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72B1 - 정렬검사 지그 - Google Patents

정렬검사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72B1
KR101607872B1 KR1020140035881A KR20140035881A KR101607872B1 KR 101607872 B1 KR101607872 B1 KR 101607872B1 KR 1020140035881 A KR1020140035881 A KR 1020140035881A KR 20140035881 A KR20140035881 A KR 20140035881A KR 101607872 B1 KR101607872 B1 KR 10160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ain body
base plate
fix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222A (ko
Inventor
배성준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8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정렬검사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검사 지그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태프(laser staff)가 안착되며, 레이저 스태프를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렬검사 지그{JIG FOR ALIGNMENT AND INSPECTION}
본 발명은, 정렬검사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스태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정렬검사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에는 대형구조물이 설치된다.
특히, 선체의 갑판에 복수의 스위치보드(switch board)를 연속되게 배치하고, 복수의 스위치보드를 수평정렬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스위치보드의 높이를 육안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갑판의 편평도가 불량한 경우 각각의 스위치보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시 복수의 스위치보드를 추가정렬하여야 하는 등 스위치보드를 정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아울러 비용적인 소모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위치보드의 수평정렬정도가 불량한 상태에서 강제로 갑판에 조립하는 경우에는 진동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선체의 갑판에 복수의 스위치보드를 용이하게 수평정렬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복수의 스위치보드의 수평정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레이저 스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스위치보드의 일측에 레이저 스태프를 용이하게 배치하며 레이저의 조사방향에 따라 레이저 스태프를 회전하는 설치지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9949호(오철규,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09.06.1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되며 레이저 스태프를 레이저가 입사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정렬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태프(laser staff)가 안착되며, 상기 레이저 스태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정렬검사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삽입홀의 개구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되, 스위치보드(switch board)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본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제1 마그넷 베이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되, 선체의 갑판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갑판에 상기 본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제2 마그넷 베이스 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되며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레이저 입사방향에 대해 레이저 스태프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 정렬검사 지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된 정렬검사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의 회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위치보드의 전단 양측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 정렬검사 지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된 정렬검사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태프의 회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시스템은, 선체의 갑판에 설치되되 복수의 스위치보드(switch board,200)가 안착되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되 레이저를 조사하는 회전레벨기(500)와, 스위치보드(200)의 일측에 배치되되 회전레벨기(50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스위치보드(200)의 높이를 측정하는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laser staff,300)와, 베이스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는 정렬검사 지그(4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보드(200)는 선체의 갑판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기기를 온/오프 또는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수용된 구조물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스위치보드(200)는 선체의 갑판에 설치되는 일반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보드(200)는 갑판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00)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위치보드(200)는 갑판에 설치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안착되며, 연속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보드(200)를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속되게 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스위치보드(200)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스위치보드(200)의 높이를 맞추는 높이맞춤작업 즉, 수평정렬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갑판의 편평도가 불량한 경우에 기준 스위치보드(200)에 대해 나머지 스위치보드(200)의 높이를 맞추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3개 이상의 스위치보드(200)에 대한 수평정렬 작업을 하는 경우에 기준 스위치보드(200)에 대해 나머지 스위치보드(200)를 순차적으로 수평정렬함에 따라 높이 오차가 점차 증가될 수 있어 정렬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등 정렬작업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위치보드(200)를 연속적으로 수평정렬함에 있어서, 다중 계측 포인트에 대해 실시간 계측이 가능하도록 회전레벨기(500)와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를 설치한다.
회전레벨기(500)는 레이저 발생기로서, 레이저 스태프(300)의 수신부(미도시)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회전레벨기(500)는 조사되는 레이저가 갑판의 표면과 수평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회전레벨기(500)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에 안착된 스위치보드(20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레이저 스태프(300)는 회전레벨기(500)로부터 레이저를 수신받아 대상물에 대한 변위와 같은 위치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계측하는 레이저 센서의 일종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스태프(300)는 수신된 레이저를 매개로 스위치보드(200)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를 실시간으로 변위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스태프(300)는 회전레벨기(50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도록 스위치보드(200)의 일측에 배치된다.
특히, 복수의 스위치보드(200)를 연속적으로 수평정렬함에 있어서 다중 계측 포인트에 대한 실시간 계측이 가능하도록 레이저 스태프(300)는 연속되게 배치된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연속된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중간영역에 배치된 스위치보드(200)의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3개의 스위치보드(200)가 연속되게 배치되는 경우에, 레이저 스태프(300)를 제1 스위치보드(210)의 전단 양측, 제3 스위치보드(250)의 후단 양측 및 제2 스위치보드(230)의 양측에 각각 배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일측에 레이저 스태프(3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정렬검사 지그(400)가 마련된다.
정렬검사 지그(400)는,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정렬검사 지그(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부(410)와, 본체부(410)의 상부에 배치되되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며 레이저 스태프(300)를 본체부(41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유닛(430)과, 본체부(410)에 설치되되 베이스 프레임(100)에 본체부(41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450)과, 본체부(410)의 하부에 연결되되 갑판에 대한 본체부(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브라켓(470)을 포함한다.
본체부(41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 배치된 레이저 스태프(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다.
그리고, 본체부(410)를 베이스 프레임(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본체부(410)에는 고정유닛(45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유닛(450)은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제1 마그넷 베이스 블록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넷 베이스 블록(450)은 본체부(410)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며 온/오프 스위치동작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및 고정해제된다.
그리고, 본체부(410)는 하부에 연결된 높이조절 브라켓(470)에 의해 갑판에 대한 상대 높이가 조절된다.
이는 레이저 스태프(300)의 하단면과 스위치보드(200)의 하단면이 갑판으로부터 동일높이에 위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베이스 프레임(100)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 브라켓(470)을 조절하여 본체부(410)를 승강시켜, 스위치보드(200)의 하단면 높이에 레이저 스태프(300)의 하단면 높이를 일치시킨다.
높이조절 브라켓(470)은 본체부(410)의 하부에서 갑판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11)와 핀결합(473)에 의해 다단으로 본체부(4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갑판에 대한 본체부(410)의 상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높이조절 브라켓(470)의 하부에는 갑판에 본체부(41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마그넷 베이스 블록(471)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넷 베이스 블록(471)은 제1 마그넷 베이스 블록(450)과 마찬가지로,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띤다. 즉, 제2 마그넷 베이스 블록(471)은 온/오프 스위치동작에 의해 갑판에 고정 및 고정해제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가 설치되며, 회전레벨기(500)는 동시에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로 레이저를 조사한다.
따라서, 회전레벨기(500)의 레이저 조사 각도에 따라 레이저 스태프(300)를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는 정렬검사 지그(400)에는 레이저 스태프(30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430)이 마련된다.
회전유닛(430)은 안착된 레이저 스태프(300)를 본체부(41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유닛(430)은 레이저 스태프(300)가 회전레벨기(500)로부터 레이저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레이저 스태프(300)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유닛(430)은, 본체부(410)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431)와, 베이스 플레이트(431)의 상부에 배치되되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433)와, 회전 플레이트(433)에 설치되되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하는 고정부(43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31)는 본체부(410)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31)의 상부에는 회전 플레이트(433)가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회전 플레이트(433)는 레이저 스태프(300)가 안착되는 영역이며 레이저의 조사방향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레이저 스태프(300)를 레이저의 입사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회전 플레이트(433)는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상대 회전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하기 위해, 회전유닛(430)은 베이스 플레이트(4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삽입홀(437)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부(435)는 회전 플레이트(433)를 관통하여 복수의 삽입홀(4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435a)을 포함한다.
고정핀(435a)이 복수의 삽입홀(437)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433)의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430)은 삽입홀(437)의 개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31)의 상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홀(439)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회전 플레이트(433)를 고정하고자 고정핀(435a)을 삽입홀(437)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경우에, 고정핀(435a)과 삽입홀(437)의 위치가 일직선 상에 놓이지 않더라도 고정핀(435a)의 끝단이 가이드홀(439)의 측부에 접촉된 후 삽입홀(437) 방향으로 하강되어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렬검사 지그(400)에 의한 레이저 스태프(300)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 스태프(300)를 도 5에서 도시한 위치에서 도 7에서 도시한 위치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고정핀(435a)을 삽입홀(437)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고, 도 7에서 도시한 위치에 회전 플레이트(433)가 도달한 경우 다시 고정핀(435a)을 삽입홀(437)에 삽입하여 회전 플레이트(433)를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대해 고정한다.
한편, 고정부(435)는 삽입홀을 관통한 고정핀(435a)의 끝단에 결합되는 볼트(435b)와, 고정핀(435a)의 끝단과 볼트(435b)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핀(435a)을 베이스 플레이트(431)에 고정하는 브라켓(435c)을 더 포함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검사 지그(400)는 레이저 입사방향에 따라 레이저 스태프(300)를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시스템을 이용한 스위치보드 정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보드 정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위치보드의 전단 양측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의 갑판에 설치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복수의 스위치보드(200)를 연속되게 안착시킨다(S100).
그리고,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를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한다(S200).
레이저 스태프(300) 설치는, 레이저 스태프(300)를 정렬검사 지그(400)에 안착한 상태에서 정렬검사 지그(400)를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한다. 이때, 레이저 스태프(300)의 하단면과 스위치보드(200)의 하단면이 갑판으로부터 동일높이가 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3개의 스위치보드(200)가 연속되게 배치된 경우에, 정렬검사 지그(400)를 제1 스위치보드(210)의 전단 양측, 제3 스위치보드(250)의 후단 양측 및 중간에 배치된 제2 스위치보드(230)의 양측에 각각 배치한다.
이처럼, 연속되게 배치된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과, 연속된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중간영역에 배치된 스위치보드(200)의 양측에 각각 레이저 스태프(300)를 설치한다.
그리고, 갑판에 수평되게 회전레벨기(500)를 설치한다(S300).
회전레벨기(500)는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수평정렬상태를 실시간 계측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보드(200),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 및 회전레벨기(500)를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레벨기(5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저 스태프(300)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수평정렬상태, 즉 갑판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호간의 수평정렬상태를 검출한다(S400).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스위치보드(210)의 전단 양측에 설치된 레이저 스태프(300)와 회전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치보드(210)의 전단 수평정렬상태, 즉 제1 스위치보드(210)의 갑판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여 제1 스위치보드(210)의 수평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스위치보드(250)의 후단 양측에 설치된 레이저 스태프(300)와 회전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제3 스위치보드(250)의 후단 수평정렬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보드(210)의 전단 일측, 제2 스위치보드(230)의 일측면 및 제3 스위치보드(250)의 후단 일측에 설치된 레이저 스태프(300)와 회전레벨기(500)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스위치보드(210,230,250)의 수평정렬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보드(210,230,250)의 수평정렬상태를 검출한 후, 제1 내지 3 스위치보드(210,230,250)가 수평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스위치보드(210,230,250)를 상호 수평정렬하는 정렬작업을 수행한다(S500).
제1 내지 제3 스위치보드(210,230,250)에 대한 정렬작업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보드(210,230,250) 중 높이오차를 벗어나는 어느 하나가 안착된 베이스 프레임(100)에 높이맞춤지그(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의 수평정렬상태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에 대한 정렬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스위치보드(200)에 대한 수평정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스위치보드
300: 레이저 스태프 400: 정렬검사 지그
410: 본체부 430: 회전유닛
431: 베이스 플레이트 433: 회전 플레이트
435: 고정부 437: 홀
439: 가이드홀 450: 고정유닛
470: 높이조절 브라켓 500: 회전레벨기

Claims (8)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태프(laser staff)가 안착되며, 상기 레이저 스태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레이저 스태프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개구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정렬검사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되, 스위치보드(switch board)가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본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렬검사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제1 마그넷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정렬검사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되, 선체의 갑판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정렬검사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갑판에 상기 본체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자성을 띠는 제2 마그넷 베이스 블록이 설치된 정렬검사 지그.
KR1020140035881A 2014-03-27 2014-03-27 정렬검사 지그 KR10160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81A KR101607872B1 (ko) 2014-03-27 2014-03-27 정렬검사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81A KR101607872B1 (ko) 2014-03-27 2014-03-27 정렬검사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22A KR20150112222A (ko) 2015-10-07
KR101607872B1 true KR101607872B1 (ko) 2016-03-31

Family

ID=5434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881A KR101607872B1 (ko) 2014-03-27 2014-03-27 정렬검사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8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052Y2 (ja) 1993-12-24 1996-06-26 関西電力株式会社 反射ミラ―固定装置
KR100384155B1 (ko) 2000-09-25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가공용 지그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052Y2 (ja) 1993-12-24 1996-06-26 関西電力株式会社 反射ミラ―固定装置
KR100384155B1 (ko) 2000-09-25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가공용 지그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22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36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예인수조 레일용 계측장치 및 이에 의한 계측방법
KR101298207B1 (ko) 육상건조 선박/해양구조물의 로드아웃시 진수바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25785A (zh) 具有传感器布置的装置模块
KR101607872B1 (ko) 정렬검사 지그
JP6785294B2 (ja) 泳者の蹴り出し力を測定するためのターン・プレート
JP2009115725A (ja) 検査装置
KR101556184B1 (ko) 스위치보드 정렬시스템 및 스위치보드 정렬방법
AU20182532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ligning roof bolts
KR20180090570A (ko) 잠수함을 위한 상가(re-docking) 장치 및 방법
KR20160000462U (ko) 선박 건조용 경사시험 장치
KR20140086576A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정렬 장치
JP6613195B2 (ja) 墨出し用装置
KR20170119575A (ko) 펌프 설치를 위한 수평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38404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기구
KR101973355B1 (ko) 해양관측 모듈용 성능시험 장치
KR100587478B1 (ko) 컨테이너선 셀 가이드의 취부기준선 설정장치
JP2006292497A (ja) 測量装置およびその取扱方法
CN107718049A (zh) 一种机械手工作位置偏移的检测机构及检测方法
WO2022155343A3 (en) Restrictions in beam failure detection
US7793533B2 (en) Test device for metal detector portal structure
EP2848890B1 (en) Direction detecting apparatus and surveying system
KR101110847B1 (ko) 비접촉 형상측정장치
JP2017052018A (ja) サイドトリミング装置、サイドトリミングシステム及びトリム代測定方法
JPH11287632A (ja) 電子部品のピン曲がり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TW200606763A (en) Device for monitoring several elements in parallel, application of such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ments and detecting and indicating defects of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