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471B1 -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471B1
KR101606471B1 KR1020140105047A KR20140105047A KR101606471B1 KR 101606471 B1 KR101606471 B1 KR 101606471B1 KR 1020140105047 A KR1020140105047 A KR 1020140105047A KR 20140105047 A KR20140105047 A KR 20140105047A KR 101606471 B1 KR101606471 B1 KR 10160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astening
cooling medium
joi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0118A (en
Inventor
장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471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조 및 상기 개방된 하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제1 접합부재와 접촉 배치되는 제2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조로 구성되어 접합부를 형성하는 진공조와, 상기 제1 접합부재 및 상기 제2 접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부재, 상기 진공조를 기준으로 상기 밀폐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합부의 측면 중 일부를 커버하며 고정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접합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커버하며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로 이동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에 일부가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용기 체결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부조와 하부조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고, 상호간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진공탈가스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omprises an upper tank including a first joining member ope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provid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aling member, A fastening bolt which is disposed on the outside and covers and cover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joint portion and a rod which is fixed to cover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joint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movable to the through hole, An elastic member which is woun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in a portion of the rod, It is possible to easily fasten and separate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of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and increase the mutual adhesion force so that the vacuum tank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gas equipment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sel tigh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부조와 하부조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고, 상호간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fasten and separate upper and lower tanks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Tightening device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용선은 전로에서 1차 정련된 후 용강으로 출강되고, 이후 진공 탈가스 설비(통상,‘RH 탈가스 설비’라 한다)에서 2차 정련 처리된다. 진공 탈가스 설비는 용강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C, H, N, P, S)을 제거하고, 용강의 온도를 보정하며, 용강의 성분과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용강을 환류(還流)시키는 설비이다. Generally, molten iron is firstly refined in a converter and then molten steel, and then secondary refined in a vacuum degassing facility (commonly referred to as "RH degassing facility"). The vacuum degassing facility removes the impurities (C, H, N, P, S) contained in the molten steel, corrects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teel, reflows the molten steel to uniformize the components and temperature of the molten steel Equipment.

이와 같은 진공탈가스 설비의 환류 공정은 진공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침적관이 래들에 수용된 용강에 침지되고, 환류 가스를 침적관 내부로 취입하면 용강이 진공조의 하부 침적관을 통하여 진공조 내부로 상승한다. 이후, 진공조 내에 용강이 유입되어 일정 높이가 되면 용강은 철정압에 의하여 자연 하강되어, 유입된 침적관의 반대편 침적관으로 하강하여 래들 용강속으로 환류하는 반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In the reflux process of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the deposition tu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acuum chamber is immersed in the molten steel accommodated in the ladle, and when the reflux gas is blown into the deposition tube, the molten steel rises to the inside of the vacuum chamber through the lower deposition tube do. Thereafter, when the molten steel flows into the vacuum chamber and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molten steel is naturally lowered by the static pressure of iron, and the molten steel is lowered by the sinking pi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mmersed pipe to perform reflux operation into the molten steel.

이때, 진공조는 철피의 내측벽을 내화물이 감싸며 구성되고, 이는 고온의 용강의 환류 반복과정에 의한 사용횟수의 증가에 따라 내화물의 침식이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내화물 침식 부위로 용강이 유출되는 대형사고를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진공조의 내화물 교체 작업이 요구된다. At this time, the vacuum chamber is constituted by the refractory surrounding the inner wall of the iron pipe, and the erosion of the refractory occurs rapidly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refluxing process of the molten steel at high temperature is increased. Therefore, refractory replacement work of a vacuum tank is required to suppress or prevent a large accident in which molten steel leaks into the refractory erosion site.

이와 같은 진공조의 내화물 교체 작업은 진공조를 구성하는 상부조와 하부조를 분리한 후, 내부의 내화물을 교체한 뒤 조립 작업시 상부조와 하부조의 플랜지(Flange) 면에 고정용 볼트를 조립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진공조를 체결하고 있다. 즉, 상부조의 플랜지 면의 상부와 하부조의 플랜지 면의 하부를 감싸는 클램프 볼트(Clamp Bolt; C Clamp)를 약 20개 정도 이격되어 배치하여 상부조와 하부조를 볼팅하여 진공조를 체결할 수 있다. In the refractory replacement work of such a vacuum tank, after separating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constituting the vacuum tank and replacing the refractories therein, a fixing bolt is assembled to the flange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nd the vacuum tank is fastened by the structure. That is, a clamp bolt (C Clamp) which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flange surface of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part of the flange surface of the lower tank may be spaced by about 20 to bolt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to tighten the vacuum tank.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고진공 상태에서 용강의 처리 중 매 채널마다 반복적으로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이 용강의 처리 중 진공조에는 물론이거니와 진공조 대차 설비 등에 전달된다. 이에, 상부조와 하부조를 체결하는 클램프 볼트에 진동이 전달되어 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볼트의 풀림 현상에 의해 정련 중인 용강이 진공조 외부로 유출되는 대형 쇳물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However, in such a method, vibration is repeatedly generated in every channel during processing of molten steel in a high vacuum state, and this vibration is transmitted to a vacuum chamber, a vacuum chamber, and the like during the processing of molten steel. Accordingly,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amp bolt for clamp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and the bolt is loosened. As a result of the bolt loosening, the molten steel refining may leak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tank, have.

따라서, 진공탈가스 설비를 사용하는 동안 작업자가 진공조의 볼트 체결상태를 육안으로 상시 확인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공정 효율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Therefore, during the use of the vacuum degassing facility, the operator is required to constantly check the bolt fastening state of the vacuum tank with the naked ey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reducing the process efficiency of the operator.

KR1997-0039911UKR1997-0039911U KRKR 2000-00394502000-0039450 AA KRKR 2007-00845752007-0084575 AA

본 발명은 진공탈가스 설비 진공조의 분리 및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at can easily perform separation and fastening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vacuum tank.

본 발명은 상부조와 하부조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an upper tank and a lower tank.

본 발명은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진공탈가스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at can reduce the load of a worker and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정적인 조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asten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table operating environment and a vacuum degassing facilit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용기의 상호 접하는 접합부를 체결하는 용기 체결 장치는, 상기 접합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커버하며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로 이동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에 일부가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mutually abutting joint portions of the detach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rod movable in the through hole and covering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joint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wound around the rod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and a fixing member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joint and is partly insertable into the rod.

상기 로드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A lower side of the rod may have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may be the same.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접합부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And a pressure regulator for moving the rod by varying a pressure of the inner space, wherein the rod is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o divide the inner space.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타단을 기준으로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상부 내부공간 및 상기 하부 내부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내의 압력을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로드를 상기 접합부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상기 접합부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n upper inner space and a lower inner space with reference to the other end, and the pressure regulator increases and decreases the pressure in any one of the upper inner space and the lower inner space, It can be lowered in the lower direction or rai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joined portion.

상기 접합부를 상하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며 제1 홀이 형성된 제1 접합부재 및 상기 제1 접합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된 제2 접합부재로 구분할 때,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1 접합부재의 제1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And a second joining memb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joining por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has a first joining member formed with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disposed below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When the pressure regulator is not operated, one end of the rod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ole of the first joining member.

상기 접합부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접촉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과 마주보는 상기 접합부에는 상기 접촉면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 측면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ne, and the contact portion facing the contact surface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ntac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re inserted.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 폭은 상기 접합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fixing member may increas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member contacts the joining portion.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로드의 타단면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결합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피치(Pitch)는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하기 전 탄성부재의 피치보다 작고,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된 후의 탄성부재의 피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Wherein the elastic memb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rod facing the bottom surface, and after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May have a value smaller than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before the pressure regulator is operated and a value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after the pressure regulator is operated.

상기 체결홀은 상기 로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로드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10 내지 30%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of 10 to 30%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rod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는 상기 접합부의 하측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체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unit and the coupl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unit, .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분리 구비되는 냉각매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매체 수용공간에는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매체 공급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은 상기 냉각매체를 저장하는 냉각매체 저장기와, 일단은 상기 냉각매체 저장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매체 수용공간에 연결되는 냉각매체 경유관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and a cooling medium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ooling medium is connected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And a cooling medium flow pip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and at the other end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상기 접합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접합부재 및 제2 접합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로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체결부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접합부재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접합부재를 상호 밀착되게 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joining member and a second joining member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rod and the fixing member are engag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orce of pushing the two joining membe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탈가스 설비는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조 및 상기 개방된 하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제1 접합부재와 접촉 배치되는 제2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조로 구성되어 접합부를 형성하는 진공조와, 상기 제1 접합부재 및 상기 제2 접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부재, 상기 진공조를 기준으로 상기 밀폐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합부의 측면 중 일부를 커버하며 고정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진공조를 기준으로 상기 접합부 상에서 밀폐부재 및 상기 체결볼트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합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용기 체결 장치를 포함한다.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ank including a first joining member ope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lower tank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pened lower surface thereof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and disposed outside the sea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vacuum chamber, A fastening bolt for covering and fix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joint, and a container fastening devic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astening bolt and the sealing member on the fastening base with respect to the vacuum fastening, at least a part of the fastening bolt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용기 체결 장치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용기 체결 장치로 구성된 한 쌍이 상기 접합부의 외주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and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may be provided, and a pair of the fastening bolts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join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에 의하면, 분리가능한 용기의 플랜지부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며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밀폐성이 요구되는 용기의 체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and the vacuum dega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detachable container can be increased and fastened easily,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property of the container .

즉, 진공탈가스 설비의 진공조를 구성하는 상부조와 하부조를 관통하는 로드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탄성부재가 나타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부조와 하부조 사이를 보다 밀착시킨다. 이에, 로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된 고정부재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상부조와 하부조가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진공탈가스 설비의 안정적인 진공조 체결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설비의 조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od passing through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constituting the vacuum tank of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and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refore,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unless the fixing member insert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rod is removed. Thus, stable vacuum tightening of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is performed, have.

이에, 종래에 C자형 볼트에 의해서만 플랜지부를 체결할 때에 설비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볼트가 분리되어 진공조가 분리되는 중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진공조의 체결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작업자가 항시 대기하여야 하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최종적으로 진공탈가스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engaging the flange portion only by the C-shaped bo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id-to-large accident in which the bolt is sepa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quipment and the vacuum trough is separated. In order to observe the tightening condition of the vacuum troug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to be incurred and ultimately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vacuum degassing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부 및 용기 체결 장치를 확대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합부의 결합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매체 공급유닛 및 냉각매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접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절기의 작동에 따른 로드 및 탄성부재의 변화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체결 장치를 이용한 진공 탈가스 설비의 진공조의 체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join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ed state of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and the cooling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junc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rod and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 vacuum tank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using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여기서, 장치 또는 구성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vice or compon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Quot ;, "left," " right, "" lateral," and the like) used herein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does not indicate or imply that it should simply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크기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ize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region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or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때,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용기 체결 장치는 분리 가능한 용기에서 분리된 용기 각각의 제1 및 제2 접합부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며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기로 진공탈가스 설비의 진공조일 수 있고, 접합부는 진공조를 구성하는 상부조의 제1 플랜지와 하부조의 제2 플랜지가 접합되어 형성된 플랜지부일 수 있다. 그러나, 용기 체결 장치가 체결하는 용기는 진공조에 한정되지 않고, 진공 및 밀폐가 요구되는 분리 가능한 용기의 접합 결합 부분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며 체결되어야 하는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용기 및 진공조, 접합부 및 플랜지부, 제1 접합부재/제2 접합부재 및 제1 플랜지/제2 플랜지의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어도 그 의미는 동일하다.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is an apparatus for easily tightening and separating the bonding portions formed by the joining of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of each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contain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joining portion may be a flange portion formed by joining the first flange of the upper tank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lower tank constituting the vacuum tank. However, the container to which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is fastened is not limited to the vacuum container,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ces where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part of the separable container requiring vacuum and sealing is increased and fastened. Therefore, in the following, the meaning of the container and the vacuum tank, the joint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the first joint member / second joint member, and the first flange / second flange are mixed and used.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탈가스 설비의 진공조 체결 장치 및 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tightening apparatus and a tightening method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랜지부 및 용기 체결 장치를 확대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랜지부의 결합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매체 공급유닛 및 냉각매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and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flange portion of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and the cooling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lange por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진공탈가스 설비(1)는 RH설비라고 불리고, RH는 Rheinstahl-Heraus의 약자이다. 진공 탈가스 설비(1)는 2차 정련 설비로서, 전로로부터 출강된 용강의 1차 정련 후, 진공 탈가스 설비(1)에 구비된 환류관을 통해 아르곤(Ar)가스와 같은 비활성 가스인 환류가스를 취입하고, 이어서 용강(M)이 래들(L)과 진공조(100)를 순환 가능하도록 상승관(170a) 및 하강관(170b)으로 분리된 침적관(170)을 래들(L)에 수용된 용강(M)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진공조(100)는 진공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진공수단의 작용에 의해 진공조(100) 내부를 수 내지 수십 토르(torr)로 감압시켜 진공분위기 상태로 만든다. 이와 같이, 대기 압력과 진공조(100) 내부압력의 차이로 인해 래들(L) 내의 용강(M)이 진공조(100) 내부로 상승하게 되어 용강(M)의 정련이 진행되며, 용강(M)을 환류시킨 가스는 진공조(100)의 측벽에 형성된 배기구(190)를 통해 배기구 덕트(미도시)로 배출된다. The vacuum degassing facility (1) is called RH facility and RH is abbreviation of Rheinstahl-Heraus.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1 is a secondary refining apparatus which is a refining apparatus for refining the molten steel introduced from the converter through a reflux pipe provided in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1, And the deposition pipe 170 separated into the uprising pipe 170a and the downfalling pipe 170b is disposed on the ladle L so that the molten steel M can circulate through the ladle L and the vacuum tank 100 And immersed in the molten steel (M). Vacuum means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100 so that the inside of the vacuum chamber 100 is reduced to several tenths of torr by the action of the vacuum means, thereby forming a vacuum atmosphere. The molten steel M in the ladle L rises into the vacuum chamber 100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vacuum chamber 100 so that refining of the molten steel M proceeds, Is exhausted to an exhaust duct (not shown) through an exhaust port 190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vacuum chamber 100.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탈가스 설비(1)는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 플랜지(150a)를 포함하는 상부조(110) 및 상부조(110)의 개방된 하면에 접촉 배치되어 제1 플랜지(150a)와 접촉 배치되는 제2 플랜지(150b)를 포함하는 하부조(130)로 구성되어 플랜지부(150)를 형성하는 진공조(100)와,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부재(600), 진공조(100)를 기준으로 밀폐부재(600)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플랜지부(150)의 측면 중 일부를 커버하며 고정하는 체결볼트(700) 및 진공조(100)를 기준으로 플랜지부(150) 상에서 밀폐부재(600) 및 체결볼트(700)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부(150)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용기 체결 장치(100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ank 110 including a first flange 150a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vacuum tank 100 constituted by a lower tank 130 including a second flange 150b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150a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150a to form the flange 150, A sealing member 6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and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600 with respect to the vacuum chamber 100 to cover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150 Is disposed inside the sealing member 600 and the fastening bolt 700 on the flange portion 150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bolts 700 and the vacuum tank 100 which are fixed and at least part of the fastening bolts 700 penetrate through the flange portion 150 And a container inserting apparatus 1000 to be disposed.

플랜지부(150)는 상부조(110)의 제1 플랜지(150a)와 하부조(130)의 제2 플랜지(150b)로 구분되며, 제1 플랜지(150a)의 하면과 제2 플랜지(150b)의 상면은 상호 접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는 각각 상부조(110) 및 하부조(130)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며 형성되어, 후술하는 밀폐부재(600), 체결볼트(700) 및 용기 체결 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15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155)이 형성되며, 관통홀(155)은 제1 플랜지(150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 홀(155a)과 제2 플랜지(150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 홀(155b)이 상호 연통된 상태를 지칭한다. 또한,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의 각각 마주보는 일면에는 밀폐부재(600)가 배치되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150 is divided into a first flange 150a of the upper tank 110 and a second flange 150b of the lower tank 13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50b, May be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respectively. The sealing member 600, the fastening bolt 700,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 1000 can be installed. The through hole 155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5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155 has a first hole 155a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flange 150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second hole 155b, which passes through the second flange 150b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receiving grooves (not shown) in which the sealing member 600 is dispose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respectively.

밀폐부재(600)는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가 상호 가까워지며 접촉할 때에, 접촉하는 면 사이의 이격 발생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밀폐부재(600)는 진공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의 연장방향에서 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진공조(1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의 돌출 길이를 기준으로 중앙에서 진공조(100)로부터 보다 먼 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6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so that wh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approach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or prevent occurrence of separation. The sealing member 6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vacuum chamber 100. [ That is,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protruding outward of the vacuum chamber 100 may be disposed at a farther outer portion from the vacuum chamber 100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flange 150b.

체결볼트(700)는 플랜지부(15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플랜지부(15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볼트(700)는 제1 플랜지(150a)의 상면 일부 및 측면과 제2 플랜지(150b)의 하면 일부 및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볼트를 조임으로써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의 외곽부를 보다 밀착시키며 체결할 수 있다. The fastening bolt 700 is for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and fixing the flange portion 150. The fastening bolt 700 is formed by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50a,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can be tightly fitted and tightened by tightly fastening the bolt.

용기 체결 장치(1000)는 진공조(100)를 기준으로 플랜지부(150) 상에서 밀폐부재(600) 및 체결볼트(700)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부(150)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것으로서, 플랜지부(15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155)을 커버하며 고정되고, 관통홀(155)로 이동 가능한 로드(230)를 포함하는 체결부(200)와, 체결부(200) 내에서 로드(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 배치되는 탄성부재(300) 및 체결부(20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로드(230)에 일부가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410)를 포함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즉, 체결장치(1000)는 상부조(110)의 제1 플랜지(150a)와 하부조(130)의 제2 플랜지(150b) 사이의 밀착력을 보다 증가시킨 상태로 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용기 체결 장치(1000)는 밀폐부재(600)와 체결볼트(700)보다 진공조(100)와 근접한 위치에서 플랜지부(150)에 배치됨으로써, 진공조(100)와 근접한 영역의 플랜지부(150)의 밀착력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ainer tightening apparatus 1000 is disposed on the flange portion 150 on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600 and the fastening bolt 700 with respect to the vacuum chamber 100,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200 including a rod 230 which is fixed to the flange part 150 so as to cover the through hole 155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movable to the through hole 155, And an elastic member 300 wound around the rod 230 and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30 and a fixing member 410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unit 200 and partially insertable into the rod 230 (Not shown). That is, the fastening device 1000 is an apparatus for fastening the first flange 150a of the upper tank 110 and the second flange 150b of the lower tank 130 in a state in which the tightening force is increased. The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1000 is disposed in the flange portion 150 at a position closer to the vacuum chamber 100 than the sealing member 600 and the fastening bolt 700, (150) can be partially increased.

체결부(200)는 플랜지부(150) 상에 안착되어 관통홀(155)로 이동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플랜지(150a) 상면에 안착되어 제1 홀의 상부를 커버하며 고정되며, 제1 홀(155a)과 제2 홀(155b)이 형성하는 관통홀(155)을 상승 및 하강하며 이동 가능한 로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체결부(200)는 플랜지부(150)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고 내부공간(212)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내부공간(212)의 압력을 변화시켜 로드(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조절기(250)를 포함한다. The fastening portion 200 includes a rod that is seated on the flange portion 150 and is movable to the through hole 155.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portion 2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50a, And includes a rod that is movable up an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formed by the first hole 155a and the second hole 155b. The fastening part 200 includes a housing 210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ange part 150 and in which an internal space 212 is formed and a fastening part 210 for moving the rod 230 by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212 And a pressure regulator 250.

하우징(210)은 플랜지부(150)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며, 내부에 로드(2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기 위한 내부공간(212)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플랜지부(150)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평면 크기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플랜지부(15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하면은 로드(2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해 로드(230)는 하우징(210)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은 후술하는 로드(230)의 타단에 의해 상부 내부공간(212a) 및 하부 내부공간(212b)을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로드(230)를 설명할 때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housing 2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ange portion 150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12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od 230 therein. The housing 210 is smaller than the plane size of the flange portion 150 Can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lanar size and can be seated on the flange portion (150). A hol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to allow the rod 230 to move, and the rod 230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210 through the hole. At this time, the housing 21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internal space 212a and a lower internal space 212b by the other end of the rod 2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od 23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하우징(2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즉, 상면이 개방되지 않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하우징(210)은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여 내부공간(212)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덮개부가 구비되어 하우징이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덮개부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우징(210) 내부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housing 2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that is, it is formed as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not opened, the housing 210 covers the upper surface opened and opened, And a lid (not shown) for sealing the space 212. In the case where the cover is provided and the housing is detachably formed,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can be easily checked by separating the cover,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로드(23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바(bar)로 형성되어 하우징(210)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며, 하측에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체결홀(235)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230)는 소정길이를 갖고 일단부의 소정 영역은 하우징(210)의 외측에 배치되며, 타단부의 소정 영역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2)에 배치된다. 이때, 로드(230)의 일단(231)은 관통홀(155)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231)의 평면크기가 관통홀(155)의 평면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관통홀(155)의 평면 크기의 5% 이내로 작은 평면 크기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로드(230)의 일단(231)의 평면 크기가 관통홀(155)의 평면 크기보다 5% 이상의 범위로 작은 평면 크기를 갖고 형성되면, 관통홀(155)의 내주면과 로드(230)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의 증가에 의해 로드(230)와 고정부재(410)가 결합 되더라도, 로드(230)가 이격공간 내에서 움직이게 되어 체결의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rod 230 includes a fastening hole 235 which is formed in a bar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ing 210 and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at the low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rod 2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predetermined region of one end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210, and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212 of the housing 210. One end 231 of the rod 23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plane size of the through hole 155 so that one end 231 can move within the through hole 155, Can be formed with a small planar size within 5% of the planar size. When the planar size of one end 231 of the rod 230 is formed with a plane size that is smaller than the plane size of the through hole 155 by 5% or mo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5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30 Even if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are coupled by an increase in the spacing distance of the rod 230, the rod 230 may move within the spacing space, thereby reducing the stability of the fastening.

한편, 로드(230)의 타단(233)은 내부공간(212) 내에 배치되며, 내부공간(212)을 분할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최내측벽에 접촉 배치된다. 즉, 타단(233)은 단면도 상에서 내부공간(212)을 타단(233)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의 소정 영역을 갖는 상부 내부공간(212a)과, 타단(233)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영역을 갖는 하부 내부공간(212b)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타단(233)의 평면 크기는 하우징(210)의 최내측벽이 형성하는 평면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타단(233)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내부공간(212a)과 하부 내부공간(212b)을 상호 밀폐할 수 있을 정도의 평면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공간(2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타단(233)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내부공간(212a)과 하부 내부공간(212b)은 도 3에 도시된 영역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압력조절기(250)에 의해 로드(230)가 이동할 경우 각각 변경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The other end 233 of the rod 2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2 an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most sidewall of the housing 210 to divide the inner space 212. That is, the other end 233 has an upper internal space 212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end 233 and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233 downward And the lower internal space 212b. At this time, the plane size of the other end 233 may be the same as the plane size formed by the innermost sidewall of the housing 210,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inner space 212a divided by the other end 233,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2 in a planar size enough to seal the inner space 212b. The upper inner space 212a and the lower inner space 212b divided by the other end 233 are not limited to the region shown in FIG. 3, and the rod 230 can be separated by the pressure regulator 250, When moved, they can have changed areas.

체결홀(235)은 후술하는 고정부재(410)가 삽입되도록 로드(230)의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210) 외측에 배치되는 로드(230)의 일단(즉, 하부)의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고, 로드(230)의 이동에 의해 플랜지부(150) 하부로 돌출 배치되는 로드(230)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235)은 로드(23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10 내지 30%의 범위 내에서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홀(235)이 로드(230)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30%를 초과하는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우, 체결홀(235)이 플랜지부(150)의 하측에서 나타나도록 로드(230)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힘이 크게 요구되기 때문에 공정의 효율성이 감소되며, 체결홀(235)이 로드(23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20% 미만의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우, 플랜지부(150)의 상측에 배치되는 로드(230)가 하측에 배치되는 로드(230)보다 큰 크기를 가짐으로써 로드(230)가 안정적으로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지 않아 로드(230)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체결홀(235)은 체결홀(235)의 최상단이 플랜지부(150)의 하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경우에, 로드(230)의 중심(즉, 로드(230)의 상하방향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중앙부)는 하우징(210)의 바닥면과 나란한 위치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로드(23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rod 230 so as to insert a fixing member 410 to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od 230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210 And may be formed on the region of the rod 230 that is protru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by the movement of the rod 230.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35 may be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within a range of 10 to 30% from the lower end of the rod 230 to the upper end. Here, when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at a height higher than 30% from the lower end of the rod 230, the rod 230 is lowered so that the fastening hole 235 appears at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reduced because the driving force is required to a great extent and when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20% from the lower end of the rod 230, It is not easy for the rod 230 to be stably arranged because the rod 230 is larger than the rod 230 disposed below and the rod 230 is not stably placed in the housing 210. When the uppermost end of the fastening hole 235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d 230 May be formed on the rod 230 at a position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0. [

압력조절기(250)는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2)의 압력을 변화시켜 로드(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 내부공간(212a)과 하부 내부공간(212b)의 압력 차이로 인해 로드(230)가 관통홀(155)을 통해 플랜지부(150)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거나, 플랜지부(150)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압력조절기(250)로는 유압기와 같은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압력조절기(2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내부공간(212a)과 하부 내부공간(212b) 사이의 압력 변화에 의해 로드(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압력 제공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기(250)는 플랜지부(150)를 체결한 후, 상부조(110) 및 하부조(130)의 분리가 요구되는 유지보수 시점까지는 하우징(210)에서 분리시켜 보관될 수 있다. 즉, 압력조절기(250)는 탈착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에 연결됨으로써, 상부조(110)와 하부조(130)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시점에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압력조절기(250)가 차지하는 공간이 항상 요구되지 않아 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a means for moving the rod 230 by varying the pressure in the inner space 212 of the housing 210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inner space 212a and the lower inner space 212b The rod 230 can be adjusted to move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or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not limi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250. The pressure regulator 250 may be a pressure regulator such as a pressure regulator, Various pressure providing means capable of moving the pressing member 2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be used. The pressure regulator 25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210 until the maintenance of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is required after the flange 150 is fastened. That is, since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the pressure regulator 250 can be provided only at the time when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pace is not always required and the efficiency of the space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압력조절기(250)가 내부공간(212) 중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로드(23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압력조절기(250)는 상부 및 하부 내부공간(212b) 중 어느 하나의 압력을 조정하며 로드(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shown to move the rod 230 by changing the pressure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of the internal space 212, And the movement of the rod 23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one of the lower internal spaces 212b.

탄성부재(300)는 체결부(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플랜지부(150)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탄성부재(300)는 내부공간(212) 내에서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로드(230)의 영역을 권취하며 배치되며, 일단은 하우징(210)의 내측 바닥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우징(210)의 내측 바닥면과 마주보는 로드(230)의 타단(233)의 일면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탄성부재(300)는 소정의 피치(Pitch)를 갖는데, 피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300)는 탄성력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탄성부재(300)의 피치 값이(즉, 탄성부재(300)의 총 높이가) 작아짐에 따라 탄성부재(300)는 본래의 크기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이 나타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300)에서 나타나는 탄성력에 의해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의 사이의 밀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00 is disposed inside the fastening portion 20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increase the urging force of the flange portion 150. [ That is, the elastic member 300 is wound and arranged in a region of the rod 23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10 in the inner space 212,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other end 233 of the rod 230 faci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0. Generally, the elastic member 300 has a predetermined pitch, and the elastic member 300 does not exhibit the elastic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pitch is not changed. However, as the pitch value of the elastic member 300 (that is, the total height of the elastic member 300) is reduced, the elastic member 300 exhibits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iz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elastic force appearing in the elastic member 300. [

이와 같은 탄성부재(300)는 체결하고자 하는 용기의 하중 및 크기에 따라 탄성부재(3000)의 종류 및 재료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작은 하중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접시 스프링(디스크 스프링; Disk spring)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접시 스프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경우, 접시 스프링의 특성상 단위체적당 축척 에너지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증가될 수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서 짧은 스트로크로 큰 부하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우 접시 스프링을 복수개 구비하여 로드 타단(233)의 하면을 지지할 정도로 겹쳐 쌓음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시 스프링의 피치는 단일의(1개의) 접시스프링을 기준으로 최하단으로부터 최 상단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0)는 용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종류가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 상이한 탄성부재가 갖는 피치의 변화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으로 용기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는 목적은 동일하다. The type and material of the elastic member 300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load and size of the container to be fastened. In other words. In general, a coil spring can be selected and used to push out a small load, and a disk spring can be selected and used to push a relatively large load. In this case, when the dish springs are selected and used, the scale energy per unit volume of the dish springs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il spring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h springs, so that a large load capacity can be exhibited with a short stroke in a small space. That i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aphragm springs may be provided and stacked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233 of the rod. Here, the pitch of the diaphragm spring may be a distance from the lowermost end to the uppermost end with respect to a single (one) disc spring. Therefore, although the types of elastic members 300 to be selec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iner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purpose of increasing the adhesion force of the containers due to the generation of elastic forces due to changes in the pitches of the different elastic members .

한편, 탄성부재(300)의 피치의 변화는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는 로드(230)의 영역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이는 전술한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에 따른 상부 내부공간(212a) 내 압력 변화와 연관하여 후에 다시 한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hange of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300 change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rod 230 disposed in the housing 210.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inside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The pressure change will be described later again.

고정부(400)는 체결부(200)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로드(230)의 체결홀(235)에 일부가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410)를 포함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부(400)는 플랜지부(150)의 상면에 체결부(200)가 구비될 경우, 체결부(200)의 배치면과 대향하는 플랜지부(150)의 하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플랜지부(150)의 관통홀(155)을 통해 로드(230)가 플랜지부(150)의 하부로 돌출 배치될 때, 로드(230)에 고정부재(410)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부(200)와 고정부(40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x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mber 410 disposed at an opposite position of the coupling unit 200 and partially insertable into the coupling hole 235 of the rod 230. When the fastening portion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 fixing portion 400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facing the placement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200, The fix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the rod 230 when the rod 230 is proj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150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of the fastener 150, It is possible to allow the connection unit 400 to join.

고정부재(410)는 체결홀(235)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플랜지부(15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 배치되는 접촉면(415)을 갖고 형성된다. 즉, 체결홀(235)은 접촉면(41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플랜지부(150)의 하면에 접촉 배치됨으로써 플랜지부(150) 하부로 돌출 형성된 로드(230)가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를 상호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10)는 체결홀(235)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체결홀(235)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410)의 단면의 폭은 플랜지부(15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즉, 접촉면(415)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10)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410)의 무게를 상부측으로 집중시킴으로써 고정부재(410)의 하부방향으로의 무게로 인해 고정부재(410)가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and is formed with a contact surface 415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50. That is, in the fastening hole 235, at least a part of the contact surface 415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reby preventing the rod 230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from rising again, The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can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hole 235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so as not to move.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increases toward the flange portion 150 (that is, toward the contact surface 415). Since the weight of the fixing member 410 is concentrated to the upper side by forming the fixing member 410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fixing member 410 in the downward direction prevents the fixing member 410 from being stuck in the downward direction, can do.

구동기(430)는 고정부재(410)를 로드(230)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로드(230)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부재(410)를 소정거리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체결홀(235)에 고정부재(410)가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30 is provided to move the fixing member 41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d 230 and moves the fixing member 41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d 2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410 from being inserted o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by reciproca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체결홀(235) 및 고정부재(410)의 모양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부재(410)의 접촉면(415)과 체결홀(235)의 상단은 굴곡이 없는 직선의 평면을 나타내나, 상면을 제외한 영역에는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체결홀(235)과 고정부재(41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415 of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235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235 and the fastening member 4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o that the fixing hole 410 and the fixing hole 410 can be more stably combined.

또한, 고정부재(410)의 접촉면(415)과 마주보는 플랜지부(150)의 하면에는 접촉면(415)과 고정부재(410)의 측면 중 일부가 삽입 배치되기 위한 삽입홈(15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플랜지부(150)에 삽입홈(157)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410)는 체결홀(235)에 삽입될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150)에도 삽입될 수 있어 체결부(200)와 고정부(400)가 플랜지부(15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기 위한 결합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contact surface 415 and an insertion groove 157 for insert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41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facing the contact surface 415 of the fixing member 410 It is possible.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ion groove 157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50, the fixing member 410 can be inserted into the flange portion 150 as well as inserted into the flange portion 235, The coupling area for coupling the flange part 400 with the flange part 15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coupling can be stably perform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체결 장치(1000)에는 체결부(200) 및 고정부(400)의 동작을 감지하여 각각의 구성에 동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되어 장치가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비의 특성상 고온에 노출되는 장치의 열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각각의 추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fastening device 1000 form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nsing unit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unit 200 and the fixing unit 400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each configur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apparatus is not passively performed by the operator. In addition, a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for reducing the heat load of the apparatu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Hereinafter, the respective additional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감지부는 고정부(400)의 외측에 구비되어 로드(230)의 관통홀(155) 관통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부(150)의 제2 플랜지(150b)의 하면에 구비되어 플랜지부(150)에 형성된 관통홀(155)을 통해 로드(230)가 제2 플랜지(150b)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 구비된 것을 감지하여 고정부재(410)가 로드(230)에 삽입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는 제2 플랜지(150b) 하면에서의 로드(23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 또는 광 조사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로드(230)가 관통홀(155)을 통과하여 제2 플랜지(150b)로부터 돌출된 것을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고정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unit 400 to sense the penetration of the through hole 155 of the rod 230.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50b of the flange 150, Through which the rod 23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50b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50 so that the fixing member 410 is fixed to the rod 23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to be inserted. The sensing unit may be a position sensor or a light irradi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od 23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50b and the rod 23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to the second flange 150b 150b to the fixing unit 400 through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고정부(400)의 고정부재(4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50)의 체결을 위해 로드(230)가 관통홀(155)을 이동하여 제2 플랜지(150b)의 하부로 돌출된 것이 감지된 감지부의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면, 제어부는 고정부재(410)가 이동하여 로드(230)의 체결홀(235)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고정부(400)의 구동기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고정부재(410)는 체결홀(235)에 삽입되어 체결부(200)와 고정부(400)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고정부재(410)를 체결홀(235)에 삽입하기 위한 신호만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를 분리하기 위해 고정부재(410)와 로드(230)를 분리하고 로드(230)가 제1 및 제2 플랜지(150b)의 관통홀(155)에 삽입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플랜지부(150)의 분리시기를 입력하여 제어부가 체결부(200)의 압력조절기(250)로 로드(2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signal for moving the fixing member 410 of the fixing unit 400 by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That is, when the signal of the sensing unit sensed that the rod 230 moves in the through hole 155 and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lange 150b for the fastening of the flange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 signal for moving the fixing member 410 is transmitted to the driver of the fixing unit 400 so that the member 410 can move and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of the rod 230.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5 to allow the coupling unit 200 and the fixing unit 40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trol unit not only transmits a signal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410 into the fastening hole 235 but also transmits the signal for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410 and the rod 230 to separate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And may transmit a signal for moving the rod 230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55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50b. At this time, the operator manually inputs the separation timing of the flange portion 150, and the control portion can transmit a signal so that the rod 230 can be raised by the pressure regulator 250 of the coupling portion 200.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플랜지부(150)에 안착되는 체결부(200)가 진공 탈가스 설비(1)의 특성상 고온에 노출될 때에, 고온에 의한 체결부(200)의 변형 및 부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우징(210) 내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은 냉각매체가 수용되는 냉각매체 저장기(510)와, 일단은 냉각매체 저장기(510)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210)에 연결되어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냉각매체 경유관을 포함한다.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astening part 200 seated on the flange part 150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cuum degassing equipment 1, 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medium.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includes a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in which a cooling medium is accommodated, one end connected t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210, And a tube for cooling medium which forms a path.

이때,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이 연결되는 체결부(200)의 하우징(210)에는 내부공간(212)과 분리된 공간으로 냉각매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이 별도(즉,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2)과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이 서로 분리되어 연통되지 않도록)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로드(230)와 고정부재(410)를 결합하기 위해 내부공간(212) 내의 압력이 조절되며 로드(230)가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내부공간(212)에는 압력조절기가 연결되고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에는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이 연결되어 로드(230)와 고정부재(410)를 결합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is separately formed in the housing 210 of the coupling part 200 to which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is connected so that the cooling medium can be supplied to the separated space from the internal space 212 That is, the inner space 212 of the housing 210 and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may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in the inner space 212 is adjusted to couple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rod 230 has to move so that the pressure regulator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21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rod 214 to couple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210 can be lowered.

냉각매체 저장기(510)는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으로 공급되는 냉각매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며, 일정한 양의 냉각매체를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냉각매체 저장기는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을 순환한 냉각매체를 다시 수용하여 일정 온도로 낮춰 재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냉각매체를 공급한 후, 다시 수용하여 재 공급함으로써, 냉각매체의 순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에 공급하기 위한 일정량의 냉각매체만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is provided to receive the cooling medium supplied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nd an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or repeatedl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cooling medium may be used. Als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may be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cooling medium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gain, and re-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irculating rate of the cooling medium by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hen storing it again and supplying it again. Further, on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ooling medium for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may be provided.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 저장기(510)로부터 냉각매체 수용공간(214)까지 냉각매체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냉각매체 경유관(530)은 냉각매체 저장기(510)로부터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으로 공급되는 냉각매체가 경유하는 냉각매체 공급관(531) 및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을 순환한 냉각매체가 배출되어 냉각매체 저장기(510)로 이동하는 냉각매체 배출관(5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medium light pipe 530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medium moves. That is, the cooling medium gas pipe 530 can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medium can move from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t this time, the cooling medium diesel pipe 530 circulates through the cooling medium supply tube 531 and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via the cooling medium supplied from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nd a cooling medium discharge pipe 533 through which the cooling medium is discharged and transferred t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한편, 냉각매체는 특정한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냉각수, 냉각가스와 같이 순환하며 온도를 감소시키며, 냉각매체 수용공간(214) 내에서 안정적으로 순환할 수 있는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각매체는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을 순환한 후, 냉각매체 배출관(533)을 통해 다시 냉각매체 저장기(510)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내 있으나, 순환한 냉각매체를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냉각매체 수용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각매체 배출관(533)은 냉각매체 수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냉각매체 공급유닛(5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매체 수용공간(214)에 냉각매체를 공급하고 공급된 냉각매체가 배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medium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one but may be a medium which circulates like cooling water and cooling gas, reduces the temperature, and stably circulates in the cooling medium receiving space 21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medium circulates through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nd then returns t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510 through the cooling medium discharge pipe 533. However, A cooling medium recei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cooling medium discharge pipe 533 may be connected to the cooling medium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50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in which the cool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214 and the supplied cooling medium can be discharged .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체결 장치(1000)를 포함한 진공 탈가스 설비(1)는 용기 체결 장치(1000)의 체결부(200) 중 일부 구성이 플랜지부(150)를 관통하며 고정부(400)와 결합함으로써, 고정부재(410)가 체결홀(235)에서 분리되거나 손실되지 않는 이상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기 체결 장치(1000)에 의해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의 부분적 밀착 및 체결을 수행할 수 있고, 부분적 밀착 및 체결영역 외측에서 밀폐부재(600) 및 체결볼트(700)를 이용하여 플랜지부(150)의 돌출부분에 고른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진공조(100)의 체결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체결볼트(700) 및 용기 체결 장치(1000)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플랜지부(150)의 외주방향을 따라서 한 쌍을 구성하는 체결볼트(700)와 용기 체결 장치(1000)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1 including the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1000 is configured such that some of the fastening portions 200 of the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1000 pass through the flange portion 150,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unless the fixing member 410 is separated or lost in the fastening hole 235. [ Thus, the partial tightening and tightening of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can be performed by the container fastening apparatus 1000, and the sealing member 600 and the fastening bolts 700 can be used to provide an even adhesion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and the tightness of the vacuum chamber 100 can be further increas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bolts 700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1000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so that the fastening bolts 700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1000, which form a pai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에 따른 내부공간(212) 내 로드(230)의 배치 위치 및 탄성부재(300)의 피치 변화와 연관하여 체결장치(1000)의 작동 상태에 따른 플랜지부(150)의 결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6 to 8, the position of the rod 230 in the inner space 212 and the pitch change of the elastic member 30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joining the flange portion 15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stening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절기의 작동에 따른 로드 및 탄성부재의 변화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6의 (a)는 압력조절기가 작동하지 않은 오프(OFF) 상태일 때의 상부 내부공간 압력 및 탄성부재의 피치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압력조절기가 작동한 온(ON) 상태의 압력 및 피치를 나타내며, 도 6의 (c)는 로드와 고정부재의 체결 후 압력조절기가 작동하지 않는 오프(OFF) 상태일 때의 상부 내공간의 압력 및 탄성부재의 피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탈가스 설비의 진공조의 체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Here, FIGS. 6 and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rod and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shows the upper internal space pressure and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pressure regulator is not in operation, and FIG. 6 (b) 6 (c) shows the pressure in the upper inner space and the pitch chang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rod and the fixing member are in the OFF state in which the pressure regulator does not operate after engagement of the fixing member . 8A to 8C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 vacuum tank of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진공조(100)는 고온의 용강(M)을 환류 처리하는 공정의 특성상, 내부의 내화물 연와와 용강(M)과의 접촉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공조(100) 내부의 내화물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하부로 분리되는 상부조(110)와 하부조(130)의 분리 후 내부의 연와를 교체한 후 상부조(110)와 하부조(130)를 체결하여 진공조(100)를 이룬다. 이때, 상부조(110)와 하부조(130)가 분리된 상태는 도 6의 (a) 및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조절기(250) 작동하지 않는 오프(OFF) 상태일 때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2) 중 로드(230) 상의 상부 내부공간(212a)이 P1의 압력 값을 나타내고, 이때의 탄성부재(300)는 D1의 피치값을 나타낸다. 이는 탄성부재(300)에 수축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탄성부재(300)의 본래의 피치 값을 나타내며, 내부공간(212) 내 로드(230)의 타단(233)의 위치는 피치 값이 변화하지 않은 탄성부재(300) 상에 걸쳐진 상태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로드(230)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홀(235)은 관통홀(155)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관통홀(155) 내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홀(235)은 관통홀(155) 중 체결부(200)가 배치되는 제1 플랜지(150a) 또는 제2 플랜지(150b)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홀(155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압력조절기(250)가 작동하지 않은 오프(OFF) 상태에서는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가 체결되지 않은 분리상태일 수 있다. First, in the vacuum chamber 100, since the refractory process of the molten steel (M) at a high temperature is carried out, the contact between the molten refractory and the molten steel (M) is essential. In order to replace the refractory in the vacuum chamber 100, the upper and lower troughs 11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the upper and lower troughs 11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vacuum chamber 100. 6A and 8A, when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in the OFF state and the housing 210 is in the OFF state,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on the rod 230 represents the pressure value of P1 and the elastic member 300 at this time represents the pitch value of D1. And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233 of the rod 230 in the inner space 212 is the same as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300 when the pitch value does not change Is placed on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member (300) is not spanned.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35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d 230 may not be protruded out of the through hole 155 but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55.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hole 235 is formed in the first flange 150a or the first and second holes 155b formed in the second flange 150b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20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55 And may be inserted into one of them. Accordingly,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may not be engaged when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not operated.

이후, 연와의 교체작업을 수행한 뒤, 체결부(200)의 로드(230)를 하강시켜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를 체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도 6의 (b)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조절기(250)를 작동시킨 온(ON) 시키며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을 P1에서 P2로 증가시킨다. 즉,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에 의해 상부 내부공간(212a) 내의 압력이 압력조절기(250)를 작동시키기 전보다 높은 값으로 증가하게 되며,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 증가로 인해 관통홀(155)이 형성하는 통로에 전체적으로 걸쳐져 있지 않았던 로드(230)가 하강에 의해 관통홀(155)을 통과하여 플랜지부(150)의 하부로 돌출 배치되게 된다. 이때, 로드(230)의 하강에 의해서 하우징(210) 내의 탄성부재(300)는 본래의 피치 값인 D1에서 D2로 피치 값이 감소하게 되며, 탄성부재(300)에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압력조절기(250)가 작동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00)에 발생하는 탄성력은 압력조절기(250)에 의해 로드(230)를 지속적으로 하강시키려는 힘 때문에 그보다 큰 반발력을 나타내지 못해 로드(230)를 밀어내거나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로드(230)가 큰 거리로 하강하여 로드(230)에 형성된 체결홀(235)이 플랜지부(150)의 하부에 배치될 때, 체결홀(235)에 고정부재(410)를 삽입한다. Thereafter, the rod 230 of the fastening part 200 is lowered to fast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First, as shown in Figs. 6 (b) and 8 (b),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turned on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from P1 to P2.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the pressure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is increased to a value higher than that before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operated. Due to the pressure increase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The rod 230 that has not been entirely covered by the passage formed by the first through fourth passages 155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55 and is proj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by being lowered. At this time,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300 in the housing 210 is reduced from the original pitch value D1 to D2 by the lowering of the rod 230, and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300. However, since the elastic force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300 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operated does not exhibit a larger repulsive force due to the force for continuously lowering the rod 230 by the pressure regulator 250, It is not easy to push or pull out. The fix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when the rod 230 descends to a great distance and the fastening hole 235 formed in the rod 230 is disposed below the flange portion 150. [

이때, 고정부재(410)는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에 의해 로드(230)가 하강하고, 하강한 로드(230)의 일부가 플랜지부(150)의 하부로 돌출 배치된 것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부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고정부(400)의 구동기(미도시)에 고정부재(4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전달한다. 동작 신호에 의해 구동기가 고정부재(410)를 체결홀(235)에 삽입시킴으로써, 체결부(200)와 고정부(400)의 1차적 체결이 수행된다. The rod 23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and a part of the lowered rod 23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150 by the sensing unit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fixing member 410 to a driver (not shown) of the fixing unit 400. The fastening part 200 and the fixing part 400 are primarily fastened by inserting the fixing member 410 into the fastening hole 235 by the operation signal by the operation signal.

로드(230)와 고정부재(410)가 상호 결합되어 1차적 체결이 수행되면, 플랜지부(150)의 제1 플랜지(150a) 및 제2 플랜지(150b) 간의 밀착력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력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즉, 도 6의 (c) 및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 후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을 오프(OFF) 시킨 경우, 로드(230) 상의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 P3 및 탄성부재(300)의 피치 D3는 각각 체결 전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을 오프(OFF) 시킨 경우보다는 큰 압력 및 작은 피치 값을 가지고, 체결 전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을 온(ON) 시킨 경우보다는 작은 압력 및 작은 피치 값을 가지게 된다. 즉, 도 6의 (b)와 같은 경우, 체결홀(235)에 고정부재(410)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을 큰 폭으로 증가시켜 플랜지부(150)의 하부로 돌출되는 로드(230)의 길이를 증가시킨 것이므로, 상부 내부공간(212a)의 압력이 크고 피치의 값이 큰 폭으로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로드(230)와 고정부재(410)의 체결 후에는 체결홀(235)의 상단과 나란하게 플랜지부(150)의 하면이 배치됨으로써, 로드(230)는 도 6의 (b)에 제시된 로드(230)의 하강 위치보다는 소정 폭(체결홀(235)의 상단과 플랜지부(150) 하단의 나란한 위치)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의 탄성부재(300)는 피치가 D1에서 D3로 감소한 만큼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는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에 밀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of the flange portion 150 may be attached to the flange 150b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 300 may be used to increase the adhesion. 6C and 8C,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after engagement is turned off, the pressure P3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on the rod 230 and the pressure P3 in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on the rod 230, The pitch D3 of the pressure regulator 300 has a larger pressure value and a smaller pitch value than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before the engagement is turned off and the pitch D3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before the engagement is turned on Lt; RTI ID = 0.0 > pitch < / RTI > 6 (b), the pressure of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is increased so as to easily insert the fixing member 410 into the fastening hole 235,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50 The pressure of the upper internal space 212a is large and the value of the pitch is reduced to a large extent. However, after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are fastene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235, (A position in parallel with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235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50) rather than the lowered position of the rod 230. At this time, the resilient member 300 has an elastic force as much as the pitch is decreased from D1 to D3, which provides an adhesive force to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앞선 설명을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체결홀(235)에 고정부재(410)가 삽입된 후 로드(230)는 탄성부재(300)에서 나타나는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로드(230)가 상승하게 되는 높이는 고정부재(410)의 접촉면(415)이 플랜지부(150)의 하면과 접촉하는 시점까지 로드(2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을 중단하더라도 본래의 피치 값에서 감소된 피치 값을 나타내는 탄성부재(300)는 상하방향으로 원래의 피치 값으로 돌아가기 위한 탄성력을 나타내며, 이는 탄성부재(300)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된 로드(230)에 Wu의 탄성력 및 하우징(210) 바닥면(심층적으로, 하우징(210)이 배치되는 제1 플랜지(150a)의 상면)에 Wd의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230)는 압력조절기(250)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하강하게 되면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탄성력(Wu)이 나타나는 방향과 유사하게 상승하려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로드(230)와 고정부재(410)의 체결에 의해 로드(230)는 상승하지 않게 되면서 고정부재(410)를 보다 플랜지부(150) 측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며 밀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고정부재(410)는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부(150)의 하면에 W' 만큼의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제1 플랜지(150a)와 제2 플랜지(150b) 사이를 보다 밀착시킴으로써 상부조(110)와 하부조(130)의 밀착력을 증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7, after the fix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35, the rod 230 is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rod 230 is raised until the point at which the contact surface 415 of the fixing member 4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00, which exhibits the pitch value decreased from the original pitch value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stopped, exhibits elastic force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itch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force of Wu is applied to the rod 230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210 and the elastic force of Wd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0 (in detail,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50a on which the housing 210 is disposed). In this way,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0,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interrupted, the rod 230 does not develop when the pressure regulator 250 is lowered, do. However,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rod 230 and the fixing member 410, the rod 230 does not rise and pulls the fixing member 410 more toward the flange portion 150,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That is, the fixing member 410 applies a pushing force of W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0 so that a gap between the first flange 150a and the second flange 150b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while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upper tank 110 and the lower tank 130.

L : 래들 M : 용강
1 : 진공 탈가스 설비 100 : 진공조
110 : 상부조 130 : 하부조
150 : 플랜지부 170 : 침적관
150a : 제1 플랜지 150b : 제2 플랜지
155 : 관통홀 155a : 제1 홀
155b : 제2 홀 170a : 상승관
170b : 하강관 1000 : 체결 장치
200 : 체결부 210 : 하우징
230 : 로드 235 : 체결홀
300 : 탄성부재 400 : 고정부
410 : 고정부재 415 : 접촉면
500 : 냉각매체 공급유닛
L: Ladle M: Steel
1: Vacuum degassing apparatus 100: Vacuum tank
110: upper tank 130: lower tank
150: flange portion 170:
150a: first flange 150b: second flange
155: Through hole 155a: First hole
155b: second hole 170a: riser
170b: Downcomer 1000: Fastening device
200: fastening part 210: housing
230: rod 235: fastening hole
300: elastic member 400:
410: fixing member 415: contact surface
500: Cooling medium supply unit

Claims (14)

분리 가능한 용기의 상호 접하는 접합부를 체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접합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커버하며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로 이동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내에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 배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체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드에 일부가 삽입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접합부의 하측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체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기 체결 장치.
An apparatus for fastening mutually abutting joints of a removable container,
A fastening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joint portion so as to cover a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rod movable to the through hole;
An elastic member that is retrac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in the fastening portion;
A fixing part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art and including a fixing member that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o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rod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fixing unit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joining por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xing unit and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형상은 동일한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rod,
Wherein the fastening hole and the fixing member have the same sectional shape.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접합부의 일면에 접촉 배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 배치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portion
A housing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joint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nd a pressure regulator for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to move the rod,
Wherein the rod is disposed at one en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wall of the housing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타단을 기준으로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상부 내부공간 및 상기 하부 내부공간 중 어느 한 공간 내의 압력을 증가 및 감소시켜, 상기 로드를 상기 접합부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상기 접합부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n upper inner space and a lower inner space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Wherein the pressure regulator increases and decreases the pressure in either the upper internal space or the lower internal space to lower or raise the ro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joint.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상하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며 제1 홀이 형성된 제1 접합부재 및 상기 제1 접합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된 제2 접합부재로 구분할 때,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1 접합부재의 제1 홀 내에 배치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joining member separated from the join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 first hole, and a second join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And one end of the rod is disposed in the first hole of the first joint member when the pressure regulator is not operated.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접촉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과 마주보는 상기 접합부에는 상기 접촉면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 측면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ac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portion is formed in a plane,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ontact surface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joining portion facing the contact surface.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단면 폭은 상기 접합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cross-sectional width of the fixing member increas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member contacts the joining portion.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로드의 타단면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결합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피치(Pitch)는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하기 전 탄성부재의 피치보다 작고, 상기 압력조절기가 작동된 후의 탄성부재의 피치보다 큰 값을 갖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rod facing the bottom surface,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after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is smaller than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before the pressure regulator is actuated and is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elastic member after the pressure regulator is operated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로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로드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10 내지 30% 범위 내에 형성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within a range of 10 to 30%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삭제delete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분리 구비되는 냉각매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매체 수용공간에는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매체 공급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냉각매체 공급유닛은 상기 냉각매체를 저장하는 냉각매체 저장기와, 일단은 상기 냉각매체 저장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매체 수용공간에 연결되는 냉각매체 경유관;을 포함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a cooling medium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ooling medium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cooling medium supply unit includes a cooling medium reservoir for storing the cooling medium and a cooling medium durability tub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oling medium reservoir and at the other end to the cooling medium accommodating spac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접합부재 및 제2 접합부재로 구분되고, 상기 로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체결부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접합부재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접합부재를 상호 밀착되게 하는 용기 체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joining member and a second joining member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rod and the fixing member are engaged,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force of the fixing member pushing the second joining member.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제1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조 및 상기 개방된 하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제1 접합부재와 접촉 배치되는 제2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조로 구성되어 접합부를 형성하는 진공조와;
상기 제1 접합부재 및 상기 제2 접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부재;
상기 진공조를 기준으로 상기 밀폐부재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합부의 측면 중 일부를 커버하며 고정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용기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탈가스 설비.
And a lower joining membe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pened lower surface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joining member, the upper joi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joi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joining member, A vacuum tank for forming a vacuum chamber;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A fastening bolt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vacuum tank and covering and fixing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joint; And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claim 11, and claim 12.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용기 체결 장치는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체결볼트 및 상기 용기 체결 장치로 구성된 한 쌍이 상기 접합부의 외주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bolts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are provided, and a pair of the fastening bolts and the container fastening devices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joining portion.
KR1020140105047A 2014-08-13 2014-08-13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KR101606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47A KR101606471B1 (en) 2014-08-13 2014-08-13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47A KR101606471B1 (en) 2014-08-13 2014-08-13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18A KR20160020118A (en) 2016-02-23
KR101606471B1 true KR101606471B1 (en) 2016-03-25

Family

ID=5544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047A KR101606471B1 (en) 2014-08-13 2014-08-13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4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161B1 (en) * 2019-04-15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Locking device of vacuum vess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317A (en) * 1999-09-29 2001-04-10 Nisshin Steel Co Ltd Vacuum dega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775Y1 (en) 1997-04-30 1999-07-15 조희문 Structure of the windows having peep-holes for doors
KR20000039450A (en) 1998-12-14 2000-07-05 이구택 Molten zinc plating plant prepared with steel plate vibration damping device by using direct current magnet
KR20070084575A (en) 2007-05-25 2007-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oor devic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317A (en) * 1999-09-29 2001-04-10 Nisshin Steel Co Ltd Vacuum dega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18A (en)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471B1 (en) Fastening devices for vessel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hqving the same
US20080283196A1 (en) Fuel accessory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internally attaching same
CN102080141B (en) Automatic coupling device for pretreating molten pig iron
US9683533B2 (en) Fuel injector rail assembly for direct injection of fuel
KR20140032996A (en) Fuel valve
KR101920326B1 (en) Floating Sensor and Wet Tank for Scrubber having the Same
KR20200033316A (en) Brake fluid container system assigned to the block of the actuator of the brake system
MX2014002701A (en) Fuel tank connector.
CA3056063A1 (en) Spring seat for an internal valve
KR100890890B1 (en) Auto couple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refining outside the furnace including the same
KR101873459B1 (en) Tray for flange
UA100608C2 (en) Ladle pipe for liquid metal casting
KR200451203Y1 (en) Level gauge
KR101952500B1 (en) A Valve Assembly with a Structure of Removing a Open-Close Module
KR101893625B1 (en) Gasification reactor
US9267210B2 (en) Pickle line assembly with inclined expansion seal
KR101525322B1 (en) Safety injection tank having function for delaying gas leakage
KR101734227B1 (en) Quartz nozzle adaptor, fixing bracket and manifold of quartz nozzle adaptor
KR102488720B1 (en) Seal port with gas blowout preventer
FR3086378B1 (en) PLATE CONSTITUTING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AT LEAST ONE SUCH PLATE
CN205441494U (en) Hot mineral aggregate transfer device
KR200469960Y1 (en) automatic coupling apparatus
KR101606082B1 (en) Nozzle Assembly for Load Port And Load Port With The Same
KR101763328B1 (en) Dispenser contain connecting structure for prevention of water leak of water bag case and needle ups-downs device
KR20190122233A (en) Joint block and fluid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