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973B1 -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973B1
KR101608973B1 KR1020140159133A KR20140159133A KR101608973B1 KR 101608973 B1 KR101608973 B1 KR 101608973B1 KR 1020140159133 A KR1020140159133 A KR 1020140159133A KR 20140159133 A KR20140159133 A KR 20140159133A KR 101608973 B1 KR101608973 B1 KR 10160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unit
lighting
cellular phone
e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이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준 filed Critical 이화준
Priority to KR102014015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어캡,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통해 소정의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어캡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색상을 형성하는 발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빛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MOBILE PHONE ACCESSORY CONTAINING EAR CAP}
본 발명은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로서, 특히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하며 이어폰을 분리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 형성된 이어폰 단자와 충전 단자 등은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휴대폰 액세서리(예; 휴대폰 케이스)는 해당 단자에 대응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상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폰은 이어폰 단자 등으로 유입되는 미세한 먼지와 액체 물질로 인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를 보호하는 이어캡과 휴대폰 충전 단자를 보호하는 마개가 제작,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어캡 등은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를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 휴대폰 액세서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화가 오게 되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어폰에 송신 및 수신 기능을 포함한 제품이 제작, 판매되고 있으나, 이 경우, 주변 소음이 크게 들린다거나 대화자의 음성이 작게 들리는 등 통화 품질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폰의 송신기 및 수신기로 직접 통화를 하기 위해 이어폰을 핸드폰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 통화가 끝난 후 시청하던 방송이나 음악이 주위로 흘러나오는 문제 및 방송 시청이나 음악 청취를 위해 다시 이어폰을 재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이 활발한데, 종래의 휴대폰은 플래쉬로 단색광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진 촬영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4-0004706 U KR 10-2014-0025858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캡의 조명부를 통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하며, 이어폰 작동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부를 이용하여 이어폰을 휴대폰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어캡,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통해 소정의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어캡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색상을 형성하는 발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빛을 제공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이어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이어캡의 접속단자에 결합된 휴대폰 사이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점등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상기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통해 소정의 빛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수평면과 수평각을 이루며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의 작동 시작, 작동 중지, 색상 선택 및 점등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명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이어캡, 상기 이어캡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이어폰 결합부, 및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이어캡의 접속단자에 결합된 휴대폰 사이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줄을 수용하는 이어폰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의 일 영역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 수납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이어폰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는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반대 단부는 상기 몸체부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카드, 명함,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카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캡의 조명부를 통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어, 사진 촬영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영역에 형성된 이어폰 결합부를 통해, 이어캡을 빼지 않고도 이어폰과 이어캡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폰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 수납부를 통해 이어폰을 수용할 수 있어, 이어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어폰의 휴대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이어캡(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조명 버튼부(140) 및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캡(110)은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점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신호는 이어캡(110)에 포함되는 조명부의 작동 시작, 작동 정지, 색상 선택, 점등 간격 등을 요청하는 신호로서, 예를 들면, 상기 휴대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상기 점등 신호를 접속단자로 전송할 수 있다.
조명부가 복수의 색상을 형성하는 발광체를 포함함으로써, 이어캡(110)이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색상 및 점등 간격 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색상의 빛을 제공하기 위해, 빛의 색상, 빛이 점등되는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조명 버튼부(140)를 통해 복수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가 결합된 휴대폰으로부터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점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상기 점등 신호를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RF(Radio Frequenc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당해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이어캡(110)의 접속단자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점등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20)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어캡(110)의 접속단자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로 출력할 수 있고, 조명부는 상기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조명부는 제어부(130)로부터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출력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명 버튼부(140)를 통해 빛의 색상 및 점등 간격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선택된 색상 및 점등 간격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발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빛이 연속적으로 점등되게 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어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폰에 포함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이어캡(110)의 조명부가 카메라 플래쉬 기능을 하도록, 빛의 세기 및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어캡이 포함된 휴대폰 액세서리(100)에 결합된 이어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를 통해 이어폰의 작동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어폰의 작동 시작 또는 작동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폰을 이용한 통화 또는 이어폰을 빼지 않고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다.
조명 버튼부(140)는 이어캡(110)에 포함되는 조명부의 작동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조명 버튼부(140)는 조명부의 작동 시작, 작동 중지, 색상 선택 및 점등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130)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명 버튼부(140)를 통해, 이어캡(110) 조명부의 색상 및 점등 간격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조명 버튼부(14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다이얼 스위치, 터치식 버튼 등의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버튼부(140)는 생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폰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조명 버튼부(140)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에 연결된 이어폰의 작동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는 상기 이어폰의 작동 시작 또는 작동 중지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폰의 작동 시작이란, 몸체부(도 2의 220)에 접속된 이어폰을 통하여 음성 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하고, 이어폰의 작동 중지란, 이어폰을 몸체부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폰의 수신부 및 발신부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이어폰의 작동을 멈추는 상태를 말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를 통해, 이어폰을 몸체부(도 2의 22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도 휴대폰을 통해 전화통화 등을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이어폰이 휴대폰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이어폰을 빼거나 이어폰에 포함된 음성 송신기 및 수신기로 통화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의 이어폰 작동 중지 버튼을 누르면 이어폰의 작동이 중지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을 휴대폰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휴대폰의 음성 수신기 및 송신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130)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다이얼 스위치, 터치식 버튼 등의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는 생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폰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이어폰 연결 버튼부(150)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100)는, 휴대폰 이외에도 태블릿이나 PDA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는 이어캡(210), 몸체부(220), 이어폰 결합부(230), 조명 버튼부(240),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 이어폰 수납부(260), 카드 수납부(270) 및 지지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캡(210)은,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211)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211)는 몸체부(22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접속단자(211)는 오디오 잭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잭에 대응되는 휴대폰의 오디오 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부(212)는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한 발광체(213)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을 경우, 다양한 빛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휴대폰 카메라의 플래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조명부(212)의 색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조명 버튼부(240)를 통하여 색상을 선택 또는 조절하거나, 휴대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조명부(212)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체(213)는 RGB LED(red-green-blue 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다. RGB LED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RGB LED는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작은 소자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어 소형 제품의 조명부에 포함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RGB LED는 빛의 3원색인 적·녹·청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212)는 수평면과 수평각을 이루며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빛을 발산하고자 할 때 휴대폰을 움직일 필요없이 조명부(212)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곳으로 빛을 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어캡(210)은 몸체부(220)와 분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빛을 제공하는 기능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캡(210)만을 휴대폰에 장착시킴으로써, 휴대폰 및 본 발명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버튼부(240)를 이어캡(210)의 일 영역에 형성시킬 수 있다.
몸체부(220)는 이어캡(210)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220)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와 휴대폰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0)에는 이어폰 결합부(230), 조명 버튼부(240),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 이어폰 수납부(260), 카드 수납부(270) 및 지지부(2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어, 본 발명이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몸체부(220)의 형태 및 결합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폰 결합부(230)는 몸체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접속단자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휴대폰에 형성된 이어폰 수용 영역에 이어캡(210)이 결합되므로, 본 발명은 이어폰 결합부(230)를 포함함으로써 이어캡(210)의 조명부(212)와 이어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서, 이어캡(210)을 따로 분리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조명 버튼부(240)는 이어캡(210)에 포함되는 조명부의 작동 시작, 작동 중지, 색상 선택 및 점등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명 버튼부(24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2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이어캡(210)의 일 영역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조명 버튼부(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는 이어폰의 작동 시작 또는 작동 중지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이어폰 결합부(230)에 결합된 이어폰과 이어캡(210)의 접속단자(211)에 결합된 휴대폰 사이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2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폰 수납부(26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이어폰 줄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어폰 수납부(260)에 이어폰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어폰 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어폰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어폰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어폰 수납부(26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이어폰 거치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을 수납하는 경우, 이어폰 줄의 끝단의 일 영역을 이어폰 거치부(261)에 거치시킬 수 있어, 귀와 접촉하는 이어폰의 스피커 영역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어폰 수납부(260)는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어폰 수납부(260)는 자동 감김 장치를 포함하여, 이어폰 줄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카드 수납부(270)는 몸체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카드 수납부(27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수납부(260)의 외측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수납부(270)는 카드, 명함,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카드 수납부(270)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갑에 별도로 소지하던 카드 등의 물건을 카드 수납부(270)에 수용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수납부(270)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족의 사진을 카드 수납부(270)에 넣고 다닐 수 있으며, 카드 수납부(270)에 수납된 카드의 종류가 무엇인지 외부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지지부(280)는 몸체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영화, 텔레비전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부(28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또는 위치로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80)의 일 단부는 몸체부(220)와 힌지 결합되며, 지지부(280)의 반대 단부는 몸체부(2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28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몸체부(220)의 일 영역에 지지부(280)를 수용할 수 있어,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 및 휴대폰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액세서리(200)는 몸체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이어캡을 포함하는 액세서리(200)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는 코인셀(coin cell)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코인셀 배터리는 1차 전지 및 2차 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코인셀 배터리는 리튬이온 전지 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는 실리콘, 플라스틱, 고무 및 가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 및 충격 흡수가 뛰어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200)는,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211)를 포함하는 이어캡(210), 몸체부(220), 이어폰 결합부(230) 및 이어폰 연결 버튼부(250)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320)는 휴대폰(P)의 배면과 적어도 일 영역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어캡의 접속단자는 휴대폰의 외부 포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이 휴대폰(P)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폰(P)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320)와 휴대폰(P) 배면과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몸체부(320)와 휴대폰(P) 배면이 닿는 면에 접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는 몸체부(320) 및 휴대폰(P) 배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320)는 휴대폰(P)의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와 같이, 몸체부(P)가 휴대폰(P)의 배면 및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몸체부(320)의 정면은 개방되어 휴대폰(P)이 몸체부(320)로부터 탈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320)의 배면 및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천공홈(미도시)을 구비하여 휴대폰에 카메라, 플래쉬 및 기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110 이어캡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조명 버튼부
150 이어폰 연결 버튼부 210 이어캡
211 접속단자 212 조명부
213 발광체 220 몸체부
230 이어폰 결합부 240 조명 버튼부
250 이어폰 연결 버튼부 260 이어폰 수납부
261 이어폰 거치부 270 카드 수납부
280 지지부

Claims (12)

  1.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어캡;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통해 소정의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이어캡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이어폰 결합부; 및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이어캡의 접속단자에 결합된 휴대폰 사이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색상을 형성하는 발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빛을 제공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점등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된 점등 신호에 따라, 상기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통해 소정의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수평면과 수평각을 이루며 회전 이동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작동 시작, 작동 중지, 색상 선택 및 점등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명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7. 휴대폰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이어캡;
    상기 이어캡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배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이어폰 결합부; 및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이어캡의 접속단자에 결합된 휴대폰 사이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이어폰 연결 버튼부를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8.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어폰의 줄을 수용하는 이어폰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일 영역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 수납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이어폰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는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의 반대 단부는 상기 몸체부와 탈착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12.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카드, 명함,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카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KR1020140159133A 2014-11-14 2014-11-14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KR10160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33A KR101608973B1 (ko) 2014-11-14 2014-11-14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33A KR101608973B1 (ko) 2014-11-14 2014-11-14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973B1 true KR101608973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133A KR101608973B1 (ko) 2014-11-14 2014-11-14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52B1 (ko) 2011-04-14 2012-07-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52B1 (ko) 2011-04-14 2012-07-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713B2 (en) Mobile phone ha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entertainment system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US831159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US9112958B2 (en) Wireless headset and battery status indication method thereof
US20080226112A1 (en) Structure of cordless earphones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2005286604A (ja) 組合せ又は分離して使用する手持ち携帯通信装置
KR20180033185A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CN101385247A (zh) 可配置成连接到辅助模块的移动通信单元
KR101185190B1 (ko) 휴대폰 케이스
US11606852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lamp and remote device plus light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KR101608973B1 (ko) 이어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US20110292277A1 (en) External photoflash assembly for mobile phone
US692645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ight accessory port
KR101699456B1 (ko) 다기능 배열 램프 시스템
KR20160121260A (ko) 블루투스 및 무선통화 기능을 가진 멀티 무드등
KR101798177B1 (ko) Foled를 이용한 웨어러블 방식의 플랫폼 시스템
KR100635352B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KR101989705B1 (ko)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TWI422210B (zh) 行動通訊裝置
JP3215145U (ja) 無線インターホン機能付き緊急照明灯
JP3133161U (ja) 車両用マルチメディアコードレス伝送受信装置
KR200392048Y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KR200296695Y1 (ko) 점등기능을 갖는 핸드폰
JP2014039196A (ja) 着信表示システム及び着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