되어 있는, 이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제공자에 대한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에 대한 셀 ID, 신호의 전송 타임스탬프,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 신호의 강도, 신호의 위상, 및 신호의 도착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은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과 연관되어 있는 시계 오차(clock error), 기지국 위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 및 최대 신호 강도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파라미터 각각에 대한 각자의 추정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복수의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각자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기지국 알마낙을 유지하는 단계 - 각자의 프로파일 각각은 복수의 각자의 모바일 장치의 각자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발생되고 업데이트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제2 모바일 장치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셀룰러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가 위치 확인(self-locate)하라는 요청을 제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요청에 응답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들은 이하의 예시적인 이점들을 달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상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 구현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특정의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는 한, 절전 모드에서 휴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들 조건과 연관되어 있는 위치 모니터링 및 결정 논리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될 때,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호출할 수 있다. 이것은, 필요할 때까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절전 모드에 있을 수 있게 해주고, 따라서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전력을 절감한다.
그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 실시간 위치 정보가 수집되고 모바일 장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정보와 상관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 대한 상당한 간섭 또는 비용을 야기함이 없이, 어떤 위치와 그 위치에 있는 동안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데이터 간의 상관이 서버에 의해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서버는, 셀룰러 신호를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기 위해, 많은 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러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일정 기간에 걸쳐 그리고 큰 지리적 영역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 알마낙을 작성 및 유지하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부터 신속하게 그리고 많은 비용을 드리지 않고 기지국 알마낙이 생성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크라우드 소싱된" 기지국 알마낙 정보는 번들로 그리고 가끔 서버로부터 개별 모바일 장치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각각의 정보 번들은 사용자가 그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리저리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의 모든 기지국의 기지국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 번들을 갖추고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는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지리적 영역 내에서 이리저리로 이동하고, 모바일 장치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 또는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들)에 접촉하는 일 없이, 셀룰러-기반 또는 셀룰러-지원 자가-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에 접촉할 필요가 있는 빈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는, 서버에 접촉하는 일 없이,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자가-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서버의 처리 능력도 역시 절감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의 이동 범위, 모바일 장치가 고속 네트워크 연결(예컨대, WiFi 또는 3G)을 이용할 수 있는지 및 얼마나 빈번히 이용할 수 있는지,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있는 시스템(예컨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또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메모리 용량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각각의 모바일 장치에 대해,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가 서버로부터 얼마나 빈번히 다운로드되는지 및 그 때마다 얼마나 많은 정보가 다운로드되는지가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 동작을 최적화하는 추가적인 기회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들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대한 상세가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의 다른 특징, 측면 및 이점은 이 설명, 첨부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를 횡단했는지에 기초하여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호출하는 결정 논리와 관련된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이 정보를 사용하여 기지국 알마낙을 발생하는 것, 및 기지국 알마낙을 사용하여 셀-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다른 모바일 장치들에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에 대한 추정된 위치 및 추정된 시계 오차를 도출하기 위해 다수의 세트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의 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된 위치-기반 결정 논리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호출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6은 GPS 위치 픽스와 기저대역 자가-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셀룰러 신호 정보를 상관시키고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7은 다수의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8은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알마낙을 유지하고 기지국 알마낙을 사용하여 셀-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 특징들 및 동작들을 구현하는 모바일 장치의 예시적인 장치 아키텍처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동작 환경의 블록도.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심볼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들의 개요
스마트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태블릿 PC 등의 최근의 모바일 장치는 통상적으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실시간 운영 체제(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를 구현하고, 운영 체제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 이벤트에 대해 "실시간 응답"(또는 짧은 소정의 시간프레임 내의 응답)을 발생할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시 활성 모드에 있고, 모바일 장치가 활성 전화 통화에 관여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근방의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방출되는 전파 신호(radio wave signal)가 있는지 계속하여 스캔하고, 그 전파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한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활성 모드와 휴면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활성 모드에 있을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 기동될 수 있고 응용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에 들어갈 때 프로그램 실행이 종료되거나 무기한으로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어떤 모바일 장치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소정의 지속기간 동안 유휴 상태에 있을 때, 그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특정의 이벤트가 검출될 때(예컨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다시 활성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서브시스템 둘 다가 그 각자의 활성 모드에 있을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 및 서비스들을 일시 보류시키는 것을 대가로,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전력을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활성 위치 모니터링,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모니터링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서 구현된다.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을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내에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장치의 GPS 위치 픽스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 모바일 장치 상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부가의 위치-관련 기능들이 내장된 기저대역 GPS 위치 결정 기능을 가지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전력 절감을 가져올 수 있고 및/또는 전력 소모의 상당한 증가 없이 부가의 위치-관련 기능들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한 예에서, 어떤 위치-관련 결정 논리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특정의 조건들이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의해 충족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특정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확인할 시에,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 내의 특정의 위치-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특정의 위치-기반 조건들의 충족 시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이러한 선택적 활성화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배터리 전력을 절감할 기회를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기저대역 GPS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GPS 위치 픽스를, GPS 위치 픽스가 나타내는 위치에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다양한 파라미터 값과 상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위치 픽스 및 셀룰러 신호와 연관되어 있는 각자의 수신 타임스탬프에 따라 상관이 행해질 수 있다.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 값은,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의 식별자, 셀 ID, 전송 타임스탬프, 수신 타임스탬프, 신호 강도, 신호 위상, 충돌 각도 등을 포함한다.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가, 예컨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상관이 완료된 직후에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관여시키는 일 없이,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상관시키고 상관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이러한 기능들의 구현으로 인해 그다지 증가되지 않을 것이다. 그에 부가하여, 위치 모니터링, 데이터 상관, 및 서버로의 데이터 업로드가 수행되는 빈도수가 모바일 장치의 현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전체 성능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러한 기능들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서버는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는 많은 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셀룰러 신호를 그 모바일 장치로 전송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기지국의 송신기에 관한 도출된 정보는, 기지국의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데이터에 관계없이 및/또는 그에 부가하여, 기지국 알마낙을 편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그의 일상 활동 동안 상이한 위치로 가지고 다니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기지국 알마낙이 작성될 수 있다. 기지국 알마낙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어떤 특수 장비도 체계적으로 다양한 위치로 보낼 필요가 없다. 많은 수의 널리 분포되어 있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크라우드 소싱"함으로써, 기지국 알마낙이, 종래의 방법 및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작성된 기지국 알마낙에 비해, 더 신속하게 그리고 더 낮은 비용으로 구축될 수 있고, 기지국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빈번히 교정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크라우드 소싱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성된 기지국 알마낙은 다수의 네트워크 제공자의 기지국을 다룰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가 다수의 상이한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의 서비스에 가입해 있는 모바일 장치들로부터 수집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예에서, 서버는, 온보드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을 갖지 않는 및/또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활성인 내장된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을 갖지 않는 다른 모바일 장치들에 셀-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크라우드 소싱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사용하여 구축된 기지국 알마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GPS 신호가 이용가능할 때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GPS 신호가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은 건물 내부에서 모바일 장치가 이동될 때 (예컨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또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버에 셀-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장치는 가끔 기지국 프로파일 번들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이를 모바일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 프로파일 번들은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리적 영역 내의 모든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 및 모바일 장치가 가까운 장래에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위치들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정보 번들에서 다루고 있는 기지국들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의 반경 내의 모든 기지국, 또는 모바일 장치가 위치해 있는 도시, 주 또는 국가의 모든 기지국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기지국 정보 번들을 저장하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필요한 기지국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 또는 임의의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 접촉하는 일 없이, 셀룰러-기반 자가-위치 결정(예컨대, 위치-기반 삼각측량) 또는 셀룰러-지원 자가-위치 결정(예컨대, GPS-지원 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가끔(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활성일 때, 고속 WiFi 네트워크 연결이 이용가능할 때, 또는 모바일 장치가 현재 기지국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는 지리적 영역 밖으로 이동했을 때 등에) 프로파일 정보 번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의 위치-관련 기능들이 또한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존재하는 부분 및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 존재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의 상이한 부분들은 서브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구현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 실행은,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전체 전력 관리를 개선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시작되고 일시 정지될 수 있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 아키텍처
도 1은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100)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 및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예를 들어, 핸드헬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전화, 전자 태블릿, 카메라, 스마트 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 콘솔, 또는 이들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기타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임의의 2개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구현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 계층을 형성하는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106)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106)는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108), 근방의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전파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기(110), 및 모바일 장치(100)와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으로부터 전파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GPS 송수신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또한, 예를 들어, WiFi 송수신기, 가속도계, 자이로, AM/FM 라디오 수신기, 및 플래시 메모리 모듈 등의 다른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의 물리 계층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는 기저대역 프로세서(108)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 내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106)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는 또한 B-API(Baseb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이를 통해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는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 등의 모바일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통신함 -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 내에서,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는 모바일 장치(100)의 다양한 하드웨어/펌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 및/또는 다른 서브시스템과 통신하는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무선 송수신기(110)를 제어하고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근방의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전파 신호를 처리하는 셀-신호 처리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셀-신호 처리 모듈(116)은 각각의 신호[예컨대, 무선 송수신기(110)에 의해 감지되는 전파에서의 펄스 또는 펄스 시퀀스]를 신호를 특징지우는 한 세트의 이산 파라미터 값으로 연속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한 세트의 파라미터 값은 통신 사업자 식별자 및 신호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한 송신기와 연관되어 있는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사업자 식별자는 기지국 및 송신기와 연관되어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를 식별해준다. 셀 ID는 송신기의 전송 범위가 미칠 수 있는 특정의 섹터(또는 "셀")를 식별해준다. 통신 사업자 식별자 및 셀 ID에 대한 각자의 값은 각각의 셀룰러 기지국의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서의 펄스 시퀀스에 일의적으로 인코딩되고, 기지국의 네트워크 제공자의 서비스에 가입하는 모바일 장치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다른 정보가 기지국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각각의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떠난 시각을 나타내는 전송 타임스탬프가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전송 타임스탬프에 나타내어지는 값은 송신기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시계에 따라 지정된다. 신호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의 무선 송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될 때, 수신 타임스탬프가 신호에 부여될 수 있다. 수신 타임스탬프는 신호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의해 사용되는 시계에 따라 무선 송수신기(110)에 도착한 시각을 나타낸다.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시계 시각이 서로 및/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상이한 모바일 장치에서의 시계 시각과 약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시계가 상이한 기준 시계에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고, 상이한 시계가 과거에 동일한 기준 시계에 동기화되었더라도, 상이한 시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이한 양만큼 드리프트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에 인코딩되어 있는 전송 타임스탬프는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떠난 실제 시각에 대한 송신기 고유 시계 오차를 포함하는 반면, 모바일 장치(100)에서의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는 신호가 모바일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되는 실제 시각에 대한 모바일 장치 고유 시계 오차를 포함한다.
수신된 셀룰러 신호의 전송 타임스탬프 및 수신 타임스탬프 둘 다가 각자의 시계 오차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타임스탬프와 수신 타임스탬프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신호의 기록된 이동 시간(travel time)은 실제 이동 시간에 대한 결합된 시계 오차를 포함한다. 그 결과, 기록된 이동 시간 및 공기 중에서의 셀룰러 신호의 평균 속도에 기초하여 계산된 거리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실제 거리의 대략적인 추정치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예컨대, 도 4 및 관련 설명에서) 개시될 것인 바와 같이, 실제 거리의 이러한 대략적인 추정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신기의 위치, 따라서 송신기의 기지국의 위치의 추정치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기와 다른 모바일 장치 사이의 각자의 대략적인 추정된 거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다수의 위치에 있는 모바일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송신기의 추정된 위치는 이어서 송신기와 각각의 모바일 장치 사이의 실제 거리의 보다 정확한 추정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 거리의 보다 정확한 추정치와 실제 거리의 대략적인 추정치 사이의 차이는 기지국과 모바일 장치의 결합된 시계 오차의 추정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사업자 식별자, 셀 ID, 전송 타임스탬프, 및 수신 타임스탬프 이외에,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의 무선 송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다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신호 강도, 신호 위상, 및 신호대 잡음비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가 공기를 통해 그리고 장애물을 가로질러 그의 경로를 따라 모바일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기(110)로 이동할 때, 전파의 강도 또는 크기는 거리에 따라 점점 더 감쇠된다. 전파가 빌딩 또는 다른 조밀한 물질을 통과할 때 신호 감쇠가 또한 더욱 두드러진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의 무선 송수신기(110)에서 감지되는 신호 강도는 송신기의 원래의 강도 또는 전력 뿐만 아니라 송신기와 수신측 모바일 장치 사이의 신호의 경로를 따라 있는 지형 및 장애물도 반영한다. 신호의 신호 위상 및 신호대 잡음비도 역시 주변 환경(예컨대, 빌딩, 빌딩의 구조, 기지국의 현재 부하 등) - 이를 통해 신호가 수신측 모바일 장치까지 이동함 - 을 반영한다.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예컨대, 도 3 및 관련 설명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들이 셀룰러 신호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와 상관될 수 있다. 상관된 신호 및 위치 정보는, 서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통신 사업자 식별자, 셀 ID, 최대 신호 강도, 주변 지형, 커버리지 범위, 커버리지 범위 내에서의 신호 강도 맵, 주변 기지국, 셀 섹터 내의 신호 부스터(signal booster)의 존재 등과 같은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셀-신호 처리 모듈에 부가하여,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또한 전화 기능 모듈(120)을 포함하고 있다. 전화 기능 모듈(120)은 모바일 장치(100)의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일을 맡고 있다. 전화 기능 모듈(120)은 셀-신호 처리 모듈(116)과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 인터페이스, 그리고 다른 전화 장치[예컨대, 휴대폰 또는 유선 전화(land phone)]와의 활성 호 연결(active call connection)을 설정 및 유지하는 모바일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의 기지국을 통해 활성 호를 설정한 동안, 모바일 장치(100)의 시계가 기지국의 시계에 동기화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100)와 기지국의 송신기 사이의 보다 정확한 거리가 셀 신호의 기록된 이동 시간(예컨대, 수신 타임스탬프와 전송 타임스탬프 사이의 차이) 및 공기 중에서의 전파의 기지의 속도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들은 모바일 장치(100)의 시계가 기지국 시계에 동기화되어 있는 활성 호 동안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온보드 GPS 시스템[예컨대, GPS 송수신기(112) 및 GPS-신호 처리 모듈(118)]이 일반적으로 기지국보다 더 정확한 시계 시각을 제공하기 때문에, GPS 신호가 모바일 장치(100)에 이용가능할 때, 모바일 장치(100)의 시계는 GPS 시각에 동기화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의 시계가 GPS 시각에 동기화되어 있을 때, 모바일 장치(100)의 시계 오차는, 다양한 기지국에서의 시계 오차와 비교하여, 무시할 정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100)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온보드 GPS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온보드 기저대역 GPS 시스템은 GPS 송수신기(112) 등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온보드 기저대역 GPS 시스템은 또한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모듈[GPS-신호 처리 모듈(118) 및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 등]을 포함하고 있다. GPS 송수신기(112)는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현재 위치 픽스를 획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GPS 위성과 통신할 수 있다. 현재 GPS 위치 픽스는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현재 위치 픽스는 또한 모바일 장치가 GPS 위치 픽스에 의해 나타내어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밝혀진 시각을 나타내는 GPS 타임스탬프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은 GPS 신호 처리 모듈(118) 및 GPS 송수신기(112)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은 GPS 위치 픽스가 GPS 위성으로부터 얼마나 자주 획득되는지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화 기능 및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 각각은 기저대역 프로세서(108)의 처리 능력 및 클록 사이클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은, 예를 들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 내의 다른 서브시스템에 의한 처리 사이클의 현재 사용량에 및/또는 모바일 장치(100)의 남은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GPS 위치 픽스의 빈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시스템이 모바일 장치(100)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구현되기 때문에, GPS 위치 픽스가, GPS 시스템이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일부인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더 빈번히 그리고 보다 낮은 전력 비용으로 획득될 수 있으며, GPS 위치 모니터링이 기저대역 프로세서(108)에서 이용되지 않은 클록 사이클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을 때 특히 그렇다.
지속적인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GPS 위치 정보[예컨대, GPS(위도, 경도) 좌표 및 관련 GPS 타임스탬프]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구현되는 어떤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위치 또는 위치 변화가 하나 이상의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조건의 충족 시에 특정의 동작이 트리거되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기반 결정 논리는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과 통신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에서 동작이 트리거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응용 프로그램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132)를 포함하고 있다. 응용 프로그램 하드웨어 및 펌웨어 구성요소(132)는 적어도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134)를 포함하고 있다.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134)는 처리 능력 및 속도의 면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서(108)보다 더 강력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둘 다가 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저대역 프로세서(108)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또한 위치-관련 응용 프로그램(140) 및 다른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138)을 비롯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실행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입/출력 기능, WiFi 통신 기능 등과 같은 다른 기능(144)이 또한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에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또한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이용될 수 없을 때[예컨대, 모바일 장치(100)가 GPS 신호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빌딩 내부에 있을 때] 자가 위치 확인을 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위치 결정 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또한 다른 장치 및/또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 API(14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가 하나 이상의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정할 때,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통신 신호를, 예를 들어, API(130 및/또는 146)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으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신호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비활성 또는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긴 시간 동안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의 전력 관리 프로세스(도시 생략)는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를 보류시키거나 종료시킬 수 있고,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는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를 웨이크업(wake up)시키고 그로 하여금 보류되었던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재개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에서 구현되는 각각의 조건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특정의 응용 프로그램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고,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가 활성 모드로 전환될 때, 특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지오펜스의 경계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이전의 GPS 위치 픽스가 획득된 때 이후에, 모바일 장치(100)가 지오펜스의 경계를 횡단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지오펜스가 사용자의 집의 주변을 따라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GPS 위치 픽스가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위치-기반 결정 논리(126)에 제공될 때, 위치-기반 결정 논리는, 모바일 장치(100)가 사용자의 집 주변 내로부터 사용자의 집 주변 밖으로 이동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개의 연속적으로 수신된 위치 픽스를 비교할 수 있다.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모바일 장치(100)가 사용자의 집 주변 밖에서 발견될 때 트리거되어야 하는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논리(124)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으로의 통신 신호를 발생하고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그의 휴면 상태로부터 웨이크업시키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의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에 설치되어 있는 트래픽 경보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대략 현재 시각(예컨대, 아침, 저녁 등)에서 집을 떠난 후에 통상적으로 가게 되는 경로에서의 최신 트래픽 보고를 제공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 및 트래픽 경보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의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13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이미 활성 모드에 있는 경우, 결정 논리는 단순히 트래픽 경보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기 위해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활성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무시하고, 통신 신호에 인코딩된 다른 명령어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에 설치되어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위치-관련 조건이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126)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조건이 충족될 때,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조건의 충족을 통지할 수 있다. 조건이 충족될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아직 활성이 아닌 경우,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126)는 먼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휴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어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거나 재개시킬 수 있다.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은 충족되는 조건 또는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음식점 안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136)에 설치되어 있을 때, 몇개의 선택된 레스토랑의 하나 이상의 위치가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에 제공될 수 있다.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에 의해 제공되는 GPS 위치 픽스가 레스토랑 위치들 중 하나에 아주 근접해 있는 것으로 밝혀질 때,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휴면 상태인 경우, 이를 호출할 수 있고,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은, 식사 쿠폰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위치의 근방에 있는 레스토랑과 무선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위치-기반 결정 논리(126)가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의 참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기반 결정 논리(124) 및/또는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구현되어 있는 다른 기능 모듈(128)과 통신하고 이들 다른 기능 모듈에 의해 수행될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들 다른 기능 모듈(128)은 위치 픽스를 주기적으로 보관 또는 삭제하는,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에 의해 획득된 위치 픽스에 대한 자동-보관(auto-archive) 또는 자동-파기(auto-destruc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또한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가 셀룰러 신호를 수신하는 때와 실질적으로 동시에(예컨대, 소정의 시간 구간 내에)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위치가 온보드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에 의해 결정될 때,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GPS 위치 데이터와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 값을 동시적 데이터(contemporaneous data)로서 상관시킬 수 있고, 한 세트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서 번들링할 수 있다.
한 예에서, GPS 위치 픽스가 셀룰러 신호보다 덜 빈번히 획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셀룰러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를 GPS 위치 픽스의 GPS 타임스탬프와 비교할 수있고, 차이가 소정의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은 GPS 위치 픽스와 셀룰러 신호를 상관시킬 수 있다. GPS 위치 픽스와 수신된 셀룰러 신호가 그 각자의 타임스탬프에 따라 상관되면, 위치-신호 상관 모듈(124)에 의해 데이터 패키지가 생성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 패키지는 GPS 위치 픽스(예컨대, 위도, 경도, 및 GPS 타임스탬프) 및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 값(예컨대, 통신 사업자 식별자, 셀 ID, 수신 타임스탬프, 전송 타임스탬프, 신호 강도 등)을 포함한다.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상관이 완료된 직후에 데이터 패키지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데이터 패키지를 저장하고 몇개의 데이터 패키지를 함께 주기적 간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122)이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새로운 GPS 위치 픽스를 계속 수신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셀룰러 신호를 계속 수신할 때 그리고 모바일 장치(100)가 여기저기로 이동할 때,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새로운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패키지 세트를 계속 발생하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 장치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송신기를 사용한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다수의 근방의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셀룰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개별적인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패키지를 준비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126)은 GPS 위치 픽스를 다수의 송신기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각자의 파라미터 값 세트와 상관시키는 단일의 데이터 패키지를 준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는 이어서 셀룰러 위치 결정 서비스를 활성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지 않은 다른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나중에 빌딩 내로 이동되고, 빌딩 내부에 GPS 신호가 없는 것으로 인해 온보드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에 구현되어 있는 선택적인 위치 결정 모듈(142)은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셀룰러-기반 위치 픽스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가 모바일 장치(100)에 제공되고,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사용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하기 위해, 위치 결정 모듈(14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2개 이상의 근방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셀룰러 신호를 특징지우는 파라미터 값을 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서버는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삼각측량 또는 다른 셀룰러-기반 위치 결정을 수행하고, 모바일 장치(100)의 셀룰러-기반 위치 픽스를 다시 모바일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활성이 아니더라도,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또한 서버로부터 셀룰러-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GPS 신호의 결여[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가 실내에 있을 때]로 인해 GPS 위치 모니터링이 활성이 아닐 때, 모바일 장치(100)에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위치 픽스를 계속 수신하는 위치 모니터링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배터리 레벨 및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의 GPS 신호 또는 셀룰러 신호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GPS 위치 모니터링과 셀룰러 위치 모니터링 간의 자동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특정의 위치 결정 요청에 관계없이 서버에 기지국 프로파일 번들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필요한 기지국 정보를 얻기 위해 또 다시 서버 또는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 접촉하는 일 없이, 차후의 셀룰러-기반 또는 셀룰러-지원 자가-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프로파일 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이러한 기지국 정보 번들을 주기적으로(예컨대, 매일 또는 매주) 요청하거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에 의해 모바일 장치(100)와 서버 사이에 고속 네트워크 연결(예컨대, WiFi, 3G 또는 4G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될 때마다 정보 번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이용가능하도록 만들어줄 수 있고,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휴면 상태에 있을 때 및/또는 서버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조차도,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하여 셀룰러-기반 자가-위치 결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셀룰러-지원 GPS 위치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전 로드된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한 이들 자가-위치 결정 기능은, 예를 들어, 기지국 서브시스템(102) 내의 모듈(1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전 로드된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한 자가-위치 결정 기능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의 위치 결정 모듈(14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 번들을 서버에 요청할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현재 위치 픽스(또는 현재 셀룰러 신호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따라서 서버는 모바일 장치(100)의 적어도 대략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이어서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 및 모바일 장치가 가까운 장래에(예컨대, 1시간 내에 또는 다음 날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는 다른 위치를 포함하는 지리적 영역을 식별하고, 지리적 영역 내에 있는 모든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에 정보 번들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번들은 모바일 장치가 지금 당장 셀룰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 뿐만 아니라, 현재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전송 범위 밖에 있는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기지국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지리적 영역은 정보 번들에 대한 요청이 행해질 때 모바일 장치가 위치해 있는 도시, 주, 또는 국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기지국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지리적 영역은 정보 번들에 대한 요청이 행해질 때의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예컨대, 10 마일) 내에 있는 지역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지리적 영역은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예컨대, 집과 직장 사이의 통근 지오펜스) 내의 지역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기지국 정보 번들을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의 주기성은 매일 또는 매시간, 또는 어떤 다른 소정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소정의 기간은 서버에 의해, 예를 들어, 정보 번들과 연관되어 있는 유효 기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유효 기간은 정보 요청의 시각과 프로파일 정보 번들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용가능하게 되거나 필요하게 될 시각 사이의 기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저장된 정보 번들에 의해 다루어지지 않는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은 또한 새로운 정보 번들 또는 저장된 정보 번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 의해 위치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은, 기지국 정보 번들에 대한 업데이트 또는 새로운 기지국 정보 번들을 획득하기 위해, 휴면 상태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을 활성화시키고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 내의 고속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의 어떤 모듈이 기저대역 운영 체제(114)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들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또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02)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특징지우는 다른 정보도 역시 모바일 장치(100)에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 및 GPS 위치 픽스와 상관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의 현재 가속도 또는 속도,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104)이 현재 활성인지, 사용자가 활성 호에 있는지 등을 포함한다. 이들 다른 정보는 또한 특정의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확인하는 기초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다른 정보는 또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패키지와 번들링되고, 다른 "크라우드 소싱된" 데이터 세트(예컨대, 다양한 인구 통계에 대한 분포도)를 생성하기 위해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에 기초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활성화
도 2는 모바일 장치(202)가 지오펜스(204)를 횡단할 시에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호출하는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와 함께 동작하는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에 대한 GPS 위치 픽스를 획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GPS 위성(206)과 통신한다. GPS 위치 모니터링 모듈은 모바일 장치(202)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되어 있고,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참여 없이 GPS 위치 픽스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만을 사용하여 GPS 위성(206)과 통신하고,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휴면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202)는 전체 절전 모드(overall power saving mode)에 있다[예컨대, 도 2에서 모바일 장치(202)가 어둡게 표시되어 있음].
모바일 장치(202)가 시간의 경과(예컨대, 시각 "t1"에서 시각 "t2"로, 이어서 시각 "t3"로, 그리고 이어서 시각 "t4"로)에 따라 여기저기로(예컨대, 위치 "loc_1"에서 위치 "loc_2"로, 이어서 위치 "loc_3"로, 그리고 이어서 위치 "loc_4"로) 이동할 때, 모바일 장치(202)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모바일 장치(202)의 각각의 GPS 위치 픽스를 지오펜스(204)의 경계와 비교한다. 모바일 장치(202)의 현재 위치의 각각의 변화가 모바일 장치(202)가 지오펜스(204)를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예컨대, 모바일 장치(202)가 "loc_1"에서 "loc_2"로, 그리고 이어서 "loc_3"으로 이동될 때],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은 휴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2)의 현재 위치의 변화가 모바일 장치(202)가 지오펜스(204)를 금방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낼 때[예컨대, 모바일 장치(202)가 "loc_3"에서 "loc_4"로 이동될 때], 모바일 장치(202)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내의 위치-기반 결정 논리는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트리거하고, 모바일 장치(202)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예컨대, 도 2에서 모바일 장치(202)가 밝게 표시되어 있음].
도 2는, 모바일 장치 상에서 전력을 절감하고 및/또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가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의 한 예시에 불과하다. 다른 기능들이 또한 기저대역 위치-기반 결정 논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저대역 위치-셀 신호 정보의 크라우드 소싱
도 3은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것 및 서버(310)가 이 정보를 사용하여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지 않은 다른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에 셀룰러-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가 기지국 위치 "BS_LOC1"에 위치해 있는 셀룰러 기지국의 송신기(312)의 전송 범위 내에 있을 때, 다수의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 각각은 송신기(312)로부터 셀룰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셀룰러 신호는 기지국에서의 시계에 따른 전송 타임스탬프[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에 대한 "st_t1", 모바일 장치(304)에 대한 "st_t2", 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st_t3"] 및 모바일 장치에서의 시계에 따른 수신 타임스탬프[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에 대한 "rcpt_t1", 모바일 장치(304)에 대한 "rcpt_t2", 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rcpt_t3"],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 값[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에 대한 "sig_1", 모바일 장치(304)에 대한 "sig_2", 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sig_3"]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어떤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6 및 308)]는 2개 이상의 송신기[예컨대, "BS_LOC1"에 위치한 송신기(312) 및 "BS_LOC2"에 위치한 송신기(314)]로부터 셀룰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파라미터 값 세트는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신호를 특징지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 각각은 또한 온보드 기저대역 GPS 위치 모니터링이 인에이블되어 있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GPS 위성(316)으로부터 GPS 위치 픽스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GPS 위치 픽스는 위치 좌표 쌍[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에 대한 위치 "loc_1", 모바일 장치(304)에 대한 위치 "loc_2", 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위치 "loc_3"] 및 위치 좌표와 연관되어 있는 GPS 타임스탬프[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에 대한 "gps_t1", 모바일 장치(304)에 대한 "gps_t2", 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gps_t3"]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내의 위치-셀 신호 상관 모듈은 송신기(312)[및 모바일 장치(306)에 대한 송신기(314)]로부터 수신하는 셀 신호를, 셀룰러 신호에 부여되는 수신 타임스탬프에 따른 그 각자의 GPS 위치 픽스 및 GPS 위치 픽스와 연관되어 있는 GPS 타임스탬프와 상관시킬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는 또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를 서버(3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관이 완료된 직후에,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의 업로드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모바일 장치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활성으로 될 때까지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마지막 업로드 이후에 누적되어 있는 상관된 위치-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310)는, 모바일 장치가 상이한 위치에 및/또는 상이한 시각에 있는 동안, 상이한 셀룰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다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10)의 프로파일 작성 모듈(318)은 송신기[예컨대, 송신기(312)] 및 송신기를 이용하는 기지국의 각자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다수의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로부터 수신되는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기(312)에 대한 추정된 위치 및 추정된 시계 오차를 도출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가 정지해 있을 때 GPS 위치 픽스 및 셀룰러 신호 둘 다가 수신된 경우, 모바일 장치는 GPS 위치 결정을 셀룰러 신호와 상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가 그 위치에 정지한 채로 있는 동안 셀룰러 신호가 수신되는 한, 셀룰러 신호는 위치 픽스와 상관될 수 있다. 환언하면, 모바일 장치가 정지해 있을 때, 셀룰러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와 GPS 위치 픽스의 GPS 타임스탬프 사이의 큰 차이로 인해, 셀룰러 신호가 GPS 위치 픽스와, "동시적인"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서, 상관되지 못하지는 않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가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온보드 가속도계를 가지는 경우, 모바일 장치는 기저대역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 모듈은 이어서, 셀 신호가 수신될 때, 이전의 GPS 위치 픽스, 모바일 장치의 이동 속도 및 방향, 및 이전의 GPS 위치 픽스의 GPS 타임스탬프와 셀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새로 계산된 현재 위치는 이어서 수신된 셀 신호와, "동시적인"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서, 상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1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다수의 장치는 상이한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그리고 어쩌면 상이한 위치에서 및 상이한 때에 셀룰러 신호를 수신한다. 그에 부가하여, 각각의 모바일 장치가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모바일 장치는 상이한 기지국의 송신기 또는 상이한 때의 동일한 기지국의 동일한 송신기에 관계되어 있는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송신기를 사용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에 대한 프로파일을 작성하기 위해 서버(3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 서버(location server)(310)는 상이한 셀룰러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 사업자의 가입자인 모바일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10)는 다수의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의 기지국들을 다루고 있는 셀룰러 기지국들의 종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기지국의 셀 섹터 내의 많은 위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셀 섹터 내의 많은 위치에서, 예를 들어, 특히 인구 밀도가 높거나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 셀 섹터의 전체 지역을 하나씩 스캔하기 위한 임의의 특수 장비 없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샘플링될 수 있다. 셀 섹터에서의 셀룰러 신호 데이터의 높은 샘플 레이트에 기초하여, 셀 섹터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 수신되는 셀 신호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상세의 정보는 종래의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특수 차량을 사용하여 셀 섹터 내의 모든 샘플 위치를 하나씩 스캔하는 것에 의해 획득될 수 없다.
데이터 수집의 폭 및 밀도에 부가하여,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크라우드 소싱된" 데이터는 또한 보다 최신의 것일 수 있고, 따라서 서버(310)에 있는 기지국의 프로파일이 최신의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지국 또는 송신기가 추가될 때,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새로운 기지국에 대한 신호 데이터가 신속하게 발견될 수 있고, 새로운 기지국에 대한 프로파일이 신속하게 작성될 수 있다. 기존의 기지국이 업그레이드, 이동, 또는 하나 이상의 부스터에 의해 확장될 때, 또는 기존의 기지국에 있는 시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드리프트할 때, 기지국에 관련된 이들 변화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도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다. 기존의 기지국의 위치, 신호 강도, 시계 오차, 및 기타 특성 파라미터가 이어서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등록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장 최근의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세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파일 작성 모듈(318)이 특정의 기지국에 대한 시계 오차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할 때, 서버(310)는 동기화 이벤트를 초기화하여 기지국에 있는 시계를 리셋시키기 위해 기지국의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310)의 프로파일 작성 모듈(318)은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강도 맵을 작성할 수 있다. 각각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 세트는 위치 및 그 위치에 있는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에 대한 신호 강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의 셀 섹터 내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다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의 신호 강도값은 모바일 장치의 상이한 감도로 인한 변동을 제거하기 위해 평균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의 셀 섹터 내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평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각각의 셀 섹터에 대한 신호 강도 맵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310)는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지역 또는 주변 지형 및 인위적인 간섭으로 인해 수신이 없는 "구멍"을 식별하고, 이들 지역이 개선된 셀룰러 커버리지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310)는 많은 수의 널리 분포된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셀룰러 기지국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기지국 알마낙(320)을 작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지국 알마낙(320)은 기지국을 특징지우는 각자의 파라미터 세트와 관련하여 저장되는 셀룰러 기지국의 목록일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는, 예를 들어, 기지국을 운영하는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의 식별자,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기 및/또는 부스터의 수, 기지국의 위치, 기준 시각(예컨대, GPS 시각)에 대한 기지국의 시계 오차, 기지국의 총 커버리지 범위, 기지국의 셀 섹터의 셀 ID, 기지국의 최대 신호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알마낙(320)은, 예를 들어,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신호 강도 맵 및/또는 기지국의 셀 섹터 그리고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과 연관되어 있는 신호에 관련된 데이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집됨에 따라 기지국 알마낙(310)이 점진적으로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서버(310)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한 세트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위치 서버(310)는 상관된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셀 ID가 기지국 알마낙(320) 내의 항목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셀 ID와 연관되어 있는 기지국의 어떤 항목도 기지국 알마낙(310)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 상관된 데이터 내의 셀 ID와 연관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항목이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에 대한 다양한 특성에 대한 초기 추정치가 상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서버(310)는 일정 기간에 대한 한 세트의 상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기지국에 관련된 더 많은 상관된 데이터 세트가 다른 모바일 장치로부터 또는 다른 위치에 있는 동일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기지국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추정치는 기지국에 대해 저장된 다수의 상관된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계산된 추정치들의 평균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컨대, 상관된 데이터 세트가 오래됨에 따라 추정치를 계산함에 있어서 상관된 데이터 세트에 감소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 인자에 의해, 보다 오래된 상관된 데이터 세트가 점진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른 소스로부터 획득된 정보(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관된 위치-신호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를 보충하고 및/또는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310)가 실질적으로 완전한 기지국 알마낙(320)을 구축했을 때, 서버(310)는 셀룰러-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 알마낙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10)는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로부터 위치 결정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 알마낙(320) 내의 정보 및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픽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셀 신호 정보 및 기지국 알마낙(320)에서의 기지국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에 의해 위치 픽스가 도출되고 다시 요청측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모바일 장치가 위치 결정 요청을 서버(310)로 송신한 후에,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은 근방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예컨대, 위치 및 시계 오차)를 요청측 모바일 장치에 제공할 수 있고, 근방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근방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 자체에 의해 위치 픽스가 도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 픽스가 요청측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에 의해 또는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에 의해 도출되어야 하는지는 요청측 모바일 장치 상에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현재 활성인지에 의존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가 셀룰러 신호를 현재 수신하고 있는 근방의 기지국[예컨대, 기지국(312 및 314)]을 식별해주는 위치 결정 요청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요청은 모바일 장치에 의해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 상에서 현재 활성이 아닌 경우, 모바일 장치는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 요청을 서버(310)로 송신하고,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로부터 셀룰러-기반 위치 픽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모바일 장치에서 현재 활성인 경우, 모바일 장치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 또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 요청을 서버(310)로 송신할 수 있고,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은 근방의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근방의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 및 근방의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 의해 위치 픽스가 도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본 설정 파라미터(preference parameter)가 모바일 장치로부터 송신된 위치 결정 요청에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파라미터는 요청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또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서버(310는 모바일 장치의 근방의 기지국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셀룰러-기반 위치 픽스를 모바일 장치로 송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기본 설정 파라미터는 모바일 장치가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 또는 셀룰러-기반 위치 픽스를 수신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서버는 위치 결정 요청에서의 기본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위치 결정 요청에 응답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 서버(310)는 또한 [예컨대, 위치 결정 서비스 모듈(322)을 통해] 기지국 프로파일 정보 번들을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8)]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가 위치 결정 요청을 서버로 송신한 후에, 모바일 장치는 또한 모바일 장치가 기지국 정보 번들을 저장하고 차후에 서버(310) 또는 다른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로부터의 추가의 도움 없이 셀룰러-기반 자가-위치 결정 또는 셀룰러-지원 자가-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 번들 내의 기지국 정보(예컨대, 기지국 위치 및 시계 오차)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서버(310)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는 정보 번들을 준비하고 이를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정보 번들를 어떤 장소(예컨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차후에 신호의 셀 ID를 사용하여 셀룰러 신호를 현재 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해 저장된 정보 번들을 참조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또 다시 기지국 정보를 구체적으로 요청하기 위해 서버 또는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에 접촉하는 일 없이 셀룰러-기반 자가-위치 결정 또는 셀룰러-지원 GPS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된 기지국 정보 번들 내의 기지국 위치 데이터 및 시계 오차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2, 304, 및 306)]로부터 수집된 다수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 세트가 기지국[예컨대, 기지국(312)]의 송신기에 대한 추정된 위치 및 추정된 시계 오차를 도출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의 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 세트가 서버의 프로파일 작성 모듈에 의해 수신되었다. 3개의 상이한 위치(예컨대, loc_1, loc_2, 및 loc_3)에 있는 3개의 상이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어떤 시각(예컨대, 각각, t1, t2, 및 t3)에 또는 3개의 상이한 위치에 있는 동일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이한 시각(예컨대, 각각, t1, t2, 및 t3)에 3개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 세트가 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세트는 적어도 각자의 셀룰러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 및 셀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예컨대, GPS 위치 픽스)를 포함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의 시계가 GPS 시각에 동기화되어 있을 때, 수신 타임스탬프는 신호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실제 시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렇지만, 셀룰러 신호의 전송 타임스탬프는 신호가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떠난 실제 시각에 대한 기지국의 시계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 타임스탬프와 전송 타임스탬프 간의 차이(즉, 기록된 이동 시간)는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모바일 장치까지의 신호의 실제 이동 시간 - 기지국(312)의 시계 오차(예컨대, ΔT)와 같다. 기지국(312)의 송신기와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2)] 사이의 추정된 거리(예컨대, "~D1")는 기록된 이동 시간(예컨대, "rcpt_t1-st_t1")을 공기 중에서의 전파의 기지의 평균 속도(예컨대, "v")와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되는 추정된 거리(예컨대, "~D1")는 모바일 장치[예컨대, 모바일 장치(302)]와 기지국(312)의 송신기 간의 실제 거리(예컨대, "D1") - 전파의 평균 속도(예컨대, "v")와 기지국에서의 시계 오차(예컨대, ΔT)의 곱인 거리 오차(예컨대, "Δd1")와 같다.
환언하면, ~D1=v*(rcpt_t1 - st_t1)이고; ~D1=D1-v*ΔT이며, 여기서 D1 및 ΔT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유사하게, 모바일 장치(304에 대해, ~D2=v*(rcpt_t2 - st_t2)이고; ~D2=D2-v*ΔT이며, 여기서 D2 및 ΔT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바일 장치(306)에 대해, ~D3=v*(rcpt_t3 - st_t3)이고; ~D3=D3-v*ΔT이며, 여기서 D3 및 ΔT는 알려져 있지 않다. 거리 오차 "v* ΔT"는 도 3에서 "Δd"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2개의 모바일 장치의 각각의 쌍[예컨대, 모바일 장치(302 및 304), 모바일 장치(302 및 306), 그리고 모바일 장치(304 및 306)] 사이의 각자의 추정된 거리(예컨대, ~D1, ~D2, ~D3)에 기초하여, 기지국(312)의 송신기에 대한 추정된 위치[예컨대, 각각, 위치(312'), 위치(312"), 및 위치(312"')]를 결정하기 위해 삼각측량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측량에 기초하여, 기지국(312)의 추정된 위치(312', 312", 및 312"')가 작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추정된 위치(312')가 위치 "loc_1" 및 "loc_2"에서의 모바일 장치(302 및 304)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반경 "D1-Δd"를 갖고 "loc_1"에 중심을 둔 원호와 반경 "D2-Δd"를 갖고 "loc_2"에 중심을 둔 원호의 교차점에 있다. 추정된 위치(312")가 "loc_1" 및 "loc_3"에서의 모바일 장치(302 및 306)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반경 "D2-Δd"를 갖고 "loc_1"에 중심을 둔 원호와 반경 "D3-Δd"를 갖고 "loc_3"에 중심을 둔 원호의 교차점에 있다. 추정된 위치(312"')가 "loc_2" 및 "loc_3"에서의 모바일 장치(304 및 306)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반경 D2-Δd를 갖고 "loc_2"에 중심을 둔 원호와 반경 D3-Δd를 갖고 "loc_3"에 중심을 둔 원호의 교차점에 있다. 기지국(312)의 추정된 위치(예컨대, "~BS_LOC")는 위치들(312' 312" 및 312"')의 평균일 수 있다. 기지국(312)에 대해 보다 많은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 세트가 획득될 때, 기지국의 보다 많은 추정된 위치가 획득될 수 있고, 모든 추정된 위치들의 평균이 기지국(312)의 실제 위치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추정된 위치 "~BS_LOC"가 기지국(312)의 프로파일에 입력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로부터 보다 많은 데이터가 수신되기 때문에, 추정된 위치 "~BS_LOC"의 정확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기지국(312)의 추정된 위치에 부가하여, 추정된 시계 오차(ΔT)도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식 ~D1=D1-v*ΔT에서, D1 및 ΔT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관계식에 따르면, ΔT=(D1 - ~D1)/v이다. 추정된 시계 오차(~ΔT1)는 상기 관계식에서 기지국(312)과 "loc_1"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302) 사이의 실제 거리(D1)를 기지국(312)의 추정된 위치 "BS_LOC"와 위치 "loc_1" 사이의 거리(~D1')으로 대체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거리(~D1')는 ~D1보다 기지국(312)과 모바일 장치(302) 사이의 실제 거리에 대한 더 나은 추정치이다. 따라서, 추정된 시계 오차 "~ΔT1"은 "(~D1'-~D1)/v"와 같다. 이와 유사하게, 기지국(312)에서의 시계 오차의 다른 추정치가 다른 모바일 장치(304 및 306)에 관계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04)에 관계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된 시계 오차 "~ΔT2=(~D2'-~D2)/v"이고, 여기서 ~D2'은 위치 "BS_LOC"와 "loc_2" 사이의 거리이다. 모바일 장치(306)에 관계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된 시계 오차 "~ΔT3=(~D3'-~D3)/v"이고, 여기서 ~D3'은 위치 "BS_LOC"와 "loc_3" 사이의 거리이다. 기지국(312)에 대한 시계 오차의 보다 나은 추정치("~ΔT")는 "~ΔT1", "~ΔT2" 및 "~ΔT3"의 평균일 수 있다. 보다 많은 모바일 장치로부터 보다 많은 데이터가 수집되기 때문에, 시계 오차 추정치("~ΔT")가 또한 개선된다.
도 4는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가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데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의 한 예시적인 예에 불과하다.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데이터로부터 기지국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는 다른 방법들이 가능하다.
기저대역 위치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들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도 5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구현된 위치-기반 결정 논리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호출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500)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500)는 모바일 장치[예컨대,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500)에서,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한다(500). 모바일 장치는 이어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한다(504).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확인할 시에,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506).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은 모니터링하는 단계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연속적인 위치 픽스가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를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에,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 내의 응용 프로그램이 (예컨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호출될 수 있고,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에,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재개되고,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한다.
도 6은 GPS 위치 픽스와 기저대역 자가-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셀룰러 신호 정보를 상관시키고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600)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는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100) 등의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기저대역 GPS 서브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600)에서,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의 온보드 GPS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획득된다(602).
위치 모니터링이 GPS 신호에 기초하는 구현예에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2 세트의 연속적으로 획득된 GPS 위치 좌표가 모바일 장치가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를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예시적인 프로세스(600)에서, 모바일 장치는,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을 모니터링한다(604). 모바일 장치는 또한, 그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을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와 상관시킨다(606). 모바일 장치는 이어서 상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각자의 현재 값 및 GPS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고, 여기서 서버는 적어도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발생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보다 많은 상관된 데이터가 획득될 때까지 일정 기간 동안 상관된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는 상관이 완료된 직후에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수의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700)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서버[예컨대, 도 3의 서버(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700)에서, 서버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수신한다(702).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각자의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각자의 값, 및 각자의 신호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된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픽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GPS 위치 픽스 및 신호는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되었다.
서버는, 복수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발생시킬 수 있다(704). 일부 구현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신호를 특징지우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제공자에 대한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에 대한 셀 ID, 신호의 전송 타임스탬프, 신호의 수신 타임스탬프, 신호의 강도, 신호의 위상, 및 신호의 도착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은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과 연관되어 있는 시계 오차, 기지국 위치, 커버리지 영역, 및 최대 신호 강도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파라미터 각각에 대한 각자의 추정치를 포함한다.
도 8은 "크라우드 소싱된"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알마낙을 유지하고 기지국 알마낙을 사용하여 셀-기반 위치 결정 서비스를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800)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800)는 도 3에 도시된 서버(310) 등의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800)에서, 서버는 복수의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각자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기지국 알마낙을 유지한다(802). 각자의 프로파일 각각은 복수의 각자의 모바일 장치의 각자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상관된 위치 및 셀룰러 신호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발생되고 업데이트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800)에서, 서버는, 모바일 장치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각자의 셀룰러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가 위치 확인하라는 요청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다(804). 서버는 이어서 요청에 응답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프로파일을 이용한다(806).
앞서 설명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은 예시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이들 프로세스 및 기타 관련 프로세스의 다른 상세는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 기술되어 있다.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 아키텍처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아키텍처(900)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902),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영상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904), 그리고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90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4) 및/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는 개별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904)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AP) 및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BP)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서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하나의 단일 프로세서 칩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장치 및 서브시스템은 다수의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910), 광 센서(912) 및 근접 센서(914)는 모바일 장치의 배향, 조명 및 근접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에 결합될 수 있다. 위치 확인 프로세서(915)(예컨대, GPS 수신기)는 지상 위치 결정(geopositioning)을 제공하기 위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자력계(916)(예컨대, 집적 회로 칩)도 역시 자북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자력계(916)는 전자 나침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계(917)도 역시 모바일 장치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변화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906)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920) 및 광 센서(922) - 예컨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광 센서 - 는 사진 및 비디오 클립의 녹화 등의 카메라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송신기 및/또는 광학(예를 들어, 적외선)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924)을 통해 통신 기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924)의 특정의 설계 및 구현이 모바일 장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GSM 네트워크, GPRS 네트워크, EDGE 네트워크, Wi-Fi 또는 WiMax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통신 서브시스템(9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924)은 모바일 장치가 다른 무선 장치들에 대한 기지국으로서 구성될 수 있도록 호스팅 프로토콜(hosting protocol)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926)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voice replication), 디지털 녹음(digital recording), 및 전화 기능 등의 음성 지원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스피커(928) 및 마이크(930)에 결합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940)은 터치 표면 제어기(942)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들)(94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표면 제어기(942)는 터치 표면(946)(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표면(946) 및 터치 표면 제어기(942)는, 예를 들어,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파(surface acoustic wave) 기술은 물론, 터치 표면(946)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판정하는 기타 근접 센서 어레이 또는 기타 요소(이들로 제한되지 않음)를 비롯한 복수의 터치 감도(touch sensitivity)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접촉 및 접촉의 움직임 또는 단절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들)(944)는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 썸-휠(thumb-wheel), 적외선 포트, USB 포트, 및/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포인터 장치와 같은 기타 입력/제어 장치(948)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튼(도시 생략)은 스피커(928) 및/또는 마이크(930)의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제1 지속기간 동안 버튼을 누르면 터치 표면(946)의 잠금이 풀릴 수 있고, 제1 지속기간보다 긴 제2 지속기간 동안 버튼을 누르면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들 중 하나 이상의 버튼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터치 표면(946)은 또한, 예를 들어,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상의 소프트 키보드 등의 가상 또는 소프트 버튼 및/또는 키보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MP3, AAC 및 MPEG 파일 등의 레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파일을 제시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는 iPod™ 등의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100)는 iPod과 호환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출력 장치 및/또는 제어 장치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902)는 메모리(950)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95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NAND, NOR)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임베디드 운영 체제(VxWorks 등)와 같은 운영 체제(952)를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952)는, 기본 시스템 서비스를 처리하고 하드웨어 의존적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운영 체제(952)는 커널(예를 들어, UNIX 커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부가의 장치, 하나 이상의 컴퓨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통신 명령어(954)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어(956); 센서-관련 처리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센서 처리 명령어(958); 전화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전화 명령어(960); 전자 메시징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전자 메시징 명령어(962); 웹 브라우징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웹 브라우징 명령어(964); 미디어 처리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미디어 처리 명령어(966);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예컨대, GPS) 및 내비게이션 관련 프로세스 및 명령어를 용이하게 해주는 GPS/내비게이션 명령어(968);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카메라 명령어(970); 자력계 교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자력계 데이터(972) 및 교정 명령어(97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또한 보안 명령어, 웹 비디오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웹 비디오 명령어, 및/또는 웹 쇼핑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는 웹 쇼핑 명령어 등의 기타 소프트웨어 명령어(도시 생략)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미디어 처리 명령어(966)는 오디오 처리-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과 비디오 처리-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각각 오디오 처리 명령어 및 비디오 처리 명령어로 나누어진다. 활성화 레코드(activation record) 및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또는 유사한 하드웨어 식별자도 역시 메모리(9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950)는 위치 확인 기능, 위치 모니터링 프로그램, 및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른 관련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는 위치 확인 명령어(9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 언급한 명령어 및 응용 프로그램 각각이 이상에서 기술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들 명령어가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프로시저 또는 모듈로서 구현될 필요는 없다. 메모리(950)가 더 많은 명령어 또는 더 적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기능이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비롯하여 하드웨어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동작 환경(1000)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1002a 및 1002b)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에서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10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12)(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1016)를 사용하여 인터넷 등의 WAN(wide area network)(1014)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802.11g 무선 액세스 장치와 같은 액세스 장치(1018)는 WAN(wide area network)(1014)에의 통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둘 다가 무선 네트워크(1012) 및 액세스 장치(1018)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2a)는 [예컨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으며 [예컨대, POP3(Post Office Protocol 3)를 사용하여] 이메일 메시지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1012), 게이트웨이(1016) 및 WAN(wide area network)(1014)을 통해 웹 페이지, 사진 및 비디오 등의 전자 문서 및/또는 스트림을 검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2b)도 전화 통화를 걸고 받을 수 있고,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장치(1018) 및 WAN(wide area network)(1014)을 통해 전자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액세스 장치(1018)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액세스 장치(1018)는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를 "코드가 있는(tethered)"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2a 및 1002b)는 또한 기타 수단에 의해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1002a)는 무선 네트워크(1012)를 통해 다른 무선 장치 - 예를 들어, 다른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 휴대폰, 기타 - 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장치(1002a 및 1002b)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의 통신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피어-투-피어 통신(1020) - 예컨대, PAN(personal area network) - 을 설정할 수 있다. 기타 통신 프로토콜 및 토폴로지도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1030 및 104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위치 등록 서비스(1030)가 응용 프로그램을 지리적 영역과 연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리적 영역과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모바일 장치(1002a 및 1002b)로의 다운로드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위치-게이트웨이 매핑 서비스(1040)는 특정의 지리적 영역과 연관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과 관련하여 등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모바일 장치(1002a 및 1002b)에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는 또한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기타 데이터 및 콘텐츠에도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사이트,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피드, 웹 사이트, 블로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개발자 네트워크 등과 같은 콘텐츠 게시자가 모바일 장치(1002a 또는 1002b)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웹 객체를 터치한 것에 응답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 또는 응용 프로그램(예컨대, 브라우저)을 호출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가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셀이 도면들에서 육각형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셀의 실제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Claims (39)

  1.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시계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확인할 시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됨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연속적인 위치 픽스(position fix)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geofence)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구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invok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의 온보드(on-board)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들을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2 세트의 연속적으로 획득된 GPS 위치 좌표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낸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8.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확인할 시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 및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한 이후에,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상기 활성 모드로부터 휴면 모드로 스위칭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하는 동작으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연속적인 위치 픽스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의 온보드 GPS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들을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2 세트의 연속적으로 획득된 위치 좌표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낸다고 판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확인할 시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고, (1) 상업적 엔티티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2) 상기 상업적 엔티티로부터 상기 상업적 엔티티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충족되었음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하는 동작으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연속적인 위치 픽스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오펜스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을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작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이 휴면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서브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입력으로서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의 온보드 GPS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좌표들을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여, 2 세트의 연속적으로 획득된 GPS 위치 좌표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지오펜스를 횡단하였음을 나타낸다고 판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47000059A 2011-06-03 2012-05-16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KR101609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53,332 US9118776B2 (en) 2011-06-03 2011-06-03 Location monitoring feature of a mobile device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subsystem
US13/153,332 2011-06-03
PCT/US2012/038190 WO2012166370A1 (en) 2011-06-03 2012-05-16 Baseband on-board location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63A KR20140031363A (ko) 2014-03-12
KR101609075B1 true KR101609075B1 (ko) 2016-04-04

Family

ID=4620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059A KR101609075B1 (ko) 2011-06-03 2012-05-16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118776B2 (ko)
EP (1) EP2716019B1 (ko)
KR (1) KR101609075B1 (ko)
CN (1) CN103597804B (ko)
WO (1) WO2012166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8776B2 (en) 2011-06-03 2015-08-25 Apple Inc. Location monitoring feature of a mobile device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subsystem
US9825968B2 (en) * 2011-09-28 2017-11-2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ynamic enpoint secure location awareness
US9116558B2 (en) 2011-10-28 2015-08-25 Atmel Corporation Executing gestures with active stylus
US8938231B2 (en) * 2011-12-12 2015-01-20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femtocell positioning using low earth orbit satellite signals
CN104322119A (zh) * 2012-03-15 2015-01-28 诺基亚公司 监测基于陆地无线电的定位系统的质量
US8855681B1 (en) * 2012-04-20 2014-10-07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multiple applications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US20130331118A1 (en) * 2012-06-10 2013-12-12 Apple Inc. Performing enhanced background location scans to facilitate location-based geo-fencing
US9344990B1 (en) * 2012-12-03 2016-05-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vice location accuracy metrics for applica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838834B2 (en) * 2012-12-21 2017-12-05 Facebook, Inc. Techniques for wireless transmitter location detection
US9113432B2 (en) * 2013-03-14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Crowdsourcing based on base station almanac quality
US9774992B2 (en) * 2013-05-10 2017-09-26 John Russell Wilbur Software applications and website platform for recording, displaying and sharing receiver signal strengths and other parameters
US9585039B2 (en) * 2013-05-10 2017-02-28 John Russell Wilbur Software applications for displaying and or recording receiver signal strengths and other parameters
US9820231B2 (en) *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US9596702B2 (en) * 2013-06-19 2017-03-14 Dsp Group Ltd. Dynamic sensitivity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US9332453B2 (en) 2013-06-27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WWAN almanac integrity monitoring system
US9648458B2 (en) * 2013-07-03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crowd sourced data
CN104301340B (zh) * 2013-07-16 2019-01-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网络中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系统
US9386415B2 (en) 2013-07-17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Geofences based on RF fingerprints
US9277368B2 (en) * 2013-07-18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mobile device is indoors
US9215596B2 (en) * 2013-09-04 2015-1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region of coverage for a sparse network almanac
US20150094083A1 (en) * 2013-10-02 2015-04-02 Blackberry Limited Explicit and implicit triggers for creating new place data
US20150099537A1 (en) * 2013-10-06 2015-04-09 American Woodduck Llc Ski area incident reporting and incident response system
US10824666B2 (en) 2013-10-10 2020-11-03 Aura Home, Inc. Automated routing and display of community photographs in digital picture frames
US11669562B2 (en) 2013-10-10 2023-06-06 Aura Home, Inc. Method of clustering photos for digital picture frames with split screen display
US11013472B1 (en) 2013-10-10 2021-05-25 Aura Hom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pidemic and pandemic risk assessment
US11350889B2 (en) 2013-10-10 2022-06-07 Aura Home, Inc. Covid-19 risk and illness assessment method
US10430986B2 (en) 2013-10-10 2019-10-01 Pushd, Inc. Clustering photographs for display on a digital picture frame
US9439038B2 (en) 2013-10-10 2016-09-06 Pushd, Inc. Automated notification of social media member events
US10820293B2 (en) 2013-10-10 2020-10-27 Aura Home, Inc. Digital picture frame with improved display of community photographs
US9338759B2 (en) * 2013-10-10 2016-05-10 Pushd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 mobile user
US11944466B2 (en) 2013-10-10 2024-04-02 Aura Hom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irus variant risk during an epidemic and pandemic
US9472166B2 (en) 2013-10-10 2016-10-18 Pushd, Inc. Automated personalized picture frame method
US11797599B2 (en) 2013-10-10 2023-10-24 Aura Home, Inc. Trend detection in digital photo collections for digital picture frames
US20200089702A1 (en) 2013-10-10 2020-03-19 Pushd, Inc. Digital picture frames and methods of photo sharing
US9498163B2 (en) 2013-10-10 2016-11-22 Pushd, Inc. Automated location and activity aware medical monitoring
US9288616B2 (en) * 2013-10-10 2016-03-15 Pushd, Inc. Automated electronic reminders for a mobile user
US10474407B2 (en) 2013-10-10 2019-11-12 Pushd, Inc. Digital picture frame with automated interactions with viewer and viewer devices
US9420015B2 (en) 2013-10-10 2016-08-16 Pushd, Inc. Automated deduction of user locations and activities in a mobile positional social media method and system
US9936346B2 (en) * 2013-11-28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fences from context and crowd-sourcing
US10136251B2 (en) 2013-11-28 2018-11-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fence compositions
US9313320B2 (en) 2014-02-1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switching of modes and mode control capabiliti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313619B2 (en) 2014-04-24 2016-04-12 At&T Mobility Ii Llc Facilitating estimation of mobile device presence inside a defined region
US20150341233A1 (en) * 2014-05-23 2015-1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es, and articles for location parameter reporting and processing
KR101953500B1 (ko) * 2014-12-17 2019-02-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오-펜싱 구현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730086B2 (en) * 2015-01-19 2017-08-08 Viavi Solutions Uk Limited Techniques for dynamic network optimization using geolocation and network modeling
JP6358399B2 (ja) * 2015-02-04 2018-07-1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582984B2 (en) * 2015-04-23 2017-02-28 Motorola Mobility Llc Detecting physical separation of portable devices
WO2016201631A1 (en) * 2015-06-17 2016-12-22 Yah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content recommendation
KR102427822B1 (ko) * 2015-08-12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3412055B1 (en) * 2016-03-31 2021-05-05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Triggering transmissions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10587699B2 (en) * 2016-05-26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rdinating the use of independent radio receivers associated with a single transmitter
TWI631359B (zh) * 2016-07-14 2018-08-01 曦恩體感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用於提供位置資訊的方法
US11164224B2 (en) * 2016-07-22 2021-11-02 Aetna Inc. Smart application rating
US10075778B2 (en) * 2016-08-04 2018-09-11 Google Llc Base station with baseband bypass
JP2018107487A (ja) * 2016-12-22 2018-07-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および情報送信システム
EP3826372B1 (en) 2016-12-30 2023-09-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20180212791A1 (en) * 2017-01-25 2018-07-26 Sears Brands, L.L.C. Contextual application interactions with connected devices
US10231134B1 (en) 2017-09-29 2019-03-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planning based on crowd-sourced access point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271236B1 (en) 2017-09-29 2019-04-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llection of crowd-sourced access point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382995B2 (en) 2017-09-29 2019-08-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tilization of crowd-sourced access point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EP3515052A1 (en) * 2018-01-22 2019-07-24 TP Vision Holding B.V.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1709273B2 (en) * 2018-04-12 2023-07-25 Aerostar International, Llc Stratospheric 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system
US11483677B2 (en) * 2018-06-07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297589B2 (en) * 2018-09-28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procedures for on-demand random access channel (RACH)
EP3668197B1 (en) 2018-12-12 2021-11-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radio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ssion
US11297568B2 (en) * 2019-01-18 2022-04-05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apparatus management
US10540700B1 (en) * 2019-04-11 2020-01-21 RoboSystems, Inc. Personal shopping assistant
US20200396787A1 (en) 2019-06-13 2020-12-1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Managing transport network data access
US11310135B2 (en) 2019-06-13 2022-04-19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Managing transport network data access
US11304033B2 (en) 2019-09-27 2022-04-12 Apple Inc. Context-based disabling wireless radios while on an airplane
US11252031B2 (en) 2019-11-20 2022-02-15 T-Mobile Usa, Inc. Coordinated management of IoT device power consumption and network congestion
US11074799B1 (en) * 2020-01-24 2021-07-27 T-Mobile Usa, Inc. Modular tracking device
WO2021154656A1 (en) * 2020-01-27 2021-08-05 Magic Leap, Inc. Enhanced state control for anchor-based cross reality applications
US20220377520A1 (en) * 2021-05-24 2022-11-24 Apple Inc. Wireless emergency alert geofencing enhancements
US11861259B1 (en) 2023-03-06 2024-01-02 Aura Home, Inc. Conversational digital picture frame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944A (en) 1996-03-08 1999-08-31 Snaptrac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e for GPS receivers
SE9904103D0 (sv) * 1999-11-12 1999-11-12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terminal
US6445937B1 (en) * 1999-12-02 2002-09-0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power management
US6484033B2 (en) * 2000-12-04 2002-11-19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location based schedule management and method therefor
US6865394B2 (en) * 2001-01-31 2005-03-08 Hitachi, Ltd Location detection method, location detection system and location detection program
US6678510B2 (en) * 2001-02-05 2004-01-13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PS time synchronization using cellular signal bursts
CN1330975C (zh) 2001-03-15 2007-08-08 高通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设备和方法
US7127257B2 (en) 2001-12-27 2006-10-24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mobile stations for determination of base station loca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86741B1 (ko) 2002-01-21 2007-02-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위치 정보 제공
AU2003220263A1 (en) 2002-03-11 2003-09-29 Ting-Mao Chang Proximity triggered job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EP1540462A2 (en) 2002-06-27 2005-06-15 Ting-Mao Chang A power saving mobility aware system and method
JP3969275B2 (ja) * 2002-10-15 2007-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位置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20040166881A1 (en) * 2003-02-06 2004-08-26 Farchmin David Walter Phased array wireless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40176107A1 (en) * 2003-02-07 2004-09-09 Lovleen Chadha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 based tasks for wireless devices
US7065664B2 (en) * 2003-03-18 2006-06-20 Inventec Appliances Corp.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WO2005096195A2 (en) * 2004-03-31 2005-10-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budgets in a technique for restrained budget use
US7319878B2 (en) * 2004-06-18 2008-0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bas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mobile network
US20060022802A1 (en) * 2004-07-30 2006-02-02 Raj Bridgelall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6101041A (ja) * 2004-09-28 2006-04-13 Fujitsu Ltd 携帯電話機
SG157355A1 (en) * 2004-10-29 2009-12-29 Skyhook Wireless Inc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server, method of building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same
US7346787B2 (en) * 2004-12-07 2008-03-1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wer management
KR100678143B1 (ko) 2005-02-1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세계 위치 확인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의 기준시계와 기지국 신호 동기 장치 및 방법
JP5166682B2 (ja) * 2005-08-12 2013-03-21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02006044293A1 (de) * 2006-03-31 2007-10-25 Siemens Ag Verfahren zur rechnergestützten Lokalisation eines mobilen Objekts
US20080147321A1 (en) * 2006-12-18 2008-06-19 Damian Howard Integrating Navigation Systems
CA2657207A1 (en) * 2006-07-07 2008-01-10 Skyhook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of gathering information from wlan-enabled access points to estimate position of a wlan positioning device
US8314736B2 (en) 2008-03-31 2012-11-20 Golba Llc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US20080168267A1 (en) * 2007-01-09 2008-07-10 Bolen Charles 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 mobile device
US7962775B1 (en) * 2007-01-10 2011-06-14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mode control for PDA with separate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s processors
US8099124B2 (en) * 2007-04-12 2012-01-1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user/device activity with spatial orientation sensors
US8504121B1 (en) * 2007-05-30 2013-08-06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ortable device
US8406162B2 (en) * 2008-05-16 2013-03-26 La Cross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receiving, displaying and playing weather data
WO2009062176A2 (en) * 2007-11-09 2009-05-14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US20090163226A1 (en) * 2007-12-20 2009-06-25 Burges Karkaria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 saving using location sensing modules
US8161299B2 (en) * 2007-12-20 2012-04-17 Intel Corporation Location based policy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computing environments
TWI410788B (zh) * 2007-12-21 2013-10-01 Htc Corp 電子裝置之電源管理系統及方法及電腦可讀取之記錄媒體
WO2009124911A1 (en) * 2008-04-07 2009-10-15 Nxp B.V. Mobile phone with low-power media rendering sub-system
US7973707B2 (en) * 2008-06-11 2011-07-05 2201028 Ontario Inc. Method for geofencing
FI20085604A0 (fi) * 2008-06-18 2008-06-18 Elektrobit Wireless Comm Oy Yhteyksien hallinta
KR101039312B1 (ko) 2008-07-11 201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52324A (ko)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8442498B2 (en) * 2008-12-19 2013-05-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mote DVR interface provisioning
US9536238B2 (en) * 2008-12-31 2017-01-03 Peter Garrett Hand-held electronics device for aggregation of and management of personal electronic data
US8265658B2 (en) * 2009-02-02 2012-09-11 Waldeck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ocation-based widgets
US8842590B2 (en) * 2009-07-21 2014-09-2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data connection method thereof
US20110018346A1 (en) * 2009-07-27 2011-01-27 Dixon Ryan G Location-Based Power Profiles
US8364857B2 (en) * 2009-08-3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modem with CPU and auxiliary processor that shifts control between processors when in low power state while maintaining communication link to wireless network
US8665156B2 (en) 2009-09-08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 estimation assistance information for mobile station
US8558693B2 (en) * 2009-09-10 2013-10-15 Tri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reminders on a mobile device
WO2011060140A1 (en) * 2009-11-12 2011-05-19 Soteria Systems, Llc Personal safety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US9146751B2 (en) * 2010-04-07 2015-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US8504061B2 (en) 2010-04-07 2013-08-06 Apple Inc. Multi-tier geofence detection
US8340637B2 (en) * 2010-04-30 2012-12-25 T-Mobile Usa, Inc. Securely establishing presence on telecommunication devices
US8974302B2 (en) * 2010-08-13 2015-03-10 Cfph, Llc Multi-process communication regarding gaming information
US8548493B2 (en) * 2011-04-14 2013-10-01 Navteq B.V. Location tracking
US9118776B2 (en) 2011-06-03 2015-08-25 Apple Inc. Location monitoring feature of a mobile device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sub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63A (ko) 2014-03-12
US10165399B2 (en) 2018-12-25
US9118776B2 (en) 2015-08-25
CN103597804A (zh) 2014-02-19
US20120309376A1 (en) 2012-12-06
US20170188307A1 (en) 2017-06-29
WO2012166370A1 (en) 2012-12-06
CN103597804B (zh) 2016-03-30
EP2716019B1 (en) 2021-03-03
EP2716019A1 (en) 2014-04-09
US20150319573A1 (en) 2015-11-05
US9596565B2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75B1 (ko) 기저대역 온보드 위치 모니터링
US9071701B2 (en) Using wireless characteristic to trigger generation of position fix
EP2130361B1 (en) Updating position assist data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609087B1 (ko) 공간 및 시간 기반 장치 커스터마이즈
EP2622920B1 (en) Non-transi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mobile computing device employing matching of access point identifiers
US8395547B2 (en) Location track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258013B1 (ko) 위치 결정
KR101913535B1 (ko) 동반 디바이스를 사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8989763B2 (en) Updating position assist data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20098705A1 (en) Use of heuristic data for sending message from mobile computing device
EP26423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arm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20210144786A1 (en) Location source control
WO2022110176A1 (zh) 一种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16978A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기지국 위치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