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272B1 -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272B1
KR101608272B1 KR1020140024759A KR20140024759A KR101608272B1 KR 101608272 B1 KR101608272 B1 KR 101608272B1 KR 1020140024759 A KR1020140024759 A KR 1020140024759A KR 20140024759 A KR20140024759 A KR 20140024759A KR 101608272 B1 KR101608272 B1 KR 10160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fermented
strain
microorganism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183A (ko
Inventor
마승진
박수현
천길용
손영란
정재천
고기봉
윤하얀
양사랑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0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0Penicill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 균주, 구체적으로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차에 기능성 특히,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 균주, 상기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및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biocatalyst) 및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차나무 잎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는 기존 보고된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미생물과 비교하여,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는 다양한 기능성, 구체적으로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이 개선되므로, 품질이 우수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A STRAIN OF PENICILLIUM CITRINUM FROM FERMENTED TEA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는 커피, 코코아와 함께 동백나무과의 차나무(Camellia senensis)의 잎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대표적인 비알콜성 음료로 품종, 제법, 형상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구분되나, 일반적으로 상기 차류는 제조공정 중의 발효 정도에 따라 주로 녹차로 대표되는 비발효차, 우롱차로 대표되는 반발효차 및 홍차로 대표되는 완전발효차의 3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완전발효차는 차잎을 85%이상 발효시켜 만든 차 또는 찻잎 중의 폴리페놀 성분이 85% 이상이 되도록 발효시켜 만든 차를 의미하고, 상기 반발효차는 차잎을 10% 내지 65% 발효시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으로 음용되어져 왔고, 과거에는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에서 주로 음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전세계에서 폭넓게 음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차에서 쓴맛을 내는 성분인 카페인과 사포닌, 쓴맛과 떫은맛을 내는 성분인 폴리페놀이나 카테킨 등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다이어트, 미용, 생활습관과 관련된 성인병 등을 포함한 생활습관병의 예방 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에 함유된 상기와 같은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다. 일 예로, 녹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항암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효과, 혈압강하 효과, 혈당저하 효과,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 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차의 기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차의 효능 및 기능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차 시장의 규모와 녹차를 포함한 차의 소비 인구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국내 차 재배면적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일 예로, 1985년에는 449 ha이던 차 재배면적이, 2000년에는 1530 ha로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3800 ha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재배면적의 증가에 따라, 국내 차 생산량도 1985년에는 116 톤이던 것이, 1995년에는 699 톤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에는 1,434 톤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는 3,888 톤으로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면서, 풍미가 풍부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차에 대한 요구도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풍미가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1등급 차나 2등급 차에 비하여, 향기는 약한 반면 쓴맛이 강하여 풍미가 떨어지는 가을이나 겨울에 생산되는 추동차인 3등급 차나 4등급 차의 경우 수요가 제한되고 있다.
또한, 차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차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차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문제, 구체적으로 녹차 제품 재고의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추동차나 녹차 제품 재고의 경우에는 풍미가 떨어지므로 가격이 현저하게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가격 하락으로 인해 국내 녹차 사업 및 차 재배 농가는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풍미가 떨어지는 가을이나 겨울에 생산되는 추동차나 차의 공급과잉에 의한 재고 차의 향기 증진을 통하여 풍미를 개선하고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기존 차 잎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발효차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발효차의 대표적인 예로 우롱차, 홍차 등이 있으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는 보이차(pure tea)와 같은 미생물 발효차가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는 흑차 또는 후발효차라고 불리며, 찻잎에 포함된 효소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시킨 차를 의미한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는 약 300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사천, 운남, 호남, 귀주지역에서 주로 생산되어 북쪽 변방지역 티벳, 몽골 등지에서 소비되었으며, 현재 티베트, 서장, 신강 등 육식을 위주로 하는 소수민족에게는 필수식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중국 청나라 황실에서는 흑차의 생산 공장을 세우고 해마다 조정에 공차를 바치도록 하였으며, 외국사절에게 국가 선물로도 사용되면서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높여갔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은 채취한 찻잎에 열을 가해 찻잎에 포함된 효소를 불활성화(살청)시키고, 적당히 비빈(유념) 후, 건조하여 발효차의 원료(모차)를 만든 후,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공정은 원료인 모차를 발효하는 방법에 따라 건창발효법과 습창발효법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건창발효법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발효공정으로 모차를 습도가 낮은 곳에 자연적으로 장시간 보관하면서 발효가 천천히 진행되도록 발효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습창발효법은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1973년 운남성의 국영 차공장에서 발효차의 제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으로 모차를 발효시키는 방법이다. 현재 대부분의 미생물 발효차는 제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습창발효로 생산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습창발효법은 보통 약 10톤(ton) 정도의 모차를 쌓아놓고, 물을 적당히 뿌린 후 물에 적신 천으로 덮는 악퇴 또는 퇴적과정과 발효가 진행되면서 내부 온도가 60℃ 이상이 되면 쌓아놓은 찻더미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섞어서 발효 온도를 내려주고 통기를 시키는 번퇴 또는 뒤집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1개월 내지 3개월 동안 발효시킨 후, 수분함량이 10% 내지 15%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재래식 자연발효법인 건창발효법에 비하여 상기 습창발효법은 발효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효 온도와 습도를 조절(control) 하기 어렵고, 현재에는 상기 발효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기술자의 감각에 의하여 조절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 톤(ton) 이상의 대량의 모차를 한꺼번에 쌓아서 발효를 진행하기 때문에 품질 균일화를 이루기 어렵고, 소단위의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중국의 보이차를 비롯한 대부분의 미생물 발효차는 대엽종 찻잎(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을 원료로 제조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차나무는 거의 대부분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차나무인 소엽종의 찻잎에 적합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 미생물 발효차에 대해 기능성을 부여하는 등 미생물 발효차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또는 이를 위한 미생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KR 2010-0122296 A KR 0996463 B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되고, 미생물 발효차에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는 생촉매(biocatalyst)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미생물을 제공한다. 상기 신규한 미생물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는 차나무 잎을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차, 상세하게는 상기 발효차의 추출물에 기능성 특히,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을 부여할 수 있는 균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규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는 차나무 잎을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차 또는 상기 발효차의 추출물이 상기 차나무 잎 또는 상기 차나무 잎의 추출물에 비하여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균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Penicillium citrinum), 상기 균주의 배양액 및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biocatalyst)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차나무 잎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일대에 자생하는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의 차나무 잎으로 제조된 모차를 발효시켜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한 신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 균주로 미생물 발효차를 제조하는 경우, 동일 종의 다른 균주(strain)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이 부여된다는 실험결과로부터,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 등을 이용하여 발효차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발효차의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나무(tea plant)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또는 상록활엽관목으로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다.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에 해당하는 산악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열대지방, 아열대지방 및 온대지방에 자생하며, 현재에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 동남아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크게 다르다.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약 2 m 내지 약 3 m 정도까지 자라는 관목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약 15 m 내지 약 30 m에 달하는 교목이다. 우리나라 특히, 지리산에 자라는 야생종은 주로 소엽종이고, 재배차의 경우에는 주로 상기 소엽종을 개량한 일본산 야부키타종이 재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tea)는 차나무의 잎 또는 차나무 잎을 가공하여, 음료로 가공하기 위해 준비된 형태 즉, 물에 첨가되어 음료로 가공될 수 있는 상태로 가공된 것 또는 음료로 가공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차는 전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음료로서 커피나 코코아 또는 기타 음료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음용량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차음료란 차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료를 의미하며, 일 예로 열수 추출물과 같이 차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거나, 차를 차가운 물로 우려내어 만든 음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차(fermented tea)는 찻잎을 발효시켜 만든 것 또는 상기 찻잎을 발효시켜 만든 것을 물로 우려낸 음료를 의미하고, 미생물 발효차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발효차에는 우롱차(청차)로 대표되는 반발효차와 홍차와 보이차(흑차)가 포함되는 완전발효차가 있다. 상기 반발효차는 찻잎의 발효도가 10% 내지 65% 되도록 발효시켜 만든 차로 청록색 또는 그보다 진한 색을 띠고, 상기 완전발효차는 찻잎을 발효도가 85%이상 되도록 발효시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상기 발효차는 차 잎을 수집하는 채엽과정; 차 잎을 정치하거나 햇볕에 쪼여 찻잎을 시들게 한 후, 잎에 유연함을 부여시키는 위조과정; 찻잎을 주무르고 비비는 유념과정; 발효과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는 현재 포함한 수증기량과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포화수증기량)의 비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촉매(biocatalyst)란 여러 가지 화학반응 또는 생화학반응에서 촉매의 역할을 하는 미생물 또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화학반응 또는 생화학반응을 촉매하는 미생물, 미생물 배양액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culture medium)란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거나,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주성분 외에 추가적인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배양배지, 배양기 또는 배양액이라고도 한다. 상기 배지는 천연배지, 합성배지 또는 선택배지가 있고, 성상에 따라 고체배지 또는 액체배지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함량이란 측정대상 물질 일 예로, 식품이나 토양을 105℃에서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시킬 때 손실되는 수분의 양을 의미하며, 측정대상물질 단위 무게당 수분의 무게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일 수 있다.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구체적으로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는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균주로, 상기 균주를 차나무 잎에 접종하고 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차나무가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에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을 부여, 증가 또는 강화할 수 있는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를 탐색한 과정은 발효 단계별로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멸균된 희석액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 희석액으로부터 분리된 다른 미생물과 비교하여 기능성, 구체적으로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의 부여, 증가 또는 강화 효과가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의 탐색과정을 통하여, 미생물 발효차 제조를 위해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된 미생물 중에서 기능성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선별된 091 균주는 동정 결과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상기 선별된 균주의 18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본 발명의 선별된 091 균주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Penicillium citrinum)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되어, 상기 균주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로 명명하였다.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에 2011년 11월 30일자로 기탁되어, 2011년 12월 21일 기탁번호 KACC 93132P를 부여받았다.
상기 기탁번호 KACC 93132P를 부여받은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KACC 93132P)는 통상의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는 차나무 잎 또는 차나무 잎을 가공하여 제조된 모차를 발효시켜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의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의 최적 배양 습도조건은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의 조건일 수 있으며, 배양 온도조건은 20℃ 내지 50℃ 또는 25℃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biocatalyst)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는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Penicillium citrinum 091, KACC 93132P), 상기 균주의 배양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물이란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를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배지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가 포함되어 있는 배양배지일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물이란 액상의 배양배지에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을 배양한 후, 얻어진 배양배지일 수 있으나, 상기 배양물의 성상이 액체 또는 고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배지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한 통상의 배지일 수 있으며, 탄소원, 일 예로 감자 전분(potato starch), 덱스트로스(dextros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이란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농축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은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를 배양한 액상의 배양배지를 통상의 방법으로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으나, 상기 배양물의 성상이 액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촉매는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균주를 배지에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배지에서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KACC 93132P)을 배양하는 단계는 균주의 배양 효율이란 측면에서,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의 상대습도 조건 또는 20℃ 내지 50℃ 또는 25℃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은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거나 우리나라 식생하는 차나무인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차나무 잎은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의 차나무 잎일 수 있다.
상기 모차는 발효차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상기 차나무 잎에 열을 가해 찻잎에 포함된 효소를 불활성화(살청)시키고, 유념한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차는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 sinensis)의 차나무로부터 차 잎을 수집하는 채엽단계; 상기 채엽한 차 잎을 열 처리하여 차 잎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살청단계; 상기 열 처리한 차 잎을 주무르고 비비는 유념단계 및 상기 주무르고 비빈 차 잎을 건조시키는 모차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살청단계는 채엽한 차 잎의 효소를 불활성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며, 채엽한 차 잎에 열을 가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을 가하는 방법은 일 예로, 상기 채엽한 차 잎을 덖거나 볶는 방법으로 수행하거나, 태양열과 같은 자연력을 이용하여 말리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덖는 방법으로 수행할 있다.
상기 유념단계는 상기 살청한 차 잎을 손으로 주무르거나 비벼서 차 잎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발효차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차는 모차의 수분함량을 모차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모차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상기 모차 제조단계는 상기 모차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과정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차 수분함량 조절 과정은 상기 제조된 모차에 수분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물을 뿌리거나 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분함량은 모차 내의 수분의 량이 모차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 또는 42 중량% 내지 4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은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60% 또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의 상대습도 조건 또는 20℃ 내지 50℃ 또는 25℃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분함량을 조절한 모차를 20℃ 내지 50℃ 또는 25℃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효기간은 10일 내지 100일 또는 15일 내지 75일 또는 20일 내지 50일 또는 30일 내지 40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면서 즉, 항온 및 항습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습도는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40% 이상, 구체적으로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발효기간 동안 3일 내지 7일 또는 4일 내지 6일 또는 5일 간격으로 모차를 뒤집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발효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발효기간 동안 3일 내지 7일 또는 4일 내지 6일 또는 5 간격으로 모차를 뒤집는 과정보다 구체적으로, 5일 간격으로 총 7회 모차를 뒤집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는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른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차에 비하여, 항당뇨 활성, 구체적으로 췌장 베타 세포의 보호 효과와 항비만 효과, 구체적으로 지방전구세포(3T3-L1)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 및 지방간 억제 효과, 구체적으로 간세포의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하고 발효시켜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은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용매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용매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또는 비만일 수 있으며, 상기 당뇨병은 1형 당뇨병 또는 2형 당뇨병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및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생촉매를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하고 발효시켜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은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용매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용매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지방간이란 간 세포 속에 지방이 축전된 상태, 구체적으로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 일 예로 5%, 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과음에 의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약물 섭취 등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성 간염, 만성 감염 또는 강경변으로 발전될 수 있으며,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 대사의 이상을 초래하는 전신 질환, 구체적으로 대사성 질환과 동반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및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는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다른 균주와 달리 미생물 발효차의 여러 기능성, 구체적으로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예방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미생물 발효차의 품질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산업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091 균주의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091 균주의 18S rDNA의 염기서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의 항당뇨 활성을 췌장세포의 보호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도 3a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 발효차의 췌장세포의 보호능을 확인한 그래프이고, 도 3b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에 의한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 발효차의 췌장세포의 보호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며, 상기 그래프에 있어서, control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을 의미하고, control 옆의 두 번째 그래프는 팔미틱산(palmitic acid)을 첨가하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의미하며, none은 팔미틱산(palmitic acid)을 첨가하고, 발효되지 않은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비교군을 의미하고, 도 3a에 있어서, Penicillium C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051, 091, 151 및 121은 발효차 제조 균주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종류를 나타내는 명명법을 의미하고, 도 3b에 있어서, PC091은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1, 3 및 5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모차를 발효시킨 기간 즉,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를 모차에 접종한 후, 각각 1주간, 3주간 및 5주간 발효시킨 발효차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의 항비만 활성을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발현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6월모차는 6월에 제조된 모차의 추출물로 처리한 것을 의미하고, PC091은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세로축은 각각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생물 발효차의 지방간 억제능을 간세포(HepG2)의 보호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구체적으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의 종류 및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 발효차의 지방간 억제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며, 상기 그래프에 있어서, control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을 의미하고, control 옆의 두 번째 그래프는 팔미틱산(palmitic acid)을 첨가하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의미하며, none은 팔미틱산(palmitic acid)을 첨가하고, 발효되지 않은 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비교군을 의미하고, Tea는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PC051, PC091, PC151 및 PC121은 발효차 제조 균주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종류를 나타내는 명명법을 의미하고, 1, 3 및 5는 각각의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로 모차를 발효시킨 기간 즉, 각각의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를 모차에 접종한 후, 각각 1주간, 3주간 및 5주간 발효시킨 발효차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의 동정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일대에 자생하는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 sinensis)의 차나무 잎을 이용 발효시켜 제조한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차나무 잎의 발효를 진행시키면서, 발효를 진행한 찻더미의 상부, 중부 및 하부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채취한 시료 1 g에 멸균수 10 ml를 첨가하고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멸균수를 첨가하여 연속 희석하는 방법으로 10배, 100배 및 1,000배 희석하였다.
상기 발효차로부터 제조된 희석 시료를 이용한 미생물 분리를 위해 분리 배지는 potato dextrose agar 배지(PDA)를 사용하였다. 상기 PDA 배지는 감자 전분(Potato Starch(from infusion)) 4 g/L, 덱스트로스(Dextrose) 20 g/L, 한천(Agar) 17 g/L을 첨가하고 pH를 pH 5.6±0.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PDA 배지에 상기 희석 시료를 도말하고, 28℃에서 4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양배지에 배양된 주요 생육미생물을 각각 계수(counting)한 후, 다수 배양되어 우점종으로 예측되는 주요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주요 미생물은 총 11종으로,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포자 형태를 조사한 결과, 곰팡이로 예상되는 총 9종의 미생물과 효모로 예상되는 총 2종의 효모가 분리되었으며, 상기 분리된 미생물을 각각 명명한 후, 18S rRNA 서열을 통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상기 미생물 각각으로 상기 보성군 일대에 자생하는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의 차나무 잎을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차의 기능성을 확인한 결과,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091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091 균주를 상기 PDA 고체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091 균주의 동정은 18S rDNA 염기서열분석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상기 091 균주의 서열확인은 상기 균주의 배양 균사와 균체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universal primer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수행한 후, 상기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091 균주를 상기 PDA 고체 배지에서 배양을 실시한 후, 상기 배양 균사와 균체에서 Genomic DNA 추출키트(Genomic DNA extraction kit, Qiagen)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상기 Genomic DNA를 이용한 균주의 동정은 (주)솔젠트(solgent, 대한민국)에 의뢰하여, Genomic DNA를 주형(template)로 곰팡이 동정을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머(universal primer, NS1)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한 후, 상기 증폭 산물은 전기영동장치(Wizard SV Gel)와 PCR clean-up system(Promega, USA)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염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주) 솔젠트에 의뢰결과로 결정된 091 균주의 18S rDNA 염기서열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091 균주의 18S r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GenBank에 등록된 정보를 대상으로 NCBI의 Blast program(http://www. ncbi.nlm.nih.gov/BLAST/Blast.cgi)에 의해 상동성 검색을 실시하고, Clustal 프로그램(Clustal X ver. 1.8)을 이용하여 다중염기배열(multiple alignment)을 수행한 후, neighbor-joining method와 bootstrap method(n=1,000)로 분석하여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균주를 동정하였다.
상기 091 균주의 18S rDNA의 염기서열과 Penicillium citrinum FRR 1841의 염기서열은 98%(547/554)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어, 상기 091 균주는 최종적으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으로 동정되었으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로 명명하였다.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PC091)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에 2011년 11월 30일자로 기탁되어, 2011년 12월 21일 기탁번호 KACC 93132P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 2.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기능성 향상 확인
2-1. 미생물 발효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동정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091 KACC 93132P)에 의해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의 효소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과 본 발명자가 동정하여 페니실리움 시트리늄에 속하는 균주로 확인된 균주인 PC051, PC151 및 PC121을 배양하였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우선, 모차 200 g을 레토르트 파우치에 넣고, 실링한 후, 레토르트 멸균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모차에 상기 실시예 1의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와 본 발명자가 동정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에 속하는 균주로 확인된 균주인 PC051, PC151 및 PC121을 각각 접종하고, 상기 접종 후 모차의 수분함량이 45%가 되도록 가수한 후, 35℃의 온도 조건 및 상대습도가 45%인 습도조건을 유지하면서, 5주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과정을 마친 후, 상기 발효과정을 1주, 3주 및 5주 동안 수행한 발효차의 수분함량이 55%가 될 때가지 각각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한 모차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일대에 자생하는 소엽종(C. sinensis var . sinensis) 차나무의 찻잎을 2010년 6월에 채취한 후, 상기 찻잎을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에 위치한 다원에서 통상적인 모차 제조방식 즉, 채엽한 찻잎을 살청, 유념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모차의 수분함량은 상기 모차 자체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부족한 량의 수분을 계산하여 물을 뿌리고 섞어주는 방법으로 수분을 첨가하여 조절하였다.
상기 발효는 발효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가 조절되는 밀폐형 항온상자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가 조절되는 6 L 크기의 밀폐형 항온상자에 상기 수분함량이 조절된 모차 200 g을 넣고, 상기 각각의 균주를 접종시킨 후, 5일에 1회씩 모차 뒤섞기를 수행하면서 발효를 진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4종의 미생물 발효차 시료 및 상기 발효차 제조에 사용된 6월에 채취된 찻잎으로 제조된 모차에 물 또는 95%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용매추출법을 수행하여 각각 용매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물 추출물은 121℃에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95% 에탄올 수용액 용매추출법은 상기 발효차 시료 또는 모차 50 g에 95% 에탄올 수용액을 200 ml를 첨가한 후, 50℃에서 12시간 동안 용매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법으로 제조된 추출액을 감압여과한 후, 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하여, 물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 즉, 9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 미생물 발효차의 항 당뇨 활성 확인 - 베타세포 보호능 확인
항 당뇨 활성은 췌장 베타 세포의 보호능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은 췌장 베타 세포(beta cell)인 HIT-T15 cell(CRL-1777)을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DMEM, Life Technologies, USA)에 배양한 후, 이들 세포들이 70% confluence되었을 때 세포성장을 정지시키기 위해 무혈청 배지에서 이틀을 배양하여 세포의 성장을 동기화 시켜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세포 성장을 동기화시킨 HIT-T15 cell를 96-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1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미생물 발효차 주정 추출물 시료 또는 모차 주정 추출물 시료을 먼저 처리하였다. 상기 미생물 주정 추출물 시료는 발효기간 별로 1주, 3주 및 5주차에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5주간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차 추출물 시료와 모차 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후, 30분 후에 25 Mm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반응 후, well 바닥에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이 흩어지지 않게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00 μL 첨가하여 ELISA reader(Model 680, BioRad, Hercules, CA,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대조구 세포수를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성장 억제율을 구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미트산을 처리한 경우(두 번째 막대, 음성대조군)에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세포가 사멸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수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어, 세포보호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료 투여군에서는 다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의 경우에도 발효를 시키지 아니한 모차 추출물을 투여한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아니한 반면, 본 발명의 균주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 091)로 발효시킨 발효차를 투여한 경우에는 모차 추출물을 투여한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세포수가 증가하여,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정도가 확인되어,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모차를 발효시켜 발효차는 모차 즉, 녹차 잎 추출물이나 다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strain)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차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췌장 베타 세포 보호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차에 비하여 발효기간이 증가될수록 세포 보호능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항당뇨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미생물 발효차의 항 비만 효과 확인
항 비만 효과는 지방세포의 비만 관련 즉, 지방세포의 세포자살(apoptosis)에 의한 세포 사멸 유도능 즉,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발현 정도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TCC로부터 분양받은 인간 지방전세포주인 3T3-L1 섬유아세포(3T3-L1 cell, CL-173)을 10% 우태 혈청(Biofluid, USA)에 25 mM glucose, 3.7 g NaHCO3, 10 mL penicillin (10,000 U/mL) 및 10 mL streptomycin(10,000 μg/mL)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DMEM, Life Technologies, USA)에서 37℃ 및 5% CO2 배양 조건으로 신선 배양액을 2일 또는 3일마다 보충하면서 계대배양하였다. 이후,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를 계대배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착시켜 100% confluence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2일 후에 분화 유도 물질인 0.25 M dexamethasone(Sigma, USA), 0.5 mM 1-methyl-3-isobutylxanthine(Sigma, USA), insulin (10 ug/ml, Sigma, USA)이 함유된 배지에 넣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insulin(1 ug/ml, Sigma, USA)만 포함된 배지를 다시 넣어 2일 동안 배양한 후, 2일에 한번 씩 DMEM을 새로 바꾸어 주어 지방세포로 완전히 전환된 후, 10일이 경과된 시점에, 상기 실시예 2-1 및 실시예2-1의 모차 추출물 시료와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모차를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차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고, 2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자살 유도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량을 웨스턴 블러팅(Western immunoblotting)을 통해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웨스턴 블러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2번씩 세척한 후, 각기 150 ㎕의 lysis buffer(10×PBS, 1% NP-40, 20% SDS, 0.5 M EDTA, 0.01 M PMSF, 10 mg/ml Leupeptin, 1 mg/ml pepstatin A)를 처리하여 균질화시켰다. 상기 균질화된 세포를 튜브(tube)에 옮긴 후, 1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에 저장하였다. Bradford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각각 60 ㎍의 sample들을 8% SDS-PAGE 전기영동을 시킨 후, polyvinylidine difluoride membrane에 이동(transfer)시켰다. 상기 membrane은 5% skim milk에 1시간 동안 차단을 시켰고, 각각의 세포 자살 유도 단백질(cleaved caspase 3, cleaved caspase 9, cleaved caspase PARP, Bax, Bcl-2, CHOP) 및 β-actin에 대한 항체를 1% skim milk에 1,000배 희석하여 4℃에서 18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그 후, membrane을 0.1% Tween-20/ 1×TBS에 10분 간격으로 3번 세척 하였고, 상기 세척한 membrane을 1% skim milk에 5,000배 희석된 horseradish-peroxidase labeled 2차 항체에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3번 세척을 거쳐서 Enhanced Chemiluminoscent(ECL) 시약을 1분간 처리한 다음 X-ray 필름에 30초간 노출시켜 현상하였다. 상기 현상시킨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의 세로축은 세포 자살 유도와 관련된 각 단백질의 이름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시료로 제일 좌측은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가로축의 6월모차는 6월에 채엽한 차로 제조된 모차의 추출물을 의미하며, PC 091은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를 이용하여 1주 동안 발효된 발효차의 추출물 시료를 의미한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actin에 대한 항체로 확인된 β-actin의 발현량은 3개 라인 모두에서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세포 자살 유도 단백질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는 6월 모차 추출물 시료를 투여한 것이 약간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되었고,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를 이용하여 1주 동안 발효된 발효차 추출물 시료를 투여한 경우에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물론 6월 모차 추출물 시료를 투여한 것에 비해서도 현저하게 많은 단백질 발현량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차의 추출물 시료는 지방세포의 세포 자살을 유도하여, 지방세포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2-4. 미생물 발효차의 지방간 개선능 확인 - 간세포 보호능 확인
지방간 개선능은 간세포의 보호능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은 간세포(HepG2, HB-8062)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DMEM, Life Technologies, USA)에 배양한 후, 이들 세포들이 70% confluence되었을 때 세포성장을 정지시키기 위해 무혈청 배지에서 이틀을 배양하여 세포의 성장을 동기화 시켜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세포 성장을 동기화시킨 HIT-T15 cell를 96-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1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미생물 발효차 샘플을 먼저 처리하였다. 상기 미생물 발효차 샘플은 발효기간 별로 1주, 3주 및 5주차에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30분 후에 25 Mm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반응 후, well 바닥에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이 흩어지지 않게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00 μL 첨가하여 ELISA reader(Model 680, BioRad, Hercules, CA,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대조구 세포수를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성장 억제율을 구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미트산을 처리한 경우(두 번째 막대, 음성대조군)에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세포가 사멸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수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어, 세포보호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료 투여군에서는 다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의 경우에도 발효기간 여부에 관련 없이 미생물로 발효시키지 아니한 모차 추출물을 투여한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아니한 반면, 본 발명의 균주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 091)로 발효시킨 발효차를 투여한 경우에는 1주차만 발효한 경우에도, 모차 추출물을 투여한 것은 물론 다른 미생물로 5주 동안 발효시킨 발효차에 비하여 우수한 세포보호능이 확인되어,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모차를 발효시켜 발효차는 모차 즉, 녹차 잎 추출물이나 다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strain)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차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간보호능 즉, 지방간 개선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차에 비하여 발효기간이 증가될수록 세포 보호능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발효기간에 따라 간보호능 즉, 지방간 개선능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3132 20111130

Claims (8)

  1.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로, 상기 균주를 차나무 잎에 접종하고 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차나무 잎에 비하여 차나무가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에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및 지방간 억제능을 증가시키는 기탁번호 KACC 93132P인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091(Penicillium citrinum PC091, KACC 93132P).
  2. 제1항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조성물.
  3. 제2항의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조성물을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
  4. 제2항의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조성물을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하고 발효시켜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또는 비만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성 식품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차 음료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2항의 미생물 발효차 제조용 조성물을 차나무 잎 또는 모차에 첨가하고 발효시켜 발효된 미생물 발효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024759A 2013-02-28 2014-02-28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608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2534 2013-02-28
KR1020130022534 201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83A KR20140108183A (ko) 2014-09-05
KR101608272B1 true KR101608272B1 (ko) 2016-04-01

Family

ID=5175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759A KR101608272B1 (ko) 2013-02-28 2014-02-28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2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171A (ja) 2007-11-29 2009-06-18 Showa Sangyo Co Ltd 抗肥満作用を有する4−カンペステノン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1171A (ja) 2007-11-29 2009-06-18 Showa Sangyo Co Ltd 抗肥満作用を有する4−カンペステノン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83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2299A (zh) 一种金线莲果醋和金线莲果醋饮料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40051543A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CN111838369A (zh) 一种余庆小叶苦丁茶代用茶配方工艺
JP7007644B2 (ja) 乳酸菌、乳酸菌発酵食品、血圧調整剤、及び乳酸菌発酵食品の製造方法
CN104738745B (zh) 一种甘蔗汁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46713B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진 다시마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40034981A (ko) 땅콩새싹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증대 방법 및 땅콩새싹의 레스베라트롤 함유 식품
KR100866118B1 (ko) 증가된 gaba 함유량을 갖는 과일의 제조 방법
KR101608271B1 (ko)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리조푸스 스토로니퍼 균주 및 그의 용도
WO2020146650A1 (en) Food and beverage products comprising ascomycetes
KR20110022280A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608272B1 (ko)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페니실리움 시트리늄 균주 및 그의 용도
CN112048404A (zh) 金莲花沙棘复合麦啤酒及其酿造方法
KR20160075114A (ko) 발효커피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식초의 제조방법
KR101608270B1 (ko) 미생물 발효차로부터 분리된 아스퍼질러스 퓨미가터스 균주 및 그의 용도
KR20160103358A (ko) 와송 당류 추출액을 발효하여 제조한 와송 와인 또는 식초
KR19990046012A (ko) 상황버섯또는신령버섯균사체를이용한차및음료의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CN101467789A (zh) 非酒精饮料的制造方法
KR102169156B1 (ko)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를 이용하여 도라지의 플라티코시드 E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CN105661219B (zh) 一种甜叶菊燕麦胚芽酵素黑木耳饮料及其制备方法
Sintyadewi et al. Analysi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test of kombucha black tea and butterfly pea flower (Clitoria ternatea L.) based on fermentation time
KR102007569B1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686B1 (ko) 항암 및 면역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생산하는 신규한 펠리누스 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