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30B1 - A wiring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A wiring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30B1
KR101606130B1 KR1020140113141A KR20140113141A KR101606130B1 KR 101606130 B1 KR101606130 B1 KR 101606130B1 KR 1020140113141 A KR1020140113141 A KR 1020140113141A KR 20140113141 A KR20140113141 A KR 20140113141A KR 101606130 B1 KR101606130 B1 KR 10160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wir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5804A (en
Inventor
김주한
이현찬
김진성
정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론
Priority to KR102014011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30B1/en
Publication of KR2016002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배선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본 인프라가 없는 현장에서 DB의 배선목록에 따라 기기의 단자 내 접점을 한번에 검색 및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이용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의 각 심선에 각각 개별 부착되며 각 심선의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심선 태그,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구성되며 표시소자 제어기에 의해 각 표시소자 유닛을 선택 점등하는 표시소자 어레이, 배선하고자 하는 기기와 심선의 각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 및 심선 태그로부터 각각 무선 인식하고 기 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에서 기기의 식별정보 및 심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단일 검색방식으로 한번에 직접 검색하여 표시소자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 및 각 기기에 설치되며 각 기기의 식별을 위한 기기 식별정보를 보유하여 무선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 식별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을 직접 구동하는 표시소자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을 제공하여, 원자력 발전소 등의 건설 현장에서의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wiring guiding system for searching and guiding contacts within a terminal at one time according to a wiring list of a DB in a field without a basic infrastructure using a wireless terminal.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ing guiding system using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the wiring guiding system comprising: a core wire tag which is individually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a cable and hol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ore wire; A display element ar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 units and selectively illuminating each display element unit by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wireless identification of respective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to be wired and core wires from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and a core tag, A wireless terminal for directly search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the wiring list of the DB by a single search method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And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for directly supplying each of the display element units of the display element array to the wireless terminal by providing the correspond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o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display element unit at a construction site of a nuclear power plant or the like So that the wiring work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Description

배선 안내시스템{A wiring guidance system}{A wir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배선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각 심선에 비접촉식 심선 태그를 각각 개별 부착하고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 옆에 표시소자 제어기에 의해 각각 개별 구동되는 표시소자 유닛을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하여 무선 단말기를 통한 단일 점검 방식으로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대 내의 각 단자를 한번에 검색하여 각 표시소자 유닛을 통해 직접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케이블 및 심선이 존재하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대형 플랜트 설비 건설 현장에서의 배선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선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gu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guiding system in which a non-contact type core tag is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a cable, and a display element unit individually driven by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next to each terminal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for cable connection at a time with a single check method through wireless terminals and to guide the terminal directly through each display element unit so that a large size of a nuclear power plant having a large number of cables and core w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guiding system for facilitating wiring work at a plant facility construction site.

특히 본 발명은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 또는 설비에 따라 섹션별로 구분 및 축약 저장하고 이를 섹션별로 무선 단말기에 이동 저장시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대 내의 각 단자를 단일 점검 방식으로 한번에 검색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와 통신 등의 인프라가 없는 대형 플랜트 기기 건설 현장에서의 케이블 및 심선의 배선작업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선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is divided and stored in sect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process steps or facilities, and is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in a section by section, so that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for cable conn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guiding system that can perform wiring and wiring work of a cable and a core wire at a construction site of a large plant device without an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search and guide at once.

일반적으로 전력관련 건설 및 시공시 전력케이블과 와이어의 설계와 제조 및 그 연결작업은 우선 설계자(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경우 한국전력기술이 됨)가 도면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기기 번호-터미널 포인트-케이블-와이어 연결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단계에서 생성)하고, 이후 기기 제조사가 설계자의 설계도면에 맞추어 기기를 제조 및 납품하여 설치하게 되며, 케이블링 업체는 설계도면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에 태그 작업을 실시한 후 납품하게 된다. In general, the design, manufacture and connection of power cables and wires in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electric power should be done by designers (for example, KEPCO in case of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oint-to-cable-wire connection database is created at the design stage), and then the device manufacturer manufactures and supplies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designer, and the cabling company performs tagging on each wire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After the implementation, it will be delivered.

그리고 건설 시공 업체는 설계에 따라 제조된 기기 및 납품된 케이블을 설계 도면에 따라 설치하고 전기 시공 하청 업체는 설치된 기기 및 케이블을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실시하게 된다.The construction contractor installs the equipment and the supplied cable according to the design plan, and the electric contract subcontractor performs the wiring using the installed equipment and cable.

그런데 이러한 케이블은 원전 건설의 경우 원전 1기당 대략 70,000개 정도로서, 케이블/와이어 배선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기기는 대략 20,000개 정도가 되고, 기기당 연결해야할 터미널 포인트는 작게는 몇 개에서 최대 300여개 정도가 되는데, 실제의 케이블/와이어 배선 작업은 설계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기기별 연결 도면을 보면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오배선 가능성의 우려가 있었다.However, these cables are about 70,000 units per nuclear power plant, and about 20,000 units are required to perform cable / wire wiring. The number of terminal points to be connected per unit is from a few to a maximum of 300 In actual cable / wire wiring work, there is a possibility of erroneous wiring because the work must be performed while looking at the connection drawing for each device in the design database.

또한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의 특성상, 케이블링/와이어링 작업 현장에는 대체적으로 전기 및 통신 인프라가 설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건설 현장에서 기기에 케이블링/와이어링 연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기기의 연결 도면을 프린트해서 가지고 나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in general,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re not generally installed at the cabling / wiring work site.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cabling / wiring connection to the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 was a hassle that I had to go out with.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단말기에 따라서는 설계 데이터 또는 도면들에 대한 정보들을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 분리된 각 정보들을 축약해서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erminal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have been int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mobile terminals. Depending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design data or drawings can be edited or separated in a desired form, It is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s that can store information in shor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의 각 심선에 비접촉식 심선 태그를 각각 개별 부착하고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 옆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표시소자 유닛을 설치하여, 심선을 연결하기 이전에 무선 단말기를 통한 단일 점검 방식으로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대 내의 각 단자를 한번에 직접 검색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입장에서 편리하게 배선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contact core wire tag that is individually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a cable, By installing a display element unit,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guide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for cable connection by a single inspection metho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before connecting the core wire, thereby performing a convenient wiring work from the viewpoint of the oper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ing gu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wiring guiding system.

특히 본 발명은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 또는 설비에 따라 섹션별로 구분 및 축약 저장 가능하게 구축하고 무선 단말기가 인식한 플랜트 기기의 식별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섹션의 배선목록을 설계 DB에서 선택 이동 및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와 통신 등의 인프라가 없는 대형 플랜트 기기 건설 현장에서 무선 단말기로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위치를 간단하게 검색 및 안내하여 배선작업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is divided and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process steps or equipment, and a wiring list of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nt equipment recognized by the wireless terminal is stored in a design DB ,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and guide the position of each terminal of the terminal block in the equipment by the wireless terminal at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wiring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and efficiently To provide a wiring gu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wiring guiding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이용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의 각 심선에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되며 각 심선의 식별을 위한 심선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심선 태그,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구성되며 표시소자 제어기에 의해 각 표시소자 유닛 중의 하나를 선택 점등하는 표시소자 어레이, 배선하고자 하는 기기와 심선의 각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 및 심선 태그로부터 각각 무선 인식하고 기 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에서 기기의 식별정보 및 심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단일 검색방식으로 한번에 직접 검색하여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표시소자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 및 각 기기에 설치되며 각 기기의 식별을 위한 기기 식별정보를 보유하여 무선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 식별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단자 식별정보 또는 표시소자 식별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을 직접 구동하는 표시소자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ing guiding system using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the wiring guiding system comprising: a core wire which is individually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a cable and holds core w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core wire; A display element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 units provid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terminal block in the apparatus, the display element array for selectively lighting one of the display element units by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core tag, and directly searches the wiring list of the previously stored design DB f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rresponding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element A wireless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device installed in each device to provid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for directly driving each display element unit of the display element array with the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에 저장되는 설계 DB의 배선목록은,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 또는 설비에 따라 섹션별로 구분되고 축약 저장된 섹션별 배선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is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process steps or equipment, and is a shortened wiring list for each 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의 각 심선에 비접촉식 심선 태그를 각각 개별 부착하고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 옆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표시소자 유닛을 설치하여, 심선을 연결하기 이전에 무선 단말기를 통한 단일 점검 방식으로 케이블 연결을 위한 단자대 내의 각 단자를 한번에 직접 검색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케이블 및 심선이 존재하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의 케이블링/와이어링 등의 배선작업을 작업자의 입장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케이블 또는 심선의 배선 에러를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추후 재 배선이나 유지 보수의 관점에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type core tag is separately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a cable, and a display element unit is provid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terminal of the terminal block in the apparatus, ,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direct the respective terminals in the terminal block for cable connection at a tim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veniently carry out wiring work such as cabling / wiring in a nuclear power plant having numerous cables and core wir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wiring error of the cable or the core wir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used from the viewpoint of re-wiring and maintenance later.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 또는 설비에 따라 섹션별로 구분 및 축약 저장 가능하게 구축하고 무선 단말기가 인식한 플랜트 기기의 식별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섹션의 배선목록을 설계 DB에서 선택 이동 및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와 통신 등의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지 못한 대형 플랜트 기기 등의 건설 현장에서 무선 단말기로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위치를 간단하게 검색 및 안내하여 배선작업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can be divided and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process steps or equipment, and a wiring list of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nt device recognized by the wireless terminal By selecting and moving from the design DB,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and display the position of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at a construction site such as a large plant device where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an not be bui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done simply an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심선 태그 인식수단으로 바코드, QR코드, RFID, NFC 등을 활용 가능한 모든 센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utilization can be improved because all sensors capable of utilizing bar code, QR code, RFID, NFC, etc. can be used as the core wire tag recognition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이 적용되는 플랜트 기기 사이의 케이블 연결상태 및 케이블의 각 심선에 부착되는 심선 태그의 부착상태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에서 구성되는 각 식별정보 및 배선목록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LED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기 ID와 심선 ID의 인식 및 LED 제어기 구동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cable connection state between plant equipment to which a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tate of attaching a core wire tag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the cable. FIG.
3 (a) to 3 (d)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each pie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iring list formed in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D controller of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device IDs, core line IDs, and LED controller operations performed by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선 안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이 적용되는 플랜트 기기 사이의 케이블 연결상태 및 케이블의 각 심선에 부착되는 심선 태그의 부착상태를 예시한 참고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은,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기기(10)의 단자대(11)에 설치되는 LED 어레이(20), 심선 태그(30), 설계 DB(40), LED 제어기(50), 무선 단말기(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able connection state between plant devices to which a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so as to use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and is provided with the LED array 20 , A core wire tag 30, a design DB 40, an LED controller 50, and a wireless terminal 60.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표시소자"로 LED를 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서, LED 에레이, LED 제어기 등의 명칭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표시소자 에레이, 표시소자 제어기 등을 의미하며, 상기 표시소자는 LED, 레이저포인터, LCD,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등 중에서 선택 가능한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EDs will be described as "display elements" for a user interface, and LED array elements, LED controllers,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LEDs. However, the names refer to a general display element array,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Corresponds to any one of LED, laser pointer, LCD, and segment display.

LED 어레이(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기(10)의 단자대(11) 내의 각 단자(12) 옆에 직접 설치되는 다수의 LED 유닛(20a-20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될 LED 제어기(50)에서 전달되는 LED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각 LED 유닛(20a-20n) 중에서 구동 데이터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LED 유닛을 선택 점등한다. 이때 각 LED 유닛(20a-20n)은 외부의 LED 구동 데이터로부터 LED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해당 LED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구비한 서브 제어부(21), 기기의 단자대(11) 내의 각 단자(12) 옆에 각 단자(12)와 일대일 대응되게 직접 설치되는 LED(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LED 유닛(20a-20n)은 예를 들면 다량의 LED를 연결하기 위해 1비트 지연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LED 제어기(50)와 직렬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LED array 20 comprises a plurality of LED units 20a-20n directly mounted next to each terminal 12 in the terminal block 11 of the device 10 as illustrated in Figure 1, And is driven by the LED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D controller 50 to selectively illuminate one LED uni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drive data among the LED units 20a-20n. Each of the LED units 20a to 20n includes a sub-control unit 21 having control logic for detecting an LED address from external LED drive data and lighting the corresponding LED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an LED 22 directly next to each terminal 12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terminal 12. Each of these LED units 20a-20n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LED controller 50, for example, in a 1-bit delayed daisy-chain fashion to connect a large number of LEDs.

심선 태그(30)는 케이블(13)의 각 심선(14)에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3) 내의 각 심선(14)의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심선 태그(30L,30R)가 각각 서로 대응되게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각각의 심선 태그는 케이블(13) 및 심선(14)의 식별을 위한 케이블/심선 식별정보를 보유하여, 외부 기기, 즉, 예를 들면 후술될 무선 단말기(60)의 태그 감지부(62) 등에 의해 무선 인식되어 케이블/심선 식별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심선 태그는, 예를 들면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중에서 선택 가능한 어느 하나로 구성 가능하다. The core wire tags 30 ar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respective core wires 14 of the cable 13. A pair of core tags 30L and 30R are preferably attach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core wires 14 in the cable 13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se core wire tags includes a cable 13, C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the cable /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14 and is wirelessly recognized by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tag detection unit 62 of the wireless terminal 6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Each of these core wire tags can be configured as any one of, for example, a bar code, a QR code, an NFC tag, and an RFID tag.

설계 DB(40)는 설계자에 의해 구축되며, 플랜트 기기 건설 현장(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건설 현장 등일 수 있음)에서 배선을 필요로 하는 각 기기의 배선목록(100), 각 배선목록에 대한 설계 도면 및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The design DB 40 is constructed by a designer and includes a wiring list 100 of each device requiring wiring in a plant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a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ite, etc.), a design drawing And related information.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안내시스템에서 구성되는 각 식별정보 및 배선목록의 구성 예시도로서, (a)는 케이블 및 심선의 식별을 위한 케이블/심선 식별정보(110)의 구성 예이고, (b)는 케이블(13) 및 심선(14)의 기기(10) 연결 위치 식별을 위한 기기/단자대/단자 식별정보(120)의 구성 예이며, (c)는 단위의 배선목록(100)의 구성 예이고, (d)는 한 쌍의 심선 태그에 대해 서로 대응되게 쌍으로 구현되는 배선목록 페어(100L,100R)의 구성 예이다.3 (a) to 3 (d)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iring list formed in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cable /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120 for identify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device 10 of the cable 13 and the core wire 14, (c)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D)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wiring list pairs 100L and 100R that are implemented in pairs so as to correspond to a pair of core wire tags.

심선 태그(30)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케이블 및 심선의 식별을 위한 케이블/심선 식별정보(110)는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식별을 위한 케이블 ID(111)와 케이블 내의 각 심선의 식별을 위한 심선 ID(112)를 포함하고, LED 제어기(50)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케이블(13) 및 심선(14)의 기기(10) 연결 위치 식별을 위한 기기/단자대/단자 식별정보(120)는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기의 식별을 위한 기기 ID(121)와 기기의 단자대의 식별을 위한 단자대 ID(122) 및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의 식별을 위한 단자 ID(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ble /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110 for identifying the cable and the core wire that can be recognized from the core wire tag 30 includes a cable ID 111 for identification of the cable as illustrated in Figure 3 (a) Terminal / terminal identification (ID) 112 for identify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device 10 of the cable 13 and the core wire 14 which includes the core ID 112 for identification of each core wire and which can be recognized from the LED controller 50 The information 120 includes a device ID 121 for identifying the device, a terminal block ID 122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nd a terminal ID for identifying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3 (b) And a terminal ID 123.

설계 DB(40)의 배선목록(100)은 기기 ID(121), 케이블 ID(111), 심선 ID(112), 단자대 ID(122), 단자 ID(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설계 DB(40)의 배선목록(100)은,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옆에 일대일 대응되게 각각 직접 설치된 다수의 LED 유닛(20a-20n)의 각 LED(22)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LED ID(131)를 더 포함하여 도 3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기 ID(121), 케이블 ID(111), 심선 ID(112), 단자대 ID(122), 단자 ID(123), 및 LED ID(131)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LED ID는 기기 제조사가 LED ID를 결정한 후 설계사에 피드백을 해야 하는데, 이는 공정상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며, 추후에 LED 제어기에서 LED ID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추가도 가능하다. The wiring list 100 of the design DB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device ID 121, the cable ID 111, the core ID 112, the terminal ID 122 and the terminal ID 123, The wiring list 100 of the design DB 40 includes an LED ID for identifying each of the LEDs 22 of the plurality of LED units 20a to 20n directly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The cable ID 111, the core ID 112, the terminal ID 122, the terminal ID 123, and the LED 131 as shown in FIG. 3 (c) ID 13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LED ID must be fed back to the designer after the LED manufacturer has determined the LED ID. This may be troublesome in the process, so that it can be omitted if necessary. In addition, It is possible.

또한 설계 DB(40)에 저장되는 각 배선목록(100)은 기기(설비) ID 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러한 배선목록(100)은 도 3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심선(14)의 양쪽 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심선 태그(30L,30R)에 대해 배선목록 페어(100L,100R)로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each wiring list 100 stored in the design DB 40 is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device ID. Also, as shown in FIG. 3 (d) The pair of wire tag pairs 30L and 30R may be constituted by the wiring list pairs 100L and 100R, which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wire 14L.

또한 이러한 설계 DB(40)는 바람직하게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예를 들면 이동성을 가진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를 통해 이동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배선목록 및 그에 대한 설계 도면 및 관련 정보가 하나 이상의 공정단계 또는 설비 또는 건설 섹션별로 분리 가능하게 축약 저장된 섹션별 배선목록의 형태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sign DB 40 preferably includes a wiring diagram and a design drawing and related information therefor to enable movement storag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removable memory (for example, a flash memory card having mobility)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in the form of the above-mentioned process steps or a section-by-section wiring list that can be separated and separated by facility or construction section.

또한 이러한 설계 DB(40)의 배선목록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기 ID를 기준으로 그 하위에 케이블 ID 어레이, 및 심선 ID 어레이의 형태로 구축될 수 있으며, 각 단자대 ID 및 단자 ID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링크 포인터 정보가 각 단자 ID에 더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40 is not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cable ID array and a core ID array under the device ID, Link pointer informati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e may be added to each terminal ID.

도 4는 도 1의 LED 제어기(5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LED 제어기(50)는 각 기기(10)에 설치되며 각 기기/단자대/단자의 식별을 위한 기기/단자대/단자 식별정보(120)를 보유하고, 외부 기기의 요청(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6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61)를 통한 블루투스 페어링 등)에 응답하여 기기/단자대/단자 식별정보(120)를 무선 송출하며,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와 대응되게 각 단자 옆에 직접 설치된 각 LED를 식별하기 위한 LED 식별정보(예를 들면 단자대 ID와 단자 ID 및 LED ID 매핑정보 등)를 저장하는 맵 테이블을 구비하여 외부 기기에서 전송되는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LED 식별정보로 LED 어레이(20)의 각 LED 유닛(20a-20n)의 개별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LED 제어기(50)는 하나의 제어라인을 통해 직렬 통신 방식으로 LED 어레이(20)에 각 LED 유닛(20a-20n)에 LED 구동명령을 전달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ED controller 50 of FIG. 1. The LED controller 50 is installed in each device 10 and includes a device / terminal block / terminal for identifying each device / terminal block / terminal Terminal /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12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xternal device (e.g., Bluetooth pairing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 of the wireless terminal 60, etc.) And a map table for storing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erminal ID, terminal ID, and LED ID mapp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LED directly provided next to each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apparatus And controls the individual drive of each LED unit 20a-20n of the LED array 20 by the mapping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 At this time, the LED controller 50 transmits an LED driving command to each LED unit 20a-20n to the LED array 20 through a single control line in a serial communication manner.

이를 위하여 LED 제어기(5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51), 맵 테이블 저장부(52), 보조 전원부(53),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54), 및 주제어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 the LED controller 5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a map table storage unit 52,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3, an LED control interface unit 54, and a main control unit 55, .

상기의 LED 제어기(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0)마다 각각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무선 단말기와 세트를 이루어 필요시 각 기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LED controller 50 may be separately installed for each device 10 as shown in FIG. 4,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s a portable device, though not shown,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device when necessary as a set with the wireless terminal.

근거리 무선 통신부(51)는 NFC, RFID,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수단으로 구성(이하의 설명에서는 블루투스가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되어,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is constituted by any one of communication means selected from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RFID, Bluetooth, etc. (hereinafter, the case where Bluetooth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맵 테이블 저장부(52)는 기기 식별정보,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식별정보, 및 단자대 내의 각 단자 옆에 직접 설치된 각각의 LED를 식별하기 위한 LED 식별정보를 각각 매핑시켜 저장하는 맵 테이블을 구비한다.The map table storage unit 52 has a map table for mapping and stor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spectiv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LED installed directly next to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do.

보조 전원부(53)는 외부 전원의 공급이 없을 경우에 LED 어레이(20)를 포함하는 LED 제어기(50)의 각 부분에 배터리 또는 2차 전지에 의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3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respective parts of the LED controller 50 including the LED array 20 by the battery or the secondary battery when no external power is supplied.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54)는 주제어부(55)에서 전송되는 단자대 내의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LED 식별정보로 LED 어레이의 각 LED 유닛을 개별 구동하도록 LED 어레이와의 데이지 체인 방식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The LED control interface unit 54 sets each LED unit of the LED array to the individual LED unit with the mapping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55 And performs a daisy chain interface with the LED array to drive the LED array.

주제어부(55)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51)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보유 중인 기기 식별정보를 무선 송출하며,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LED 식별정보로 맵 테이블 저장부(52)의 매핑정보를 관리하고 외부 기기에서 전송되는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의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LED 식별정보를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54)를 통해 송출하여 LED 어레이(20)의 각 LED 유닛(20a-20n)의 개별 구동을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unit 55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wirelessly transmi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l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xternal device, Manages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map table storage unit 52 with the corresponding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ps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o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e interface unit 54 to control the individual driving of the LED units 20a-20n of the LED array 20.

도 5는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무선 단말기(60)는 블루투스, NFC,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와이파이, 3G(또는 4G나 LTE 등)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수신되거나 탐색되는 설계 DB(40)의 배선목록(100)을 저장하며 배선하고자 하는 기기와 심선의 각 식별정보를 LED 제어기(50) 및 심선 태그(30)로부터 각각 무선 인식하고 기 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100)에서 기기의 식별정보 및 심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단일 검색방식으로 한번에 직접 검색하여,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LED 식별정보를 LED 제어기(5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단말기(6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61), 태그 감지부(62), 메인 메모리(63), 보조 메모리(64) 및 배선안내 제어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1,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60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NFC, RFID, etc. and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WiFi, 3G (or 4G or LTE, And stores the wiring list 100 of the design DB 40 which is received or search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mobile memory,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be wired and the core wir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e is stored in the wiring list 100 of the design DB which is wirelessly recognized from the LED controller 50 and the core tag 30, And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r the corresponding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ED controller 50. [ 5, the wireless terminal 6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 a tag sensing unit 62, a main memory 63, an auxiliary memory 64, and a wire guide control unit 65 .

근거리 무선 통신부(61)는 NFC, RFID,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수단으로 구성(이하의 설명에서는 블루투스가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되어,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 is constituted by any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elected fro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RFID, or Bluetooth (hereinafter, the case where Bluetooth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태그 감지부(62)는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심선 태그(30) 및 LED 제어기(50)에 ID 전송을 위한 요청을 각각 송출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응답신호로부터 심선 식별정보 또는 기기 식별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무선 단말기(60)가 심선 태그(30) 및 LED 제어기(50)를 통해 심선 ID(112) 및 기기 ID(121)를 각각 무선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tag detection unit 62 transmits a request for ID transmission to the core tag 30 and the LED controller 50 which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outputs c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wireless terminal 60 can wirelessly recognize the core ID 112 and the device ID 121 through the core tag 30 and the LED controller 50, respectively.

메인 메모리(63)는 배선안내 제어부(65)에 의해 엑세스되며, LED 제어기(50)로부터 인식된 해당 기기 ID를 기준으로 배선안내 제어부(65)가 보조 메모리(64)의 기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에서 검색하여 로딩한 배선목록을 저장한다.The main memory 63 is accessed by the wiring guiding control section 65 and the wiring guiding control section 65 controls the wiring of the preliminarily stored design DB of the sub memory 64 based on the corresponding device ID recognized from the LED controller 50 Search the list and save the loaded wiring list.

보조 메모리(64)는 배선안내 제어부(65)에 의해 엑세스되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탐색되는, 배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기에 대한 설계 DB의 섹션별 축약 배선목록을 저장한다. The auxiliary memory 64 is accessed by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and stores a detailed wiring list for each section of the design DB for one or more devices for wiring that is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is searched through the removable memory.

배선안내 제어부(65)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SIO) 및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비하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수신 또는 탐색하여 보조 메모리(64)에 저장하며, 태그 감지부(62)를 제어하여 LED 제어기(50) 및 심선 태그(30)로부터 기기 식별정보 및 심선 식별정보를 각각 무선 인식하고 보조 메모리(64)에 기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으로부터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배선목록을 찾아 메인 메모리(63)에 로딩하며,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배선목록을 기준으로 심선 태그(30)에서 인식된 심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LED 식별정보를 LED 제어기(50)에 전달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배선안내 제어부(65)에 의해 수행되는 배선목록 로딩시의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로딩시의 메모리 크기 및 검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색인 기반 연결리스트를 활용한 동적 메모리 할당 방식이 적용되며, 바이너리 방식으로 데이터 검색이 이루어진다. The wiring guiding control section 65 is provided with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SIO) and a flash memory card interface, respectively, to receive or search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removable memory and store it in the auxiliary memory 64, Unit 62 to recogniz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ED controller 50 and the core tag 30 respectively and to correspond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previously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64 Finds a wiring list to be loaded in the main memory 63 and recogniz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correspond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re wire tag 30 based on the wir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of transmit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LED controller 50. The data structure at the time of wiring list loading performed by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is a dynamic memory allocation scheme utilizing an index based connection list so as to minimize a memory size and a retrieval time at the time of data loading, Data retrieval is done in a binary fash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기 ID와 심선 ID의 인식 및 LED 제어기 구동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은,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에 LED 유닛이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직접 설치되는 LED 어레이(20), 케이블의 각 심선에 각각 개별 부착되는 심선 태그(30), 배선할 기기의 목록을 섹션별로 축약 저장하는 설계 DB(40), 각 기기에 설치되어 LED 어레이(20)의 각 LED 유닛(20a-20n)을 개별 구동하는 LED 제어기(50), 및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며 심선 태그를 무선 인식하고 LED 제어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60)를 포함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vice ID and core line ID recognition performed by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ED controller driving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LED units are directly A core wire tag 30 individually attached to each core wire of the cable, a design DB 40 for storing a list of devices to be wired in a shortened manner for each section, an LED array 20 installed in each device, An LED controller 50 for individually driving each LED unit 20a-20n of the LED controller 20, and a wireless controller 50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removable memory, wirelessly recognizing the core tag, And may be performed based on a wiring guiding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60. [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선 안내시스템의 상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wiring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설계자에 의해 건설하고자 하는 플랜트 기기의 배선목록에 대한 설계 DB(40)가 구축되면, 설계 DB(40)에는 플랜트 기기 건설 현장(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건설 현장 등일 수 있음)에서 배선을 필요로 하는 각 기기(10)의 배선목록(100), 각 배선목록에 대한 설계 도면 및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때 각 배선목록(100)에는 케이블 ID(111)와 심선 ID(112)로 구성되는 케이블/심선 ID(110)와, 기기 ID(121)와 단자대 ID(122) 및 단자대 내 각 단자 ID(123)로 구성되는 기기/단자대/단자 ID(120), 및 LED ID(131)가 포함된다.First, when the design DB 40 for the wiring list of the plant equipment to be constructed by the designer is constructed, wiring in the design DB 40 is required at the plant equipment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a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ite, etc.) And a design drawing and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wiring list are stored in the wiring list 100. The wiring list 100 includes a cable ID 111 and a core wire ID 112 A device / terminal block / terminal ID 120 composed of the cable / core wire ID 110, the device ID 121 and the terminal ID 122 and each terminal ID 123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LED ID 131 do.

이때 설계 DB(40)에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예를 들면 이동성을 가진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를 통해 데이터의 이동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기기(10)의 배선목록(100), 각 배선목록에 대한 설계 도면 및 관련 정보가 하나 이상의 공정 또는 기기 등의 건설 섹션별로 분리되어 축약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design DB 40 is provided with the wiring list 100 of each device 10, each wiring (not shown) of each device 10, and the like so that data can be moved and stor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removable memory (for example, The design drawings and related information for the list are separated and stored in one or more construction sections such as a process or a device.

또한 배선목록(100)에는 도 3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심선(14)의 양쪽 단부에 한 쌍으로 부착되는 심선태그 페어(30L,30R)에 대해 배선목록 페어(100L,100R)가 형성되어 저장된다. 또한 각 배선목록(100) 또는 배선목록 페어(100L,100R)에는 각 단자대 내 단자의 ID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링크 포인터 정보가 더 부가되어 구성된다.The wiring list 100 further includes wiring list pairs 100L and 100R for the core tag pairs 30L and 30R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ore wire 14 as illustrated in Figure 3 (d) And stored. Each wiring list 100 or wiring list pair 100L and 100R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link point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ID of the terminal in each terminal block.

다음으로 케이블(13) 및 심선(14)의 배선을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각 기기(10)에는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부(51), 맵 테이블 저장부(52), 보조 전원부(53),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54), 및 주제어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LED 제어기(50)를 설치하고,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기(10)에 배선을 위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단자대(11) 내 각 단자(12)에 각각 서브 제어부(21)와 LED(22)로 구성되는 다수의 LED 유닛(20a-20n)이 일대일 대응되게 하여 LED 어레이(20)를 설치한다.At least one of the devices 10 requiring wiring of the cable 13 and the core wire 14 is connected to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a map table storage unit 52,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53, An LED unit 50 including an interface unit 54 and a main control unit 55 is installed and one or more terminal blocks (not shown) installed for wiring in the device 1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LED units 20a-20n constituted by the sub control unit 21 and the LEDs 22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12 of the LED array 20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이때 각 LED 유닛(20a-20n)의 서브 제어부(21)는 각 기기(10)에 설치되는 LED 제어기(50)에 의해 하나의 제어라인을 이용한 직렬 와이어 통신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1비트 지연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직렬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sub control unit 21 of each of the LED units 20a to 20n is controlled by the LED controller 50 installed in each device 10 so as to be driven by serial wire communication using one control line, To make serial communication possible.

또한 각 LED 유닛(20a-20n)의 LED(22)는 배선을 위한 기기(10)의 단자대(11) 내 각 단자(12) 옆에 각각 일대일 대응하게 직접 설치하여, 예를 들어 임의의 LED가 점등되는 경우 점등된 LED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그에 대응한 최근접 위치의 단자대(11) 내 단자(12)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Ds 22 of the respective LED units 20a to 20n are directly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12 in the terminal block 11 of the device 10 for wiring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terminal 12 in the terminal block 11 in the near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D using the lit LED.

상기와 같이 LED 어레이(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기기(10)의 단자대(11) 내 각 단자(12)에 배선될 케이블(13)의 각 심선(14)의 양쪽 단부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60)의 태그 감지부(62) 등)에 의해 무선 인식될 있도록,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중에서 선택 가능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심선 태그(30)를 각각 부착하여, 각 심선(14)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심선 태그(30L,30R)가 서로 한 쌍의 심선태그 페어(30L,30R)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2,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ED array 20 is completed, the respective core wires 14 of the cable 13 to be wir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12 in the terminal block 11 of each device 10, A QR code, an NFC tag, and an RFID tag so as to be wirelessly recognized by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tag detection unit 62 of the wireless terminal 60 or the like) The two core wire tags 30L and 30R positioned at both ends of each core wire 14 are configured to form a pair of core wire tag pairs 30L and 30R.

상기와 같은 설계 DB(40)의 구축, LED 어레이(20)와 심선 태그(30) 및 LED 제어기(50)의 설치가 완료되고, 케이블링/와이어링 등의 배선 작업할 기기가 결정되고 나면, 작업자 또는 설계자가 피시(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됨)를 조작하여 그로부터 설계 DB(40)의 해당 기기에 대한 섹션별 축약된 배선목록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거나 이동식 메모리에 이동 저장시킬 수 있게 된다.Once the installation of the LED array 20, the core wire tag 30, and the LED controller 50 is completed and the devices to be cabled / cabled are determined, A worker or a designer can manipulate the fish (not shown in the drawing) to transfer the reduced wiring list for each section of the design DB 40 to the correspond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o move the stored wiring list to the portable memory.

따라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a)에서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엑세스되는 해당 기기에 대한 섹션별 축약된 배선목록을 보조 메모리(64)에 저장(S101)시킬 수 있게 된다. 6,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in the first step (a) receives the shortened wiring list for the corresponding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accessed through the removable memory To the auxiliary memory 64 (S101).

이후 작업자가 배선작업하고자 하는 해당 기기의 근처에 접근하여, 무선 단말기(6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61: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를 활성화시키고 페어링할 외부 기기를 설정하여 해당 기기에 설치된 LED 제어기(5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51)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LED 제어기(50)로부터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LED 제어기(50)가 보유하고 있는 해당 기기의 ID가 인식되는지를 판단(S103)한다. 이때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기기 ID를 작업자가 미리 알고 있는 경우 무선 단말기(60)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키입력하는 동작으로 해당 기기 ID를 인식할 수도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operator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device to be wired, activate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 (for example, Bluetooth module) of the wireless terminal 60, sets an external device to be paired, and controls the LED controller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wirelessly receives data from the LED controller 5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LED controller 50 in response to the Bluetooth pairing with the shor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D of the device is recognized (S103). At this time,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may recognize the device ID by an operation of directly inputting a key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60 if the worker knows the device ID in advance.

해당 기기 ID가 인식되면(S103의 Y분기),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보조 메모리(64)에 기저장된 섹션별 배선목록에서 상기 인식된 해당 기기 ID에 대응하는 배선목록을 검색하여 메인 메모리(63)에 로딩(S104)시키는 제2단계(b)를 수행한다.When the corresponding device ID is recognized (Y branch of S103),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displays the wir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rresponding device ID in the wiring list for each sec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64 (B) to load the data into the main memory 63 (S104).

다음으로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태그 감지부(62)를 통해 심선 태그(30)로부터 케이블/심선 식별정보(케이블 ID와 심선 ID)를 무선 인식하고 제2단계(b)에서 로딩된 해당 기기 ID의 배선목록에서 상기 심선 태그로부터 인식된 해당 케이블/심선 식별정보(케이블 ID와 심선 ID)를 검색하여 해당 심선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대 식별정보 및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획득(S105)하는 제3단계(c)를 수행한다. Next, the wire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wirelessly recognizes the cable /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ble ID and core line ID) from the core wire tag 30 through the tag sensing unit 62, (The cable ID and the core ID) recognized from the core wire tag in the wiring list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D loaded in the terminal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e wire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performs the third step (c) of obtaining (S105).

이어서,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해당 기기에 설치된 LED 제어기(5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LED 제어기(50) 내의 맵 테이블에 단자 내 접점과 그에 연결된 LED 정보의 매핑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S106)하고 그 확인 결과, LED 제어기(50) 내의 맵 테이블에 단자 내 접점과 그에 연결된 LED 정보의 매핑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106의 Y분기),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LED 제어기(50)에 전달(S107)하게 되고, 반면에 LED 제어기(50) 내의 맵 테이블에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연결된 LED 식별정보의 매핑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06의 N분기), 무선 단말기(60)의 배선안내 제어부(65)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연결된 LED 식별정보를 LED 제어기(50)에 전달(S108)하여, LED 어레이에서의 각 LED 유닛의 개별 구동에 의한 배선 위치를 안내하도록 LED 제어기를 제어하게 되는 제4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LED controller 5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device so as to map the in-terminal contact point and the LED information connected thereto with the map table in the LED controller 50 (S1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mapping information of the in-terminal contact point and the LED information connected thereto in the map table in the LED controller 50 (Y branch in S106), the wireless terminal The wiring guiding control section 65 of the LED controller 50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to the LED controller 50 in step S107.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tab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ED identification The wiring guiding control unit 65 of the wireless terminal 60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hereto to the LED controller 50 in step S108 ) So that each LED in the LED array To guide the wire position by the drive of the individual units and performs the fourth step is to control the LED controller.

이로써 LED 제어기(50)는 무선 단말기(6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 또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연결된 LED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그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연결된 LED 식별정보로 LED 어레이(20)의 각 LED 유닛(20a-20n)에 연결된 각 LED(22)를 개별 구동함으로써, 점등된 LED에 가장 근접한 단자를 찾아 작업자가 배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S109)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LED controller 50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sel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60,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unit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hereto, and obtains the mapping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each of the LEDs 22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ED units 20a-20n of the LED array 20 by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09) so that wiring can be perform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설계 DB에 저장된 기기의 배선목록에 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공정, 또는 기기 등의 건설 섹션별로 분리하여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에 축약해서 이동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심선의 연결 전에 심선 태그를 무선 단말기로 읽어 설계 DB의 배선 목록과의 비교로 배선 단자의 LED를 직접 점등 및 안내하게 되므로, 전기, 통신 등의 기본 인프라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건설 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wiring list of the devices stored in the design DB can be divided into construction sections such as a process or a device according to need, and can be stored in a mobile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core wire tag is read to the wireless terminal before connection of the core wire, and the LED of the wiring terminal is directly lighted and guided by comparison with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Therefore, it is useful for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is not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단자대 덮개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단자대 내의 각 단자 옆에 직접 LED를 각각 부착하여 단일 점검 방식으로 각각의 단자를 직접 검색하여 안내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입장에서 배선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추후 재 배선이나 유지 보수의 관점에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Ds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in the terminal block without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terminal cover of the device,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directly searched and guided by a single inspection method. And can be reused from the viewpoint of re-wiring and maintenance later.

또한 본 발명은 심선 태그의 인식수단으로 바코드, QR코드, RFID, NFC 등의 모든 센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술적인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선목록 로딩시 인덱스 기반 링크 리스트를 활용한 동적 메모리 할당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황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메모리 크기를 가능한 최소화하고 검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ll sensors such as a bar code, QR code, RFID, and NFC as recognition means for a core wire tag, thereby improving technical utilization.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to allocate a memory of a desired size according to a situation, minimizing a memory size as much as possible and minimizing a search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기 11 : 단자대
12 : 단자 13 : 케이블
14 : 심선 20 : LED 어레이
20a-20n : LED 유닛 21 : 서브 제어부
30 : 심선 태그 30L,30R : 심선 태그 페어
40 : 설계 DB 50 : LED 제어기
51,61 : 근거리 무선 통신부 52 : 맵 테이블 저장부
54 :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 55 : 주제어부
60 : 무선 단말기 62 : 태그 감지부
63 : 메인 메모리 64 : 보조 메모리
65 : 배선안내 제어부 100 : 배선목록
100L,100R : 배선목록 페어 110 : 케이블/심선 ID
10: Device 11: Terminal block
12: Terminal 13: Cable
14: core wire 20: LED array
20a-20n: LED unit 21:
30: core wire tag 30L, 30R: core wire tag pair
40: Design DB 50: LED controller
51, 61: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 map table storage unit
54: LED control interface unit 55: main control unit
60: wireless terminal 62: tag detection unit
63: main memory 64: auxiliary memory
65: Wiring guide control part 100: Wiring list
100L, 100R: Wiring list pair 110: Cable / core ID

Claims (11)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이용하는 배선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각 심선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며, 각 심선의 식별을 위한 심선 식별정보를 보유하는 심선 태그;
기기 내 단자대의 각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구성되며, 표시소자 제어기에 의해 각 표시소자 유닛 중의 하나를 선택 점등하는 표시소자 어레이;
배선하고자 하는 기기와 심선의 각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 및 심선 태그로부터 각각 무선 인식하고, 기 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에서 상기 기기의 식별정보 및 심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표시소자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단말기; 및
각 기기에 설치되는 표시소자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소자 제어기는,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식별정보와 각 단자 옆에 설치된 표시소자 식별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기 위한 맵 테이블을 구비하는 맵 테이블 저장부;
외부 전원의 공급이 없을 경우에 표시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각 부분에 배터리 또는 2차 전지에 의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주제어부에서 전송되는 단자대 내의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표시소자 식별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을 개별 구동하도록 표시소자 어레이와의 데이지 체인 방식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표시소자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기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보유하고 있는 기기 식별정보를 무선 송출하며,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표시소자 식별정보로 맵 테이블 저장부의 매핑정보를 관리하고 외부 기기에서 전송되는 단자 식별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대 내의 단자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된 표시소자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출하여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의 개별 구동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In a wiring guiding system using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A core wire tag attached individually to each core wire of the cable or cable and having core w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each core wire;
A display element array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 unit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terminal block in the apparatus, the display element array selectively lighting one of the display element units by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be wired and the core wire are wirelessly recognized from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and the core tag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e wire in the wiring list of the pre- And transmitting the retrie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rresponding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And
And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installed in each device,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map table storage unit for stor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ap table for mapping and storing each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nd displa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next to each terminal;
An auxiliary power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ystem including the display element array by the battery or the secondary battery when no external power is supplied;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element array and the display element array of the display element array are individually driven by the mapping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A display element control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 chain type interface; And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wirelessly transmi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l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external devic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nd the map information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table storage unit is managed and the mapping information on the map table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element control interface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dividual driving of each display elem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DB의 배선목록은,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 또는 설비에 따라 섹션별로 구분되고 축약 저장된 섹션별 배선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includes:
Wherein the wiring information is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one or more process steps or equipment, and is a list of wiring for each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소자 유닛은,
1비트 지연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표시소자 제어기와 직렬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옆에 각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직접 설치되는 표시소자;
외부의 구동 데이터로부터 표시소자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검출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해당 표시소자를 점등하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is capable of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in a 1-bit delayed daisy chain manner,
A display element which is installed directly next to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erminal in one-to-one correspondence;
And a sub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display element address from external drive data and light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dd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 태그는,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중에서 선택 가능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tag according to claim 1,
A bar code, a QR code, an NFC tag, and an RFID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목록은,
케이블 ID와 심선 ID를 포함하여, 케이블 및 심선의 식별을 위한 케이블/심선 식별정보;
기기 ID와 단자대 ID 및 기기의 단자대 내의 각 단자 식별을 위한 단자 ID를 포함하여, 케이블 및 심선의 기기 연결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기기/단자대/단자 식별정보; 및
기기의 단자대 내 각 단자 옆에 일대일 대응되게 직접 설치되는 다수의 LED 유닛의 각 LED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LED I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ble / core line identification for cable and core identification, including cable ID and core ID;
Device / terminal block /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vic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able and the core, including the device ID and terminal ID, and the terminal ID for identifying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And
And an LED ID for identifying each of the LEDs of the plurality of LED units directly moun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block of the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목록은,
기기 ID 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심선의 양쪽 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심선 태그에 대해 한 쌍을 이루는 배선목록 페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It is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device ID.
And a pair of wiring lists forming a pair with respect to two core wire tags provided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core wire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목록은,
각 단자대 ID 및 단자 ID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링크 포인터 정보가 각 단자 ID에 더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link pointer information indicating a network connection status for each terminal ID and terminal ID is added to each terminal I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외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심선 태그 또는 표시소자 제어기로부터 심선 식별정보 또는 기기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태그 감지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탐색되는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상기 표시소자 제어기에서 인식된 해당 기기 ID의 배선목록을 상기 보조 메모리의 기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에서 검색 및 로딩하여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
설계 DB의 배선목록을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수신 또는 탐색하여 보조 메모리에 저장하며, 태그 감지부를 통해 표시소자 제어기 및 심선 태그로부터 기기 식별정보 및 심선 식별정보를 각각 무선 인식하고 보조 메모리에 기저장된 설계 DB의 배선목록으로부터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배선목록을 찾아 메인 메모리에 로딩하며,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배선목록을 기준으로 상기 심선 태그에서 인식된 심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기기의 단자대 내 단자정보를 인식하여 단자대 내 단자정보와 그에 대응된 표시소자 식별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선안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tag detection unit for recognizing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re wire tag or a display element controll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 auxiliary memory for storing a wiring list of a design DB which is receiv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or is searched through a removable memory;
A main memory for retrieving, loading and storing a wiring list of a corresponding device ID recognized by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in a wiring list of a previously stored design DB of the auxiliary memory;
A wiring list of the design DB is received or search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removable memory and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wirelessly recognized from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and the core tag through the tag detection unit, respectively, The wir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und and loaded into the main memory from the wiring list of the stored design DB and the terminal list of the correspond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e li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core tag based on the wiring list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wiring guide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for transmit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display el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element controll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표시소자 제어기는,
기기마다 각각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무선 단말기와 세트를 이루어 필요시 각 기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devices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device or is manufactured as a portable type and is connected to each device when necessary in a set with the wireless terminal.
KR1020140113141A 2014-08-28 2014-08-28 A wiring guidance system KR101606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41A KR101606130B1 (en) 2014-08-28 2014-08-28 A wiring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41A KR101606130B1 (en) 2014-08-28 2014-08-28 A wiring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04A KR20160025804A (en) 2016-03-09
KR101606130B1 true KR101606130B1 (en) 2016-03-25

Family

ID=5553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41A KR101606130B1 (en) 2014-08-28 2014-08-28 A wiring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28B1 (en) * 2020-07-09 2021-09-07 (주)케이제이종합감리 System for checking and managing communication cables in household of apartment ho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383A (en) * 2005-10-28 2007-06-14 Hitachi Ltd Rfid system, rfid cable system, rfid cable install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383A (en) * 2005-10-28 2007-06-14 Hitachi Ltd Rfid system, rfid cable system, rfid cable install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04A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739B1 (en) A wir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US20110045688A1 (en) Cable connection guiding method and aparatus fo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US20150235046A1 (en) Operation terminal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06130B1 (en) A wiring guidance system
CN104426689A (en) Optical fiber management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CN104297871A (en) Optical fiber interconnecting system and method
CN112335141B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CN202421855U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welding equipment
JPWO2019003478A1 (en) Wireless tag reader, wireless tag system, and wireless tag reader control method
US6658311B1 (e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press line
CN108898201B (en) Information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lar assembly
CN103106529A (en) Method and device of identification of light connection
CN105898961A (en) Wireless lighting pairing control system
JP2011119065A (en) Wire harness assembling device, and wire harness assembling method
CN109085773B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50030842A (en) Cable Installation-support Mobile System
JP6875523B2 (en) Wireless tag reader, wireless ta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wireless tag reader
CN103529769A (en) Automatic device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system employed in the products
CN103166704B (en) The electronic tag matching method of Optical fiber plug and device
CN111610945B (en) Display devic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CN205491364U (en) Control system is paird in wireless illumination
US20230258898A1 (en) Localized intelligent edge for fiber distribution solutions
KR101109617B1 (en) Cable short confirming system for tongs cable of crane
KR101686623B1 (en) Wired and wireless smart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the machine and the computer
JP2017091002A (en) Managemen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