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071B1 - 정보 보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보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071B1
KR101608071B1 KR1020090134123A KR20090134123A KR101608071B1 KR 101608071 B1 KR101608071 B1 KR 101608071B1 KR 1020090134123 A KR1020090134123 A KR 1020090134123A KR 20090134123 A KR20090134123 A KR 20090134123A KR 101608071 B1 KR101608071 B1 KR 10160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d light
phase delay
information
linearly polarize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517A (ko
Inventor
차홍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0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3Digital output to plotter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plotter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 이외에는 인식할 수 없도록 한 정보 보호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이 시간 분할로 주기적으로 주사되고, 제 1 영상프레임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된 셔트안경을 착용하여 제 1 영상프레임의 정보를 인식한다. 즉, 셔트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표시부의 정보가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표시부의 패널을 행 또는 렬 방향으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픽셀군과 노이즈가 표시되는 제 2 픽셀군이 교대하도록 구획한다. 그리고,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 및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을 위상지연판을 이용하여 상이한 특성의 편광으로 변환하고, 제 1 픽셀군과 대응하는 위상지연판의 부위를 통과한 편광과 동기화된 편광안경으로 제 1 픽셀군의 정보를 인식한다. 즉, 편광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표시부의 정보가 보호된다.

Description

정보 보호 표시장치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INFORMAITON}
본 발명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 이외에는 인식할 수 없도록 한 정보 보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란 화면 등과 같은 표시부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표시부의 전면에 광학필름을 부착한다. 그러나, 정보 보호용 광학필름이 부착된 종래의 표시장치는, 표시부를 기준으로 타인이 일정 각도 이상의 외측에 위치될 경우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나, 일정 각도 이하의 내측에 위치될 경우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보호용 광학필름이 부착된 종래의 표시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 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정보 보호용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이 소정의 순서로 주사되어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제 1 영상프레임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 1 영상프레임의 주사 주기에 따라 개방되는 셔트안경(Shutter Glasses)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행(行)방향 또는 렬(列)방향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픽셀군과 선편광에 의한 노이즈가 표시되는 제 2 픽셀군으로 구획된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각각의 선편광을 상이한 특성의 편광으로 변형시키는 위상지연판(Retarder)을 가지는 표시부; 상기 제 1 픽셀군과 대응되는 상기 위상지연판의 부위를 통과한 편광과 동기화 된 편광안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이 시간 분할로 주기적으로 주사되고, 제 1 영상프레임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된 셔트안경을 착용하여 제 1 영상프레임의 정보를 인식한다. 즉, 셔트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표시부의 정보 가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는 표시부의 패널을 행 또는 렬 방향으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픽셀군과 노이즈가 표시되는 제 2 픽셀군이 교대하도록 구획한다. 그리고,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 및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을 위상지연판을 이용하여 상이한 특성의 편광으로 변환하고, 제 1 픽셀군과 대응하는 위상지연판의 부위를 통과한 편광과 동기화된 편광안경으로 제 1 픽셀군의 정보를 인식한다. 즉, 편광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표시부의 정보가 보호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셔트안경의 착용 유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100)는 표시부(110)와 셔트안경(Shutter Glasses)(120)을 가진다.
표시부(110)에는 영상프레임이 주사되는데, 상기 영상프레임은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1a)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111b)이 소정의 순서로 주사된다. 즉, 제 1 영상프레임(111a)과 제 2 영상프레임(111b)은 시간 분할 되어 주기적으로 표시부(110)에 주사된다. 이때, 제 1 영상프레임(111a)과 제 2 영상프레임(111b)은 1 : 1의 비율로 교대로 주사된다.
그리고, 셔트안경(120)은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1a)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되어 제 1 영상프레임(111a)의 주사 주기에 따라 개방된다.
그러면, 셔트안경(120)을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1a)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한다. 반면, 셔트안경(120)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및 노이즈가 혼합된 제 1 및 제 2 영상프레임(111a,111b)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한다.
따라서, 셔트안경(120)을 착용한 사용자만이 표시부(110)에 표시된 제 1 영상프레임(111a)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110)에 표시된 정보가 보호된다.
표시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CRT(Cathode-Ray Tube)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LCD 패널은 선편광에 의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CRT 패널과 PDP와 OLED 패널은 편광이 아닌 광에 의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영상프레임의 다양한 배치를 보인 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3a)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은(113b)은 1 : 복수개의 비율로 시간 분할되어 주기적 으로 교대로 주사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5a)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은(115b)은 복수개 : 1의 비율로 시간 분할되어 주기적으로 교대로 주사될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가 저장된 제 1 영상프레임(117a)과 노이즈가 저장된 제 2 영상프레임은(117b)은 복수개 : 복수개의 비율로 시간 분할되어 주기적으로 교대로 주사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200)는 표시부(210)와 편광안경(Polarization Glasses)(240)을 가진다.
표시부(210)는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220)과 LCD 패널(220)의 전면측에 형성된 위상지연판(230)을 가진다.
LCD 패널(220)은 전후면에 편광판(미도시)을 설치하고, 액정의 정렬 상태를 조절하여 편광의 방향이 달라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영상을 구현하므로,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된다.
LCD 패널(220)에는 액정 분자에 의하여 행(行)방향 및 렬(列)방향으로 구획되어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픽셀(Pixel)(221)이 형성된다. 이때, 픽셀(221)은 렬(列)방향으로 제 1 픽셀군(群)(223)과 제 2 픽셀군(群)(225)으로 구획된다. 제 1 픽셀군(223)에는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되고, 제 2 픽셀군(225)에는 선편광에 의한 노이즈가 표시된다.
위상지연판(230)은 제 1 픽셀군(223) 및 제 2 픽셀군(225)을 통과한 각각의 선편광을 상이한 특성의 편광으로 변형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상지연판(230)에는 제 1 및 제 2 픽셀군(223,225)과 대응되게 제 1 및 제 2 위상지연층(231,233)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위상지연층(231,233)은 제 1 및 제 2 픽셀군(223,225)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픽셀군(223,225)을 통과한 각각의 편광의 위상을 상이하게 지연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위상지연층(231)은 제 1 픽셀군(223)을 통과한 선편광의 y성분을 x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은 제 2 픽셀군(225)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킨다. 그러면,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선편광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우원편광(Right-Circular Polarization)이 되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을 통과한 선편광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좌원편광(Left-Circular Polarization)이 된다.
그리고, 편광안경(Polarization Glasses)(240)을 우원편광과 동기화된 우원편광안경으로 마련한다. 그러면, 상기 우원편광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만이 제 1 픽셀군(223)을 통과하여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정보를 인식하게 되므로, 표시부(210)의 정보가 보호된다.
위상지연판(230)의 제 1 위상지연층(231)과 제 2 위상지연층(233) 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235)가 형성된다. 블랙매트릭스(235)는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하는 광이 제 2 위상지연층(233)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을 통과하는 광이 제 1 위상지연층(231)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 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제 1 위상지연층(231)은 제 1 픽셀군(223)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은 제 2 픽셀군(225)을 통과한 선편광의 y성분을 x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선편광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좌원편광이 되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을 통과한 선편광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우원편광이 된다. 이때, 편광안경(240)은 좌원편광과 동기화된 좌원편광안경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제 1 위상지연층(231)은 제 1 픽셀군(223)을 통과한 선편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은 제 2 픽셀군(225)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180°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선편광의 특성은 변하지 않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을 통과한 선편광은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선편광과 수직하는 선편광이 된다. 이때, 편광안경(240)은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광과 동기화된 선편광안경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제 1 위상지연층(231)은 제 1 픽셀군(223)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180°지연시키고, 제 2 위상지연층(233)은 제 2 픽셀군(223)을 통과한 선편광을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및 제 2 위상지연층(231,233)을 통과한 선편광은 상호 수직하는 선편광이 된다. 이때, 편광안경(240)은 제 1 위상지연층(231)을 통과한 광과 동기화된 선편광안경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표시부(210)의 패널은 CRT(Cathode-Ray Tube)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에는, 선편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과 위상지연판(240) 사이에 편광판(미도시)이 마련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부 및 위상지연판의 다른 구성을 보인 도로서, 도 4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0a)의 LCD 패널(220a)에 형성된 복수의 픽셀(Pixel)(221a)은 행(行)방향으로 제 1 픽셀군(223a)과 제 2 픽셀군(225a)으로 구획된다. 제 1 픽셀군(223a)에는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되고, 제 2 픽셀군(225a)에는 선편광에 의한 노이즈가 표시된다.
그리고, 위상지연판(230a)의 제 1 및 제 2 위상지연층(231a,233a)은 제 1 픽셀군(223a)과 제 2 픽셀군(225a)과 대응되게 블랙매트릭스(235a)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셔트안경의 착용 유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인 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영상프레임의 다양한 배치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부 및 위상지연판의 다른 구성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210 : 표시부 111a,111b : 제 1,2 영상프레임
120 : 셔트안경 220 : 패널
230 : 위상지연판 240 : 편광안경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행(行)방향 또는 렬(列)방향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선편광에 의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픽셀군(群)과 선편광에 의한 노이즈가 표시되는 제 2 픽셀군(群)으로 구획된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각각의 선편광을 상이한 특성의 편광으로 변형시키는 위상지연판(Retarder)을 가지는 표시부;
    상기 제 1 픽셀군과 대응되는 상기 위상지연판의 부위를 통과한 편광과 동기화 된 편광안경을 포함하는 정보 보호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판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각각의 편광의 위상을 상이하게 지연시키는 제 1 및 제 2 위상지연층이 상기 제 1 및 제 2 픽셀군과 대응되게 구획 형성된 정보 보호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의 y성분을 x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고, 상기 제 2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 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는 정보 보호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고, 상기 제 2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의 y성분을 x성분에 비하여 90°지연시키는 정보 보호 표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 2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180°지연시키는 정보 보호 표시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1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의 x성분을 y성분에 비하여 180°지연시키고, 상기 제 2 위상지연층은 상기 제 2 픽셀군을 통과한 선편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정보 보호 표시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지연층과 상기 제 2 위상지연층 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형성된 정보 보호 표시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인 정보 보호 표시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CRT(Cathode-Ray Tube)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패널이고,
    상기 패널과 상기 위상지연판 사이에는 편광판이 설치된 정보 보호 표시장치.
KR1020090134123A 2009-12-30 2009-12-30 정보 보호 표시장치 KR10160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123A KR101608071B1 (ko) 2009-12-30 2009-12-30 정보 보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123A KR101608071B1 (ko) 2009-12-30 2009-12-30 정보 보호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517A KR20110077517A (ko) 2011-07-07
KR101608071B1 true KR101608071B1 (ko) 2016-03-31

Family

ID=4491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123A KR101608071B1 (ko) 2009-12-30 2009-12-30 정보 보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0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68B1 (ko) 2003-08-02 2004-11-09 (주)애드뷰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68B1 (ko) 2003-08-02 2004-11-09 (주)애드뷰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517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7337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a passive cycloidal diffractive waveplate
TWI432784B (zh) 立體影像顯示裝置
US8493520B2 (en) Optical system and display that converts a flat image to a non-flat image
KR100483352B1 (ko) 박판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TWI435301B (zh) 防窺顯示系統
CN103163652B (zh) 偏振眼镜型立体图像显示器
EP1673652A1 (en) Optimising brightness control in a 3d image display device
KR100781923B1 (ko) 화면 동기식 고해상도 광시야각 3d 디스플레이 장치
EP162239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in polarizing film and thin phase retardation film
US932940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130155504A1 (en) Polarization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CN104678560A (zh) 立体显示装置
US7168808B2 (en) Phase retardance autostereoscopic display
EP2912516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see-through mode of operation.
KR100662046B1 (ko) 박판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10649279B2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608071B1 (ko) 정보 보호 표시장치
KR20170079546A (ko) 듀얼 비젼용 편광 필름 및 그를 포함한 듀얼 비젼 편광식 입체 디스플레이장치
US863841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30063367A (ko) 편광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70590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62073B1 (ko)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편광안경, 그리고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JP2011150274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75200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54655B1 (ko) 편광 소자를 내장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