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825B1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5825B1 KR101605825B1 KR1020150085215A KR20150085215A KR101605825B1 KR 101605825 B1 KR101605825 B1 KR 101605825B1 KR 1020150085215 A KR1020150085215 A KR 1020150085215A KR 20150085215 A KR20150085215 A KR 20150085215A KR 101605825 B1 KR101605825 B1 KR 101605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quipment
- rack
- mounting
- information
- data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06F17/3028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랙에 설치된 랙 무선 단말기, 랙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랙 중계부, 장착장비에 설치된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장착장비 중계부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서비스 서버는 랙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랙 신호와 수신전파강도(RSSI)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 장착장비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신호와 수신전파강도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는 장비배치도 생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실에 설치된 다수의 랙들과 장착장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고, 사용자가 특정 장비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랙에 설치된 랙 무선 단말기, 랙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랙 중계부, 장착장비에 설치된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장착장비 중계부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서비스 서버는 랙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랙 신호와 수신전파강도(RSSI)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 장착장비 중계부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신호와 수신전파강도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는 장비배치도 생성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실에 설치된 다수의 랙들과 장착장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고, 사용자가 특정 장비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비실에 배치된 랙(rack),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에 설치된 무선 단말기들 및 이 무선 단말기들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기들을 이용하여 랙과 장착장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장비들을 장비실들에 배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장비들에 대한 배치 현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장비배치현황에 대한 정보를 전자파일로 문서화하고, 도면 작성자가 이 전자파일에 기초하여 도면 작성기(예를 들어, 포토샵, 일러스트, CAD 등)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수작업으로 작성한 이후, 작성된 장비배치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가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장비배치도 생성 및 조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도면 작성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작성되어 배포된 장비배치도를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장비배치도에 오류가 있거나 장비배치도가 장비배치현황의 변경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조회대상장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현황정보는 해당 담당자에 의해 즉각적인 수정/변경이 가능하지만, 장비배치도는 도면 작성기를 통한 수작업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비배치도에 대한 수정은 신속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수정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로 장비의 크기 확장, 재배치 등의 위치 이동, 폐기 등 장비의 철거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장비배치현황정보 관리자가 장비배치현황정보를 수정한 이후, 수정된 정보를 도면작성자에게 전달하고, 도면작성자가 도면 작성기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에 대한 수정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배치도 수정 작업의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도를 통해 전체적인 장비실의 장비배치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는 있으나, 장비실에 설치된 랙(rack) 안에 들어있는 작은 크기의 장비들에 대한 위치확인 등 실질적인 세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도가 조사된 장비의 수치로 표현된 위치 정보를 도면 작성자가 도면 작성기를 사용하여 그림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작성되므로, 작성된 장비배치도의 오류가 초래될 수 있으며, 장비배치도와 자원현황의 이원화 관리로 장비 위치가 변경되면 전체의 배치도를 대상으로 수정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장비현황과 장비배치도가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현황정보 관리 담당자 또는 장비배치도 작성 담당자의 부재 시에는, 장비 배치 상태에 대한 수정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을 고려하면, 기업의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각종 장비의 위치를 직관적이며, 실질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장비실에 설치된 다수의 랙들과 이 랙들에 장착된 장착장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특정 장비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 시에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는 장비실의 랙에 설치된 랙 무선 단말기, 상기 장비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랙 중계기들로 구성된 랙 중계부, 상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에 설치된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랙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장착장비 중계기들로 구성된 장착장비 중계부 및 상기 랙 중계부를 구성하는 랙 중계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랙 신호와 상기 랙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장착장비 중계부를 구성하는 장착장비 중계기들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신호와 상기 장착장비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랙 위치정보와 상기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과 관련한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는 장비배치도 생성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 신호에는 랙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장착장비 신호에는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랙 식별정보에 종속적인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 무선 단말기와 상기 랙 중계부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와 상기 장착장비 중계부 사이의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비배치도 생성기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입력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장비실에 대한 장비실 표시자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하는 장비실 표시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랙 식별정보, 랙 위치정보, 랙 현황정보 및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상에 랙 표시자를 표시하는 랙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 상에 시설물 표시자를 표시하는 시설물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착장비 식별정보, 장착장비 위치정보,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실장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 실장도 표시모듈은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된 랙 표시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장비배치도가 표시되는 제1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첩되는 제2 윈도우 상에 상기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실에 설치된 다수의 랙들과 이 랙들에 장착된 장착장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특정 장비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 시에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위치정보 생성부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배치도 생성기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표시모듈에 의해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되는 랙 표시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실장도 표시모듈에 의해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되는 랙 실장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위치정보 생성부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배치도 생성기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표시모듈에 의해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되는 랙 표시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랙 실장도 표시모듈에 의해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되는 랙 실장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여러 정보들 중에서,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제외한 정보들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이고,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는 정보이다.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대한 실시간 수집 과정은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장비실은 서버실 등을 포함하여 특정 공간에 특정 장비가 설치되는 모든 장소일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은 장비실에 구비된 기둥, 출입문 및 창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랙(rack)은 소형의 장착장비가 장착되는 모든 구조물일 수 있다. 장비실에는 랙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독립장비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랙은 이 독립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먼저 장비실들에 대한 조사가 수행된다. 즉, 장비실의 3차원 형태를 조사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들을 3차원 직교좌표로 정리한다.
장비실과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장비실 식별정보 및 장비실 형태정보 등이 있다.
장비실 식별정보는 다수의 장비실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장비실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장비실 형태정보는 장비실 실물에 대한 실측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순히 장비실이 직육면 형태를 갖는 경우, 길이, 폭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 현황정보는 장비실들에 구비된 시설물의 위치와 크기 등에 대한 실측 정보일 수 있다.
시설물 표현정보는 시설물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랙 식별정보는 다수의 랙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랙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랙 현황정보는 장비실들에 배치된 랙들의 종류, 사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랙 표현정보는 랙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장착장비 식별정보는 다수의 장착장비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장착장비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장착장비 현황정보는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종류, 사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장비 표현정보는 장착장비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는 이후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수집되는 정보이다. 즉, 장비실에 위치하는 랙 또는 장착장비에 대한 배치상태가 변경되면, 이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60)에 반영되고,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는 이 데이터베이스(60)를 기초로 장비배치도를 생성하기 때문에, 장비 배치상태 관리에 대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변경사항이 실시간으로 반영된 장비배치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는 랙 무선 단말기(10), 랙 중계부(20),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 장착장비 중계부(40), 서비스 서버(50) 및 데이터베이스(60)를 포함하고, 서비스 서버(50)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5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30) 및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를 포함한다.
랙 무선 단말기(10)는 장비실의 랙에 설치되어 있으며,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랙 무선 단말기(10)는 장비실의 천장과 마주보는 랙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단말 또는 지그비(ZigBee) 단말일 수 있다.
랙 중계부(20)는 장비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랙 무선 단말기(10)가 무선 송신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랙 중계기들(21, 22, 23)로 구성된다. 랙 중계부(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중계기는 랙 무선 단말기(10)가 송신하는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수신되는 랙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획득한다. 랙 중계기들(21, 22, 23)이 획득한 랙 신호 및 수신전파강도와 관련한 정보들은 서비스 서버(50)로 실시간 전달된다. 랙 중계부(20)를 구성하는 랙 중계기들(21, 22, 23)의 위치정보는 데이터베이스(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는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단말 또는 지그비(ZigBee) 단말일 수 있다.
장착장비 중계부(40)는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와 이격된 상태로 랙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로 구성된다. 장착장비 중계부(40)를 구성하는 각각의 중계기는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수신되는 장착장비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를 획득한다.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이 획득한 장착장비 신호 및 수신전파강도와 관련한 정보들은 서비스 서버(50)로 실시간 전달된다. 장착장비 중계부(40)를 구성하는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과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 사이에 일정 정도의 비어있는 공간 즉, 장착장비 신호에 대한 삼각측량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은 랙의 전면부에 구비된 도어(door)의 내면에 설치되거나, 랙의 양 측면부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장착장비 중계부(40)를 구성하는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의 위치정보는 데이터베이스(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랙 신호에는 랙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장착장비 신호에는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60)에는 랙 식별정보에 종속적인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특정한 랙 무선 단말기(10)와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서비스 서버(50)는 설치된 랙 무선 단말기(10)와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위치 인식 방식은 후술한다.
한편 예를 들어, 랙 무선 단말기(10)와 랙 중계부(20) 사이의 통신 및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와 장착장비 중계부(40) 사이의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0)는 랙 중계부(20)와 장착장비 중계부(4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들을 기초로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연산하고, 이 위치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60)에 실시간 반영되도록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장비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50)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5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30) 및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는 랙 중계부(20)를 구성하는 랙 중계기들(21, 22, 23)로부터 전달받은 랙 신호와 상기 랙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랙 무선 단말기(10)가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무선 송신하면, 이 신호는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되면서 감쇠된다. 랙 무선 단말기(10)와 랙 중계부(20)를 구성하는 중계기들(21, 22, 23) 사이의 거리들(D1, D2, D3) 서로 다르기 때문에, 랙 중계부(20)를 구성하는 랙 중계기들(21, 22, 23)이 획득하는 수신전파강도도 서로 다르다.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는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랙 중계기들(21, 22, 23)의 위치정보들과 랙 중계기들(21, 22, 23)로부터 전달받은 수신전파강도에 대한 정보들을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통하여 랙 무선 단말기(10)의 위치 즉, 랙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상 설명한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위치정보 연산방식은 후술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 과정에도 적용된다.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520)는 장착장비 중계부(40)를 구성하는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신호와 장착장비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30)는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60)가 실시간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는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장비실과 관련한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 장비실 표시모듈(5420), 시설물 표시모듈(5430), 랙 표시모듈(5440) 및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은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입력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70)을 통해 특정 장착장비에 대한 위치조회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특정 장비실에 대응하는 장비실과 랙을 식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장비실 표시모듈(5420)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장비실 식별정보,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장비실에 대한 장비실 표시자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설물 표시모듈(5430)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시설물 식별정보, 시설물 현황정보,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 상에 시설물 표시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랙 표시모듈(5440)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랙 식별정보, 랙 위치정보, 랙 현황정보 및 랙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 상에 랙 표시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랙 표시모듈(5440)에 의해 장비실 표시자와 랙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장착장비 식별정보, 장착장비 위치정보,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실장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은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된 랙 표시자가 선택된 경우, 장비배치도가 표시되는 제1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첩되는 제2 윈도우 상에 랙 실장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에 의해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되는 랙 실장도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는, 랙 무선 단말기(10)가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0에서는, 3개 이상의 랙 중계기들(21, 22, 23)로 구성된 랙 중계부(20)가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랙 중계기들(21, 22, 23)은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랙 신호의 수신전파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 S30에서는,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30)가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40에서는, 3개 이상의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로 구성된 장착장비 중계부(40)가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은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장착장비 신호의 수신전파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 S50에서는, 서비스 서버(50)에 구비된 랙 위치정보 생성부(510)가 랙 중계기들(21, 22, 23)로부터 전달받은 랙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랙 신호와 랙 신호의 수신전파강도에 대한 정보들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60에서는, 서비스 서버(50)에 구비된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520)가 장착장비 중계기들(41, 42, 43)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착장비 신호와 장착장비 신호의 수신전파강도에 대한 정보들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7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30)가 랙 위치정보와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60)가 실시간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0에서는, 장비배치도 생성기(540)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실과 관련한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배치도 생성기(540)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7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50)에 접속한 상태에서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를 실행시켜 위치 조회의 대상인 장비를 선택하는 경우, 후술하는 과정을 통해 장비배치도 자동 생성 과정이 실행되어 사용자 단말(70)의 화면을 통해 위치 조회의 대상인 장비가 설치된 장비실의 장비배치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비배치도 생성기(540)가 서비스 서버(50)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장비배치도 생성기(540)는 서비스 서버(50)가 아닌 사용자 단말(7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802에서는, 사용자 단말(70)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50)에 접속한 상태에서, 조회대상장비에 대한 위치조회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04에서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이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장착장비는 랙에 장착된 장비이다. 단계 S804에서의 판단 결과,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인 경우, 단계 S806으로 전환되고,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가 아닌 경우, 단계 S808로 전환된다.
단계 S806에서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이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조회대상장비가 장착된 랙에 대한 랙 식별정보 및 랙이 설치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실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회대상이 장착장비인 경우,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은 장착장비가 장착되어 있는 랙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장비실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808에서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이 조회대상이 랙인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랙 식별정보를 기초로 장비실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10에서는, 장비실 표시모듈(5420)이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장비실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장비실 형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를 초기 상태의 장비배치도 상에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매트릭스 형태의 장비실 표시자를 구성하는 블록들은 랙들이 설치될 영역들이다.
단계 S812에서는, 시설물 표시모듈(5430)이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장비실 식별정보에 종속적으로 매핑(mapping)되어 있는 시설물 식별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설물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시설물 표시자들을 장비실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14에서는, 랙 표시모듈(5440)이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장비실 식별정보에 종속적으로 매핑되어 있는 랙 식별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랙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랙 위치정보들, 랙 현황정보들, 랙 표현정보들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 상에 랙 표시자들을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회요청된 랙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회요청된 장착장비가 장착된 랙은 점멸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랙 표시모듈(5440)에 의해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되는 랙 표시자들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단계 S816에서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5410)이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816에서의 판단 결과,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인 경우, 단계 S818로 전환되고, 조회대상장비가 장착장비가 아닌 경우, 장비배치도 생성기(540)의 동작이 종료된다.
단계 S818에서는, 사용자가 장착장비가 장착된 특정 랙 표시자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은 장착장비가 장착된 특정 랙을 점멸방식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점멸되는 특정 랙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는,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이 데이터베이스(60)를 참조하여, 랙 식별정보에 종속적으로 매핑되어 있는 장착장비 식별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장착장비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들, 장착장비 현황정보들, 장착장비 표현정보들에 따라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조회대상인 장착장비는 점멸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랙 실장도 표시모듈(5450)에 의해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되는 랙 실장도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실에 설치된 다수의 랙들과 이 랙들에 장착된 장착장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특정 장비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 시에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랙 무선 단말기
20: 랙 중계부
30: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40: 장착장비 중계부
50: 서비스 서버
60: 데이터베이스
70: 사용자 단말
510: 랙 위치정보 생성부
520: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5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40: 장비배치도 생성기
5410: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
5420: 장비실 표시모듈
5430: 시설물 표시모듈
5440: 랙 표시모듈
5450: 랙 실장도 표시모듈
20: 랙 중계부
30: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40: 장착장비 중계부
50: 서비스 서버
60: 데이터베이스
70: 사용자 단말
510: 랙 위치정보 생성부
520: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5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40: 장비배치도 생성기
5410: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
5420: 장비실 표시모듈
5430: 시설물 표시모듈
5440: 랙 표시모듈
5450: 랙 실장도 표시모듈
Claims (7)
- 장비실의 랙에 설치된 랙 무선 단말기;
상기 장비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랙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랙 중계기들로 구성된 랙 중계부;
상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에 설치된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랙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가 송신하는 장착장비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장착장비 중계기들로 구성된 장착장비 중계부; 및
상기 랙 중계부를 구성하는 랙 중계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랙 신호와 상기 랙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랙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랙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장착장비 중계부를 구성하는 장착장비 중계기들로부터 전달받은 장착장비 신호와 상기 장착장비 신호에 대한 수신전파강도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장착장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장착장비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랙 위치정보와 상기 장착장비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도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과 관련한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하는 장비배치도 생성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신호에는 랙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장착장비 신호에는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랙 식별정보에 종속적인 장착장비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무선 단말기와 상기 랙 중계부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장착장비 무선 단말기와 상기 장착장비 중계부 사이의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배치도 생성기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입력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비배치도 요청명령 처리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장비실에 대한 장비실 표시자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장비배치도 상에 표시하는 장비실 표시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랙 식별정보, 랙 위치정보, 랙 현황정보 및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상에 랙 표시자를 표시하는 랙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실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 상에 시설물 표시자를 표시하는 시설물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착장비 식별정보, 장착장비 위치정보,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실장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 실장도 표시모듈은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상에 표시된 랙 표시자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장비배치도가 표시되는 제1 윈도우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첩되는 제2 윈도우 상에 상기 랙 실장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215A KR101605825B1 (ko) | 2015-06-16 | 2015-06-16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PCT/KR2016/005800 WO2016204430A1 (ko) | 2015-06-16 | 2016-06-01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215A KR101605825B1 (ko) | 2015-06-16 | 2015-06-16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5825B1 true KR101605825B1 (ko) | 2016-03-24 |
Family
ID=5565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5215A KR101605825B1 (ko) | 2015-06-16 | 2015-06-16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5825B1 (ko) |
WO (1) | WO2016204430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05127A (ja) | 2009-03-05 | 2010-09-16 | Nec Corp | ラック収容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ラック収容機器管理方法 |
KR101261315B1 (ko) | 2012-12-03 | 2013-05-06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위성항법 기준국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3840A (ko) * | 2007-09-03 | 2009-03-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자동 반송 대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JP5881973B2 (ja) * | 2011-05-13 | 2016-03-09 | エフ・アイ・ティー・パシフィック株式会社 | ラック実装機器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
KR20140141770A (ko) * | 2013-05-30 | 2014-12-11 |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 전산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
2015
- 2015-06-16 KR KR1020150085215A patent/KR1016058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6-01 WO PCT/KR2016/005800 patent/WO201620443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05127A (ja) | 2009-03-05 | 2010-09-16 | Nec Corp | ラック収容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ラック収容機器管理方法 |
KR101261315B1 (ko) | 2012-12-03 | 2013-05-06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위성항법 기준국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204430A1 (ko) | 2016-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1336B1 (ko) | 3d 통합관제 및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 | |
US20170230930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mission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 |
JP6258848B2 (ja) | 拡張現実感データセンター視覚化 | |
US934292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 |
KR100955592B1 (ko) |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CN102624868B (zh) | 路边服务请求的管理 | |
CN106368247A (zh) | 基于bim的基坑智能监测及主动预警方法和系统 | |
KR20160126152A (ko) |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
US1018774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tuation awareness via a mobile device | |
CN113985780B (zh) | 多通道远程控制装置及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KR101779827B1 (ko) | 제조 장비 및 설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
KR20200063684A (ko) | 에너지 사용량을 3차원 공간에 렌더링 하여 표시하는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122974B1 (ko) | 발전소 플랜트 제어방법 및 단말기 | |
CN103218694A (zh) | 电力应急监控方法和系统 | |
KR20090025844A (ko) | 3차원 통합 빌딩 관리 시스템 | |
KR101605825B1 (ko) | 자동 위치 인식에 기반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장치 | |
KR102020652B1 (ko) |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 |
CN113610388A (zh) | 基于bim的预制构件设计质量管理方法、装置及设备 | |
US20220237571A1 (en) | Board Signag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CN107797526B (zh) | 一种现场设备检测及管理系统 | |
CN102292651A (zh) | 用于定位安装到建筑物中的设备的装置、系统、方法和rfid标签 | |
CN107219825A (zh) | 自我控制 | |
KR101811532B1 (ko) | 복수 설비 자주보전 시스템 | |
KR20160099902A (ko) | 부품 수명관리 시스템 | |
KR20150129337A (ko) |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