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02B1 -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02B1
KR101605602B1 KR1020140017397A KR20140017397A KR101605602B1 KR 101605602 B1 KR101605602 B1 KR 101605602B1 KR 1020140017397 A KR1020140017397 A KR 1020140017397A KR 20140017397 A KR20140017397 A KR 20140017397A KR 101605602 B1 KR101605602 B1 KR 10160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ried
vertical tube
vertic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6227A (en
Inventor
김건하
전해성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602B1/en
Priority to PCT/KR2015/001097 priority patent/WO2015122642A1/en
Publication of KR2015009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은, 새로이 구축하는 매몰지 또는 기 구축된 매몰지에 수직 웰 유닛을 삽입 설치한 다음, 공기를 주입하거나, 슬러지를 주입하거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면 매몰지의 매몰층의 혐기성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로 되므로, 매몰지를 단기간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로 매몰지의 안정화가 가능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 웰 유닛의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수직 웰 유닛을 매몰지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sclosed is a method for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The bioreaction burial site and its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well unit is inserted into a buried land to be newly constructed or a buried burial land and then air is injected or sludge is injected or the leachate is recirculated, Since the anaerobic organic matter of the buried layer is in the aerobic state, the buried ground can be stabil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since the buried ground can be stabi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 cost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ell unit is formed to be sharp, the vertical well un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ried floor.

Description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reactor,

본 발명은 매몰지의 유기물을 호기성으로 변환하여 생물학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reaction buried paper capable of biologically stabilizing an organic material of buried paper by converting it into aerobic paper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same.

가축전염병에 감염되어 죽은 가축 사체, 감염되었거나 감염이 의심되어 살처분(Stamping Out)된 가축 사체는 매몰, 혐기성 분해, 정제, 퇴비화, 알칼리 가수분해 또는 젖산 발효 등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가축 사체를 매몰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단기간에 발생한 대량의 가축 사체를 처리하는데 유리하여, 우리나라의 여건상 주류를 이루고 있다.Livestock carcasses that have been infected with livestock epidemic disease, or livestock carcasses that have been infected or suspected of being infected are treated by methods such as burial, anaerobic degradation, purification, composting, alkaline hydrolysis or lactic acid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method of burying the livestock carcass is advantageous for treating a large amount of livestock carcasses occurr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us, it is a mainstream in the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우리나라의 경우, 살처분한 가축 사체는 전국 95 여개 지역의 4,800여개 지점에 매몰되어 있다. 그리고, 매년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에 의해 매몰해야 할 가축 사체의 양은 증가할 수밖에 없으므로, 매몰지점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다.In Korea, livestock carcasses are buried at more than 4,800 locations in 95 countries.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livestock carcasses to be buried by the livestock epidemic that occurs every year is inevitably increased, the burial site also has to increase.

가축 사체의 매몰시 잘못된 방법으로 매몰하거나, 주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는 경우, 침출수로 인한 토양이나 지하수 오염 및 악취발생 등과 같은 2차 환경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isk of secondary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due to leachate and bad odor when buried in a livestock carcass by mistake or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지는 공기 등의 순환이 어렵고 수분이 부족하므로, 매몰지에 매몰된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그런데, 가축 사체의 분해시에는 악취 및 가스가 발생되므로, 가축 사체의 분해가 천천히 진행되면 가축 사체가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장기간 동안 계속하여 악취 및 가스가 발생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It is difficult to circulate air such as buried livestock carcasses and lack of water, so the decomposition rate of livestock carcasses buried in buried land is very slow. However, when the livestock carcass is decomposed, malodor and gas are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livestock carcass is slowly decomposed, the environment is contaminated because odor and gas are continuously generated for a long time until the carcass is completely decomposed.

그리고,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가 늦으면, 매몰지를 복원하여 재사용 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토지의 사용 효율이 저하된다.If the decomposition speed of the livestock carcass is slow, it takes a long time to restore the buried land and reuse it, so that the use efficiency of the land is lowe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몰지를 생물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매립지의 생물학적 안정화방법"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6200호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6200 discloses a "biological stabilization method of landfill " for biostabilizing landfill.

상기 안정화방법은 압력변환흡착(pressure swing absorption)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한 산소를 30∼40%(v/v)의 농도로 함유하는 공기를, 공기주입장치(9)를 이용하여, 공기공급랜스(4)를 통하여 매립지 내로 주입하고, 매립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랜스(5)로 흡입하여 매립지 외부로 방출시킨다. 그리고, 흡입랜스(5)로 흡입된 공기는 배가스 정제 시스템(8)을 거쳐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In the stabilization method, air containing oxygen generated at a concentration of 30 to 40% (v / v) using a pressure swing absorption method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lance (4), and air in the landfill is sucked into the suction lance (5)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ndfill.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lance (5)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8).

랜스(lance)로는 랜스본체(41)의 외주면 하단에 공기 통로용 구멍(4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기체의 유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캡(42)이 부착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As the lance, a plurality of air passage holes 43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nce main body 41, and a cap 42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the gas from flowing ou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립지의 생물학적 안정화 방법은 공기주입장치(9), 공기흡입장치, 배가스 정제 시스템(8) 등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iological stabiliza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landfill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ost increases because the air injection device 9, the air suction device, and the flue gas purification system 8 are required.

그리고, 기 구축된 혐기성 매몰지의 경우에는 다양한 부가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적용하기 어렵고 더욱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built anaerobic buried papers, various additional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and further increases the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호기성 매몰지를 형성할 수 있는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reaction buried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n aerobic buried paper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the buried bio-buried pap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구축된 혐기성 매몰지를 간편하게 호기성 매몰지로 변경함으로써, 더욱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a bioreaction burden which can further reduce a cost by easily replacing an established anaerobic buried bed with an aerobic buried b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는, 외곽층; 상기 외곽층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층; 상기 바닥층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층과의 사이에 가축 사체가 매몰되는 매몰층을 형성하는 살균층; 상기 살균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과 상기 살균층을 관통하여 하측 부위는 상기 매몰층에 위치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보호층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매몰층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슬러지를 공급하여 상기 매몰층으로 미생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매몰층에 형성된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상기 매몰층의 침출수의 시료를 채취하거나, 상기 침출수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수직 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lay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layer; A sterilizing layer formed above the bottom layer and forming a buried layer between the bottom layer and the livestock body;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terilizing layer; Wherein the lower layer is located on the buried layer and the upper part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ective layer and ai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or the sludge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And a vertical well unit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collecting a sample of the leachate of the buried layer, or recycling the leachate.

상기 외곽층은 땅속에 매몰되거나, 지상에 위치될 수 있다.The outer layer may be buried in the ground or located on the ground.

상기 외곽층은 이중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층 및 상기 보호층은 벤토나이트 15% 및 화강풍화토 85%를 혼합한 혼합토로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층은 생석회로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outer layer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uble vinyl,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or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the bottom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comprising 15% bentonite and 85% And the steril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quicklime.

상기 수직 웰 유닛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상기 매몰층에 위치되는 부위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외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된 중간수직관; 상기 중간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3통공이 형성된 내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형성된 모래층;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 사이에 충전되어 형성된 자갈층; 상기 외측수직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수직관이 상기 보호층과 상기 살균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도록 안내하는 뾰족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vertical well unit comprises: an outer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buried layer; An intermediate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outer vertical tube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 inner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spaced from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sand layer formed by being fill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tubes; A gravel layer fi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and the inner vertical pipe; And a sharpened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and guiding the outer vertical tube to be inser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terilizing layer.

상기 외측수직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수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수직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측수직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리브 및 복수의 제3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리브의 하단면(下端面)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의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상기 연장리브의 일측은 상기 외측수직관의 하면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장리브에 의하여 상기 뾰족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ribs and a plurality of third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vertical tube, respective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extending ribs toward the center of the outer side vertical tube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ide vertical tube, And the pointed portion can be formed by the extending ribs.

상기 제1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통공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3통공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hol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ugh-hole.

상기 중간수직관은 상호 동심을 이루면서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중간수직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은 상기 외측수직관과 가까이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의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이 상기 외측수직관과 멀리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의 상기 제2통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외측수직관과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 최내측에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 사이에는 공극을 가지는 입자가 충전(充塡)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에서 상기 내측수직관으로 갈수록 상기 입자의 공극은 클 수 있다.Wherei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straight pipe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intermediate straight pip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intermediate water pipe located far away from the outer water pipe and between the outer water pipe and the outermost intermediate water pipe, Particles having a gap are fi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located between the middle vertical tube and the middle vertical tube and between the inner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Can be large.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은 스틸(Steel)로 형성되어 아연으로 도금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의 상단면에는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에는 하측은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및 상기 내측수직관의 상측 부위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커버의 외측과 연통된 복수의 연통관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관에는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상기 연통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측수직관의 직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tubes and the inner intermediate tube are formed of steel and plated with zinc, a cov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tube, and the low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tub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ube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er side of the cover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 ca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tube, and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ubes May be located in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inner vertical tub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 안정화 방법은, 일측은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지의 매몰층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매몰지의 외측에 위치된 수직 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매몰층의 유기물을 호기성으로 변환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물을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공기를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ile, wherein one side is located in a buried layer of buried pile buried with a livestock carcass, and the other side is a vertical well unit located outside the buried pile A method for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apilla to convert an organic matter of the buried layer to aerobic and stabilize the biological buried papilla, the method comprising: supplying water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Supplying air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And supplying the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상기 물은 상기 매몰층의 부피의 60∼80%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는 4∼6psi(Pound per Square Inch)의 압력으로 공급하며, 상기 슬러지는 상기 가축 사체 1,000ton 당 90∼150㎥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supplies 60 to 80% of the volume of the buried layer, and the air is supplied at a pressure of 4 to 6 pounds per square inch, and the sludge can supply 90 to 150 m3 per 1,000 tons of the livestock carcass have.

상기 수직 웰 유닛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매몰층에 형성된 침출수를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흡입한 다음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상기 매몰층으로 재유입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rtical well units are installed, and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is sucked through one of the vertical well units and then re-introduced into the buried layer through another one of the vertical well units and circulated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은, 새로이 구축하는 매몰지 또는 기 구축된 매몰지에 수직 웰 유닛을 삽입 설치한 다음, 공기를 주입하거나, 슬러지를 주입하거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면 매몰지의 매몰층의 혐기성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로 되므로, 매몰지를 단기간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로 매몰지의 안정화가 가능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bioreaction burial site and its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well unit is inserted into a buried land to be newly constructed or a buried burial land and then air is injected or sludge is injected or the leachate is recirculated, Since the anaerobic organic matter of the buried layer is in the aerobic state, the buried ground can be stabil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since the buried ground can be stabi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수직 웰 유닛의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수직 웰 유닛을 매몰지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ell unit is formed to be sharp, the vertical well un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ried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웰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웰 유닛의 평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A"부 확대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well unit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2; 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we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but they are number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and the second item among the first item, Means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above" means not only when a configuration is formed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nfiguration, but also when a third configura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se configurat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100)는 측벽과 바닥을 형성하는 외곽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몰지(100)는 땅을 소정 깊이로 굴삭하여 형성할 수 있고, 지상에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io-reaction incarn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outer layer 110 forming sidewalls and a bottom. Then, the buried paper 100 can be formed by digg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can be formed on the ground.

매몰지(100)가 땅 속에 형성될 경우에는 외곽층(110)이 이중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상에 형성될 경우에는 외곽층(110)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uried paper 100 is formed in the ground, the outer layer 110 may be formed of double vinyl,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or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The outer layer 110 may be formed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외곽층(110)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땅 속에 매몰되거나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outer layer 110 is formed of a fiber-reinforced plastic, the outer surface layer 110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top surface and may be buried in the ground or installed on the ground.

외곽층(110)의 바닥부 상면에는 바닥층(120)이 형성될 수 있고, 바닥층(120)의 상측에는 바닥층(12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살균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층(120)과 살균층(140) 사이의 공간이 가축 사체가 매몰되는 매몰층(130)이다.The bottom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outer layer 110 and the sterilizing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layer 1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layer 120.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layer 120 and the sterilizing layer 140 is a buried layer 130 in which the livestock body is buried.

바닥층(120)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벤토나이트 15% 및 화강풍화토 85%를 혼합한 혼합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살균층(140)은 생석회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15% of bentonite and 85% of granular weathered soil to mitigate impact, and the sterilizing layer 140 may be formed of quicklime.

살균층(140)의 상면에는 벤토나이트 15% 및 화강풍화토 85%를 혼합한 혼합토로 형성된 보호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50)은 살균층(140)을 형성하는 생석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상 아름답게 하기 위함이다. 살균층(140)은 바닥층(120)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rilizing layer 140, a protective layer 150 formed of a mixture of 15% of bentonite and 85% of granular weathered soil can be formed. The protective layer 150 prevents the burnt lime forming the sterilizing layer 14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it is made beautiful in appearance. The sterilizing layer 140 may also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layer 120.

매몰지(100)에는 매몰지(100)를 생물학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수직 웰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직 웰 유닛(200)은 보호층(150)과 살균층(140)을 관통하여 하측 부위는 매몰층(130)에 위치되고, 상단부측은 보호층(15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수직 웰 유닛(200)은 매몰층(130)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슬러지를 이용하여 매몰층(130)으로 미생물을 공급하거나, 매몰층(130)에 형성된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상기 침출수를 재순환시킨다. 수직 웰 유닛(200)은 매몰지(100)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A vertical well unit 200 for biologically stabilizing the buried pap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buried paper 100. The vertical well unit 200 penetrates the protective layer 150 and the sterilizing layer 140 so that the lower side is located in the buried layer 130 and the upper side is located outside the protective layer 150. Thus, the vertical well unit 200 can supply air to the buried layer 130, supply microorganisms to the buried layer 130 using sludge, measure the level of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130, Recycle the leachate. A plurality of vertical well units 200 may be installed in the land burial site 100.

수직 웰 유닛(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이다.The vertical well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well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웰 유닛(200)은 외측수직관(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측수직관(210)은 매몰지(100)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외측수직관(210)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통공(211)이 형성되어 하측 부위부터 매몰지(100)에 삽입 설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ertical well unit 200 may include an outer vertical pipe 210, and the outer vertical pipe 210 may b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inflatables 100.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pipe 210 and inserted into the buried paper 100 from the lower portion.

외측수직관(210)의 외주면에 제1통공(21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외측수직관(210)의 횡단면(橫斷面)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ylindrical pipe 210 is formed to be polygonal so that the first through-hole 211 can be easi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rical pipe 210.

그리고, 외측수직관(210)이 매몰지(100)이 삽입 설치되면, 제1통공(211)은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층(130)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통공(211)은 외측수직관(210)의 하단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외측수직관(210)의 외주면에서 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통공(211)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매몰지(100)의 바닥층(1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sidewall 100 is inserted, the first through-hole 211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buried layer 130 in which the livestock body is buried. The first through hole 211 is preferably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diameter pipe 210 spaced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diameter pip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prevent the bottom layer 120 of the buried paper 100 from being damaged by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s 211.

외측수직관(210)은 항타법으로 매몰지(100)에 삽입 설치되는데, 외측수직관(210)을 매몰지(100)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외측수직관(210)의 하면에는 뾰족부(217)가 형성된다. 즉, 뾰족부(217)는 외측수직관(210)을 매몰지(100)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outer vertical pipe 210 is inserted into the embossed paper 100 in an invariant manner so that the outer vertical pipe 2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mbedding paper 100. In addition, A portion 217 is formed. That is, the pointed portion 217 guides the outer vertical pipe 21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ried pile 100.

외측수직관(210)의 외주면에는 외측수직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리브(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리브(213)는 외측수직관(210)의 강성(剛性)을 보강한다. 복수의 제1리브(213)는 외측수직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irst ribs 2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ipe 2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ipe 210. The first rib 213 may have a rigidity Stiffness). The plurality of first ribs 213 may b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uter vertical tube 210.

복수의 제1리브(213)의 하단면(下端面)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21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리브(215)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밑변에 해당하는 연장리브(215)의 면은 외측수직관(2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높이에 해당하는 연장리브(215)의 면들은 상호 연결되며, 빗변에 해당하는 연장리브(215)의 면은 외측수직관(210)의 하측을 향한다. 따라서, 뾰족부(217)는 상호 연결된 연장리브(215)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Extended ribs 215 extending downwar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213. The extended ribs 215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ight triangular shape .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extension rib 215 corresponding to the base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vertical pipe 210, the surfaces of the extension rib 215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re mutually connected, and the extension rib 215 Is dir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vertical pipe 210. [ Thus, the beak 217 may be formed by interconnecting extension ribs 215.

즉, 외측수직관(210)의 중심을 향하는 연장리브(215)의 일측은 외측수직관(210)의 하면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호 연결된 연장리브(215)에 의하여 뾰족부(217)가 형성되는 것이다. 연장리브(215)에 의하여 외측수직관(210)의 하면의 강성(剛性)이 보강됨은 당연하다.One side of the extension rib 215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outer side straight pipe 210 extends to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outer side pip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pointed portion 217 by the extended ribs 215 connected to each other. .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igidit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pipe 210 is reinforced by the extension rib 215.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웰 유닛은 외측수직관(210)의 하면에 뾰족부(217)가 형성되므로, 외측수직관(210)을 매몰지(100)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외측수직관(210)의 상면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제1통공(211)을 통하여 매몰층(130)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그러면, 혐기성 상태의 매몰층(130)의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로 되므로, 신속하게 분해된다.The vertical we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harpened portion 2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pipe 210 so that the outer vertical pipe 2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ried pipe 100. Thereafter,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210, ai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 Then, the organic matter in the buried layer 130 in the anaerobic state becomes an aerobic state, so that it is quickly decomposed.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웰 유닛은 매몰층(130)의 유기물이 더욱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슬러지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매몰층(130)으로 공급하고, 침출수를 재순환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매몰층(130)의 침출수의 시료를 채취하고, 매몰층(130)에 형성된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직 웰 유닛(130)은 외측수직관(210)의 내부에는 중간수직관(230)이 설치될 수 있고, 중간수직관(230)의 내부에는 내측수직관(250)이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we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ly the microorganisms to the buried layer 130 using the sludge and recycle the leachate so that the organic matter in the buried layer 130 can be decomposed more quickly. A sample of the leachate of the buried layer 130 can be sampled and the level of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130 can be measured. For this purpose, the vertical well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inside the outer vertical pipe 210, and the inner vertical pipe 2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have.

중간수직관(230)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통공(231)이 형성되어 외측수직관(210)과 간격을 가진다. 그리고, 내측수직관(250)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3통공(251)이 형성되어 중간수직관(230)과 간격을 가진다. 이때, 중간수직관(230) 및 내측수직관(250)의 횡단면(橫斷面) 형상은 외측수직관(210)과 대응되게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통공(231) 및 제3통공(251)은 매몰층(130)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3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straight pipe 230 so as to be spaced from the outer straight pipe 2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25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vertical straight pipe 250 so as to be spaced from the intermediate vertical straight pipe 230. The cross sectional shapes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the inner vertical tube 250 are preferably formed in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vertical tube 2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1 and the third through- The through hole 251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buried layer 130.

중간수직관(230) 및 내측수직관(250)의 외주면에는 제2리브(233) 및 제3리브(2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ib 233 and the third rib 2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the inner vertical tube 250, respectively.

제2리브(233)는 중간수직관(230)의 강성(剛性)을 보강함과 동시에, 중간수직관(230)과 외측수직관(2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제3리브(253)는 내측수직관(250)의 강성(剛性)을 보강함과 동시에, 내측수직관(250)과 중간수직관(23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The second rib 233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supports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the outer vertical tube 210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therebetween. The third rib 253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nd supports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제2리브(233)를 매개로 중간수직관(230)과 외측수직관(2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3리브(253)를 매개로 내측수직관(250)과 중간수직관(2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은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은 동심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the outer vertical tub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second rib 233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vertical tube 250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50 through the third rib 253. [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the outer vertical tube 210,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230, and the inner vertical tube 250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vertical pipe 210,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and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re disposed concentrically.

외측수직관(210)의 제1통공(211)의 직경은 중간수직관(230)의 제2통공(2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중간수직관(230)의 제2통공(231)의 직경은 내측수직관(250)의 제3통공(25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211 of the outer side straight tube 21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31 of the intermediate straight tube 230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3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ugh hole 251 of the inner vertical tube 250.

그리고,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 사이에는 모래가 충전(充塡)된 모래층(220)이 형성될 수 있고,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 사이에는 자갈이 충전된 자갈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통공(211)과 제2통공(231)을 통하여 모래가 누설되지 않도록 적절한 굵기의 모래를 선택하여야 하고, 제2통공(231)과 제3통공(253)을 통하여 자갈이 누설되지 않도록 적절한 굵기의 자갈을 선택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면, 내측수직관(250)은 우물과 같은 형상을 띄게 된다.A sand layer 220 filled with s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pipe 210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and the inner vertical pipe 250 Gravel layer 240 filled with gravel may be formed. At this time, sand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should be selected so that the sand does not leak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31, and the gravel is not leak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1 and the third through hole 253 It is natural that the gravels of appropriate thickness should be selected. Then, the inner vertical tube 250 becomes like a well.

그리하여, 매몰층(130)으로 공기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측수직관(250)으로 소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면, 제3통공(251) → 자갈층(240) → 제2통공(231) → 모래층(220) → 제1통공(211)을 통하여 매몰층(130)으로 공기가 공급된다.When air is to b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air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inner vertical pipe 250, the third through hole 251, the gravel layer 240, the second through hole 231, Ai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through the sand layer 220 → the first through hole 211.

그리고, 매몰층(130)으로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측수직관(250)으로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와 함께 소정 압력으로 물을 주입하면, 슬러지가 제3통공(251) → 자갈층(240) → 제2통공(231) → 모래층(220) → 제1통공(211)을 통하여 매몰층(130)으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미생물이 매몰층(130)으로 공급된다.When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is to b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water is inject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ogether with the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in the inner sludge pipe 250. When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251, The gravel layer 240, the second through hole 231, the sand layer 22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1 to the buried layer 130 so that the microorganisms ar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매몰층(130)의 침출수는 제1통공(211) → 모래층(220) → 제2통공(231) → 자갈층(240) → 제3통공(251)을 통하여 내측수직관(250)의 하부에 고이게 된다.The leachate of the buried layer 130 flows in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vertical pipe 25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 the sand layer 220, the second through hole 231, the gravel layer 240 and the third through hole 251, do.

이때, 내측수직관(250)의 하부에 고인 침출수를 채취하면, 매몰층(130)의 침출수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시료의 채취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일러(Bailer)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ached water is collect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 sample of leachate of the buried layer 130 can be collected. Sampling can be done using a commonly used bailer.

그리고, 매몰층(130)의 수위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측수직관(250)에 전선(미도시)을 삽입한 다음, 상기 전선에서 감지되는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When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buried layer 13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ater level by inserting a wire (not shown) into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nd then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sensed by the electric wire.

그리고, 침출수를 재순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직 웰 유닛(200)이 복수개 매몰지(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이 흡입펌프(미도시)와 연통된 흡입호스(미도시)의 타측을 어느 하나의 수직 웰 유닛(200)의 내측수직관(250)에 삽입하여 침출수를 펌핑한 다음, 다른 하나의 수직 웰 유닛(200)의 내측수직관(250)으로 유입시키면 된다.When the leachate is to be recirculated, a plurality of vertical well units 200 are installed in the land burial site 100.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hos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ump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inner vertical pipe 250 of the vertical well unit 200 to pump the leachate, And then flows into the inner vertical pipe 250 of the vertical well unit 200.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웰 유닛은 내측수직관(250)을 통하여 악취 및 공기를 포함한 가스가 매몰지(100)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수직관(210)의 상단면에는 커버(26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260)는 공기와 물을 포함한 액체를 주입할 때, 주입하는 공기와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그리고, 외측수직관(210)과 커버(260)의 접촉 부위 사이로 악취 및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수직관(210)과 커버(260)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The vertical wel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over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ide pipe 210 to prevent gas containing odor and air from leaking out of the buried pipe 100 through the inner side pipe 250 260 may be combined. The cover 260 also functions to prevent leakage of air and liquid to the outside when the liquid containing air and water is injected. A sealing member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pipe 210 and the cover 260 to prevent odors and gas from leaking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of the outer vertical pipe 210 and the cover 260 .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은 스틸(Steel)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아연으로 도금을 할 수 있다.The outer horizontal pipe 210, the middle vertical pipe 230 and the inner vertical pipe 250 may be formed of steel and may be plated with zinc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nd improve durability and reuse. can do.

매몰층(130)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매몰층(130)으로 슬러지를 공급하거나, 매몰층(130)의 침출수의 시료를 채취하거나, 매몰층(130)에 형성된 침출수의 수위 측정하거나, 침출수를 재순환하고자 하고자 할 때 마다 커버(260)를 개폐하면 불편하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커버(260)에는 연통관(26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260)의 상면은 외측수직관(1210)의 상단면(上端面)과 중간수직관(230)의 상단면 및 내측수직관(250)의 상단면과 소정 간격을 가진다. 그리고, 연통관(261)의 하측 부위는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의 상측 부위와 연통될 수 있고, 상측은 커버(260)의 외측과 연통될 수 있다.The sludge may b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or the sludge may b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or the sample of the buried layer 130 may be sampl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leached water formed in the buried layer 130, It is in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cover 260 every time it is desired to recirculat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the cover 26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ipe 261.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6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pipe 1210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inner vertical pipe 250. The lower side of the communicating tube 261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tube 210 and the middle side tube 230 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tube 250 and the upper side can communicate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ver 260 .

연통관(261)에는 마개(26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통관(261) 중, 어느 하나의 연통관(261a)은 내측수직관(250)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베일러, 상기 전선 및 상기 흡입호스를 내측수직관(25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A stopper 263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ng tube 261.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communicating tubes 261a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inner working tube 250. [ This is to easily insert the baler, the electric wire and the suction hose into the inner vertical pipe 250.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는 제1통공(211)이 형성된 외측수직관(210)의 내부에 제2통공(231)이 형성된 중간수직관(230)이 설치되고, 중간수직관(230)의 내부에 제3통공(251)이 형성된 내측수직관(250)이 설치되며, 외측수직관(210)과 중간수직관(230) 사이에는 모래층(220)이 형성되고, 중간수직관(230)과 내측수직관(250) 사이에는 자갈층(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수직관(210)의 상단면에는 커버(260)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매몰층(130)에서 발생한 악취 및 가스가 매몰지(10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An intermediate water pipe 230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231 is formed is provided in an outer water pipe 210 having a first through hole 211 formed therein and an intermediate water pipe 230, A sand layer 22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pipes 210 and 230 and an intermediate vertical pipe 23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pipes 210 and 230. [ A gravel layer 24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nd the inner vertical pipe 250. A cover 26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210. Therefore, the odor and gas generated in the buried layer 13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buried paper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를 안정화하는 방법을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A method of stabilizing the biological reaction buried pap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abilizing a biological reaction buri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는 수직 웰 유닛(200)을 통하여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층(130)에 물을 공급한다. 매몰층(130)에 물이 충분하면, 가축 사체는 물에 용해된다. 따라서, 가축 사체를 더욱 단기간에 분해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n step S110, wate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in which the livestock body is buried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200. When water is sufficient in the buried layer 130, the livestock carcass dissolves in water. Therefore, the livestock carcass can be further decompo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기존의 매몰지를 이송하여 새로은 매몰지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가축 사체에 함유된 수분의 거의 증발된 상태이므로, 특히 많은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매몰층(130)에 공급되는 물은 매몰층(130)의 체적의 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ransporting the existing burnt paper to construct a new buried pap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livestock carcass is in a substantially evaporated state, and thus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water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is 60 to 80% of the volume of the buried layer 130.

그리고, 단계(S120)에서는 수직 웰 유닛(200)을 통하여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층(130)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공기는 대략 30psi(Pound per Square Inch)의 압력을 가지는 압력탱크에서 4∼65psi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공기에 의하여 매몰층(130)에는 유체가 흐를수 있는 채널이 형성되고, 가축 사체들이 평탄화되는 효과가 있다.Then, in step S120, ai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in which the livestock body is buried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200. At this time, the air is preferably supplied at a pressure of 4 to 65 psi in a pressure tank having a pressure of about 30 psi (Pound per Square Inch). Then, a channel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is formed in the buried layer 130 by the air, and the livestock carcasses are flattened.

그리고, 단계(S130)에서는 수직 웰 유닛(200)을 통하여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층(130)에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소정 압력의 물과 함께 공급한다. 매몰층(130)에 미생물의 양이 충분하여야 가축 사체가 잘 분해될 수 있다. 그런데, 미생물을 직접 매몰층(130)에 공급할 수 없으므로, 슬러지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매몰층(130)에 공급한다. 이때, 슬러지는 가축 사체 1,000ton 당 90∼150㎥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in step S130, the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in which the livestock body is buried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200, together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amount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buried layer 130 is sufficient so that the livestock body can be decomposed well. However, since the microorganisms can not be directly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the microorganisms ar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using the sludge. At this time, the sludge is preferably supplied at 90 to 150 m 3 per 1,000 tons of livestock carcass.

슬러지는 일반적으로 하수 슬러지를 사용하나, 많은 양의 슬러지를 구하기가 어렵다. 그러면, 매몰층(130)으로 충분한 미생물이 공급되지 못한다.Sludge generally uses sewage sludge,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large amounts of sludge. Then, sufficient microorganisms can not be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130.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계(S140)에서는 매몰층(130)에 형성된 침출수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침출수에는 많은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침출수를 재순환시켜 활성화시키면 가축 사체를 더욱 단기간에 분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step S140,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130 may be recirculated. Since leachate contains many microorganisms, it is possible to decompose the livestock carcass in a shorter period of time by activating the leachate by recirculating it.

침출수를 재순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수직 웰 유닛(200) 중, 일측이 흡입펌프(미도시)와 연통된 흡입호스(미도시)의 타측을 어느 하나의 수직 웰 유닛(200)에 삽입하여 침출수를 펌핑한 다음, 다른 하나의 수직 웰 유닛(200)으로 유입시키면 된다.In order to recycle the leachate,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well units 200 is inserted into one of the vertical well units 200,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suction pump (not shown) The leachate may be pumped and then flowed into the other vertical well unit 200.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은 새로이 구축하는 매몰지(100) 또는 기 구축된 매몰지(100)에 수직 웰 유닛(200)을 삽입 설치한 다음, 공기를 주입하거나, 슬러지를 주입하거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면 매몰지(100)의 매몰층(130)의 혐기성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로 되므로, 매몰지(100)를 단기간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로 매몰지(100)의 안정화가 가능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The biological reaction burial site and its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inserting a vertical well unit 200 into a new buried land 100 or an existing buried land 100 to be constructed and then injecting air, And the leachate is recirculated, the anaerobic organic matter of the buried layer 130 of the buried paper 100 becomes aerobic, so that the buried paper 100 can be stabil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since the buried paper 100 can be stabi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the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수직 웰 유닛(200)의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수직 웰 유닛(200)을 매몰지(100)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ell unit 200 is sharp, the vertical well unit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ried paper 100.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웰 유닛의 평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부 확대도로서, 도 4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FIG. 6A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vertical wel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an "A" portion of FIG. 6A.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수직관(330)은 상호 동심을 이루면서 상호 간격을 가지는 2개 이상의 복수개(330a, 330b)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중간수직관(330a, 330b)에 각각 형성된 제2통공(331a, 331b)의 직경은 외측수직관(310)과 가까이 위치된 중간수직관(330a)의 제2통공(331a)의 직경이 외측수직관(310)과 멀리 위치된 중간수직관(330b)의 제2통공(331b)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s 330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330a, 330b) mutually concentric and mutually spaced. The diameters of the second through holes 331a and 331b formed in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s 330a and 330b are set such that the diameters of the second through holes 331a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a positioned close to the outer vertical pipe 31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331b)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b) located farther from the outer vertical pipe (310).

그리고, 외측수직관(310)과 최외측에 위치된 중간수직관(330a) 사이, 상호 인접하는 중간수직관(330a)과 중간수직관(330b) 사이, 최내측에 위치된 중간수직관(330b)과 내측수직관(350) 사이에는 공극을 가지는 입자가 각각 충전(充塡)되고, 외측수직관(310)에서 내측수직관(350)으로 갈수록 상기 입자의 공극은 점점 커야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외측수직관(310)에서 내측수직관(350)으로 갈수록 가는 모래 → 굵은 모래 → 작은 자갈 → 큰 자갈의 순으로 충전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a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b locat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pipe 310 and the outermost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a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a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pipe 330b, It is natural that the voids of the particles gradually increase from the outer vertical pipe 310 to the inner vertical pipe 350.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vertical pipe 350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vertical pipe 350, For example, from the outer vertical pipe 310 to the inner vertical pipe 350, it can be charged in the order of sand → coarse sand → small gravel → large grave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외곽층
120: 바닥층
130: 매몰층
140: 살균층
150: 보호층
200: 수직 웰 유닛
110: outer layer
120: bottom layer
130: buried layer
140: sterilization layer
150: protective layer
200: Vertical well unit

Claims (11)

외곽층; 상기 외곽층의 바닥에 형성된 바닥층; 상기 바닥층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층과의 사이에 가축 사체가 매몰되는 매몰층을 형성하는 살균층; 상기 살균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과 상기 살균층을 관통하여 하측 부위는 상기 매몰층에 위치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보호층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매몰층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슬러지를 공급하여 상기 매몰층으로 미생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매몰층에 형성된 침출수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상기 매몰층의 침출수의 시료를 채취하거나, 상기 침출수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수직 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웰 유닛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상기 매몰층에 위치되는 부위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외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된 중간수직관;
상기 중간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3통공이 형성된 내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형성된 모래층;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 사이에 충전되어 형성된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Outer layer; A bottom lay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layer; A sterilizing layer formed above the bottom layer and forming a buried layer between the bottom layer and the livestock body;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terilizing layer; Wherein the lower layer is located on the buried layer and the upper part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ective layer and air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or the sludge is supplied to the buried layer, And a vertical well unit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collecting a sample of the leachate of the buried layer, or recycling the leachate,
The vertical well unit includes:
An outer vertical pi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buried layer;
An intermediate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outer vertical tube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 inner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spaced from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sand layer formed by being fill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tubes;
And a gravel layer fi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층은 땅속에 매몰되거나, 지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layer is buried in the ground or located on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층은 이중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층 및 상기 보호층은 벤토나이트 15% 및 화강풍화토 85%를 혼합한 혼합토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층은 생석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layer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double vinyl,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or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The bottom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formed of a mixture of 15% of bentonite and 85% of granular weathered soil,
Wherein the sterilizing layer is formed of quickl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웰 유닛은,
상기 외측수직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수직관이 상기 보호층과 상기 살균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도록 안내하는 뾰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well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harpened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and guiding the outer vertical tube to be insert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terilizing lay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수직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수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수직관의 외주면 및 상기 내측수직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리브 및 복수의 제3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리브의 하단면(下端面)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의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상기 연장리브의 일측은 상기 외측수직관의 하면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장리브에 의하여 상기 뾰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rib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i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ipe,
A plurality of second ribs and a plurality of third rib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vertical tube,
The lower ribs of the plurality of first ribs are formed with extending ribs extending downwardly,
One side of each of the extending rib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outside vertical tube is connected to the cent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outside vertical tube,
And the pointed portion is formed by the extending ri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2통공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3통공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ugh-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수직관은 상호 동심을 이루면서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중간수직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은 상기 외측수직관과 가까이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의 상기 제2통공의 직경이 상기 외측수직관과 멀리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의 상기 제2통공의 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외측수직관과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 최내측에 위치된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 사이에는 공극을 가지는 입자가 충전(充塡)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에서 상기 내측수직관으로 갈수록 상기 입자의 공극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mutually concentric,
Wherei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straight pipes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intermediate straight pipe located near the outer diameter straight pip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A gap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locat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tube and the outermost intermediate tube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djacent to each other, Is charged,
Wherein the pores of the particles are larger toward the inner vertical pipe from the outer vertical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은 스틸(Steel)로 형성되어 아연으로 도금되고,
상기 외측수직관의 상단면에는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에는 하측은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및 상기 내측수직관의 상측 부위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커버의 외측과 연통된 복수의 연통관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관에는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상기 연통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측수직관의 직상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er horizontal tube,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are formed of steel and plated with zinc,
A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end surface of the outer vertical tube,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tubes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ver, the middle middle straight tube 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straight tube, and the upp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ver,
A stopp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ng tub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ng tubes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inner vertical tube.
하측은 가축 사체가 매몰된 매몰지의 매몰층에 위치되고, 상측은 상기 매몰지의 외측에 위치된 수직 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매몰층의 유기물을 호기성으로 변환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물을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공기를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상기 매몰층에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수직 웰 유닛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상기 매몰층에 위치되는 부위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된 외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된 중간수직관;
상기 중간수직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수직관과 간격을 가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3통공이 형성된 내측수직관;
상기 외측수직관과 상기 중간수직관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형성된 모래층;
상기 중간수직관과 상기 내측수직관 사이에 충전되어 형성된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
And the upper side is a stabilization method of a bioreaction buried paper for converting and stabilizing the organic matter of the buried layer into aerobic state using a vertical well unit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buried paper, the lower side being located in the buried layer of the buried paper in which the livestock carcass is buried, As a result,
Supplying water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Supplying air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Supplying the sludge containing microorganisms to the buried layer through the vertical well unit,
The vertical well unit includes:
An outer vertical pi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buried layer;
An intermediate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outer vertical tube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 inner vertical tube provid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spaced from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 lower surface sealed, and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sand layer formed by being fill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intermediate tubes;
And a gravel layer filled and fi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tube and the inner vertical tub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매몰층의 부피의 60∼80%를 공급하고,
상기 공기는 4∼6psi(Pound per Square Inch)의 압력으로 공급하며,
상기 슬러지는 상기 가축 사체 1,000ton 당 90∼150㎥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supplies 60 to 80% of the volume of the buried layer,
The air is supplied at a pressure of 4 to 6 psi (Pound per Square Inch)
Wherein the sludge is supplied at 90 to 150 m 3 per 1,000 tons of the livestock carcas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웰 유닛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매몰층에 형성된 침출수를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흡입한 다음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웰 유닛을 통하여 상기 매몰층으로 재유입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 매몰지의 안정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vertical well units ar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ucking the leachate formed in the buried layer through one of the vertical well units and then re-entering the buried layer through another one of the vertical well units and circulating the same. Stabilization method.
KR1020140017397A 2014-02-14 2014-02-14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605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97A KR101605602B1 (en) 2014-02-14 2014-02-14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PCT/KR2015/001097 WO2015122642A1 (en) 2014-02-14 2015-02-03 Vertical well unit for stabilization of burial site and bio-reactive burial sit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97A KR101605602B1 (en) 2014-02-14 2014-02-14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27A KR20150096227A (en) 2015-08-24
KR101605602B1 true KR101605602B1 (en) 2016-03-22

Family

ID=5405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397A KR101605602B1 (en) 2014-02-14 2014-02-14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6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83B1 (en) * 2017-08-15 2018-03-02 박수근 Environmentally friendly burial method of a livestock using the sealed container
KR102199170B1 (en) * 2019-12-20 2021-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THE PERISH LIVESTOCK BURIAL TANK capable of deodor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001B1 (en) * 2017-06-08 2019-02-13 선 바이오 (주) Monitoring device for sampling of gaseous sample and monito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imal carcass treatment facility
KR102387916B1 (en) * 2019-12-18 2022-04-19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erish livestock burial ground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19B1 (en) * 2011-05-23 2011-12-22 주식회사 바이오테크 Burying method for livestock stamped ou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19B1 (en) * 2011-05-23 2011-12-22 주식회사 바이오테크 Burying method for livestock stamped o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83B1 (en) * 2017-08-15 2018-03-02 박수근 Environmentally friendly burial method of a livestock using the sealed container
KR102199170B1 (en) * 2019-12-20 2021-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THE PERISH LIVESTOCK BURIAL TANK capable of deodo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27A (en)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602B1 (en) Bio-react landfill a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same
US5472294A (en) Contaminant remediation, biodegradation and volatiliz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7168888B2 (en) Aerobic and anaerobic wast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landfills
CA2320542C (en) Sequential aerobic/anaerobic solid waste landfill operation
US6451206B1 (en) System for converting organic waste reservoirs onto anaerobic digesters
US6481929B1 (en) Aerobic bioredu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mass
US20040062610A1 (en) Infiltration and gas recovery systems for landfill bioreactors
CN109775862A (en) A kind of permeable reaction wall and underground water pollution biology in situ renovation method
US7422393B2 (en) Aerobic and anaerobic wast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landfills
CN109127689B (en) Organic contaminated site in-situ oxidation and circulating well combined repairing system
CN105234164A (en) Ectopic biological reactor gas-phase extraction/biological ventilation repair device and method of organic contaminated soil
CN206955867U (en) A kind of circulation well device for organic contamination underground water in-situ immobilization
CN206779142U (en) A kind of circulation extracting applied to organic contamination place soil and biological prosthetic device
CN110482737A (en) For the circulation well repair system of Organic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object
JP2000506437A (en) Biological purification reactor
CN206936009U (en) A kind of soil and underground enhanced water in situ chemical oxidation prosthetic device
KR101710257B1 (en) Livestock carcass processing system
KR101754582B1 (en) Storage tank used for stamping out livestock diseases
KR101595172B1 (en) Vertical well unit for stabilization of landfill
US20050056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fluid flow
US11591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ed waste decomposition in an unsecured landfill
CN113578912A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erobic microorganisms in refuse landfill
CN212375276U (en) Anaerobe is adopted and is planted device and store up fungus ware
WO2015122642A1 (en) Vertical well unit for stabilization of burial site and bio-reactive burial site using same
CZ178398A3 (en) Apparatus for degasing d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