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271B1 -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271B1
KR101607271B1 KR1020150029311A KR20150029311A KR101607271B1 KR 101607271 B1 KR101607271 B1 KR 101607271B1 KR 1020150029311 A KR1020150029311 A KR 1020150029311A KR 20150029311 A KR20150029311 A KR 20150029311A KR 101607271 B1 KR101607271 B1 KR 10160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oplastic resin
capsule
capsules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훈
박준홍
김용우
유중철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Priority to KR102015002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1층; 제1비점을 갖는 액상형 탄화수소 및 내부에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를 수용하고 있으며 제1비점에서 연화가능한 제2 열가소성 고분자 함유 캡슐을 구비한 열팽창성 발포캡슐들을 포함하는 제2층; 및 제3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3층이 적층된 다층기재로서,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에서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의 기화에 의해 캡슐이 팽창되어 중공 풍선 형태의 발포 캡슐이 각각 독립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경량화되고 경제적인 다층기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multi substrate containing thermally expandable capsule, and molding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캡슐을 포함하는 다층기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상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외부(shell)에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갖는 다층기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층기재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원유 고갈에 대한 우려감으로 대체에너지의 개발과 심각한 환경오염의 예방에 국가적 운명을 걸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서도 자동차의 연비개선과 환경오염의 주 원인인 배기가스 절감을 목적으로 경량화가 추진되면서 금속을 대체하는 물질로서 고분자 복합재료의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열가소성 올레핀(TPO, thermoplastic olefin)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에 보강소재로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으로 강화시킨 고내열성/고강성 복합재료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PET) 수지 및 열가소성 고분자의 고무화를 통한 열경화성 복합재료 등의 재료들이 금속을 초월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FRP(fiber reinforced plastic)는 내충격성과 파괴인성 등의 물성면이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재료 변형 시 허용될 수 있는 변형의 폭이 작음과 동시에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치명적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 자동차 내장용 헤드라이너의 소재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는 레진펠트(resin felt), 페이퍼보드(paper board), 유리 섬유(glass fiber), 천연 섬유 강화 보드, 우드화이버(Wood Fiber) 경질 폴리우레탄, 골판지 등이 있다.
상기 레진펠트와 페이퍼보드는 페놀수지 등을 함침시켜 제조한 것이다.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류의 축합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페놀수지의 소각시 미반응 또는 불완전 연소에 기인하여 방출되는 페놀 및 알데하이드는 작업환경을 포함한 생활환경의 공해물질로 작용하며,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 섬유(glass fiber) 또는 유리 조각(glass chop)이 함유된 자동차 내장용 헤드라이너의 기재의 경우, 제조과정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리 분진에 의해 작업자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의 재료를 접착시키기 위한 휘발성 유기용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작업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경질 발포체의 경우 단열성 및 경량성은 우수하지만, 재활용성이 저하되고 내충격성이 약해서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공정에서 취성 파괴가 쉽게 일어나기 쉬우며, 내후성이 나빠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변색이나 폼 셀의 바스러짐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보드의 경우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리 섬유를 함유하여 환경친화성 및 생산 환경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며,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규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자동차 내장용 헤드라이너 소재는 방음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지 못했으며, 단가가 높고, 고중량이며, 장기간 사용시 변형되기 쉽고, 인체 및 환경에 매우 유해하다는 포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현재 자동차 제조 업체 등에서 요구하고 있는 환경친화성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치수 안정성, 성형성 및 양산성이 양호한 자동차용 내장재 및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소재를 발명하기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성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어 헤드라이너 소재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합한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하는 다층기재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1층; 제1비점을 갖는 액상형 탄화수소 및 내부에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를 수용하고 있으며 제1비점에서 연화가능한 제2 열가소성 고분자 함유 캡슐을 구비한 열팽창성 발포캡슐들을 포함하는 제2층; 및 제3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3층이 적층된 다층기재로서, 상기 열팽창성 발포캡슐은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에서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의 기화에 의해 캡슐이 팽창되어 중공 풍선 형태의 발포 캡슐이 각각 독립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다층기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제1양태에 따른 다층기재를 예열 및 냉각 성형하여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기재는 예열 및 냉각 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반제품으로서, 경량화 및 가격 경쟁력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층에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하되, 상기 열팽창성 발포캡슐은 연화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 함유 캡슐 내에 액상형 탄화수소가 수용되어 있고, 발포캡슐 내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로 가열하면, 액상형 탄화수소의 기화에 의해 캡슐이 팽창되어 중공 풍선 형태의 발포 캡슐이 각각 독립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화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제2 열가소성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르아크릴로니트릴, α-에톡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제2 열가소성 고분자로서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열팽창성 발포캡슐의 내열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높은 성형 온도에서 고발포 배율로 발포 성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포캡슐의 코어(core)에 포함되는 액상형 탄화수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펜, 메틸부탄, n-부탄, 이소부탄, 부텐, 이소부텐,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n-헥산, 헵탄, 이소옥탄, 석유 에테르 등의 저분자량 탄화수소; CCl3F, CCl2F2, CClF3, CClF2-CClF2 등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테트라메틸실란, 트리메틸에틸실란, 트리메틸이소프로필실란, 트리메틸-n-프로필실란 등의 테트라알킬실란 등의 휘발성 탄화수소가 가능하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는 이소옥탄 또는 메틸부탄일 수 있다.
발포캡슐은 코어(core)에 액상형 탄화수소를 포함함으로써 성형시의 고온, 고전단 조건하에서도 열팽창성 발포캡슐이 쉽게 파괴되지 않아서,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발포캡슐은 일 실시형태에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메틸부탄, 실리카 및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소옥탄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발포캡슐에 있어서, 코어의 함유량은 발포캡슐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25 중량% 일 수 있다. 발포캡슐의 구성에 있어서, 셀의 두께는 코어의 함유량에 의해 변화하지만, 코어의 함유량을 줄여 셀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발포 성능이 저하되고, 코어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코어의 함유량을 10 중량% 내지 25 중량%로 했을 경우, 열팽창성 발포캡슐의 붕괴 방지와 발포 성능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는 액상형 탄화수소가 열팽창을 시작하는 온도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상형 탄화수소의 비점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화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는 240℃를 초과하면 상기 연화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로 된 캡슐 입자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는 160~2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형 탄화수소의 비점도 160~2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상형 탄화수소는 160℃에서 발포를 시작하여, 240℃ 일 때 최대로 팽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열팽창성 발포캡슐은 액상형 탄화수소의 발포 온도 이상에서 코어(core)에 있는 액상형 탄화수소가 기화 및 팽창을 하는 동시에 제2 열가소성 고분자가 포함된 셀(shell)이 연화하는 것에 의해서 코어 및 셀로 구성된 발포캡슐이 급격하게 팽창하여 중공 풍선 형태가 될 수 있다(도 1 참조). 즉, 중공 풍선 형태의 발포캡슐이 각각 독립된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발포캡슐의 함량 즉, 제2층의 중량은 다층기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발포캡슐의 함량이 1% 미만인 경우 발포되는 량이 적어서 물성 강화나 경량화가 되지 않으며, 30% 초과인 경우에는 물성 및 품질 저하가 발생하고 원가가 상당히 올라가게 되어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층의 중량은 8~240 g/m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100 g/m2 일 수 있다.
천연섬유는 통상 천연의 생물 또는 광물에서 얻어지는 섬유를 의미하나, 본 발명은 섬유인한 합성섬유까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천연섬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황마(jute), 양마(kenaf), 삼(hemp), 현무암 섬유(basalt), 아마(flax), 아바카(abaca), 대나무(bamboo), 코이어(coir), 파인애플(pineapple), 모시(ramie), 사이잘(sisal), 헤네켄(heneque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천연섬유는 황마(jute)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되는 경우 연화하여 가소성을 나타내며 냉각되는 경우 고화되는 특징을 가진 플라스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열용융되면서 천연섬유의 결합제 역할 또는 다른 층간의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수지, 초산 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3 열가소성 수지 대 천연섬유의 중량비는 각각 독립적으로 40:60 내지 60:40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3 열가소성 수지 대 천연섬유는 약 50:50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대 천연섬유의 함량비(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이 높아지면 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천연섬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다층기재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층 또는 제3층의 중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250~400 g/m2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층 또는 제3층의 중량은 약 350 g/m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기재는 제3층 상에 폴리프로필렌 기포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기포지는 핫멜트 층 또는 스킨층을 제3층 상에 적층하는 경우 접착층으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해 발포캡슐의 발포와 함께 제1층의 제1열가소성 수지 및 제3층의 제3 열가소성 수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열 용융되면서 제1층, 제2층 및/또는 제3층이 일체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다층기재는,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제1층 위에 액상형 탄화수소 및 제2 열가소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하는 제2층을 도포한 후, 제3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제3층을 적층하여,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압착하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제1층 위에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도포하여 제2층을 형성한 후 가열하여 1차적으로 발포하고 나서, 제3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제3층을 적층하고, 가열에 의해 발포캡슐을 2차 팽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기재는 성형용 반제품 또는 흡음용 내장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기재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성형용 반제품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다층기재를 예열 및 냉각 성형하여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층기재를 온도 160~240℃에서 30~70초 동안 예열하거나, 온도 5~20℃에서 20~40초 동안 냉각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기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중량을 가볍게 하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기재를 사용하여 자동차용 헤드라이너를 제조하는 경우, 헤드라이너의 총 중량은 최대 600~1,000g/m2 정도일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성형품, 특히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성형품과 대비하여 매우 경량화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성형품은 종래 폴리우레탄 소재의 헤드라이너와 유사한 수준의 중량을 가지면서도 보다 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져 종래 폴리우레탄 소재의 헤드라이너의 대체품이 될 수 있다.
또한,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기재를 사용하여 자동차용 헤드라이너를 제조하는 경우 발포캡슐의 발포 전·후의 직경 변화는 3~4배 정도이며, 체적의 변화는 40~80배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 발포캡슐의 발포 전·후의 비중은 1.00~1.20g/cm3에서 0.02~0.04 g/cm3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층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스킨층을 더 적층한 후 예열 및 냉각성형하여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품은 팩케이지 트레이(package tray), 도어 트림(door trim), 헤드라이너(headliner), 시이트백판넬(seat back panel) 등과 같은 자동차용 내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를 포함하며, 나아가 열팽창성 발포캡슐을 포함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소재들이 갖는 낮은 내열성으로 인한 자동차 내장재로서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과 경량성을 가지며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천연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다층기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열팽창성 발포캡슐의 발포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기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층기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포캡슐의 팽창 전·후의 변화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5는 헤드라이너 성형용 반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헤드라이너 성형용 반제품을 사용하여 헤드라이너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헤드라이너 시편의 샘플과 그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함유 셀의 내부에 액상형 이소옥탄이 수용되어 있는 발포캡슐(UNICELL-MS2000D)을 ㈜동진쎄미켐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상기 발포캡슐의 팽창 전·후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발포캡슐의 평균 지름은 팽창 전에는 30~40μm 였으나(도 4A), 240℃에서 자체적으로 발포된 경우 120~170μm(도 4B)였다.
발포캡슐을 가압 예열한 경우에는 캡슐의 깨짐이 발생하므로, 예열 시 가압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및 황마(jute)를 50:50 중량비로 혼합(air blow mixing)하여 1차(횡방향) 및 2차(종방향) 카딩 작업을 하였다. 카딩 작업 이후 니들링(Needling)을 하여 350 g/m2의 섬유를 재직하였다. 상기 니들링된 섬유들을 240℃의 열 롤러와 냉각 롤러를 차례로 통과시켜 스크림(Scrim)된 시트 2개(시트 A 및 시트 B)를 준비하였다. 냉각 롤러 통과 후, 상기 스크림 시트 A 상에 참조예 1에서 준비한 발포캡슐을 50 g/m2 도포하였고, 시트 B는 발포캡슐을 도포하지 않았다.
다음, 발포캡슐이 도포된 시트 A를 210℃ 오븐에 통과시키고 이어서 냉각 롤러를 통과시켜서 발포캡슐이 스크림에 부착이 된 일체형의 반제품 A를 제조하였다. 오븐에 통과 시 발포캡슐을 1차적으로 팽창시켰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 B를 오븐 및 냉각 롤러에 통과시켜서 반제품 B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반제품 A 상에 반제품 B를 적층한 적층체를 240℃에서 30~35초 예열하여, 발포캡슐을 2차 팽창시키고 폴리프로필렌을 녹였다. 예열된 기재를 냉각금형으로 이동하여 30~ 35초 동안 성형하여 완제품인 헤드라이너를 제조하였다(도 5 및 6 참조).
제조된 헤드라이너 시편의 샘플과 그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헤드라이너의 물성 검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헤드라이너를 사용하여 중량,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est 중량
(g/m2)
굴곡강도
(kgf/5cm)
굴곡탄성율
(kgf/cm2)
GMW 14189 spec 700 ~ 1,000 3 4,980
종방향 800 4.71 5,474
횡방향 800 4.05 5,684
상기 헤드라이너의 중량,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의 측정은 ASTM 방법을 사용하였고, 시편 사이즈는 120mm(L) x 25mm(W), support span은 시편 두께의 16배, Test 속도는 5mm/min로 하였다.
물성 검사 결과, 헤드라이너는 중량이 800 g/m2로 경량화되었으며,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검사에 있어서 GMW 14189 spec에 비하여 보다 더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Claims (16)

  1.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1층;
    제1비점을 갖는 액상형 탄화수소, 및 코어에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를 수용하고 있으며 제1비점에서 연화가능한 제2 열가소성 고분자 함유 캡슐을 구비한 열팽창성 발포캡슐들을 포함하는 제2층; 및
    제3 열가소성 수지 및 천연섬유 함유 제3층이 적층된 다층기재로서,
    상기 열팽창성 발포캡슐은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를 기화시키는 온도에서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의 기화에 의해 캡슐이 팽창되어 중공 풍선 형태의 발포 캡슐이 각각 독립된 기포를 형성하여 발포함과 동시에,
    가열에 의해 제1층의 제1열가소성 수지 및 제3층의 제3 열가소성 수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열 용융되면서 제1층과 제2층 또는 제2층과 제3층이 별도의 접착제 없이 일체화되고,
    상기 코어의 함유량은 열팽창성 발포캡슐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형 탄화수소는 이소옥탄, 메틸부탄 또는 그의 혼합인 것이 특징인 다층기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롤러로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특징인 다층기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3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인, 다층기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고분자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α-에톡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다층기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jute), 양마(kenaf), 삼(hemp), 현무암 섬유(basalt), 아마(flax), 아바카(abaca), 대나무(bamboo), 코이어(coir), 파인애플(pineapple), 모시(ramie), 사이잘(sisal), 헤네켄(heneque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다층기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점은 160℃ 이상인, 다층기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중량은 다층기재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인, 다층기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3 열가소성 수지 대 천연섬유의 중량비가 40:60 내지 60:40인 것인, 다층기재.
  10. 제1항에 있어서,
    제3층 상에 폴리프로필렌 기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층기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중량은 8~240 g/m2인 것인, 다층기재.
  12. 제1항에 있어서,
    성형용 반제품인 것인 다층기재.
  13.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성형용 반제품인 것이 특징인 다층기재.
  14. 제1항에 기재된 다층기재를 예열 및 냉각 성형하여 형성된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스킨층을 더 적층한 후 예열 및 냉각성형하여 형성된 성형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인 것이 특징인 성형품.
KR1020150029311A 2015-03-02 2015-03-02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60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11A KR101607271B1 (ko) 2015-03-02 2015-03-02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11A KR101607271B1 (ko) 2015-03-02 2015-03-02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271B1 true KR101607271B1 (ko) 2016-03-30

Family

ID=5566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11A KR101607271B1 (ko) 2015-03-02 2015-03-02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463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직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180050462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발포필름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070A (ja) 2002-12-21 2006-04-20 クォン ソ,ユン 成形容易な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
JP2010053351A (ja) 2008-07-29 2010-03-11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070A (ja) 2002-12-21 2006-04-20 クォン ソ,ユン 成形容易な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
JP2010053351A (ja) 2008-07-29 2010-03-11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463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직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180050462A (ko) * 2016-11-04 2018-05-15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발포필름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77B1 (ko) 경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차량 내장재용 기재
EP2025558B1 (en) Base material for vehicle headliner
KR101015513B1 (ko)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복합판재
US20130341120A1 (en) Soundproof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EP2027995A1 (en) Base material for vehicle head liner
JPH06128401A (ja) 発泡性フィルム及びそれらから作られる成形物
KR102018641B1 (ko) 팽창형 발포제를 갖는 차량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5505751A (ja) モノリシック多層体物品
JP6161563B2 (ja) 繊維強化複合体
EP201592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construction element
KR101607271B1 (ko) 발포캡슐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7772B1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JP2022173292A (ja) 繊維強化樹脂物品、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KR101614067B1 (ko) 열팽창성 발포캡슐이 도포된 발포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기재
KR101713765B1 (ko) 간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발포필름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744671B1 (ko) 간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JP6067473B2 (ja) 繊維強化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複合体
KR20180050463A (ko) 직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JP2017141476A (ja) 型内発泡成形用発泡粒子、型内発泡成形体及び繊維強化複合体
KR101713764B1 (ko) 직접 예열 방식을 사용하는 발포필름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180050462A (ko) 발포필름 함유 다층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592277B1 (ko)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5878A (ko) 열팽창성 발포캡슐이 도포된 발포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기재
JP5715869B2 (ja) 自動車車体アンダーカ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