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81B1 -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 Google Patents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81B1
KR101608881B1 KR1020150050296A KR20150050296A KR101608881B1 KR 101608881 B1 KR101608881 B1 KR 101608881B1 KR 1020150050296 A KR1020150050296 A KR 1020150050296A KR 20150050296 A KR20150050296 A KR 20150050296A KR 101608881 B1 KR101608881 B1 KR 10160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ire
gasket
defl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진
김환일
강병창
박우순
이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Priority to KR102015005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열에 의한 퓨즈 용융으로 배수구를 개방하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열에 의한 퓨즈의 용융으로 발란서 하강시 홀더와 몸체의 지지턱 사이의 경사부에 의해 지지링이 내측으로 원활히 오므라지면서 배수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방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하고, 또한 퓨즈의 완전 용융에 의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의 누수를 방지함으로 인해 퓨즈가 용융되지 않고 식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작동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SPRINGCOOLER OF FUZE TYPE}
본 발명은 화재 열에 의한 퓨즈 용융으로 배수구를 개방하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재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수구를 개방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함은 물론 퓨즈의 완전 용융에 의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는 소화설비의 일종으로 건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여 초기 화재 진화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시 화재 열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여 소화수를 자동 분사하므로 초기 화재를 진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내측에 지지턱을 돌출 형성하는 몸체 상부에 중앙으로 배수구를 갖는 연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는 열 감지부 및 내부에는 디플렉터를 설치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 감지부는 감열판 상측에 설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에 용융되는 퓨즈와, 상기 퓨즈 상부에 설치되어 퓨즈 용융시 하강 이동하는 발란서와, 상기 발란서 상부에 설치되되 감열판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몸체의 지지턱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링을 구성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내통과 내통 중앙에 연결구의 배수구를 가스켓으로 기밀 차단하는 플렌저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시 화재 열에 의해 열 감지부의 퓨즈가 융용되어 발란서가 하강하면서 몸체의 지지턱과 열 감지부의 홀더 사이로 설치된 지지링이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열 감지부 전체가 몸체에서 분리되고, 이로 인해 열 감지부에 지지되어 있던 디플렉터가 하강하여 디플렉터의 플렌저가 연결구의 배수구의 기밀 차단 상태를 해제하면서 연결구의 배수구를 개방하여 소화수를 디플렉터를 통해 분사하여 소화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스프링쿨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열 감지부의 지지링이 설치되는 몸체의 지지턱과 홀더가 직각 형태로 맞물려 있어 퓨즈 용융에 따른 발란서의 하강시 지지링이 내측으로 원활히 오므라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지지링은 일측이 절개되어 벌려진 상태로 몸체의 지지턱과 홀더 사이로 설치되어 퓨즈 용융에 따른 발란서의 하강시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열감지부가 몸체서 이탈되어 소화 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링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해 배수구 개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지 못하므로 초기 화재 진압에 실패할 우려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디플렉터의 플런저 상부가 가스켓에 의해 연결수의 배수구 하부를 기밀 차단한 상태에서 열 감지부의 화재 열 감지로 퓨즈가 용융되어 열 감지부와 함께 디플렉터가 서서히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퓨즈가 완전 용융되기 전 까지는 소화 작동을 개시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퓨즈가 용융되기 시작할 때 열 감지부와 함께 디플렉터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플런저 상부가 가스켓에 의해 연결수의 배수구를 기밀 유지하지 못하고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누수에 의해 퓨즈가 용융되지 않고 식혀져 초기 화재 진압에 실패할 우려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몸체 하부 및 내부에 조립된 열 감지부, 디플렉터가 외부 충격, 즉 수평이나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내부 부품의 조립 위치 변동을 유발하고, 이와 같이 몸체 내부 부품의 조립 위치 변동으로 인해 장치가 오 작동할 수 있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50559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1547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수구를 개방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함은 물론 퓨즈의 완전 용융에 의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구조로 내부 부품의 위치 변동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 내측에 지지턱을 돌출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수구를 갖는 연결구와;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되 감열판 상측에 설치되어 화재 열에 용융되는 퓨즈와, 상기 퓨즈 상부에 설치되는 발란서와, 상기 발란서 상부에 설치되어 감열판에 고정 결합된 홀더 및, 상기 홀더와 몸체의 지지턱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링을 갖는 열 감지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과 내통 중앙에 연결구의 배수구를 가스켓으로 기밀 차단하는 플렌저을 갖는 디플렉터로 구성하여 화재시 열 감지부의 감지 작동에 의해 디플렉터의 내통이 몸체의 지지턱에 지지 되도록 하강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소화수를 분사함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부는 홀더의 하부 외측과 몸체의 지지턱 상부 외측에 지지링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경사부를 대응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플렌저 상부에 형성된 가이더를 연결구의 배구수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하고, 상기 가이더 상부의 단차 공간부에 삽입되는 가스켓을 상부 고정 너트로 지지 설치하되, 상기 가스켓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단면 구조로 설치하여 가이더가 가이드홈에서 하강 이동시 기밀 유지하여 화재로 인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가스켓은 외측에 가이드홈의 내벽면에 탄발 밀착하도록 휨 변형이 가능한 날개부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 너트는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로 형성하여 가스켓 상부를 경사지게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몸체 하단 내측에 단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발란서 상부 외측에 상기 단차홈에 삽입 지지되는 단차돌기를 형성한 제1 충격 흡수부와, 상기 디플렉터의 플렌저 상부 외측에 연결구의 가이드홈 하단에 지지되는 단차 돌기를 형성한 제2 충격 흡수부를 마련하여 수평이나 수직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 부품의 위치 변동에 따른 오 작동을 방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 열에 의한 퓨즈의 용융으로 발란서 하강시 홀더와 몸체의 지지턱 사이의 경사부에 의해 지지링이 내측으로 원활히 오므라지면서 배수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방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하고, 또한 퓨즈의 완전 용융에 의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의 누수를 방지함으로 인해 퓨즈가 용융되지 않고 식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작동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평이나 수직 방향의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 작동으로 내부 부품의 조립 위치가 변동되지 않아 오작동을 방지하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링쿨러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열 감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디플렉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제1,2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열 감지부(20), 디플렉터(30) 및 연결구(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 디플렉터(30) 하강시 디플렉터(30)가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12)을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상부에는 중앙에 배수구(41)를 갖는 연결구(4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열 감지부(20)는 상기 몸체(10) 하부에 설치되되, 감열판(21) 상측에 설치되어 소정 온도의 열에 용융되는 퓨즈(22)와, 상기 퓨즈 상부에 설치되어 퓨즈 용융시 하강 이동하는 발란서(25)와, 상기 발란서(25) 상부에 설치되되 감열판(21)에 고정 결합되는 홀더(24) 및, 상기 홀더(24)와 몸체의 지지턱(12)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링(26)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홀더(24)의 하부 외측과 몸체의 지지턱(12) 상부 외측에 지지링(26)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경사부(24a)(12a)를 대응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24a)는 35~38°로 형성하고, 상기 발란서(25)의 외측 상부에도 지지링(26)을 경사 지지하는 경사부(25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플렉터(30)는 상단 외측에 몸체의 지지턱(12)에 걸림되는 걸림턱(31a)을 갖는 내통(31)과, 상기 내통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플렌저(35)로 구성된다.
상기 플렌저(35) 상부에 형성된 가이더(36)를 연결구(40)의 배구수(41)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42)에 삽입하고, 상기 가이더(36) 상부의 단차 공간부(36a)에 삽입되는 가스켓(50)을 상부 고정 너트(37)로 지지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스켓(5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단면 구조로 설치하여 가이더(36)가 가이드홈(42)에서 하강 이동시 기밀 유지하여 화재로 인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켓(50)의 외측에는 가이드홈(42)의 내벽면에 탄발 밀착하도록 두께가 얇아 휨 변형이 가능한 날개부(52)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너트(37)는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37a)로 형성하여 가스켓(50) 상부를 경사지게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된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 하단 내측에 단차홈(61)을 형성하고, 상기 발란서(25) 상부 외측에 상기 단차홈(61)에 삽입 지지되는 단차돌기(62)를 형성한 제1 충격 흡수부(60)와,
상기 디플렉터의 플렌저 상부 외측에 연결구(40)의 가이드홈(42) 하단에 지지되는 단차 돌기(72)를 형성한 제2 충격 흡수부(70)를 마련하여 수평이나 수직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 부품의 위치 변동에 따른 오 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열 감지부(20)에서 열 감지 작동하게 되는데, 화재 열에 의해 퓨즈(22)가 용융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퓨즈(22)가 용융되기 시작하면, 퓨즈 상부에 위치하는 발란서(25)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발란서(25) 상부에 위치하는 홀더(24)와 몸체(10)이 지지턱(1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링(26)이 벌려진 상태에서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홀더(24)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특히, 상기 홀더(24)의 하부 외측과 몸체의 지지턱(12) 상부 외측에 경사부(24a)(12a)을 대응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열에 의한 퓨즈(22)의 용융 시작에 의한 발란서 하강시 지지링(26)이 홀더(24)와 지지턱(12)의 경사부(24a)(12a)에 미끄럼 안내되어 내측으로 원활히 오므라지게 되는 것이다.
즉, 화재 발생시 열 감지부(20)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 하부의 열 감지부(20)과 화재 열 감지와 함께 하강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 내부의 디플렉터(30)도 연결구(40) 하부에서 서서히 하강 이동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디플렉터의 플렌저(35) 상부에 형성된 가이더(36)가 연결구(40) 하부의 가이드홈(42)을 따라 하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기 가이더(36) 상부의 단차 공간부(36a)에 삽입되어 상부 고정 너트(37)로 지지되어 있는 가스켓(5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단면 구조로 설치되어 가이더(36)가 가이드홈(42)에서 하강 이동시 기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스켓(50)은 외측에 가이드홈(42)의 내벽면에 탄발 밀착하는 날개부(52)가 가스켓의 하강 작동시 도록 휨 변형되면서 기밀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함은 물론 상기 고정 너트(37) 하부면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37a)로 형성하여 가스켓(50) 상부를 경사지게 밀착 지지하므로서 가이더(36)가 가이드홈(42)에서 하강 이동시 기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재로 인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상기 연결구(40)의 배수구(41)를 통한 누수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누수로 인한 열 감지부의 퓨즈(22)가 용융되지 않고 식혀져 오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화재 열에 의해 열 감지부의 퓨즈(22)가 완전 용융되어 몸체(10) 하부에서 열 감지부(20)가 분리되므로 소화 작동이 개시되면, 몸체 내부 디플렉터의 내통(31)이 하강하여 걸림턱(31a)이 몸체 내부의 지지턱(12)에 걸려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구(40)의 배수구(41)가 완전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구(41)가 개방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소화전에서 공급되는 소화수가 디플렉터(40)를 통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열에 의한 퓨즈의 용융으로 발란서 하강시 홀더와 몸체의 지지턱 사이의 경사부에 의해 지지링이 내측으로 원활히 오므라지면서 배수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방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하고, 또한 퓨즈의 완전 용융에 의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의 누수를 방지함으로 인해 퓨즈가 용융되지 않고 식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초기 화재 진압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 하단 내측에 단차홈(61)으로 발란서(25) 상부 외측의 단차 돌기(62)를 삽입 지지하는 제1 충격 흡수부(60)와, 상기 디플렉터의 플렌저(35) 상부 외측에 연결구(40)의 가이드홈(42) 하단에 단차 돌기(72)로 지지하는 제2 충격 흡수부(70)를 형성하여서 장치의 수평이나 수직 방향의 충격을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1,2 충격 흡수부(60)(70)에서 흡수하여 몸체 내부의 각종 부품의 조립 위치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조립 견고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장치의 오 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몸체 12: 지지턱
12a,24a,25a,37a: 경사부 20: 열 감지부
21: 감열판 22: 퓨즈
24: 홀더 25: 발란서
26: 지지링 30: 디플렉터
31: 내통 35: 플렌저
36: 가이더 36a: 단차 공간부
37: 고정 너트 40: 연결구
41: 배수구 42: 가이드홈
50: 가스켓 52: 날개부
60: 제1 충격 흡수부 61: 단차홈
62,72: 단차돌기 70: 제2 충격 흡수부

Claims (3)

  1. 하부 내측에 지지턱(12)을 돌출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수구(41)를 갖는 연결구(40)와; 상기 몸체(10) 하부에 설치되되 감열판(21) 상측에 설치되어 화재 열에 용융되는 퓨즈(22)와, 상기 퓨즈 상부에 설치되는 발란서(25)와, 상기 발란서(25) 상부에 설치되어 감열판(21)에 고정 결합된 홀더(24) 및, 상기 홀더(24)와 몸체의 지지턱(12) 사이로 설치되는 지지링(26)을 갖는 열 감지부(2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31)과 내통 중앙에 연결구의 배수구(41)를 가스켓으로 기밀 차단하는 플렌저(35)을 갖는 디플렉터(30)로 구성하여 화재시 열 감지부의 감지 작동에 의해 디플렉터의 내통(31)이 몸체의 지지턱(12)에 지지 되도록 하강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여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쿨러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부(20)는 홀더(24)의 하부 외측과 몸체의 지지턱(12) 상부 외측에 지지링(26)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경사부(24a)(12a)를 대응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디플렉터(30)는 플렌저(35) 상부에 형성된 가이더(36)를 연결구(40)의 배구수(41)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42)에 삽입하고, 상기 가이더(36) 상부의 단차 공간부(36a)에 삽입되는 가스켓(50)을 상부 고정 너트(37)로 지지 설치하되, 상기 가스켓(5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단면 구조로 설치하여 가이더(36)가 가이드홈(42)에서 하강 이동시 기밀 유지하여 화재로 인한 소화 작동 개시 전까지 소화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50)은 외측에 가이드홈(42)의 내벽면에 탄발 밀착하도록 휨 변형이 가능한 날개부(5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너트(37)는 하부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37a)를 형성하여 가스켓(50) 상부를 경사지게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10) 하단 내측에 단차홈(61)을 형성하고, 상기 발란서(25) 상부 외측에 상기 단차홈(61)에 삽입 지지되는 단차돌기(62)를 형성한 제1 충격 흡수부(60)와, 상기 디플렉터의 플렌저(35) 상부 외측에 연결구(40)의 가이드홈(42) 하단에 지지되는 단차 돌기(72)를 형성한 제2 충격 흡수부(70)를 마련하여 수평이나 수직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 부품의 위치 변동에 따른 오 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0296A 2015-04-09 2015-04-09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KR10160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96A KR101608881B1 (ko) 2015-04-09 2015-04-09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96A KR101608881B1 (ko) 2015-04-09 2015-04-09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881B1 true KR101608881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296A KR101608881B1 (ko) 2015-04-09 2015-04-09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301B1 (ko) 2017-07-10 2017-12-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KR20200106362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파라텍 과조임 방지구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009A (ja) 1999-05-13 2000-11-21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9240534A (ja) * 2008-03-31 2009-10-22 Itachibori Mfg Co Ltd 止水用環状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4144153A (ja) * 2013-01-29 2014-08-14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448381B1 (ko) 2013-03-27 2014-10-08 박영선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009A (ja) 1999-05-13 2000-11-21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9240534A (ja) * 2008-03-31 2009-10-22 Itachibori Mfg Co Ltd 止水用環状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4144153A (ja) * 2013-01-29 2014-08-14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448381B1 (ko) 2013-03-27 2014-10-08 박영선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301B1 (ko) 2017-07-10 2017-12-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KR20200106362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파라텍 과조임 방지구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KR102168196B1 (ko) * 2019-03-04 2020-10-21 주식회사 파라텍 과조임 방지구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78B1 (ko)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608881B1 (ko) 퓨즈 타입 스프링쿨러
KR10191495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CN107994181A (zh) 一种动力电池平衡防爆装置
CN105546169A (zh) 防水透气阀
CN108635715A (zh) 一种消防密封洒水头
KR20160009199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0809627B1 (ko) 플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CN208297128U (zh) 一种视频观察窗
CN205298645U (zh) 防水透气阀
JP4906820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点検方法
KR20190113118A (ko) 주방용 소화기
US8448714B2 (en) Fuse type sprinkler
KR102192285B1 (ko) 휴즈 용융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130044993A (ko) 건물 환기 덕트의 자동 방화 댐퍼
JP2009112484A (ja) 放水継手
JP2008264039A (ja) 閉鎖型消火ヘッド
CN105066064B (zh) 带自动抽风散热机构的路灯控制器定位装置
CN107666119A (zh) 一种带有灭火功能的配电柜柜门结构
JP5959318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20120021588A (ko) 스프링클러 헤드
JP518352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この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に使用されるスプリンクラヘッド
CN209067891U (zh) 一种易熔合金式低泄高封安全阀
KR101903488B1 (ko)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JP4980279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