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067B1 -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067B1
KR101606067B1 KR1020100051332A KR20100051332A KR101606067B1 KR 101606067 B1 KR101606067 B1 KR 101606067B1 KR 1020100051332 A KR1020100051332 A KR 1020100051332A KR 20100051332 A KR20100051332 A KR 20100051332A KR 101606067 B1 KR101606067 B1 KR 10160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 path
outer case
rotary shaft
suppl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745A (ko
Inventor
장성순
박정훈
김정훈
한나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유닛;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압축유닛을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주입된 오일을 상기 오일유로 내부로 펌핑하는 오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로서, 상기 오일 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오일유로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부에 오일 유입홀과 오일 토출홀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오일 펌핑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COMPRESSOR WITH OIL FEEDING MEANS}
본 발명은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밀폐용기 하단부에 주입된 오일을 압축기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작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스크롤식, 로터리식, 진동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왕복동식과 스크롤식 그리고 로터리식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방식이고, 상기 진동식은 구동모터의 왕복운동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밀폐형 압축기 중에서 회전력을 이용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모터에는 크랭크축이 구비되어 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압축유닛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로터리식 밀폐형 압축기(이하, 로터리 압축기)의 구동모터는 상기 밀폐용기에 고정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일정 공극을 두고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그 회전자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유닛에 전달하는 크랭크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유닛은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실린더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흡입,압축,토출시키는 압축유닛과, 상기 압축유닛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와 함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압축기는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압축유닛이 회전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압축유닛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회전유닛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발산하기 위해서 오일을 압축유닛 및 회전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공급수단은 통상적으로는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해 밀폐용기 하부에 저장된 오일이 크랭크축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유로를 통해서 펌핑되어 압축기 내부의 각각의 구성요소로 공급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개시한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중 펌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는 원통형의 밀폐용기(10)의 상부에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유닛(20)이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유닛(30)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유닛과 압축유닛은 회전축(40)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유닛에 의해 생성된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40)에 의해 압축유닛(20)으로 전달되어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40)의 하부에는 제1 오일유로(42)와 제2 오일유로(4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오일유로(42)의 내부에 판재를 벤딩하여 형성한 펌핑부(46)가 장착된다.
상기 펌핑부(46)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의 하부를 절개하여 엇갈리게 벤딩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렇게 벤딩된 부분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밀폐용기(10)의 하부에 주입된 오일을 펌핑하게 되고, 이렇게 펌핑된 오일은 상기 제1 및 제2 오일유로를 통해서 상기 압축기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갖는 오일 공급수단의 경우 압축기가 정상 운전속도, 즉 약 60Hz 정도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오일 공급량을 제공할 수 있지만, 약 30Hz 정도의 저속 운전시에는 충분한 유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제1 오일유로 내부에 압입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지만, 압입에 의해 고정된 경우 압축기가 작동을 시작하거나 가감속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기가 힘들고, 용접의 경우 제1 오일유로의 좁은 공간 내에 정확하게 펌핑부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가 오일의 흐름을 저해하여 오일유량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속운전시에도 충분한 유량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축 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유닛;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압축유닛을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주입된 오일을 상기 오일유로 내부로 펌핑하는 오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로서, 상기 오일 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오일유로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부에 오일 유입홀과 오일 토출홀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오일 펌핑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오일유로의 내부에 단순히 블레이드만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펌핑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펌핑 블레이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과 펌핑 블레이드가 함께 작용하여 오일의 공급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회전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입홀측 단부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오일유로 내부에 강제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부 케이스의 외경이 오일유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 외부 케이스의 외경은 상기 오일유로의 내경에 비해서 0.08mm 내지 0.3mm 크게 설정되는 것이 결합강도 및 작업성의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외부 케이스의 외경과 오일유로의 내경의 차이가 0.08mm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성은 개선되지만 충분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없고, 0.3mm 보다 큰 경우에는 결합강도는 확보되지만 결합이 어렵고 결합과정에서 회전축 또는 외부 케이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가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경과 상기 오일유로의 내경의 차이는 3.0mm 내지 6.0m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축 중 오일유로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3.0mm 미만인 경우에는 회전축이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하고, 6.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일유로의 내경이 지나치게 작아지므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밀폐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단부 사이의 갭이 2.0mm 내지 5.0m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갭이 2.0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유입홀로의 오일 유입이 방해를 받아서 오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소 오일유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주입되어야 할 오일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한편,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은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 전체에 걸쳐서 1회전 또는 복수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을 이루도록 절곡된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며,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나선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벤딩부는 외부케이스의 유입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나선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나선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암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주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에 삽입되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가압하여 결합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 아암은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그 원호의 직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선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나선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나선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아암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유로는 내부에 상기 오일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로와 편심되게 연장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로의 경사각(α)은
0.5°≤ α ≤ t°
(t : 회전축의 타단부의 측면과 제2 오일유로 사이의 최소 간격이 3.0mm인 때의 경사각)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최소 간격이란 제2 오일유로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는 단면의 외주부와 상기 제2 오일유로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 중 최소인 부분을 의미하며, 그 간격이 3.0mm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얻기 힘들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오일 공급수단에 의한 오일 유량을 증가시켜 30Hz 정도의 저속운전에서도 충분한 정도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의 일 예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 중 펌핑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회전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오일 공급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중 오일 공급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오일 공급수단과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수단에 의한 오일 공급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회전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는 스크롤 압축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축 하단부에 오일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임의의 형태의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밀폐용기(110)의 내부에 메인프레임(120)과 서브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과 서브프레임(130) 사이에는 전동유닛인 구동모터(140)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상측에는 구동모터(140)에 결합되어 냉매를 압축하도록 고정스크롤(150)과 선회스크롤(160)로 된 압축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40)는 코일이 감기는 고정자(141)와, 상기 고정자(1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142)와, 상기 회전자(142)의 중심에 압입되어 회전력을 압축기구부에 전달하는 회전축(1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43)은 그 상단에 축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구동핀부(14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구부는 메인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150)과, 상기 고정스크롤(150)에 맞물리도록 메인프레임(120)의 상면에 얹히는 선회스크롤(160)과, 상기 선회스크롤(160)과 메인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회스크롤(160)의 자전을 방지시키는 올담링(17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스크롤(150)에는 나선형으로 감겨 후술할 선회랩(161)과 함께 압축실(P)을 이루는 고정랩(151)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160)에는 나선형으로 감겨 상기 고정랩(151)과 맞물려 압축실(P)을 이루는 선회랩(1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스크롤(160)의 저면, 즉 상기 선회랩(161)의 반대쪽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43)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보스부(16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선회스크롤(160)의 보스부(162)에는 상기 회전축(143)의 구동핀부(144)에 반경방향으로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시(163)가 회전방향으로 미끄러지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시(163)의 외경은 상기 선회스크롤(160)의 보스부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43)과 상기 선회스크롤(160)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내측에도 메인프레임 부시(122)가 설치되어 회전축과 메인프레임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게 되며, 상기 서브프레임(130)의 내측에도 서브프레임 부시(132)가 설치된다. 이들 각각의 부시(122, 132, 163)에는 원활한 윤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오일이 공급되게 되며, 이러한 오일 공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52는 흡입구, 153은 토출구, SP는 흡입관, DP는 토출관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스크롤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축(143)이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축(143)에 편심 결합한 선회스크롤(160)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고, 상기 선회스크롤(160)과 고정스크롤(150)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실(P)이 선회운동의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감소하여 냉매를 연속적으로 흡입 압축하면서 토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압축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오일을 공급하여야 하며, 이러한 오일은 상기 밀폐용기(110)의 베이스(112)측에 주입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주입된 오일은 상기 회전축(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유로(180)를 통해서 상기 압축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유로(180)는 상기 회전축(143)의 하단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유로(182)와 상기 제1 유로(182)와 편심되게 연결되는 제2 유로(18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유로(182)는 내부에 후술할 오일피더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로(184)에 비해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184)는 상기 회전축(143)의 중심에 대해서 α°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렇게 제2 유로(184)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회전시에 제2 유로(184) 내부에 존재하는 오일 중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에 보다 큰 원심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일이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제2 유로(184)의 직경은 7.0mm이며, 상기 경사각(α)는 약 0.5°이지만, 상기 회전축(143)의 직경 및 인접한 다른 구성요소와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이보다 큰 값을 갖도록 하면 오일 유량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3)의 양단부 중, 도 3을 기준으로 상단부측에서 상기 제2 유로(184)의 외주부와 상기 회전축(143)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 중 최소의 값을 갖는 부분의 두께(H1, 도 4 참조)는 3.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경사각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H1의 값이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3.0mm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지므로 3.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유로(184) 중 상기 메인 프레임(120)과 접하는 부분에는 두 개의 오일 유출공(187, 188)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메인 프레임(120)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182)에는 오일피더(190)가 설치된다. 도 5는 상기 오일피더(19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일피더(190)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192)와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부에 압입되는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92)는 상기 베이스(112)측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밀폐용기(110) 내부의 오일이 유일되는 유입홀(192a)이 형성된다. 반대쪽 단부는 개방되어 유입된 오일을 상기 제1 유로(182)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홀(19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92)는 상기 제1 유로(182)의 내부에 압입되어 고정되는데, 외부 케이스(192)의 직경은 상기 제1 유로(182)의 내경보다 0.08 내지 0.3mm 크게 설정된다. 외부 케이스(192)의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체결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크면 압입 작업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압입 과정에서 외부 케이스 또는 제1 유로가 변형될 우려가 높아진다.
그리고, 베이스(112)와 상기 유입홀(192a) 사이의 간격(H2)은 2.0 내지 5.0mm로 설정된다. 상기 H2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유입홀(192a)과 베이스(112)와의 사이가 지나치게 가까워 유입홀(192a) 측으로의 오일 공급을 저해하게 되며, H2가 5.0mm를 초과하면 오일 공급을 위해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 주입하여야 할 초기 오일의 량이 증가하게 되어 제품 단가 상승 및 취급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피더(190)와 인접한 회전축(143)의 두께(H3)는 3.0 내지 6.0mm가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두께(H3)가 3.0mm 미만인 경우에는 회전축(143)이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6.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회전축이 지나치게 커지고 무거워져서 제품의 대형화 및 회전관성 증가로 인한 효율의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는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부에 압입되어 설치되며, 얇은 판재 형태를 갖는다.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의 하단부에는 중앙에 위치하는 절개부에 의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는 벤딩부(194a)가 형성된다. 상기 벤딩부(194a)는 저장된 오일과 접촉하여 오일을 상부로 펌핑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벤딩부(194a)와 인접하여 나선부(194b)가 위치한다. 상기 나선부(194b)는 1회전 하는 나선의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벤딩부(194a)에 의해 펌핑된 오일을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벤딩부(194a) 또는 나선부(194b) 중 어느 하나만을 갖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선부(194b)도 반드시 1회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오일 펌핑 블레이드의 다른 예(196)와 같이 중심축(196a)을 중심으로 복수 회의 회전을 하도록 나선부(196b)를 형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의 상측 단부에는 제1 가압부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제1 아암(194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아암(194c)은 상기 나선부(194b)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태를 갖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아암(194c)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아암(194c)에 의해 정의되는 원호의 직경은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아암(194c)을 상기 외부 케이스(192) 내부에 삽입하면, 상기 제1 아암(194c)이 수축되면서, 탄성에 의해 생성되는 반력이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벽을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194)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아암(194c)의 하측에 제2 아암(194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암(194d)도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 케이스(192)의 내벽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2 아암(194d)의 표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192)의 내면과 접하게 되는 돌기부(19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94e)는 상기 제2 아암의 표면 전체가 외부 케이스의 내면과 접하는 경우에 비해서, 접촉 면적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큰 압력으로 외부 케이스(192)를 가압하게 되므로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 피더를 갖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오일 공급량과 종래의 오일 피더를 갖는 압축기에서의 오일 공급량를 각각 측정하여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30Hz의 저속 영역에서 80Hz의 고속 영역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걸쳐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급량과 같거나 그보다 많은 공급량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오일 피더의 경우 50Hz 이상의 영역에서는 필요 공급량 이상의 공급량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50Hz 보다 낮은 경우에는 필요 공급량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유닛;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압축유닛을 연결하며, 내부에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제1 유로에 대해서 편심되게 연장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유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주입된 오일을 상기 제1 및 제2 유로 내부로 펌핑하는 오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로서,
    상기 오일 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부에 오일 유입홀과 오일 토출홀이 각각 형성되며, 유입홀측 단부가 토출홀측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오일 펌핑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유로의 경사각(α)은
    0.5°≤ α ≤ t°
    (t : 회전축의 타단부의 측면과 제2 유로 사이의 최소 간격이 3.0mm인 때의 경사각)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경은 상기 제1 유로의 내경에 비해서 0.08mm 내지 0.3mm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가 삽입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경과 상기 제1 유로의 내경의 차이는 3.0mm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단부 사이의 갭이 2.0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는 나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삭제
  7.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유닛;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압축유닛을 연결하며, 내부에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제1 유로에 대해서 편심되게 연장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유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하부에 주입된 오일을 상기 제1 및 제2 유로 내부로 펌핑하는 오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로서,
    상기 오일 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유로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부에 오일 유입홀과 오일 토출홀이 각각 형성되며, 유입홀측 단부가 토출홀측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오일 펌핑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펌핑 블레이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을 이루도록 절곡된 벤딩부;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며,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나선부; 및
    상기 나선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나선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나선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아암은 원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나선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나선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의 경사각(α)은
    0.5°≤ α ≤ t°
    (t : 회전축의 타단부의 측면과 제2 유로 사이의 최소 간격이 3.0mm인 때의 경사각)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100051332A 2010-05-31 2010-05-31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KR10160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32A KR101606067B1 (ko) 2010-05-31 2010-05-31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32A KR101606067B1 (ko) 2010-05-31 2010-05-31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45A KR20110131745A (ko) 2011-12-07
KR101606067B1 true KR101606067B1 (ko) 2016-03-24

Family

ID=4550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32A KR101606067B1 (ko) 2010-05-31 2010-05-31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0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8439A (ja) * 2008-03-19 2009-10-08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8439A (ja) * 2008-03-19 2009-10-08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45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79193A1 (ja) 圧縮機
US9512842B2 (en) Rotary compressor
WO2003078842A1 (fr) Compresseur rotatif
US9644629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bearing lubricating layer
US7273361B2 (en) Coupling structure of eccentric bush of scroll compressor
AU2008280861B2 (en) Enclosed compressor
US6773244B2 (en) Discharging part structure for compressor
KR101606067B1 (ko)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JP5338275B2 (ja) 吐出弁機構及び回転式圧縮機
KR101698086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391204Y1 (ko) 가동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JP7241915B2 (ja) 圧縮機
WO2016103321A1 (ja) 圧縮機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EP3418572A1 (en) Compressor having lubrication structure for thrust surface
KR102666944B1 (ko) 레시프로 압축기
US8939741B2 (en) Scroll compressor
JP602951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9243317A (ja) ロータリ圧縮機
JP422550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のフレーム固定方法
US20240052839A1 (en) Scroll compressor
KR20230153044A (ko) 레시프로 압축기
KR20110131746A (ko) 오일 공급수단을 갖는 압축기
KR100498365B1 (ko) 회전식 압축기의 고정자 구조
KR101698085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220140337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