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385B1 - 액상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385B1
KR101606385B1 KR1020140172918A KR20140172918A KR101606385B1 KR 101606385 B1 KR101606385 B1 KR 101606385B1 KR 1020140172918 A KR1020140172918 A KR 1020140172918A KR 20140172918 A KR20140172918 A KR 20140172918A KR 101606385 B1 KR101606385 B1 KR 101606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alve hole
liquid
val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주)서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일홀딩스 filed Critical (주)서일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7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배출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밀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액상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 용기{A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배출에 대한 편의성 및 기밀 유지에 대한 효과를 높인 액상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액상용기는 유리나 합성수지를 원통형으로 가공하고, 그 일측 부를 좁게 하여 뚜껑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로서의 음료 등 액상물질을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액상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그 내부에 보관되는 액상의 종류에 따라 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한 유리병이나 합성수지 병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내용물로서의 액상이 맥주나 발효유 등과 같이 광선 특히, 햇빛에 의하여 변성 또는 변질될 수 있는 것인 경우에는 햇빛이나 자외선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착색된 병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청량음료 등과 같이 햇빛 등의 광선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투명한 합성수지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용기는 일반적으로 액상이 담긴 몸체와, 몸체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캡)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의 액상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회전하여 몸체의 일단부를 개방한 후 액상용기를 들어 중력에 의해 액상이 자유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액상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액상용기가 음료용기로 사용되어 용기에 담긴 음료를 섭취할 경우, 사용자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인해 음료가 급작스럽게 배출되어 사레가 들리거나 옷에 액상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가급적 빨대를 이용해 음료를 섭취하도록 해야하는 실정이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아닌 성인인 경우라도, 환자일 경우 병상에 누워서 음료를 섭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 경우에도, 빨대를 이용하거나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켜 세운 후 음료를 섭취해야함에 따라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풀 캡 이 적용된 음료용기가 시중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쉬풀 캡(10)은 액상이 급작스럽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마개에 입을 대고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안정감 있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푸쉬풀 캡(10) 타입의 음료용기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항상, 음료용기를 들어올려 마셔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즉, 음료용기를 세운 상태에서는 흡입을 통해 액상을 마실 수 없고, 반드시 음료 용기를 들어올려 뒤집어야 액상이 낙하되어 배출되므로 음료 섭취가 불편하였던 것이다.
물론, 음료용기를 세운 상태에서도, 강한 흡입력을 발생할 경우 음료가 배출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섭취는 음료를 섭취할수록 용기 내에서 액상의 수위가 낮아지므로 음료를 섭취할수록 음료를 섭취하기가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음료를 섭취한 후에는 반드시 푸쉬풀 캡(10)을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음료 섭취를 중단하기 위해서는, 푸쉬풀 캡(10)을 닫아야 하는데, 푸쉬풀 캡(10)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액상의 음료가 푸쉬풀 캡(10)을 통해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셋째, 세척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1회용으로 쓰이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기밀 유지가 극대화되지 못하므로, 음료가 쉽게 부패할 수 있으며 보온 보냉의 지속성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푸쉬풀 타입의 캡이 마련된 액상용기는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를 보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청량음료 등과 같이 내부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발포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음료의 경우에는 발포가스의 탄산 압력에 의해 푸쉬풀 타입의 캡이 자동으로 개방될 소지가 있으므로, 탄산음료를 보관할 수 없었던 것이다.
특히, 발포가스의 음료에 대한 용해도가 압력과 온도에 의하여 크게 좌우될 수 있는데, 발포가스를 함유하는 음료용기들이 별다른 기밀유지장치를 갖추지 않은 채로 음료를 포장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음료용기를 개봉하고, 단시간 내에는 별다른 맛의 변화를 느낄 수 없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포가스가 용기 내의 공기층으로 점차 기화되어 음료로부터 빠져나가기 때문에 맛의 변화가 심화하고, 그에 따라 일부 폐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7-007229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 유지를 극대화하고, 액상 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액상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이 액상용기 내부로 쉽게 유입되거나 액상용기로부터 액상이 쉽게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용기의 흡입캡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밸브공이 형성되며, 액상이 배출되는 배출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액상이 수용되되 수축이 가능한 재질의 액상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상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써,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밸브공이 형성되며, 액상이 충진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탈착되며, 케이스의 액상이 배출되는 배출관로를 형성하는 흡입마개;상기 흡입마개를 통한 케이스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승강되며, 케이스의 내주면 상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상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예로써, 액상용기의 배출관로에 결합되어 액상용기 내부로의 액상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액상용기의 흡입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로에 결합되며, 액상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벌어지거나 복원되면서 액상용기의 내외부를 개폐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의 토출부재;상기 배출관로 중 토출부재의 저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출부재의 절개부가 배출관로의 상방으로만 벌어지도록 하며, 배출관로의 액상이 출입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상용기의 흡입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기를 뒤집어 사용하지 않더라도, 액상이 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액상용기가 음료 용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용기를 세운 상태에서도 흡입캡을 흡입하여 액상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나 유아의 음료 섭취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액상 세제 등의 용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용기를 눌러 내부 압력을 컨트롤함으로써 액상이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액상 토출에 대한 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둘째, 케이스가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로 분리되어 제공됨으로써, 용기 내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용기 사용이 1회성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셋째, 기밀 유지를 높일 수 있으므로, 액상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막아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보온 및 보냉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토출부재의 재질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부가 용기 내부의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토출부재는 액상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액상 용기가 일체의 종이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제공하는 우유 용기로 사용될 경우, 유통 기간 및 유효 기간을 늘릴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넷째, 흡입캡은 절개부를 형성하는 실리콘 재질의 토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기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거나 복원되므로 액상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외부 마감캡을 닫아놓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가 쓰러지더라도, 절개부가 배출관로를 폐쇄하고 있어 액상이 새어나올 염려가 없으므로 보관 및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액상주머니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상주머니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더라도 잔수는 상기 장홈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용기를 통한 액상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풀 캡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가 탈착수단에 의해 록킹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체크밸브가 내부 압력에 따라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체크밸브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체크밸브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상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액상 용기는 액상 토출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기밀 유지를 높여 액상이 새어나오거나 내부로 액상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액상 용기에 탄산 액상이 담길 경우 탄산 압력으로 인한 용기 내부 개방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액상 본연의 맛이 변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액상 용기가 음료 용기로 사용될 경우, 환자나 유아에게 음료 섭취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액상 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와, 액상주머니(300)와, 흡입캡(400)과, 체크밸브(500)와, 탈착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구성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로 분리되어 제공됨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케이스(100)는 액상 용기의 하부를 구성하며, 액상주머니(30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스(100)의 형태 및 재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케이스(100)에는 밸브공(110)이 형성된다.
밸브공(110)은 케이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통로로서, 하부케이스(100)에서 그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밸브공(110)은 하부케이스(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액상주머니의 상단부 밑으로만 위치되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부케이스(200)는 액상 용기의 상부를 구성하며, 액상이 배출되는 배출관로(210)를 형성한다.
상부케이스(200)의 상부는 액상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의 직경보다 작은 네크부(220)를 구성하며, 배출관로(210)는 네크부(220)의 내측을 구성한다.
상부케이스(200) 역시 액상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케이스(10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액상주머니(300)는 액상이 수용되는 구성이며, 그의 부피는 하부케이스(100)의 부피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주머니(300)의 상단은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고정되는데, 이는 액상 용기 전체로 봤을 때 액상용기의 중간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액상주머니(300)가 액상 용기의 중간에 고정되더라도, 액상이 액상주머니(300)에만 담기는 것은 아니며 액상주머니(300)와 상부케이스(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한편, 액상주머니(300)의 재질은 연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우레탄, 비닐의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상이 케이스 용기에 직접 담기는 것이 아니라, 수축력이 뛰어난 별도의 액상주머니(300)에 담김으로써 액상이 음료로 제공될 경우 액상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음료 섭취시, 용기를 뒤집어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음료를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흡입캡(400)은 배출관로(210)를 통한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이며, 상부케이스(200)의 네크부(220)에 결합된다.
흡입캡(400)은 배출관로(210)를 차폐하는 일종의 마개 역할을 하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토출부재(410)를 포함한다.
이때, 토출부재(410)의 재질은 실리콘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부재(410)는 액상 배출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절개부(411)를 형성한다.
이때, 절개부(411)의 형태는 일자(一字) 또는 여러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즉, 액상 배출은 절개부(411)를 통해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절개부(411)는 재질 특성상 항상 배출관로(210)를 폐쇄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용기가 쓰러지더라도 액상이 절개부(411)를 통해 새어나오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음료 섭취를 위해 흡입캡(400)에 흡입력을 발생하거나 케이스를 눌러 내부 압력을 인위적으로 높일 경우, 토출부재(410)의 절개부(411)는 상방으로 벌어지면서 배출관로(210)를 개방함으로써 액상이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음료 섭취를 멈추면 벌어졌던 절개부(411)는 복원되어 배출관로(210)를 폐쇄하여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토출부재(41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420)가 더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20)는 절개부(411)가 일측 즉, 배출관로(210)의 상방으로만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내부로 액상이나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토출부재(410)의 저면에 지지부재(420)가 배치됨에 따라, 절개부(411)는 지지부재(420)에 간섭되어 하방, 즉 용기 내부를 향해 벌어지는 것이 구속되므로, 절개부(411)는 항상 배출관로(210)의 상방을 향해서만 벌어지는바, 액상은 케이스 내부로부터 배출되고, 외부의 이물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재(420)는 토출부재(410)의 저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절개부(411)를 지지하면서도 액상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구획된 공간을 구성하는 형태는 절개부(411)의 절개 형태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체크밸브(500)는 액상주머니(300)의 액상이 배출되어 하부케이스(100) 내에서 액상주머니(300)가 수축된 경우, 하부케이스(100) 내측의 하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수축된 상태의 액상주머니(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크밸브(500)는 하부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비닐(510)과, 꺾임부재(520)를 포함한다.
비닐(510)은 서로 중첩되어 밀착되되, 양측은 관통되어 한 쌍의 비닐(510)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비닐(510) 중 어느 하나의 비닐(510)에는 통공(511)이 형성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비닐(510)이라 함은 하부케이스(100)의 바닥에 대향된 비닐로서, 상기 통공(511)은 밸브공(110)에 대응된다.
즉, 밸브공(11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통공(511)을 통해 한 쌍의 비닐(510) 사이로 유입된 후 비닐(510)의 개구된 양측을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통공(511)과 밸브공(110) 사이에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관(G)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꺾임부재(520)는 외기가 한 쌍의 비닐(510) 사이를 드나드는 과정에서 한 쌍의 비닐(510) 사이가 벌어졌다가 효과적으로 복원되도록 한 역할을 한다.
꺾임부재(52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510)의 양단부를 상방으로 꺾어줌으로써 한 쌍의 비닐(510)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준다.
상기 꺾임부재(520)는 양측이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비닐(510)의 저면 양단부 또는 비닐(510)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비닐(510)은 외기가 통하는 과정에서 비닐(510) 사이가 벌어졌다가 하부케이스(100)의 공기가 다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착되어 복원되는 것이 중요한데, 꺾임부재(520) 이외에도 한 쌍의 비닐(510) 사이에 점착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는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포스트잇이라 불리우는 메모지에 적용되는 것과 같이 접착력이 비교적 약한 점착제를 말한다.
다음으로, 탈착수단(600)은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를 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에 설치된다.
탈착수단(600)은 홈부(610)와, 고정돌기(620)와, 마감커버(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부(610)는 고정돌기(62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물론, 홈부(610)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후술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의 제1실시예에서는 홈부(610)가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것을 예로한다.
상기 홈부(610)는 안내홈부(611)와 걸림홈부(612)로 구성된다.
안내홈부(611)는 고정돌기(620)가 걸림홈부(612)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부케이스(200)의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다.
걸림홈부(612)는 고정돌기(620)가 걸려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한다.
걸림홈부(612)는 안내홈부(611)로부터 상부케이스(20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기(620)는 걸림홈부(612)에 걸려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된다.
고정돌기(620)는 걸림홈부(612)에 걸려 결합되는 제1고정돌기(621)와, 마감커버(630)에 걸려 결합되는 제2고정돌기(622)로 구성된다.
제1고정돌기(621)는 걸림홈부(612)의 단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제2고정돌기(622)는 제1고정돌기(62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마감커버(630)는 걸림홈부(612)에 걸린 제1고정돌기(6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고정돌기(621)와 걸림홈부(612)가 상부케이스(200)의 상방 이탈을 구속하는 것이라면, 제2고정돌기(622)와 마감커버(630)는 상부케이스(200)가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여 제1고정돌기(6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마감커버(630)에는 고정홈부(631)와 구속부재(632)가 형성된다.
고정홈부(631)는 제2고정돌기(622)가 걸려 마감커버(6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고정홈부(631)의 일측은 제2고정돌기(622)에 대응되며 고정홈부(631)의 타측은 제2고정돌기(622)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홈부(631)의 일측과 타측의 너비가 다른 이유는, 제2고정돌기(622)가 고정홈부(631)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고정홈부(631)의 타측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정홈부(631)의 일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돌기(622)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의 홈과 제1고정돌기(621)와 제2고정돌기(622)를 연결하는 부재에 대응되는 원형의 홈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부재(632)는 안내홈부(611)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을 구속하며, 마감커버(630)의 일단부로부터 안내홈부(611)의 깊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상 용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케이스(100)의 밸브공(110)에 체크밸브(500)가 결합된다.
이때, 통공(511)은 밸브공(110)에 대응되고, 비닐(510)의 양단부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액상주머니(300)는 내부가 개구된 상태로 하부케이스(100)의 상단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하부케이스(100)에 상부케이스(200)를 덮어 결합시킨다.
이때, 탈착수단(600)을 이용해 상부케이스(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데, 이 과정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돌기(621)가 안내홈부(611)에 삽입되도록 하부케이스(100)에 상부케이스(200)를 덮어씌운다.
이후, 상부케이스(200)를 회전시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돌기(621)는 걸림홈부(612)의 단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이 구속된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커버(630)의 고정홈부(631)에 제2고정돌기(622)를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마감커버(630)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제2고정돌기(622)는 고정홈부(631)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 형태의 홈에 위치되고, 제1고정돌기(621)와 제2고정돌기(622)를 연결하는 부재는 원형의 홈에 위치된다.
또한, 구속부재(632)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부(611)에 위치됨으로써, 마감커버(630)는 제2고정돌기(62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부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배출관로(210)를 통해 케이스 내부에 액상을 담는다.
이때, 액상은 액상주머니(300)에 담길 뿐만 아니라, 상부케이스(200)까지 차오른 상태가 된다.
액상은 통상 음료일 수 있으나, 액상의 세제가 담겨 세제 용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음료 액상이 담기면, 상부케이스(200)의 네크부(220)에 흡입캡(400)을 결합시킨다.
이때, 흡입캡(400)의 내부에는 토출부재(410)가 결합되고, 토출부재(41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420)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후, 외부뚜껑을 이용해 흡입캡(400)을 덮어씌워 마감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료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뚜껑을 젖힌 후, 흡입캡(400)에 입을 대고 흡입력을 발생하거나 케이스(100,200) 외부를 눌러 케이스 내부에 압력 변화를 주면 토출부재(410)의 절개부(411)는 상방으로 벌어지고 액상은 벌어진 절개부(4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액상주머니(300)에 담긴 액상이 일정량 빠져나감에 따라, 액상주머니(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이 된다.
이때, 액상주머니(300)가 수축이 되는 과정에서, 외기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밸브공(110) 및 체크밸브(500)를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이 된다.
즉, 외기는 밸브공(110)을 통해 비닐(510)의 통공(511)으로 유입된 후, 비닐 양단부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하부케이스(100) 내부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이때, 외기가 빠져나가는 압력에 의해 비닐(510)의 저면에 부착된 꺾임부재(5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지게 된다.
한편, 음료 섭취를 멈추게 되면, 토출부재(410)의 절개부(411)는 복원되어 배출관로(210)를 다시 폐쇄시킨다.
이때, 절개부(411)는 하방의 지지부재(420)에 간섭되므로 하방으로 벌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411)가 복원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내부는 다시 기밀이 유지되고, 체크밸브(500)의 벌어졌던 한 쌍의 비닐(510)은 다시 밀착이 된다.
이때, 펴졌던 꺾임부재(520)가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비닐(510)의 양단부를 절곡시키므로, 비닐(510)의 밀착력은 효과적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외기 유입은 차단되고, 하부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수축된 액상주머니(300)를 지지하게 되므로, 음료 섭취가 정지되더라도 액상주머니(300)가 하방으로 쳐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액상주머니(300)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축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액상의 수위는 높아져 흡입캡(400)에 가까워지는바, 추후 음료 흡입이 한결 수월해질 수 있어 유아나 환자의 음료 섭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음료 섭취 후, 소진된 액상을 보충해야할 경우, 흡입캡(400)을 열어 액상을 보충할 수 있는데, 액상주머니(300)가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수축되어 있으므로 액상주머니(300)를 원래대로 복원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하부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야 하는데, 비닐(510)로 이루어진 체크밸브(500)의 경우 하부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체크밸브(500)의 역할을 하되, 인위적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체크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크밸브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체크밸브(500)는 밸브공(110)을 차폐하는 차폐부(530)와,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걸려 결합된 결합부(540)와, 차폐부(530)와 결합부(540)를 연결하는 연결부(55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체크밸브(500)는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차폐부(530)는 밸브공(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부(540)는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고정이 된다.
그리고, 연결부(550)는 차폐부(530)와 결합부(540)를 일체로 연결하며, 차폐부(530)와 결합부(540) 사이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차폐부(530)의 상면에는 비교적 단단한 경질부재(531)가 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차폐부(530)를 눌러 밸브공(110)을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차폐부(530)를 비교적 살짝 눌러도 차폐부(530)가 상방으로 들려져 밸브공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체크밸브(500) 역시 흡입 압력에 의해 액상주머니(300)가 수축되는 과정에서는 차폐부(530)가 밸브공(110)을 개방하여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흡입 압력이 정지된 경우에는 차폐부(530)는 복원되어 밸브공(110)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한편, 액상을 보충하기 위해, 수축된 액상주머니(300)를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하부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야 하는바, 탈착수단(600)을 해제하여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를 분리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이는 번거로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밸브공(110)을 통해 체크밸브(500)의 차폐부(530)를 밀어올리면 밸브공(110)이 개방되어 공기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도구를 이용해 차폐부(530)를 밀어올릴 수도 있으나, 손가락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후, 손가락을 놓으면 재질의 특성상 차폐부(530)는 원위치되어 밸브공(110)을 폐쇄하므로, 액상 보충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체크밸브(500)는 연질의 토출부재(410) 및 지지부재(4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토출부재(410)의 두께는 비교적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절개부(411)가 벌어지는 과정에서 절개부(411)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토출부재(410) 및 지지부재(420)는 흡입캡(4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밸브공(110)에 설치되어 체크밸브(500)의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케이스(100,20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 밸브공(110)을 향해 유입되는 외기 압력에 의해 토출부재(410)의 절개부(411)가 상방으로 벌어지며, 벌어진 절개부(41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수축된 액상주머니(3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후, 케이스(100,200) 내부 압력이 정지되면 상방으로 벌어졌던 절개부(411)는 복원되되 하부의 지지부재(420)가 간섭하므로 절개부(411)가 하방으로 벌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체크밸브(500)는 외기가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500)의 위치가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항상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일측에 밸브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110)에는 원통형의 비닐이 결합된다.
이때, 비닐 내부에는 비닐의 개구부가 유지되도록 고정틀(560)이 삽입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닐의 일단부는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비닐의 타단부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틀(560)의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하부케이스(10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 비닐의 개구부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외기는 폐쇄된 비닐의 타단부를 개방하면서 하부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이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공(110)으로부터 케이스(100)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중공(中空)의 반구(半球)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체크밸브(500)의 중공 부위는 밸브공(110)에 통하게 형성된다.
이때, 체크밸브(500)의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체크밸브(500)의 중공 부위 즉,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끼움돌기(580)와, 밀착캡(58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결합공(H)을 형성하고, 밸브공(110)은 결합공(H)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끼움돌기(580)는 결합공(H)에 결합되고, 밀착캡(581)은 밸브공(110)에 밀착이 된다.
이에 따라, 밸브공(110)에 결합된 체크밸브(500)는 외기 유입에 의해 연질의 밀착캡(581)이 밸브공(110)으로부터 들려지면서 밸브공(110)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로 이루어지되 외기의 배출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공(110)을 통한 외기가 비닐(510)의 양측을 향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500)는 밸브공(110)을 통한 외기가 비닐(510)의 일측으로만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공에 결합되어 외기 유입을 제어하며, 케이스(100) 내측을 향해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단부는 한 쌍의 경사면이 마주한 상태로 구성된다.
이때, 경사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라운드진 상단에는 밸브공과 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개부를 통해 외기가 유입이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90)와, 차폐비닐(591)로 구성된다.
플레이트(590)는 케이스(100) 바닥에 고정되며, 밸브공(110)에 대응되는 외기공(590a)을 형성한다.
차폐비닐(591)은 플레이트(590)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외기공(590a)을 덮어씌운다.
이때, 차폐비닐(591)은 명칭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연질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590)의 양측에만 고정이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차폐비닐(591)은 상방으로 들려져 플레이트(590)로부터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크밸브(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일방향 비닐로 제공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비닐이 제공되되, 케이스(100)의 바닥에 두 개 이상의 밸브공(110)이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밸브공(110)에 일방향 비닐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일방향 비닐의 내부에는 밸브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직진하여 배출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간섭부재(512)가 더 형성된다.
즉, 밸브공(110)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일방향 비닐의 간섭부재(512)를 피해 지그재그로 유동되면서 케이스(100)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512)는 한 개의 일방향 비닐이 케이스에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체크밸브(500)는 외기가 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한 본연의 기능 외에도, 외기를 이용한 광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체크밸브(500)를 설치하되, 비닐(510)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면 부풀어 오르는 팽창부재(570)를 설치한다.
이때, 팽창부재(570)의 내부는 비닐(510)의 일측과 통하게 함으로써, 비닐(510)의 일측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비닐(510)의 양측에 설치된 꺾임부재(520)는 강도(强度)가 다르게 구성된다.
비닐(510)의 일측 즉, 팽창부재(570) 측에 설치된 꺾임부재(520)는 쉽게 꺾이는 연질로 하고, 비닐(510)의 타측에 설치된 꺾임부재(520)는 비닐(510)의 일측에 설치된 꺾임부재(520)에 비해 늦게 꺾이는 경질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외기가 밸브공(110)을 통해 비닐(51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기는 비닐(510)의 일측으로 먼저 유입이 된다.
이는, 비닐(510)의 일측에 설치된 꺾임부재(520)가 먼저 꺾이므로 비닐(510)의 일측이 먼저 개방되기 때문인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는 팽창부재(570)를 부풀어 오르게 하는데, 팽창부재(570)가 부풀어 오르면서 광고문구를 보여줌으로써 광고효과뿐만 아니라 음료 섭취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팽창부재(570)가 더 이상 부풀어 오르지 않으면, 외기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510)의 타측을 통해 하부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축된 액상주머니(300)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팽창부재(570)가 비닐(5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꺾임부재(520)는 비닐(510)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체크밸브(500)를 복수로 마련하거나, 체크밸브(500)가 한 개 설치되더라도 케이스(100) 내부로 외기 배출이 복수로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라면, 체크밸브(500)의 강성을 달리하여 강성이 약한 측의 체크밸브(500)에 팽창부재(570)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밸브공(11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배출 방향을 두 개 이상의 복수로 구성하고, 어느 하나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체크밸브(500)의 강성만 약하게 구성하면 체크밸브(500)로 유입된 외기는 강성이 약한 측으로 먼저 배출되어 팽창부재(570)를 부풀어 오르게 한 후 나머지 배출구를 향해 케이스(100) 내부에 배출됨으로써, 체크밸브(500)의 팽창부재(570)를 이용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액상용기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와, 액상주머니(300)와, 탈착수단(600)을 포함한다.
이때, 액상주머니(300)의 상단 둘레에는 고정띠(310)가 더 설치된다.
고정띠(310)는 액상주머니(300)의 개구된 상태를 유지해주고, 하부케이스(100)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액상주머니(300)를 벌려가며 하부케이스(100)에 고정시키는 것보다, 상기 고정띠(310)가 액상주머니(3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 작업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탈착수단(600)은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그리고 액상주머니(300)를 상호 간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내홈부(611)와, 걸림홈부(612)와, 제1고정돌기(621) 및 제2고정돌기(622)와, 마감커버(630)와, 구속부재(6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공되되, 안내홈부(611)와 걸림홈부(612)가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 각각에 형성되고, 제1고정돌기 (621)및 제2고정돌기(622)는 고정띠(310)의 높이 방향으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띠(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621)는 하부케이스(100)의 안내홈부(611)를 따라 걸림홈부(612)에 위치되고, 고정띠(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621)는 상부케이스(200)의 안내홈부(611)를 따라 걸림홈부(612)에 위치된다.
이후, 상부케이스(200)의 걸림홈부(612)에 제1고정돌기(621)가 걸려 고정되었을 때, 마감커버(630)를 상부케이스(2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고정돌기(622)를 고정홈부(631)에 결합시킨다.
이때, 구속부재(632)는 상부케이스(200)의 안내홈부(611)에 위치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액상용기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액상용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00)와, 흡입마개(710)와, 기밀유지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700)는 액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700)의 일측에는 케이스(700)의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밸브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700)의 밸브공(110)은 케이스(700)의 바닥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밸브공(110)에는 체크밸브(50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500)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입마개(710)는 케이스(700)의 내부를 개폐하며, 케이스(70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흡입마개(710)는 케이스(700)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결합수단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흡입마개(710)에는 케이스(700)의 액상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관로(7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기밀유지부재(720)는 케이스(7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승강되며, 케이스(700)의 내주면에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기밀유지부재(720)는 케이스(700) 내주면과의 기밀 유지가 극대화되도록 연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밀유지부재(720)가 케이스(700) 내부의 최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스(700)의 개구부를 통해 액상이 유입된다.
이후, 흡입마개(710)를 케이스(700)에 나사 결합하여 케이스(700)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이후, 액상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흡입마개(710)의 배출관로(711)를 빨아 흡입력을 발생하면, 액상은 상승되어 배출관로(711)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기밀유지부재(720)도 케이스(700)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된다.
또한, 기밀유지부재(720)의 하방에 있는 체크밸브(50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상승된 기밀유지부재(72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액상의 무게에 의해 기밀유지부재(720)가 하강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액상용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00)와, 액상주머니(900)와 체크밸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80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케이스(8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마감캡(810)이 나사 결합된다.
이때, 케이스(800) 하부의 마감캡(810)에는 밸브공(110)이 형성되고, 케이스(800) 상부의 마감캡(810)에는 배출관로(811)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관로(811)에는 토출부재(41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액상주머니(900)는 케이스(800) 내부의 액상이 배출관로(81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액상을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밸브공(110)을 덮어씌운 상태로 케이스(800) 내부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체크밸브(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800) 내부 압력에 따라 밸브공(110)을 개폐하여 외기가 밸브공(110)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크밸브(50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상용기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800) 내부에 액상이 수용되고, 액상주머니(900)는 수축된 상태로 액상 속에 잠긴 상태가 된다.
이후, 배출관로(811)를 흡입하거나 케이스(800)를 눌러 액상이 배출관로(811)를 통해 배출이 되면, 케이스(800)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체크밸브(500)는 개방이 되고 외기는 밸브공(110)을 통해 액상주머니(900) 내부로 유입이 된다.
이때, 액상주머니(900)는 외기 유입에 의해 점점 부풀어 오르게 되며, 이러한 액상주머니(900)의 팽창에 의해 액상은 상승되면서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액상 배출이 멈추면 체크밸브(500)는 밸브공(110)을 폐쇄하고, 액상주머니(110)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전술한 액상용기의 내부에는 액상주머니(300,9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액상주머니(300,900)는 액상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이 배출될수록 케이스(200,800) 내측면에 근접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얼마 남지 않은 액상 즉, 잔수는 액상주머니(300,900)에 간섭되어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액상주머니(300,900)에 장홈(910)을 형성한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 제시한다.
액상주머니(300,900)가 케이스(200,800) 내측면에 밀착되어 잔수 배출을 간섭하더라도, 배출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홈(9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잔수는 상기 장홈(910)을 따라 배출관로(220,811)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장홈(910)은 액상주머니(300,90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200,800)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홈(91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분배홈(92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분배홈(920)은 잔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용기를 기울였을 때, 일측에 고인 잔수는 분배홈(920)을 통해 용이하게 장홈(910)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로 분리되어 제공되며, 상부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접착부(230)가 하방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상부케이스(200)와 접착부(230) 사이에는 직경차에 따른 단차홈(2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주머니(300)는 접착부(230)의 둘레에 접착고정되며, 단차홈(231)에는 하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삽입고정된 액상용기가 제공된다.
한편, 액상용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에 접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부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접착부(120)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하부케이스(100)와 접착부(120) 사이에는 직경차에 따른 단차홈(1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주머니(900)는 접착부(120)의 둘레에 접착고정되며, 단차홈(121)에는 상부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액상주머니(900)를 덮어씌우면서 삽입고정된 액상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액상용기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와, 액상주머니(300)와, 고정매개체(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매개체(950)는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압착을 통해 액상주머니(300)를 상부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매개체(950)의 재질이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매개체(950)는 상부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부홈(951)과, 하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하부홈(952)과, 액상주머니(300)가 삽입되는 중간홈(953)을 형성한다.
고정매개체(9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951)은 상방을 향해 개구되고, 하부홈(952)은 하방을 향해 개구되며 중간홈(953)은 액상주머니(300)의 상단 테두리가 절곡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액상주머니(300)를 향해 개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홈(951), 하부홈(952), 중간홈(953)에 상부케이스(200), 하부케이스(100), 액상주머니(300)가 각각 삽입된 후 압착수단을 이용해 고정매개체(950)를 압착시킴으로써 상부케이스(200), 하부케이스(100), 액상주머니(300)가 고정된 액상용기가 제공된다.
한편, 고정매개체(950)는 중간(953)홈을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홈(953)을 생략하고 상부홈(951)에 상부케이스(200) 및 액상주머니(300)를 삽입한 후 압착함으로써 액상주머니(300)가 상부케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용기는 케이스 내부에 액상주머니를 마련하고 케이스 내부에 외기가 유입되어 수축된 액상주머니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액상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음료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밀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음료가 새어나오거나 이물이 외부에서 역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하부케이스 110 : 밸브공
120,230 : 접착부 121,231 : 단차홈
200 : 상부케이스 210 : 배출관로
220 : 네크부 300 : 액상주머니
310 : 고정띠 400 : 흡입캡
410 : 토출부재 411 : 절개부
420 : 지지부재 500 : 체크밸브
510 : 비닐 511,710 : 통공
512 : 간섭부재 520 : 꺾임부재
530 : 차폐부 531 : 경질부재
540 : 결합부 550 : 연결부
560 : 링 570 : 팽창부재
580 : 끼움돌기 581 : 밀착캡
590 : 플레이트 591 : 차폐비닐
600 : 탈착수단 610 : 홈부
611 : 안내홈부 612 : 걸림홈부
620 : 고정돌기 621 : 제1고정돌기
622 : 제2고정돌기 630 : 마감커버
631 : 고정홈부 632 : 구속부재
700 : 케이스 710 : 흡입마개
711 : 배출관로 720 : 기밀유지부재
800 : 케이스 810 : 마감캡
811 : 배출관로 900 : 액상주머니
910 : 장홈 920 : 분배홈
950 : 고정매개체 951 : 상부홈
952 : 하부홈 953 : 중간홈

Claims (11)

  1.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밸브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에 내부 압력에 따라 밸브공을 개폐하며, 밸브공을 통한 외기 유입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더 결합되며, 액상이 배출되는 배출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액상이 수용되되 수축이 가능한 재질의 액상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밸브공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공과 케이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비닐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비닐 내부는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면서 밸브공과 케이스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복원되는 절개부를 형성하는 연질의 토출부재 및 상기 토출부재의 저면에 배치되어 절개부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서만 벌어지도록 지지하는 메시 타입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거나, 케이스 바닥에 결합된 결합부와, 밸브공을 차폐하는 연질의 차폐부와, 결합부와 차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밸브공의 관로를 개폐하는 원통형의 일방향 비닐로 구성되고 일방향 비닐의 내부에는 일방향 비닐의 내경에 대응되는 고정틀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되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형태의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밸브공은 결합공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형성되며 복수의 밸브공에 밀착되되 밸브공을 통한 외기 유입에 의해 밸브공으로부터 들려지는 연질의 밀착캡으로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되 케이스 내측을 향해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라운드진 한 쌍의 경사면을 갖는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대응되는 외기공이 형성되고 케이스 바닥에 접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기공을 차폐하되 외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케이스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접착된 차폐비닐로 구성되거나, 케이스 바닥에는 밸브공이 형성되고 밸브공에는 케이스 내부와 일방향으로 통하는 일방향 비닐이 구성되되 일방향 비닐의 내부에는 외기의 배출을 지그재그로 유도하는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강성이 다른 재질의 복수로 마련되되, 강성이 약한 재질의 체크밸브에는 밸브공을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팽창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용기.
  2.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밸브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에 내부 압력에 따라 밸브공을 개폐하며, 밸브공을 통한 외기 유입을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더 결합되며, 액상이 충진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탈착되며, 케이스의 액상이 배출되는 배출관로를 형성하는 흡입마개;
    상기 흡입마개를 통한 케이스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승강되며, 케이스의 내주면 상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밸브공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공과 케이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비닐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비닐 내부는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면서 밸브공과 케이스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복원되는 절개부를 형성하는 연질의 토출부재 및 상기 토출부재의 저면에 배치되어 절개부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서만 벌어지도록 지지하는 메시 타입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거나, 케이스 바닥에 결합된 결합부와, 밸브공을 차폐하는 연질의 차폐부와, 결합부와 차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밸브공의 관로를 개폐하는 원통형의 일방향 비닐로 구성되고 일방향 비닐의 내부에는 일방향 비닐의 내경에 대응되는 고정틀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되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형태의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밸브공은 결합공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고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형성되며 복수의 밸브공에 밀착되되 밸브공을 통한 외기 유입에 의해 밸브공으로부터 들려지는 연질의 밀착캡으로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결합되되 케이스 내측을 향해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라운드진 한 쌍의 경사면을 갖는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밸브공에 대응되는 외기공이 형성되고 케이스 바닥에 접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기공을 차폐하되 외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케이스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접착된 차폐비닐로 구성되거나, 케이스 바닥에는 밸브공이 형성되고 밸브공에는 케이스 내부와 일방향으로 통하는 일방향 비닐이 구성되되 일방향 비닐의 내부에는 외기의 배출을 지그재그로 유도하는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강성이 다른 재질의 복수로 마련되되, 강성이 약한 재질의 체크밸브에는 밸브공을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팽창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리되어 상호 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액상주머니의 개구부에는 개구부 형태를 유지하는 고정띠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리되어 제공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압착을 통해 수축되는 고정매개체가 제공되고,
    상기 액상주머니는 고정매개체의 압착을 통해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리되어 제공되며,
    상부케이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접착부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단차홈을 형성하고, 액상주머니는 접착부의 둘레면에 접착되며, 하부케이스는 액상주머니를 덮어씌워 상기 단차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성이거나,
    하부케이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접착부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하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단차홈을 형성하고, 액상주머니는 접착부의 둘레면에 접착되며, 상부케이스는 액상주머니를 덮어씌워 상기 단차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탈착수단이 마련되고, 탈착수단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단부 테두리로부터 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부;상기 안내홈부로부터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부;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안내홈부를 통해 걸림홈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제1고정돌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걸림홈부에 제1고정돌기가 걸려 고정되었을 때, 케이스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부를 형성하는 마감커버;마감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고정돌기가 고정홈부에 걸려 고정되었을 때, 안내홈부에 위치되어 케이스의 회전을 구속하여 걸림홈부로부터 제1고정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구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각각에 형성되며, 단부 테두리로부터 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부;상기 안내홈부로부터 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부;상기 고정띠에 높이 방향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 안내홈부를 통해 걸림홈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 및 제1고정돌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상부케이스의 걸림홈부에 제1고정돌기가 걸려 고정되었을 때, 상부케이스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부를 형성하는 마감커버;마감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고정돌기가 고정홈부에 걸려 고정되었을 때, 상부케이스의 안내홈부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의 회전을 구속하여 걸림홈부로부터 제1고정돌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구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10. 제 1항, 제 6항, 제7항,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주머니에 액상이 수용된 면 또는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액상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11. 삭제
KR1020140172918A 2014-12-04 2014-12-04 액상 용기 KR101606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18A KR101606385B1 (ko) 2014-12-04 2014-12-04 액상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18A KR101606385B1 (ko) 2014-12-04 2014-12-04 액상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385B1 true KR101606385B1 (ko) 2016-03-25

Family

ID=5564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18A KR101606385B1 (ko) 2014-12-04 2014-12-04 액상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3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29B2 (ja) * 1990-07-31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記録装置
JP2006500288A (ja) * 2002-07-29 2006-01-05 フォン・シュックマン、アルフレッド ペースト状または流動状の物質用の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29B2 (ja) * 1990-07-31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記録装置
JP2006500288A (ja) * 2002-07-29 2006-01-05 フォン・シュックマン、アルフレッド ペースト状または流動状の物質用のディスペン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294B2 (en) Nursing bottle with cushiony exterior sidewall
US7204382B2 (en) Drinking tube and cap assembly
JP4749572B2 (ja) 分与容器の口栓構造
JP4940129B2 (ja) 飲用容器通気システムおよび飲用容器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US6601720B2 (en) Nursing bottle
US20100193459A1 (en) Nursing bottle with recessed storage area
US6446822B1 (en) Nursing bottle
KR101530907B1 (ko) 액상 용기
EP1948531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fluid dispensing systems
JP2010523257A (ja) 幼児用哺乳瓶
CN110621285B (zh) 吸管杯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JP2006347580A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AU2019356032B2 (en) Pump-activated feeding container
KR20130030192A (ko) 교체가능한 실리콘 내피를 구비하는 다중구조 음료병
WO2013171351A1 (es) Tapa con tapon para recipiente de bebidas
KR200453621Y1 (ko) 흘림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KR101606385B1 (ko) 액상 용기
KR101408244B1 (ko)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KR102370414B1 (ko)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KR101391409B1 (ko) 유아용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