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208B1 -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208B1 KR101608208B1 KR1020140087653A KR20140087653A KR101608208B1 KR 101608208 B1 KR101608208 B1 KR 101608208B1 KR 1020140087653 A KR1020140087653 A KR 1020140087653A KR 20140087653 A KR20140087653 A KR 20140087653A KR 101608208 B1 KR101608208 B1 KR 101608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tch
- photosensitive material
- crack
- mold
- material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74 soft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9 electron-beam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0 nanochan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7 nanoimprint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과정 중 감광물질층의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노치의 너비 길이와, 높이 길이 따른 크랙의 형성 개수의 상관관계가 도시된 것이다.
도 6은 빛 에너지양, 노광 후 베이스 시간 및 현상시간과 크랙의 진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7은 설정 길이만큼의 크랙의 시작, 중간, 끝 위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진이다.
도 8은 현상시간과 크랙의 폭 및 깊이의 상관관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9는 경계면 및 2차 노광 영역에 대한 크랙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사진이다.
113: 제1 포토마스크 113a: 제2 메인패턴
113b: 제1 메인패턴 113c: 노치패턴
131: 감광물질층 133a: 제2 관통홀
133b: 제1 관통홀 133c: 노치
151: 거푸집 153a: 제2 양각돌기
153b: 제1 양각돌기 153c: 노치돌기
155: 균열돌기 170: 블록
171: 베이스 플레이트
173: 미세채널 175a: 제2 마이크로 스페이스
175b: 제1 마이크로 스페이스 175c: 노치홈
Claims (20)
- 감광물질층이 형성된 기재 상에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감광물질층의 깊이 방향을 따라 갈수록 탄성 성질이 점탄성 성질로 변화되는 크로스 링킹 밀도(Cross linking density)에 대한 그래디언트(gradient)를 형성시키면서 노치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치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 감광물질층에서 상기 노치에 의하여 미세채널에 대응되는 크랙이 진행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크로스 링킹 밀도에 대한 그래디언트가 없어지고, 상기 노치에 의하여 미세채널에 대응되는 크랙이 진행되는 것이 허용되는 영역에만 상기 크로스 링킹 밀도에 대한 그래디언트가 남도록 노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 감광물질층을 현상하여, 상기 노치로부터 상기 미세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크랙을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치를 갖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은,
상기 기재 상에 상기 감광물질층을 형성하는 감광물질을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상기 감광물질층 상에 상기 노치를 갖는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1 패턴이 형성된 제1 포토마스크를 배치 후,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1차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노광된 상기 감광물질층을 베이크한 후, 현상액으로 1차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현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감광물질층에서 상기 제1 패턴에 해당하는 영역이 현상액에 녹아 제거되면서 상기 노치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노치가 형성된 상기 감광물질층 상에 크랙이 진행되는 것이 허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 제2 포토마스크가 배치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물질은 빛에 의해 경화되는 네거티브 감광물질인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 감광물질은 SU-8 폴리머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랙을 진행시키는 속도는 상기 1차 노광하는 단계에서 조사되는 상기 빛 에너지의 양으로 조절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랙이 진행되는 길이는 상기 1차 노광하는 단계에서 조사되는 상기 빛 에너지의 양 또는 상기 크랙을 진행시키는 단계에서 현상하는 시간으로 조절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각형 구조를 갖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크랙은,
상기 노치의 일면과, 상기 일면에 이웃하는 상기 노치의 타면이 이루는 각도가 90°이상 150°미만이면 하나 형성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크랙은,
상기 노치의 일면과, 상기 일면에 이웃하는 상기 노치의 타면이 이루는 각도가 0°이상 90°미만이면 두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노치의 각도가 150°이상이면 형성되지 않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너비와 높이를 가지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너비 길이와 상기 높이 길이의 사이의 상대비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의 발생 개수를 조절하는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미세채널용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채널용 몰드의 상면 및 둘레면에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크랙에 채워지는 수지에 의해 상기 크랙에 대응되는 균열돌기가 형성되는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이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의해 제조된 미세채널용 거푸집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수지를 공급하여 경화시킨 후, 상기 거푸집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과 분리시키는 단계에서는,
균열돌기에 의해 상기 미세채널이 형성되는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653A KR101608208B1 (ko) | 2014-07-11 | 2014-07-11 |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653A KR101608208B1 (ko) | 2014-07-11 | 2014-07-11 |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048A KR20160008048A (ko) | 2016-01-21 |
KR101608208B1 true KR101608208B1 (ko) | 2016-04-04 |
Family
ID=5530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7653A Active KR101608208B1 (ko) | 2014-07-11 | 2014-07-11 |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2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8936B1 (ko) * | 2017-04-19 | 2018-07-16 | 울산과학기술원 | 미세채널 제조용 크랙 형성방법 |
KR102202725B1 (ko) * | 2019-06-26 | 2021-01-15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V형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 크랙 기반의 고감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텐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3423A (en) | 1982-05-06 | 1984-06-12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atural crack |
KR101390700B1 (ko) * | 2013-07-15 | 2014-04-30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채널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551B1 (ko) | 2006-01-31 | 2010-07-12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정전기력을 이용한 미세채널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미세구조물 형성방법 |
-
2014
- 2014-07-11 KR KR1020140087653A patent/KR10160820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3423A (en) | 1982-05-06 | 1984-06-12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atural crack |
KR101390700B1 (ko) * | 2013-07-15 | 2014-04-30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채널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박준용 외 1 명. 콘포말 위상 마스크를 이용한 대면적 3차원 나노패터닝.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4권 제5호(2013.10.) pp.517-5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048A (ko) | 2016-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30269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sting polymer products | |
Del Campo et al. | Fabrication approaches for generating complex micro-and nanopatterns on polymeric surfaces | |
JP4580411B2 (ja) | ソフトモー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 |
TW200409353A (en) | A method and a mold to arrange features on a substrate to replicate features having minimal dimensional variability | |
JP5618663B2 (ja) | インプリント用のテンプレート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
JP6603218B2 (ja) | 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 | |
KR101608208B1 (ko) | 미세채널용 몰드의 제조방법, 미세채널용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미세채널이 형성된 블록의 제조방법 | |
KR101390700B1 (ko) | 미세채널 제조방법 | |
KR101555230B1 (ko) |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미세 패턴의 형성 방법 | |
KR101738921B1 (ko) | 패턴의 형성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메타물질 | |
JP6155720B2 (ja) | ナノインプリント用テンプレートのパターン配置方法、及びナノインプリント用テンプレート | |
KR101878936B1 (ko) | 미세채널 제조용 크랙 형성방법 | |
JP5046369B2 (ja) | マイクロ・ナノ微細構造体を有するスタンパーの製造方法 | |
JP7480933B2 (ja) | 流路デバイス | |
Park et al. | Effective formation of hierarchical wavy shapes using weak photopolymerization and gradual thermal curing process | |
US11456403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electronic device having an array of inclined reliefs | |
KR101209479B1 (ko) | 구조체의 형성방법 및 액체토출 헤드의 제조 방법 | |
JP7270350B2 (ja) | 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 | |
Tormen et al. | Three-dimensional micro-and nanostructuring by combination of nanoimprint and x-ray lithography | |
Mi et al. | Fabrication of circular sawtooth gratings using focused UV lithography | |
KR101799560B1 (ko) | 마이크로 표면 주름 제조용 스탬프의 제조 방법 | |
US20240351064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omniphobic surface using capillary force | |
KR102788510B1 (ko) | 압축굽힘을 이용한 소유성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소유성 마이크로구조체 | |
Fujimori | The molded mask method: The origin of nanoimprint lithography | |
JP2011035013A (ja) | ナノインプリント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基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2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