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80B1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80B1
KR101607880B1 KR1020090070862A KR20090070862A KR101607880B1 KR 101607880 B1 KR101607880 B1 KR 101607880B1 KR 1020090070862 A KR1020090070862 A KR 1020090070862A KR 20090070862 A KR20090070862 A KR 20090070862A KR 101607880 B1 KR101607880 B1 KR 10160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inorganic
ultraviole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942A (ko
Inventor
이창근
박원석
신홍주
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7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8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는 분산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다.
자외선 차단, 무기 자외선 차단제, 분산성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옥외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시중에 많은 자외선 차단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현재 화장품에 사용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우수한 차광 효과를 갖지만, 자체의 형상 및 분체 특성에 따라 피부에 부착성이 강하고 마찰 저항이 커서 바름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입자가 미분화될수록 사용감이 악화되면서 뭉치는 성질이 있다.
제품 내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 현상은 성분 함량 및 색상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없어 제품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 현상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분 함량 및 색상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는 분산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1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분산제를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5000cP 내지 30000cP 의 점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000cP 내지 25000cP 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및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산제를 선택함으로써, 낮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는 분산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물리적으로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중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시된 자외선 차단제 각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중 두 개 이상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티타늄디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UV-A, UV-B 산란 효과가 있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높고, 발한을 억제해 피부에 투명감을 준다.
또한, 징크옥사이드(Zinc oxide)는 UV-A, UV-B 산란 효과가 있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독성이 없으며, 내광성, 내건성, 내열성이 커서, 햇빛이나 다른 자극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며 수렴, 방부, 항균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및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상기한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백탁 현상과 자극감 없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중의 분산제는 무기 분산제의 뭉침을 방지하여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제는 특히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쓰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피부 발림성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제를 전체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2, 3, 4, 5, 6, 7, 8, 9 및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를 상기한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나 변취 발생 없이도 우수한 분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량은 피부의 상태, 피부의 자외선에 대한 반응 정도, 자외선 지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분산성을 개선하였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 되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볼 수가 있다. 도포는 하루에 한번 바를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바를 수도 있다. 상기 도포량은 어떠한 면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예를 들어 크림,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험예, 실시예,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험예, 실시예,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 구성으로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7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분산제를 각 함량별로 함유하고, 실시예 각 2~6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7의 분산제 중 한 성분만의 함량을 달리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2에서 비교예 1~5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기본으로 함유하고, 각 분산제 중 한 성분만 포함하였으며, 비교예 6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분산제를 포함하지 아니하였다.
기재된 성분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에멀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 단위 : 중량% ). 유상 성분에 무기차단제를 혼합하고, 용해된 수상을 투입하면서 7000rpm으로 3분간 충분히 섞어주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무기자외선
차단제
이산화티탄 10 10 10 10 10 10 10
무기자외선
차단제
징크옥사이드 10 10 10 10 10 10 10
분산제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0.1 10 0.1 0.1 0.1 0.1 10
분산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0.1 0.1 10 0.1 0.1 0.1 10
분산제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0.1 0.1 0.1 10 0.1 0.1 10
분산제 아이소스테아르산 0.1 0.1 0.1 0.1 10 0.1 10
분산제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0.1 0.1 0.1 0.1 0.1 10 10
유상성분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 5 5 5 5 5 5
유상성분 데카메칠펜타실록산 5 5 5 5 5 5 5
유화제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2 2 2 2 2 2 2
유화제 소르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2 2 2 2 2 2 2
보존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0.2
에몰리언트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3 3 3
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0.1
유화안정제 소듐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0.1 0.1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1 0.1 0.1 0.1 0.1 0.1 0.1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구분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무기자외선차단제 이산화티탄 10 10 10 10 10 10
무기자외선차단제 징크옥사이드 10 10 10 10 10 10
분산제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10
분산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10
분산제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10
분산제 아이소스테아르산 10
분산제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10
유상성분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 5 5 5 5 5
유상성분 데카메칠펜타실록산 5 5 5 5 5 5
유화제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2 2 2 2 2 2
유화제 소르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2 2 2 2 2 2
보존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에몰리언트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3 3
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유화안정제 소듐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0.1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1 0.1 0.1 0.1 0.1 0.1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2]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 상태 확인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의 분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30 ℃ 로 유지한 내용물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LV DV-II+ pro)의 4번 측정스핀들을 12rpm 으로 하여서 2분간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에 분산제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한 실시예 1~7의 점도가 무기 자외선 차단제에 분산제 각 유효 성분을 하나씩 포함한 비교예 1~5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함유한 비교예 6에 비해서 현저히 낮음을 알 수가 있다. 이를 통해서 분산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점도(cP)
실시예1 13389
실시예2 13907
실시예3 13077
실시예4 14028
실시예5 12999
실시예6 13689
실시예7 9361
비교예1 34954
비교예2 30947
비교예3 37992
비교예4 30872
비교예5 32702
비교예6 47230
분산성 개선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2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 없이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도 1 참조), 비교예 6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뭉침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6)

  1.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징크 옥사이드로 구성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구성되는 혼합 분산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고,
    상기 혼합 분산제를 구성하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는 각각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의 1:1 혼합물(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산제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르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성분의 중량을 100으로 할 때, 나머지 다른 네 성분의 중량은 각각 1인 혼합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는 5000cP 내지 30000cP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 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70862A 2009-07-31 2009-07-3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62A KR101607880B1 (ko) 2009-07-31 2009-07-3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62A KR101607880B1 (ko) 2009-07-31 2009-07-3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42A KR20110012942A (ko) 2011-02-09
KR101607880B1 true KR101607880B1 (ko) 2016-04-01

Family

ID=4377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862A KR101607880B1 (ko) 2009-07-31 2009-07-3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335B1 (ko) * 2015-07-22 2023-10-12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14519A1 (ko) * 2015-07-22 2017-01-26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918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8202A (ko) * 2018-11-19 2020-05-27 솔브레인 주식회사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5073A1 (en) 1999-07-12 2002-10-24 Peter Fankhauser Use of mixtures of micropigments for preventing tanning and for lightening skin and hair
KR100759240B1 (ko) 1999-06-18 2007-09-18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미분된 유기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20080299057A1 (en) * 2007-05-29 2008-12-04 Samuel Qcheng Sun Li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dispersing particulate solids in o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40B1 (ko) 1999-06-18 2007-09-18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미분된 유기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20020155073A1 (en) 1999-07-12 2002-10-24 Peter Fankhauser Use of mixtures of micropigments for preventing tanning and for lightening skin and hair
US20080299057A1 (en) * 2007-05-29 2008-12-04 Samuel Qcheng Sun Li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dispersing particulate solids in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42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662B1 (de) Wasserfest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en
KR102464015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10596079B2 (en) High efficiency sunscreen composition
EP1796619A1 (de) O/w-emulsion mit anorganischen uv-lichtschutzfilterpigmenten und alkylsufat
KR101798024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7880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4019001A1 (en)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with maximized moist feeling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03013457A1 (en) Non-endocrine disrupting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substance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821934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EP3878519A1 (en) Topical sun protection composition
KR102393979B1 (ko) 페룰산과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760A (ko)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EP1808156B1 (de) Lichtschutzzubereitung mit Mikropigmenten
JP2019178126A (ja) 紫外線吸収剤含有組成物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528618B1 (ko)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및 R-SiO3/2 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20233418A1 (en) Skincare formulations with polygonal prismatic platelet uv filters
KR2018002490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분산 안정화된 고분자 나노 복합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7030B1 (ko) 병풀 정량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0530B1 (ko)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0858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