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774B1 -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774B1
KR101607774B1 KR1020140154296A KR20140154296A KR101607774B1 KR 101607774 B1 KR101607774 B1 KR 101607774B1 KR 1020140154296 A KR1020140154296 A KR 1020140154296A KR 20140154296 A KR20140154296 A KR 20140154296A KR 101607774 B1 KR101607774 B1 KR 10160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bed
traction unit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인성
Original Assignee
최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성 filed Critical 최인성
Priority to KR102014015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7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7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in a 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verify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dividing the spine into the cervical spine area, the thoracic spine area and the lumbar spine area, and allowing a treatment unit to protrude individually from the surface of a bed thereof according to each spinal area, thereby applying the treatment unit to an affected area in the spine and moving the treatment un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us realigning and treating the spine. The apparatus for treating spin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 push unit arranged on the bed and ascending/descending along the user′s spinal curvature to pressurize the spine; a traction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mov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correct posture or align the spine of the u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based on the user′s body type or setting set by the user; an input unit having a sensor to identify the user′s body type and measure the posture and degree of the spinal curvature and an input means where the user′s setting is inputted to, and transmitting a sensing value from the sensor and a value inputted to the input means to the control unit to enable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s treatment data including the body type, the posture or the degree of the spinal curvature of the user, and settings by the user.

Description

척추 치료기{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본 발명은 척추를 치료하는 척추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척추 만곡 형상을 추종하면서 척추를 경추, 흉추 및 요추로 나누어 환부에 직접적으로 치료 유닛을 적용하고, 치료 유닛의 상하좌우, 회전, 피벗 등의 다양한 운동을 통해 척추의 교정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척추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ebral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a verteb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ebral treatment apparatus for treating a vertebra by dividing a vertebra into a cervical vertebra, a thoracic vertebra and a lumbar vertebra, Rotation, pivot, and the like, to obtain a correction and treatment effect of the vertebrae.

요즘 현대인들에게는 앉아서 생활하는 일이 많아져 요추, 흉추, 경추를 포함하는 척추 및 고관절 등의 근골격계가 약해지고 있다. 근래에 들어와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질병인 거목증, 척추측만증, 디스크, 성장변형, 근골격계 질환 등에 걸리게 된다. Nowadays, modern people have to sit and live a lot, and the musculoskeletal system such as spine and hip joint including lumbar spine, thoracic spine, and cervical spine weakens. Recently, it has become a serious illness that occurs frequently and is difficult for everyday life, such as gingivitis, scoliosis, disc, growth deformity,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이에, 스스로 운동할 여유가 없는 사람이나 거목증, 척추측만증, 디스크, 성장변형, 근골격계 질환 등에 고통 받는 환자들을 위해 교정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척추 치료기가 알려져 있다. Thus, a vertebral therapeutic apparatus is known which can provide a correction and treatment effect for a patient suffering from gum disease, scoliosis, disc, growth deformity,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 like who can not exercise by themselves.

종래의 척추 치료기에서 척추를 치료하는 방법은, 치료침대 또는 치료판에 구비된 지압 및 온열 기능을 가진 이송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척추 부위 중의 임의 위치에서 정지, 진동, 비틀림, 견인 등을 통해 선택적인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와 같은 척추 치료기는 치료수단은 한정적이며, 단계적으로 척추치료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A method of treating a spine in a conventional vertebr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the steps of resting and vibrating at any position in the user's spine region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spine of a user through a transfer device having an acupressure and a thermal function provided on a treatment bed or a treatment plate, , Torsion, traction, and so on. The above-mentioned spinal therapy apparatus has a limited treatment method and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perform spinal treatment step by step.

이러한 종래 척추 치료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치료침대 또는 치료판과, 상기 치료침대 또는 상기 치료판의 내부에 왕복 이동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승하강 되면서 사용자의 척추부위를 정지, 진동, 비틀림, 견인, 지압 등을 하도록 된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The conventional spinal therapy apparatus includes a therapeutic bed or a treatmen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a user can lie down, and a therapeutic bed or a treatment plate, which is installed to reciprocate inside the treatment bed or the treatment plate, Vibration, twisting, traction, shiatsu, etc., of the vertebrae.

따라서, 종래의 척추 치료기는 상기 치료 침대 또는 상기 치료판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치료 부위에 직접 적용되지 못했다. 즉, 척추 치료기의 치료침대 또는 치료판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의 만곡 형태와 치료부위를 추정 또는 추적 할 수 없었을 뿐더러, 척추 부위별로 사용자의 환부상태에 따라 대략적인 교정과 치료만이 가능했었다. 또한, 척추 치료기에 사용자가 누워 치료를 받는 중에 치료기에 의해 사용자의 몸이 밀리거나 체위 변형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척추치료가 제공되지 못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spinal therapy apparatus is provided inside the treatment bed or the treatment plate and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treatment site in a customized manner according to the user. That is, the treatment bed or the treatment plate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is formed flat, so that the curved shape and the treatment area of the user's spine can not be estimated or traced, and only the approximate correction and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user, .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the user does not provide the spinal treatment desired by the user due to the body being pushed by the treatment apparatus or the position change.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4081호(발명의 명칭; 물리치료침대, 공개일자; 2005년 5월 12일)가 있다.Related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4081 (name of the invention; physical therapy bed, public date; May 12, 2005) is know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만곡 형상을 추종함과 아울러, 척추를 경추, 흉추 및 요추로 나누어 척추 부위에 따라 침대 지면에서 치료 유닛이 돌출하여 환부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어 치료 유닛의 상하좌우, 회전, 피벗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을 통해 척추의 교정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한 척추 치료기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verifying the shape of a vertebral body by dividing a vertebrae of a user into cervical vertebrae, thoracic vertebrae and lumbar vertebrae, To provide a vertebrae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and treating the spine through various exercises such as up, down, left, right, rotation, pivot, etc. of the treatment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드; 상기 베드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의 만곡에 따라 승하강 운동으로 척추를 가압하는 푸시 유닛; 상기 베드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의 자세 또는 척추를 상하 또는 좌우 운동으로 교정하는 트랙션 유닛; 사용자의 체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및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와 사용자의 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pin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d having a top surface formed flat; A pushing unit formed on the bed and pushing the spine in an ascending / descending 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user's spine; A traction uni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calibrating a user's posture or a vertebrae up or down or right and lef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according to a user's body type or user setting; A sensor for measuring a body shape, a posture or a degree of curvature of a vertebrae of a user, and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ting of a user, wherei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or the input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ushing unit or the traction unit An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value to the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rapy data of the user including the user's body shape, posture or degree of curvature of the vertebrae and setting of the user.

상기 푸시 유닛은 사용자의 무게로부터 상기 베드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를 추종하며 가압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The pushing unit may follow the user's spin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ed or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from the weight of the user.

상기 푸시 유닛은, 상기 베드의 상면에 대해서 다수개 형성되어 승하강 운동하고, 상기 센서의 센싱값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 받아 사용자 척추의 만곡 정도에 맞게 사용자의 척추를 가압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shing unit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move up and down. The sensing value of the pushing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to press the spin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user's spine.

상기 트랙션 유닛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따라 경추 트랙션 유닛, 흉추 트랙션 유닛 및 요추 트랙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 받아 동작하고, 상기 베드의 상면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사용자의 목, 겨드랑이, 골반에 각각 대응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traction unit includes a cervical traction unit, a thoracic traction unit, and a lumbar traction unit along a user's vertebrae, receives a sensed value of the sensor or a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from the control unit, The user's neck, the armpit, and the pelvis, respectively.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은 사용자의 목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cervical traction unit may be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pressing both sides of the user's neck.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은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thoracic traction unit may be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user.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은 사용자의 골반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lumbar traction unit can be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pressing both sides of the user's pelvis.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 또는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은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에 의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벗 운동할 수 있다.The cervical traction unit, the thoracic traction unit or the lumbar traction unit may rotate or pivot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bed by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mea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유닛 및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푸시 유닛 제어부 및 트랙션 유닛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체위변형을 최소화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ush unit control unit and a traction unit control unit, respectivel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and the traction unit, and may control the position variation of the user to be minimized from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상기 푸시 유닛 제어부는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상기 푸시 유닛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ushing uni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vertebral form of the user.

상기 트랙션 유닛 제어부는 사용자의 척추의 측만도에 따라서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 또는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may independently operate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the thoracic traction unit, or the lumbar 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vertebrae of the user.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치료 내역 또는 사용자의 환부를 추적 관리하거나 저장하는 치료내역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for tracking and managing the user's treatment history or the user's return.

한편, 상기 베드에는 상기 베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적외선 기기, 진동 기기 또는 온열 기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bed is formed on the bed, and an infrared device, a vibration device, or a heating device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rame.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베드의 온도 또는 습도를 관리하는 통풍 수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베드의 향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아로마 향균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may be provided with ventilation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ed, or may be formed with aroma-like bacteria means for maintaining the antibacterial condition of the bed.

상기 베드에는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The bed may be equipped with a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or interference wave current therapy function.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척추 만곡 형상을 추종하면서 척추를 경추, 흉추 및 요추로 나누어 환부에 직접적으로 치료 유닛이 적용될 수 있고, 치료 유닛의 상하운동, 좌우운동, 회전, 피벗 등의 다양한 운동을 통해 척추의 교정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un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affected part by dividing the vertebrae into the cervical vertebrae, the thoracic vertebra, and the lumbar vertebra following the curved shape of the user, Various exercises can be used to achieve correc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the spine.

또한,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척추 만곡 또는 측만 정도에 맞게 푸쉬 유닛 또는 트랙션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 교정 및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sensor,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 of the user or only the side thereof,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spinal correction and treatment effect.

또한, 사용자의 환부를 경추, 흉추 및 요추로 나누어 각각의 환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치료 유닛이 사용자의 목, 겨드랑이 및 골반을 가압함에 따라 사용자의 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체위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lso, the user's torso can be divided into the cervical vertebra, the thoracic vertebra, and the lumbar vertebra, so that the user's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as the treatment unit presses the user's neck, underarms, and pelvis individually for each affected part, or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사용자의 환부에 치료 유닛이 직접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척추치료의 정확도가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다. Further, as the treatment unit is directly applied to the affected part of the user, the accuracy of the spinal treatment can be remarkably increased.

또한, 척추치료기에 구비된 센서의 센싱값 또는 사용자 정보의 입력값을 통해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사용자별 치료 내역을 추적하거나 관리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plan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spine treatment device or the input value of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treatment history for each user can be tracked or managed.

또한, 치료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척추 치료기의 베드의 상면이 평평하게 유지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의 취침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척추 치료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erapeutic function is not used, the top surface of the bed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is kept flat, so that it can serve as a multifunctional spinal therapy apparatus which can be used as a sleeping bed in daily lif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치료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척추 치료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에 따른 베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절단선 "A-A"에 따른 푸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따른 베드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트랙션 유닛의 작동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슬롯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7은 도1에 따른 척추 치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in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pin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ure 3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bed according to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unit according to the cutting line "AA" in Fig.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bed according to Figure 3;
FIG. 6 is a view showing a guide slot showi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traction unit shown in FIG. 5;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드(Bed, 110)와 베드(1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의 만곡에 따라 승하강 운동을 하며 척추를 가압하는 푸시 유닛(Push unit, 111), 베드(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의 자세 또는 척추를 상하 또는 좌우 운동으로 교정 또는 지압하는 트랙션 유닛(Traction unit, 113)을 포함할 수 있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ine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bed 110 having a flat top surface and a push unit (push unit) 110 are formed on the bed 110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spine, 111), a traction unit (11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and calibrating or shaking the posture or the spine of the user up or down or right and left.

이때, 사용자의 체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푸시 유닛(111) 또는 트랙션 유닛(1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133)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수단(1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111 or the traction unit 113 according to a user's body type or a user's setting. A sensor 133 measure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body, And input means 131 for receiving the settings of the user.

또한, 푸시 유닛(111) 또는 트랙션 유닛(11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센서(133)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131)에 입력된 값을 제어부(120)로 전송하는 입력부(130) 및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와 사용자의 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141)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put unit 130 for transmitting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133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131 to the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111 or the traction unit 113, And 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user data 141 including the body shape, posture, degree of curvature of the vertebrae, and settings of the user.

베드(110)는 사용자가 실제로 누워서 척추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베드(110)의 내부 또는 하부에는 푸시 유닛(111)과 트랙션 유닛(1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드(110)에는 사용자를 위한 머리 받침 수단 또는 하체 받침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ed 110 may be provided with a push unit 111 and a traction unit 113 inside or below the bed 110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user can actually receive the spinal treatment. At this time, the bed 110 may be provided with a head supporting means or a lower body supporting means for the user.

푸시 유닛(111)은 사용자가 베드(110)에 누웠다고 가정했을 때 베드(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뒤-등-엉덩이를 아우르는 뒤쪽 면을 누르거나 푸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푸시 유닛(111)이 승하강 운동을 함으로써 베드(110)의 상면은 평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목뒤-등-엉덩이에 맞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ush unit 111 may be formed on the interior of the bed 110, assuming that the user is lying on the bed 110, to press or push the back side of the user's back, neck, back, and back.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does not maintain a flat state by the pushing unit 111 moving up and down, and can be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to match the back, back, and hips of the user.

푸시 유닛(111)은 사용자의 측만도에 맞게 사용자의 목-등(가슴)-허리의 곡면을 추정하기 위한 경추 푸시 유닛(111a), 흉추 푸시 유닛(111b) 및 요추 푸시 유닛(111c)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The push unit 111 includes a cervical push unit 111a, a thoracic push unit 111b, and a lumbar push unit 111c for estimating the curvature of the user's neck-back (chest) (See FIG. 4).

또한, 트랙션 유닛(113)은 베드(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겨드랑이-골반을 직접적으로 고정하거나 지압할 수 있다. 베드(110)를 육안으로 보았을 때, 푸시 유닛(111)은 베드의 내부에 형성 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으며, 트랙션 유닛(113)은 베드의 상면에 돌출 형성 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ction unit 11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to directly or fix the user's neck, underarm, and pelvis. When the user visually observes the bed 110, the push unit 111 is not seen because it is formed inside the bed, and the traction unit 113 can be seen because it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제어부(120)는 베드(110)에 구비되어 있는 푸시 유닛(111) 및 트랙션 유닛(113)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푸시 유닛 제어부(121) 및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push unit control unit 121 and a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that control operations of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provided in the bed 110, respectively.

푸시 유닛 제어부(121)는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푸시 유닛(111)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베드(110)에 누운 상태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척추의 만곡 정도 내지 휘어지는 정도에 맞추어 푸시 유닛(111)의 승강 또는 하강 거리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The push unit control unit 121 can control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 unit 111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spine. That is, when the user looks at the lying state on the bed 110, the lifting or lowering distance of the pushing unit 111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rvature or warping of the vertebrae.

또한, 푸시 유닛 제어부(121)는 사용자의 척추의 측만도를 추정하기 위해 경추 푸시 유닛(111a), 흉추 푸시 유닛(111b) 또는 요추 푸시 유닛(111c)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푸시 유닛 제어부(121)는 경추 푸시 유닛(111a), 흉추 푸시 유닛(111b) 또는 요추 푸시 유닛(111c)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의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개별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unit control unit 121 can independently operate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push unit 111a, the thoracic push unit 111b, or the lumbar push unit 111c to estimate the degree of the vertebrae of the user's spine. That is, the pushing unit control unit 121 can contro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push unit 111a, the thoracic pushing unit 111b, or the lumbar pushing unit 111c is individually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other.

한편, 트랙션 유닛(113)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따라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및 요추 트랙션 유닛(113c)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션 유닛(113)은 사용자의 척추가 좌우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 즉, 좌우방향의 측만 상태의 척추를 치료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ction unit 113 may include a cervical traction unit 113a, a thoracic traction unit 113b, and a lumbar traction unit 113c along the spinal region of the user. The traction unit 113 can treat or correct the spine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spine of the user is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side-to-side direction.

트랙션 유닛(113)을 제어하는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는 사용자의 척추의 측만도에 따라서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은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의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개별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that controls the traction unit 113 independently operates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de- . That is,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can contro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is individually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other.

또한, 제어부(120)에는 사용자의 치료 내역 또는 사용자의 환부를 추적 관리 및 저장하는 치료내역 관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치료내역 관리부(125)에는 사용자의 전체적인 척추의 상하방향 측만도 또는 좌우방향 측만도와 치료강도, 세기, 횟수, 나이, 성별 또는 증상의 호전도 등을 메모리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125 for tracking and managing the user's treatment history or the user's return. At this time, the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125 may memorize and store the entire vertical spine of the user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only, and the treatment intensity, intensity, frequency, age, sex,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수동입력을 통해 입력값을 받는 입력수단(131)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센싱하여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input means 131 for receiving an input value through a manual input of a user and a sensor 133 for sensing and inputt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ally.

사용자는 입력수단(131)을 통해서 푸시 유닛(111) 또는 트랙션 유닛(113)의 작동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의 인체 정보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치료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에서 입력수단(131)을 통해 받은 입력값 또는 설정값은 푸시 유닛 제어부(121) 또는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로 전송될 수 있다. The user can manually input and set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111 or the traction unit 113 through the input means 131. [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the user's body information or set the desired treatment information. The input value or set value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30 through the input unit 131 may be transmitted to the push unit control unit 121 or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

또한, 입력수단(131)에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값 또는 설정값을 입력 받기 위하여 키보드, 간이 자판 또는 리모컨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보여주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근육 상태, 측만도, 신장, 치료 강도(세기), 또는 횟수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사용자별 맞춤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에 맥박측정기 또는 혈압측정기 등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31 may be provided with a keyboard, a keyboard,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o receive input values or set values by a user.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muscle state of the user, the degree of side view, the height of the user, the intensity of treatment (intensity), the number of times, In addition, a pulse measuring instrument or a blood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may be provided when necessary to display the result on a display device.

입력부(130)의 센서(133)는 사용자의 자세 또는 척추 상태를 자동으로 센싱하고 그 결과 센싱값을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푸시 유닛(111) 또는 트랙션 유닛(113)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sensor 133 of the input unit 130 may automatically sense the posture or the vertebra stat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120 to operate the push unit 111 or the traction unit 113.

저장부(140)는 입력부(130)의 센서(133)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131)으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입력값을 제어부(120)를 거쳐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며 이때, 사용자의 치료정보는 사용자 DB(141)로 분류되어 추후에 사용자의 환부추적관리 또는 치료이력관리 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is a component for stor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33 of the input unit 130 or the manual input value input by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131 via the control unit 12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e user DB 141 so that it can be used later for the user's follow-up care management or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데이터 이동 순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용자가 치료를 받는 동안 제어부(120)는 입력부(130)의 입력된 값들을 수신 받아 저장부(140)의 사용자 DB(141)로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저장된 사용자 DB(141)는 다시 제어부(120)에 의해 호출되어 치료내역 관리부(125)의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이전에 치료 받았던 내역)와 함께 취합되어 제어부(120)의 푸시 유닛 제어부(121)와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ata movement sequence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the input values of the input unit 130 and store the received values in the user DB 141 of the storage unit 140. [ The previously stored user DB 141 is again called by the control unit 120 to be collected together with the previously stored user information of the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125 and sent to the push unit controller 121 of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as shown in FIG.

이때, 푸시 유닛 제어부(121) 및 트랙션 유닛 제어부는(123) 베드(110)에 구비된 푸시 유닛(111) 및 트랙션 유닛(113)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치료내역 관리부는(125)는 추후에 사용자의 척추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정보를 기 저장해 놓는 구성요소이며, 저장부(140)의 사용자 DB(141)는 사용자가 치료를 받는 동안 사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전송을 해주는 메모리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제어부(120)는 치료를 모두 마친 후 사용자 DB(141)를 호출하여 수신 받고 치료내역 관리부(125)로 이동시켜서 기 저장된 정보에 업드레이드 되어 저장되며, 이에, 사용자에게 척추 치료를 맞춤으로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push unit control unit 121 and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provided in the bed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125 is a component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for the spinal treatment of the user later, and the user DB 141 of 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user's information In real time as a memory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data. At this time, after completing the treatment, the control unit 120 calls and receives the user DB 141, moves to the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125, and is stored up-loaded in the pre-stored information. Tracking and manageme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는 사용자의 척추치료가 이루어지는 동안 척추 치료기(100)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부(120)를 중심으로 베드(110), 입력부(130) 및 저장부(140)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d 110, an input unit 130, and a storage unit (not shown) around the control unit 120 so that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during the user's spinal treatment 140 in real time.

한편, 위와 같이 데이터의 이동 순서를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아래에서는 입력부(130)의 입력된 값(센서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 저장부(140)의 사용자 DB(141), 치료내역 관리부(125)의 사용자별 치료내역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데이터의 이동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간과정을 생략해 데이터이동의 최초와 최종만을 나타낼 것이다.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unit 130, the user DB 141 of the storage unit 140,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data movement including the treatment details for each user of the history management unit 125, only the first and last data movement will be omitted by omitting the intermediate proces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개략적인 구성과 데이터의 이동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quence of data movement are described below,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도3은 도1에 따른 베드(110)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3에 따르면, 푸시 유닛(111)과 트랙션 유닛(113)이 베드(110)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마다 그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거나 또는 베드(110)에 형성되어 있는 푸시 유닛(111) 또는 트랙션 유닛(113)의 개수 또는 형상 모형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도면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3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bed 110 according to FIG. 3,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are formed on the bed 11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may vary from one user to another, 111 or the traction unit 11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베드(110)는 사용자의 척추 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일정 경사 각을 지니며 올라갈 수 있는 리프트 기능을 갖추거나, 베드(110)의 중심선(B)을 기준으로 베드(110)가 좌우로 회동 또는 피벗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척추의 상하방향 측만증을 치료하는 푸시 유닛(111)과 척추의 좌우방향 측만증을 치료하는 트랙션 유닛(113)의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 bed 110 may be provided with a lift function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treat a user's spine or a bed 110 may be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 of the bed 110 Or pivoting mo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the push unit 111 for treating the scoliosis of the vertebra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action unit 113 for treating the lateral sciatica of the vertebrae.

또한, 베드(110)에는 열선 또는 진동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온열치료 또는 진동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heating wire or a vibrator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bed 110 to enable a hyperthermia treatment or a vibration treatment, if necessary.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푸시 유닛(111)은 사용자가 치료를 위해 베드(110)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무게로부터 베드(1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또는 입력부(130)의 센서(133)의 센싱값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진 정도를 추종하며 가압하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33)로는 근전도 센서, 가압센서 또는 압력센서 등이 사용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센서(133)의 종류는 이외의 것이 될 수도 있다. 3, the pushing unit 111 may be configured to be actuated by the pressure exerted on the bed 110 from the user's weight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bed 110 for treatment, )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 of the user's vertebra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an electromyogram sensor, a pressure sensor, a pressure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ensor 133 for measuring the body shape, the posture, or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vertebrae, and the user's body shape, posture, The type of the sensor 133 may be other than that.

센서(133)에 의해서 측정된 센싱값은 최종적으로 푸시 유닛 제어부(121) 또는 트랙션 유닛 제어부(123)로 전송될 수 있다. The sensed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133 may be finally transmitted to the push unit control unit 121 or the traction unit control unit 123. [

또한, 푸시 유닛(111)은 센서(133)의 센싱값을 제어부(120)로부터 전송 받아 사용자의 척추의 상하방향 측만도에 맞게 사용자의 척추를 가압하여 베드(110)의 상면 높낮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키, 체형 또는 척추의 상하방향 만곡 정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베드(110)의 상면의 형상이 자유롭게 바뀔 수 있다. The push unit 111 receives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33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presses the user's spin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have. 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bed 110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body shape, or the degree of vertical curvature of the spine.

도4에 도시된 바에 따라, 푸시 유닛(111)은 베드(110)의 중심선(B)을 기준으로 양측에 다수개의 푸셔(112)가 형성되어 승강 또는 하강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척추 측만도에 맞게 사용자의 목-등(가슴)-허리의 곡면을 추종하기 위한 경추 푸시 유닛(111a), 흉추 푸시 유닛(111b) 및 요추 푸시 유닛(111c)을 포함할 수 있다. 4, a plurality of pusher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ushing unit 111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 of the bed 110, so that the pushing unit 111 can move up and down. It may also include a cervical push unit 111a, a thoracic push unit 111b and a lumbar push unit 111c for following the curvature of the user's neck-back (chest) waist in accordance with the spinal level of the user .

이때, 푸시 유닛(111)은 사용자의 척추의 상하방향 측만도를 따라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베드(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푸시 유닛(111)은 모두 같은 높이로 상승하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가 베드(110)에 누웠을 때 베드(110)의 중심선(B)에 대하여 좌우측에 위치하는 푸시 유닛(11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개별 운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ush unit 111 may vary in elevation along only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and the push units 111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110 may not all rise to the same height. That is, when the user lies on the bed 110, the push units 111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 of the bed 110 may have different heights and perform individual motions.

따라서, 푸시 유닛(111)은 사용자가 척추 치료를 받기 위해 베드(110)에 누워 사용자의 측면에서 사용자의 옆모습을 바라볼 때, 사용자의 척추의 상하방향 측만도를 교정하거나 지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lays on the bed 110 in order to receive the spinal treatment, the pushing unit 111 can correct or vertically correct the degree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have.

도5는 도3에 따른 베드(110)의 평면도이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라, 트랙션 유닛(113)은 사용자의 척추 부위에 따라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및 요추 트랙션 유닛(113c)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top view of the bed 110 according to FIG. 3 and 5, the traction unit 113 may include a cervical traction unit 113a, a thoracic traction unit 113b, and a lumbar traction unit 113c along the user's spine region.

트랙션 유닛(113)은 베드(110)의 중심선(B)에 대해 좌우 한 쌍으로 사용자의 목, 겨드랑이, 골반에 각각 대응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ction unit 113 may protrude from the neckline, the armpit, and the pelvis of the user in a pair of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 of the bed 110.

경추 트랙션 유닛(113a)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직접 대응되어 목 주위의 전반적인 요추부위를 교정하거나 지압할 수 있도록 목의 라인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흉추 트랙션 유닛(113b)은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에 직접 대응되어 겨드랑이 주위의 전반적인 흉추부위를 교정하거나 지압할 수 있도록 어깨와 팔 사이의 겨드랑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요추 트랙션 유닛(113c)은 사용자의 골반 부위에 직접 대응되어 골반 또는 허리 주위의 전반적인 요추부위를 교정하거나 지압할 수 있도록 허리와 엉덩이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5 참조)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ine of the neck so as to correct or shave the entire lumbar region around the neck directly corresponding to the neck region of the user.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is directly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arm between the shoulder and the arm so that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can directly correct the side of the user and calibrate the thoracic region around the armpit.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is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waist and the hip so as to correct or shave the entire lumbar region around the pelvis or waist in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pelvis region of the user. (See Fig. 5)

이때,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사용자의 몸을 고정하거나 몸의 측만도에 맞게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곡면 또는 비스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is different from the one shown in Figs. 5 to 7 in order to fix the user's body It may have a curved surface or an oblique shape.

또한, 트랙션 유닛(113)은 사용자의 척추의 좌우방향 측만도를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몸 또는 척추의 좌우방향 측만도에 따라 위치 조절이 되므로 비대칭이 될 수 있다. Further, the traction unit 113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only, and may be asymmetric because the posi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only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s body or spine .

트랙션 유닛(113)은 센서(133)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131)에 입력된 값을 제어부(120)로부터 전송 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traction unit 113 can operate by receiv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33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131 from the control unit 120. [

구체적으로,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는 센서(133)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131)에 입력된 값에 의해 베드(110)의 중심선(B)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진동 또는 피벗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서(133)의 센싱값 또는 입력수단(131)에 입력된 값과 함께 기 저장된 치료내역 관리부(125)의 데이터를 제어부(120)에서 취합하여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진동 또는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진동 또는 피벗 운동을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enter line of the bed 110 B,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20 collects the data of the therapy history management unit 125 previously stored together with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33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131, and outputs the data to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lumbar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can rotate, vibrate, or pivot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can independently rotate, vibrate, or pivot in the lateral direction.

도6은 도5에 도시된 트랙션 유닛(113)의 작동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슬롯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에 따라, 베드(110)에는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및 요추 트랙션 유닛(113c)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 운동을 각각 가이드 하는 제1 경추 가이드슬롯(114a)과 제2 경추 가이드슬롯(114b), 제1 흉추 가이드슬롯(115a)과 제2 흉추 가이드슬롯(115b) 및 제1 요추 가이드슬롯(116a)과 제2 요추 가이드슬롯(116b)이 형성될 수 있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guide slot showi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traction unit 113 shown in FIG. 6, the bed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cervical guide slot 114a for guiding the vertical and lateral movements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and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respectively, The first thoracic guide slot 115a and the second thoracic guide slot 115b and the first lumbar guide slot 116a and the second lumbar guide slot 116b may be formed have.

경추 트랙션 유닛(113a)는 사용자의 목 양측에 위치하여 제1 경추 가이드슬롯(11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제2 경추 가이드슬롯(114b)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ser's neck an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cervical vertebra guide slot 114a and can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second cervical vertebra guide slot 114b.

흉추 트랙션 유닛(113b)는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에 위치하여 제1 흉추 가이드슬롯(115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제2 흉추 가이드슬롯(115b)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ser an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thoracic guide slot 115a and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second thoracic guide slot 115b.

요추 트랙션 유닛(113c)는 사용자의 골반 양측에 위치하여 제1 요추 가이드슬롯(116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제2 요추 가이드슬롯(116b)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ser's pelvis an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lumbar guide slot 116a and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second lumbar guide slot 116b.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체적인 가이드 슬롯은 십자형 모형이지만 사용자의 목-겨드랑이-골반의 효과적인 교정 및 지압을 위해서는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가 상하좌우, 회전 또는 피벗 등의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자유로울 수 있다면 가이드 슬롯은 원형, 반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6, the overall guide slot is a cross-shaped model, but a cervical traction unit 113a, a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a lumbar traction unit 113c may be used for effective correction and acupressure of a user's neck, underarm and pelvis. The guide slo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semi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or a triangular shape, as long as it is free to mov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경추 트랙션 유닛(113a), 흉추 트랙션 유닛(113b) 또는 요추 트랙션 유닛(113c)의 가이드 슬롯은 꼭 같은 모양이 아니라 각각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추 트랙션 유닛(113a)의 가이드 슬롯은 원형, 흉추 트랙션 유닛(113b)의 가이드 슬롯은 삼각형, 요추 트랙션 유닛(113c)의 가이드 슬롯은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guide slots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or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instead of the same shape. For example, the guide slots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113a may be circular, the guide slots of the thoracic traction unit 113b may be triangular, and the guide slots of the lumbar traction unit 113c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따라서, 트랙션 유닛(113)은 사용자가 척추 치료를 받기 위해 베드(110)에 누워 베드(110)의 위에서 사용자의 앞모습을 바라볼 때, 사용자의 척추의 좌우방향 측만도를 교정하거나 치료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raction unit 113 plays a role of correcting or treating only the lateral side of the user's spine when the user looks at the front view of the user on the bed 110 by lying on the bed 110 for receiving the spinal treatment can do.

본 발명의 따른 척추 치료기(100)는 푸시 유닛(111)과 트랙션 유닛(113)에 의해 나이, 성별 및 환부의 심각도(척추의 상하방향 측만도 및 좌우방향 측만도) 등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수의 사용자를 아우르며 제공될 수 있다. The vertebra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everity of the age, sex and the affected part (only the vertical direction side and the lateral direction side only) of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Quot; user "

또한, 푸시 유닛(111)과 트랙션 유닛(113)의 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체위변형을 최소화되게 제어함으로써 치료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Further, the accuracy of the treatment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al de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111 and the traction unit 113 to be minimized.

도7은 도1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에 따라, 베드(110)에는 베드(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7)에는 적외선 기기, 진동 기기 또는 온열 기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FIG.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spine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FIG. As shown in FIG. 7, a frame 117 for supporting the bed 110 may be formed on the bed 110. At this time, an infrared device, a vibration device, or a heating device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frame 117.

또한, 프레임(117)에는 베드(110)의 온도 또는 습도를 관리하는 통풍 수단(118)이 형성되거나 베드(110)의 항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아로마 항균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A ventilation means 118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r the humidity of the bed 110 may be formed in the frame 117 or an aromatic antibacterial means for maintaining the antibacterial condition of the bed 110 may be formed.

또한, 베드(110)는 사용자가 치료를 받을 시에 도7과 같이 베드(110)의 상면이 곡면의 형상을 띄고 있으나, 사용자가 치료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베드(110)의 상면은 평평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치료를 받고 난 후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의 베드(110)는 일반적인 베드로써의 활용이 가능하다. 7, the top surface of the bed 110 has a curved shape when the user receives the treatment, but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reating function, the top surface of the bed 110 is flat , The user can take a bed or rest after being treated. That is, the bed 110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general b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의 베드(110)에는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가 베드(110)에 등을 대고 누웠을 때 베드(110)와 맞닿는 피시술자의 몸 또는 등에 접점전기자극을 통해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ICT;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는 피시술자의 등 뿐만 아니라 복부 등 상반신 전면부에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치료기(100)는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 기능이 있는 상반신 부착치료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d 110 of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or an interference wave current therapy function, when the physician puts his / her back on the bed 110, Th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r the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 may be performed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ontactor's body or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subject. Such a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or an interfering current therap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back of the physician but also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such as the abdomen. To this end, the spinal therap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Not shown) which is provided with an upper half body attachment treatment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of its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척추 치료기 110 : 베드
111: 푸시 유닛 111a : 경추 푸시 유닛
111b : 흉추 푸시 유닛 111c : 요추 푸시 유닛
112 : 푸셔 113 : 트랙션 유닛
113a : 경추 트랙션 유닛 113b : 흉추 트랙션 유닛
113c : 요추 트랙션 유닛
114a : 제1 경추 가이드슬롯 114b : 제2 경추 가이드슬롯
115a : 제1 흉추 가이드슬롯 115b : 제2 흉추 가이드슬롯
116a : 제1요추 가이드슬롯 116b : 제2요추 가이드슬롯
117 : 프레임 118 : 통풍수단
120 : 제어부 121 : 푸시 유닛 제어부
123 : 트랙션 유닛 제어부 125 : 치료내역 관리부
130 : 입력부 131 : 입력수단
133 : 센서 140: 저장부
B : 중심선
100: Spine Therapy Device 110: Bed
111: Push unit 111a: Cervical push unit
111b: thoracic pushing unit 111c: lumbar pushing unit
112: pusher 113: traction unit
113a: cervical traction unit 113b: thoracic traction unit
113c: lumbar traction unit
114a: first cervical guide slot 114b: second cervical guide slot
115a: first thoracic guide slot 115b: second thoracic guide slot
116a: first lumbar guide slot 116b: second lumbar guide slot
117: Frame 118: Ventilation means
120: control unit 121: push unit control unit
123: traction unit control section 125: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section
130: input unit 131: input means
133: sensor 140:
B: Center line

Claims (15)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드;
상기 베드에 사용자의 경추, 흉추 및 요추와 맞닿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되, 사용자의 척추의 만곡 또는 측만도에 따라 승하강운동하여 높낮이를 달리하여 척추를 가압하는 푸시 유닛;
상기 베드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되 사용자의 자세 또는 척추를 상하 또는 좌우 운동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겨드랑이, 골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경추 트랙션 유닛, 흉추 트랙션 유닛 및 요추 트랙션 유닛을 포함하는 트랙션 유닛;
사용자의 체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및
사용자의 체형, 자세 또는 척추의 만곡 정도와 사용자의 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되,
상기 푸시 유닛은 사용자의 무게로부터 상기 베드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를 추종하며 가압하는 정도가 달라지며,
상기 푸시 유닛 및 상기 트랙션 유닛은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동작하고,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 또는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은 상기 센서의 센싱값 또는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값에 의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진동, 회전 또는 피벗 운동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척추의 측만도에 따라서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 또는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A bed having a top surface formed flat;
A pushing unit for pushing the vertebrae at different positions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thoracic vertebrae, and lumbar vertebra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urvature or lateral incidence of the user's vertebrae;
A cervical traction unit, a thoracic traction unit, and a lumbar traction unit, each of whi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user and the pelvis, so that the posture of the user or the spine of the user can be corrected by upward / A traction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according to a user's body type or user setting;
A sensor for measuring a body shape, a posture or a degree of curvature of a vertebrae of a user, and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ting of a user, wherei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or the input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pushing unit or the traction unit An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value to the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reatment data of a user including a body shape, a posture or a degree of curvature of the user and setting of the user;
, ≪ / RTI &
The push unit follows the user's spin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ed or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from the weight of the user,
Wherein the push unit and the traction unit are operated by receiv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or the value input to the input unit from the control unit,
The cervical traction unit, the thoracic traction unit, or the lumbar traction unit vibrates, rotates, or pivots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er of the bed by a sensed value of the sensor or a value input to the input means,
Wherein the control unit independently operates at least one of the cervical traction unit, the thoracic traction unit, or the lumbar 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vertebrae of the user's vertebra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트랙션 유닛는 사용자의 목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rvical traction unit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pressing both sides of the user's ne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추 트랙션 유닛는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oracic traction unit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thoracic traction unit i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트랙션 유닛는 사용자의 골반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mbar traction unit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pressing both sides of the user's pelvi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유닛 및 상기 트랙션 유닛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푸시 유닛 제어부 및 트랙션 유닛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유닛 또는 상기 트랙션 유닛의 작동으로부터 사용자의 체위변형을 최소화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ush unit control unit and a traction unit control unit, respectively,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ush unit and the trac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sition change of the user to be minimized from the operation of the push unit or the trac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유닛 제어부는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상기 푸시 유닛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ushing unit control unit control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ing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rtebra of the us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치료 내역 또는 사용자의 환부를 추적 관리하거나 저장하는 치료내역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 unit,
And a treatment history management unit for tracking or managing the treatment history of the user or the retur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에는 상기 베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적외선 기기, 진동 기기 또는 온열 기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d is formed with a frame for supporting the bed,
Wherein the frame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n infrared ray device, a vibration device, or a warm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베드의 온도 또는 습도를 관리하는 통풍 수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베드의 항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아로마 항균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means for manag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ed or an aromatic antibacterial means for maintaining the antibacterial condition of the b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에는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 또는 간섭파 전류치료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치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ed is provided with a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or an interference wave current therapy function.
KR1020140154296A 2014-11-07 2014-11-07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KR101607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96A KR101607774B1 (en) 2014-11-07 2014-11-07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296A KR101607774B1 (en) 2014-11-07 2014-11-07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774B1 true KR101607774B1 (en) 2016-03-30

Family

ID=5566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296A KR101607774B1 (en) 2014-11-07 2014-11-07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77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57B1 (en) 2016-04-12 2018-05-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surpporting pillow
KR20180059305A (en) 2016-11-25 2018-06-04 최인성 Apparatus for spine correction and treatment
KR101904016B1 (en) * 2018-02-28 2018-10-04 류원석 Spinal or cervical correction device
KR101906672B1 (en) 2016-10-19 2018-10-10 신복영 Chair for stretching of spine and cervical vertebrae
KR102017214B1 (en) * 2018-03-23 2019-09-02 홍준호 Spine calibration apparatus
KR20220078015A (en)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휴스파인 Customizable Lumbar Retractor
KR102529923B1 (en) * 2022-09-20 2023-05-09 서상술 Physical therap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36A (en) 1999-05-14 2000-11-21 Og Giken Co Ltd Massager
KR101155787B1 (en) 2011-10-12 2012-06-12 이성완 Correction apparatus for pelvic and upper body
KR101279503B1 (en) 2011-12-23 2013-06-28 김종진 Apparatus for correction of spine and body pos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936A (en) 1999-05-14 2000-11-21 Og Giken Co Ltd Massager
KR101155787B1 (en) 2011-10-12 2012-06-12 이성완 Correction apparatus for pelvic and upper body
KR101279503B1 (en) 2011-12-23 2013-06-28 김종진 Apparatus for correction of spine and body postur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57B1 (en) 2016-04-12 2018-05-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surpporting pillow
KR101906672B1 (en) 2016-10-19 2018-10-10 신복영 Chair for stretching of spine and cervical vertebrae
KR20180059305A (en) 2016-11-25 2018-06-04 최인성 Apparatus for spine correction and treatment
KR101904016B1 (en) * 2018-02-28 2018-10-04 류원석 Spinal or cervical correction device
KR102017214B1 (en) * 2018-03-23 2019-09-02 홍준호 Spine calibration apparatus
KR20220078015A (en) *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휴스파인 Customizable Lumbar Retractor
KR102506043B1 (en) 2020-12-02 2023-03-08 주식회사 휴스파인 Customizable Lumbar Retractor
KR102529923B1 (en) * 2022-09-20 2023-05-09 서상술 Physical therap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774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e
CN108056896B (en) Health care device and system thereof
EP360660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eripheral neuromodulation for treating diseases related to overactive bladder
US973085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eatment angle under tension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spinal morphology
KR102058744B1 (en) A physical therapy device
KR101823227B1 (en) A cervical brace
US10561554B2 (en) Head relaxing pillow
US11020188B2 (en) System, method, and GUI for treating skin and underlying tissues for improved health, function and/or appearance
KR101230664B1 (en) Body detecting device and mehtod for detecting body with the same
KR101649416B1 (en) Head relaxing pillow
KR101966880B1 (en) Complex physical therapy system
CN109172352B (en) Cervical vertebra rehabilitation chair
KR100935803B1 (en) Finger pressure device for the cervical vertebral
KR101123693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of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KR101857018B1 (en) Complex physical therapy system
KR101397392B1 (en) Spinal adjustment System
US20120226311A1 (en) Configurable back orthosis
CN211610258U (en) Thyroid gland postoperative neck nursing device
US2022015186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assisted media in use with a robotic therapy unit for accomplishing muscle lengthening conducted according to best practice protocols
US20240122783A1 (en) Robotic therapy uni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features for accomplishing muscle lengthening
CN109394512A (en) A kind of intelligent physiotherapy couch
CN115381245B (en) Sleep improving device and method
CN117159293B (en) Breathing auxiliary system for prone ventilation gas position
US2019030763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assisted media in use with a robotic therapy unit for accomplishing muscle lengthening conducted according to best practice protocols
KR20180059305A (en) Apparatus for spine correction and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