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715B1 -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715B1
KR101606715B1 KR1020150060621A KR20150060621A KR101606715B1 KR 101606715 B1 KR101606715 B1 KR 101606715B1 KR 1020150060621 A KR1020150060621 A KR 1020150060621A KR 20150060621 A KR20150060621 A KR 20150060621A KR 101606715 B1 KR101606715 B1 KR 10160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amount
charge
control unit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한
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넷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넷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넷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6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G01R31/360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망 및 상용 전원의 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주변 기상조건과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예상 소모량을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부하장치의 작동 상태를 저전력 작동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부하장치가 최대한 장시간 작동하도록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태양 전지판 또는 풍력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및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태양 전지판 또는 풍력 발전기에 의한 예상 발전량 및 예상 발전량에 따라 차후 배터리 팩이 충전될 수 있는 충전량을 산출하고, 배터리 팩의 현재 배터리 잔량과 예측된 충전량의 합에서 상기 부하장치의 예상 소모량을 차감하여 배터리 팩에 대한 최종 가용량을 산출하며, 충전 제어부에서 배터리 팩을 재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부하장치가 구동하되, 전력소모를 낮추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 팩의 예상 방전 시간을 증가시키는 가용량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Energy system improving energy efficiency}
본 발명은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해 충전되고, 외딴지역에서 전원을 공급하되,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배터리 팩의 최종 가용량을 판단하고, 최종 가용량을 토대로 부하장치를 저전력 작동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 가설이 곤란하거나, 수용가의 수가 적어 별도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 또는 험준한 산악지형에 위치하는 군사지역에서 이용하기 위한 독립전원 장치(Independent power source)는 통상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고, 이를 2차 전지에 충전하여 이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독립전원 장치는 송전선 가설이 곤란하거나 별도의 전력 공급이 적은 지역에 설치되므로, 일반인의 통행이 드믈고, 도로와 같은 교통망 설치가 미흡한 경우가 많아, 독립전원 장치가 방전되는 경우, 재 충전과 재 충전후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독립전원 장치가 영상촬상장치, 예컨대 CCTV와 같은 부하장치를 상시 구동하고, 영상촬상장치에서 촬상된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로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독립전원 장치가 방전되면 영상촬상장치에서 촬상된 영상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등록특허 KR10-0476718호는 VHF 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실시간 송수신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등록특허 KR10-0476718은 유선랜 망 또는 무선랜 망 중 가용한 망(Network)을 사용하여 원격지로 감시화면을 제공함으로써 감시화면의 전송 신뢰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이용하는 특성은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유선망의 운용과 상용 교류가 제공되는 영역으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인가가 없거나 드문 외딴지역이나 군사지역에서는 등록특허 KR10-0476718호에서 제안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운용이 어렵거나 불가하며, 외딴지역이나 군사지역 또는 환경감시를 위한 지역에서의 운용이 사실상 불가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전원의 확보와 유선망 사용의 제한으로 인한 통신 제한사항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망 및 상용 전원의 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상시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기상정보 및 배터리 상태정보를 토대로 최종 가용량을 판단하고, 최종 가용량의 범위 내에서 부하장치가 연속 작동할 수 있도록 부하장치를 저전력 제어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태양 전지판 또는 풍력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및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태양 전지판 또는 상기 풍력 발전기에 의한 예상 발전량 및 상기 예상 발전량에 따라 차후 상기 배터리 팩이 충전될 수 있는 예측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현재 배터리 잔량과 상기 예측 충전량의 합에서 부하장치의 예상 소모량을 차감하여 상기 배터리 팩에 대한 최종 가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충전 제어부에서 상기 배터리 팩을 재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상기 부하장치가 구동하되, 전력소모를 낮추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예상 방전 시간을 증가시키며, 상기 기상정보를 시간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통해 발전 가능한 발전량 또는 상기 풍력 발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을 충전 가능한 충전량을 산출하는 가용량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망 및 상용 전원의 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주변 기상조건과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예상 소모량을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부하장치의 작동 상태를 저전력 작동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부하장치가 최대한 장시간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가용량 제어부에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충전량을 구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저전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가용량 산출부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이하, "전원 시스템"이라 한다)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은 태양전지판(12) 또는 풍력 발전기(11)를 통해 생성되는 신재생 에너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팩(120)을 내장한다. 배터리 팩(120)은 복수의 셀(C1 내지 Cn)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연결된 것으로서, 부하장치(1 내지 4)가 요구하는 전원에 맞추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10)는 태양전지판(12) 또는 풍력 발전기(11)에서 생성되는 신재생 에너지의 전압과 전류를 배터리 팩(120) 충전에 적합한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 팩(120)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10)는 태양전지 패널(12) 또는 풍력 발전기(11)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배터리 팩(120) 충전에 맞는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 팩(120)에 공급할 수 있다.
BMS(130)는 충전부(110)에서 배터리 팩(120)으로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 및 배터리 팩(120)을 구성하는 각 셀(Cell)의 특성, 예컨대, 셀 전압과 셀 전류 및 셀의 온도를 참조하여 배터리 팩(120)이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팩(120)은 리튬-이온 계열의 셀(Cell), 리튬-폴리머 계열의 셀(Cell) 또는 리튬-인산철 계열의 셀(Cell)이 직렬 또는 직병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계열에 따라서, 완전 방전되었을 경우, 재 충전이 어렵거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으므로, 충전부(110)는 배터리 팩(120)에 대한 충전이나 방전에 대해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BMS(130)는 배터리 팩(120)을 구성하는 각 셀(C1 내지 Cn)의 충전 속도, 방전 속도 및 셀 전압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크 셀(Weak cell)을 판단할 수 있다. 셀(C1 내지 Cn)이 직렬 접속되는 경우, 충전 단자와의 거리에 따라 각 셀(C1 내지 Cn)의 충방전 속도나 만충 전압이 상이한 경우가 있으며, 직렬 접속되는 각 셀(C1 내지 Cn) 중 어느 하나의 방전 전압이 주변 셀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경우, 각 셀(C1 내지 Cn)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배터리 팩(120)의 충방전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BMS(130)는 위크 셀의 방전 전압에 맞추어 주변 셀의 전압을 낮추거나, 또는 위크 셀의 방전 전압 특성이 심하게 나쁠 경우 이를 스페어 셀로 대체할 수 있다.
BMS(130)는 배터리 팩(120)의 전원 잔량정보, 각 셀별 잔량정보 및 충방전 특성정보(각 셀별 충방전 속도 또는 배터리 팩(120)의 충방전 속도)를 가용량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가용량 제어부(150)는 충방전 특성정보, 배터리 팩(120)이나 각 셀의 전원 잔량정보 및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배터리 팩(120)의 최종 가용량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가용량은 배터리 팩(120)이 태양전지판(12)이나 풍력 발전기(11)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량과 부하장치(1 내지 4)에 의해 소모되는 소모량의 차이로 표현될 수 있다.
부하장치(1 내지 4)가 상시적으로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인 경우(예컨대 조명장치나 영상촬상장치), 부하장치(1 내지 4)에서 소모될 예상 소모량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용량 제어부(150)는 아래의 표 1에 따라 최종 가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41911950-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20)을 이용하여 가용한 최종 가용량은 배터리 팩의 잔량과 충전량의 합에서 부하장치(1 내지 4)의 예상 소모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부하장치(1 내지 4)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을 파악하고 있다면, 배터리 팩(120)의 최종 가용량으로 부하장치(1 내지 4)를 구동 가능한 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은 상용 전원(예컨대 220V 교류)에 의해 구동하지 않는다. 전원 시스템(100)은 태양전지판(12)나 풍력 발전기(11)에 의해 배터리 팩(120)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장치(1 내지 4)에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 만일, 기상 상태가 좋지 않아 태양전지판(12)에 의한 발전이 어렵거나, 또는 흐리면서 바람도 없는 기상 상태라면,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의 배터리 팩(120)은 충전될 수 없다.
따라서, 최종 가용량은 아래의 표 2에 따라 산출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15041911950-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종 가용량은 기상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120)을 충전 가능한 수준에 따라 충전량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기상정보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기상 서버(2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가용량 제어부(150)는 기상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기상정보를 시간단위로 분석하여 태양전지판(12)을 통해 발전 가능한 발전량과 풍력 발전기(11)를 통해 배터리 팩(120)을 충전 가능한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가용량 제어부(150)에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충전량을 구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용량 제어부(150)는 기상 서버(200)로부터 시간별 날씨정보를 획득하여 태양전지판(12)으로 발전이 가능한 시간과 풍력 발전기(11)로 발전 가능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서, 오전 8시부터 10시 까지는 맑은 날씨이며, 태양전지판(12)으로 발전이 가능한 시간대이고, 오후 3시부터 오후 9시 까지는 풍속이 6m/s로서 풍력 발전기(11)를 이용하여 발전이 가능한 시간임을 나타내고 있다.
가용량 제어부(150)는 풍속에 따라 풍력 발전기(11)에서 생성되는 발전량에 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가지고 있으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풍력 발전기(11)에서 오후 3시부터 오후 9시까지 발전 가능한 량을 산출하고,
마찬가지로, 오전 8시부터 오전 10시까지 태양전지판(12)를 이용하여 발전 가능한 량을 산출하며, 풍력 발전기(11)와 태양전지판(12)을 이용한 발전량의 합을 구하여 가용한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가용량 제어부(150)는 가용한 충전량을 산출하고, 통신모듈(140)을 통해 배터리 팩 잔량과 합산한 최종 가용량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통신모듈(140)로부터 획득한 최종 가용량 정보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최종 가용량 정보 및 전원 시스템의 위치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전원 시스템(100)이 방전되기 전, 전원 시스템(100)을 충전해 둠으로써, 부하장치(1 내지 4)가 지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용량 제어부(150)는 부하장치(1 내지 4)가 저전력 작동하도록 저전력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부하장치(1 내지 4)가 구동하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작동 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부하장치(3)가 조명장치(예컨대 가로등)이고, 조명장치(3)가 평상 시, 지면에서 측정되는 조도가 200 Lux 라고 가정하면,
가용량 제어부(150)는 조도를 200 Lux 이하, 예컨대 70 Lux가 되도록 조명장치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조명장치(3)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배터리 팩(120)의 방전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부하장치(4)가 영상촬상장치(예컨대 CCTV)이고, 압축률을 높인 고화질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용량 제어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률을 낮춘 저화질 영상을 인코딩하도록 영상촬상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3)나 영상촬상장치(4)와 같은 부하장치(1 내지 4)의 전력 소모량은 감소하며, 배터리 팩(120)이 오랜 시간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부하장치(4)가 영상촬상장치(예컨대 CCTV)이며, 부하장치(4)의 작동 모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시스템(100)은 영상촬상장치(4)가 촬상대상 지역을 상시 촬상하지 않고, 촬상대상 지역에서 동작이 감지될 때만 촬상하도록 영상촬상장치(4)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촬상장치(4)는 촬상대상 지역에서 사람, 동물, 차량을 비롯 다양한 물체가 이동하거나, 또는 일출과 일몰에 따라 촬상대상 지역의 조도 변화가 발생할 때, 촬상대상 지역에 대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 외의 조건에 대해서는 영상촬상장치(4)가 촬상대상 지역을 촬상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배터리 팩(120)의 전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영상촬상장치(4)는 동작감지를 위한 동작감지 센서(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동작감지 센서(4-1)의 검출결과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에 통지되고, 전원 시스템(100)이 검출결과에 응답하여 영상촬상장치(4)가 촬상대상 지역을 촬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용량 제어부(150)는 가용량 산출부(151) 및 부하 제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용량 산출부(1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 서버(200)로부터 기상정보(예컨대, 태양광이 비추는 시간대, 일조량, 일조 시간, 우천, 강설, 풍량 및 풍속)를 수신하고,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태양전지판(12)이나 풍력 발전기(11)가 발전 가능한 시간대, 및 태양전지판(12)이나 풍력 발전기(11)에서 발전 가능한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가용량 제어부(150)는 표 1 및 표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20) 잔량을 충전량과 합산하고, 여기서, 부하장치(1 내지 4)가 시간당 소모하는 부하장치의 예상 소모량을 감산하여 배터리 팩(120)의 최종 가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가용량 제어부(150)는 BMS(130)를 통해 배터리 팩(120) 또는 배터리 팩(120)을 구성하는 각 셀(C1 내지 Cn)의 특성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하여 최종 가용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배터리 팩(120) 또는 셀(C1 내지 Cn)의 충전 특성 및 방전 특성에 따라 배터리 팩(120)이 방전되는 예상 방전시점은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만일, 배터리 팩(120)이 잔량 20% 일 때, 급속한 방전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면, 가용량 산출부(151)은 BMS(130)로부터 배터리 팩(120)의 방전 특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20)의 잔량이 20% 남았을 경우에는 급속한 방전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여 최종 가용량 또는 최종 가용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가용량 산출부(151)는 소모전력 패턴정보를 참조하여 최종 가용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소모전력 패턴정보는 24시간, 1주일, 한달을 단위로 하여 배터리 팩(120)에서 방전되는 방전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치를 토대로 배터리 팩(120)의 최종 가용량 또는 최종 가용시간을 판단할 수도 있다.
소모전력 패턴정보는 특정 시간대나 특정 주기에 전원 시스템(100)에 부하장치가 추가로 연결되거나 또는 특정 시간대나 특정 주기에 부하장치(1 내지 4)에 과부하가 걸리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부하 제어부(152)는 가용량 산출부(151)에서 산출된 최종 가용량과, 부하장치(1 내지 4)의 예상 소모량 및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부하장치(1 내지 4)가 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도록 부하장치(1 내지 4)를 제어할 수 있다.
부하 제어부(152)는 기상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120)의 재 충전이 가능한 시기까지 부하장치(1 내지 4)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소모량으로 구동하도록 부하장치(1 내지 4)의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결과는 통신모듈(140)을 통해 부하장치(1 내지 4)에 통지되거나 또는 부하장치(1 내지 4 중 어느 하나)가 실시예에 따른 전원 시스템(10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부하장치(1 내지 4)에 작동 모드를 저전력 모드로 통지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작동 모드가 저전력 모드로 설정되면, 부하장치(1 내지 4)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3)의 조도를 낮추거나, 영상촬상장치(4)의 압축률을 낮추거나, 압축 손실율을 높이거나 또는 영상촬상장치(4)가 동작감지 모드로 영상을 촬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부하장치(1 내지 4)가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1 내지 4 : 부하장치 11 : 풍력 발전기
12 : 태양전지판 110 : 충전부
120 : 배터리 팩 130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140 : 통신 모듈 200 : 기상 서버
300 : 관리 서버

Claims (8)

  1. 태양 전지판 또는 풍력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충전 제어부; 및
    기상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태양 전지판 또는 상기 풍력 발전기에 의한 예상 발전량 및 상기 예상 발전량에 따라 차후 상기 배터리 팩이 충전될 수 있는 예측 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현재 배터리 잔량과 상기 예측 충전량의 합에서 부하장치의 예상 소모량을 차감하여 상기 배터리 팩에 대한 최종 가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충전 제어부에서 상기 배터리 팩을 재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상기 부하장치가 구동하되, 전력소모를 낮추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예상 방전 시간을 증가시키며, 상기 기상정보를 시간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통해 발전 가능한 발전량 또는 상기 풍력 발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을 충전 가능한 충전량을 산출하는 가용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량 제어부는,
    상기 충전량과 상기 배터리 팩의 사용 패턴을 참조하여 상기 최종 가용량을 산출하는 가용량 산출부; 및
    상기 가용량과 상기 부하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참조하여 상기 부하장치를 저전력 제어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는, 조명장치이며,
    상기 부하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조도 제어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가 저전력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는 영상촬상장치이며,
    상기 부하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상장치의 압축률을 증감하거나 손실 압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영상촬상장치가 저전력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장치는 영상촬상장치이며,
    상기 부하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동작감지 촬상모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팩에 대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BMS 제어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 셀에 대한 충방전 특성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충방전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예상 방전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기상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시간별 일조량, 일조시간, 및 풍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KR1020150060621A 2015-04-29 2015-04-29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KR10160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21A KR101606715B1 (ko) 2015-04-29 2015-04-29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21A KR101606715B1 (ko) 2015-04-29 2015-04-29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715B1 true KR101606715B1 (ko) 2016-03-28

Family

ID=5700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21A KR101606715B1 (ko) 2015-04-29 2015-04-29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7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416B1 (ko) * 2017-12-26 2019-01-07 벽산파워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최대수요전력 제어 시스템
KR20190032038A (ko) * 2017-09-19 2019-03-27 (주)코러싱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15238B1 (ko) * 2022-09-13 2023-12-19 김근식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2640918B1 (ko) * 2023-11-16 2024-02-27 주식회사 에스에스라이트 Ict 기반 완전 독립식 하이브리드 가로등 및 보안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213A (ko) * 1994-03-22 1995-10-18 박성규 배터리 전력 소모 저감용 장치
KR20050017478A (ko) * 2003-08-13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가용 파워 산출방법
KR100787389B1 (ko) * 2007-07-03 2007-12-21 케이비에너지(주) 하이브리드형 가로등
KR101487983B1 (ko) * 2014-08-18 2015-01-29 주식회사 금경라이팅 태양광 충전 효율 최적화를 위한 제어 기능을 갖는 태양광 가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213A (ko) * 1994-03-22 1995-10-18 박성규 배터리 전력 소모 저감용 장치
KR20050017478A (ko) * 2003-08-13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가용 파워 산출방법
KR100787389B1 (ko) * 2007-07-03 2007-12-21 케이비에너지(주) 하이브리드형 가로등
KR101487983B1 (ko) * 2014-08-18 2015-01-29 주식회사 금경라이팅 태양광 충전 효율 최적화를 위한 제어 기능을 갖는 태양광 가로등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38A (ko) * 2017-09-19 2019-03-27 (주)코러싱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059525A1 (ko) * 2017-09-19 2019-03-28 (주)코러싱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83425B1 (ko) * 2017-09-19 2020-03-02 (주)코러싱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10856380B2 (en) 2017-09-19 2020-12-01 Chorushing Co., Ltd Photovoltaic lighting system having integrated control board, and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KR101915416B1 (ko) * 2017-12-26 2019-01-07 벽산파워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최대수요전력 제어 시스템
WO2019132054A1 (ko) * 2017-12-26 2019-07-04 벽산파워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최대수요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15238B1 (ko) * 2022-09-13 2023-12-19 김근식 가로등 제어 시스템
WO2024058310A1 (ko) * 2022-09-13 2024-03-21 김근식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2640918B1 (ko) * 2023-11-16 2024-02-27 주식회사 에스에스라이트 Ict 기반 완전 독립식 하이브리드 가로등 및 보안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64B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06715B1 (ko) 에너지 효율을 자동 제어하는 전원 시스템
US10483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utonomously powered devices using variable power source
CN107613251A (zh) 监控系统、太阳能违法抓拍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733030A (zh) 一种智能化锂电池充电自动控制系统
CN107258044A (zh) 太阳能家庭系统
KR20120023435A (ko)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
JP4928215B2 (ja) 屋外監視装置及び映像監視システム
CN207283704U (zh) 监控系统及太阳能违法抓拍系统
CN105122170A (zh) 用于太阳能供电照明的增强安全性的系统和方法
KR101343032B1 (ko) 태양광 전지를 이용한 연료전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가로등
JP2010045929A (ja) 負荷動作制御装置および負荷動作制御方法
GB2598962A (en) Methods of managing the power requirements of off-grid assemblies and off-grid assemblies employing such
CN211019359U (zh) 光伏路灯控制装置和光伏路灯设备
KR101012673B1 (ko) 태양광발전 자동제어장치
JP2006146295A (ja) 交通信号システム
KR101388430B1 (ko) 적응적으로 전원공급 필요성을 판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621883B1 (ko)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 및 상기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을 제어하는 방법
CN109347194B (zh) 5g基站及其供电系统
KR20130080633A (ko) 임피던스 매칭형 태양광 충방전 제어장치, 조명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4435B1 (ko) 솔라모듈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65204B1 (ko) 신재생에너지의 충/방전 조절 기능을 갖는 wcdma 원격 제어시스템
JP6818566B2 (ja) 充放電装置
CN204707308U (zh) 一种太阳能路灯远程控制装置
KR101860720B1 (ko)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조명의 조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