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501B1 - 체형보정 운동복 - Google Patents

체형보정 운동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501B1
KR101605501B1 KR1020150009703A KR20150009703A KR101605501B1 KR 101605501 B1 KR101605501 B1 KR 101605501B1 KR 1020150009703 A KR1020150009703 A KR 1020150009703A KR 20150009703 A KR20150009703 A KR 20150009703A KR 101605501 B1 KR101605501 B1 KR 10160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ng
chest
wearer
fabric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금화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화패션 filed Critical (주)금화패션
Priority to KR102015000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보정 운동복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측에 착용자의 머리가 관통되는 내측 머리끼움공(101) 및 양팔이 관통하는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이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가슴, 복부 및 등의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와; 속옷부(100)를 감쌈으로써 그 속옷부(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머리가 관통하는 외측 머리끼움공(201) 및 양팔이 관통하는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이 형성된 겉옷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속옷부 내측 머리끼움공(101)의 가장자리는 겉옷부(200)의 외측 머리끼움공(201)의 가장자리에 봉재되고, 속옷부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의 가장자리는 겉옷부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의 가장자리와 연결됨으로써, 속옷부(100)의 외측면 전체는 겉옷부(200) 내측면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체형보정 운동복{BODY SHAPING SPORTS WEAR}
본 발명은 체형보정 운동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가슴, 복부 및 등의 체형보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체형보정 운동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을 할 때 착용하는 운동복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되는 신축성을 가지며, 착용자가 흘린 땀을 흡수한 후 빠르게 마르게 함으로써 쾌적함을 증진시킨다.
한편 몸매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짐에 따라 평소 운동하는 것에 더하여, 체형을 아름답게 보정할 수 있는 보정속옷이 이용되고 있다. 보정속옷은 가슴을 보호하고 모양을 아름답게 모아주는 브래지어, 허리선에서 히프를 받쳐주어 처짐을 잡아주는 코르셋, 상기 브래지어에 코르셋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올인원(All in One), 허리를 가늘게 죄기 위한 웨이스트 니퍼등이 있다. 이러한 보정속옷은 기본적으로 신체중 지방층으로 인하여 처지는 특정부위(가슴, 복부, 옆구리 등)를 받침으로써 체형을 보정한다. 이러한 보정속옷에 대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9-0060730호에 활동성이 강화된 체형보정용 속옷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보정속옷은 기본적으로 신체의 처진 부분에 보정압력을 인가하여 살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정속옷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가슴, 복부 및 등에 입체적인 보정압력은 인가하여 효과적인 체형보정은 물론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형보정 운동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은,
상부측에 착용자의 머리가 관통되는 내측 머리끼움공(101) 및 양팔이 관통하는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가슴, 복부 및 등의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 및 상기 속옷부(100)를 감쌈으로써 그 속옷부(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가 관통하는 외측 머리끼움공(201) 및 상기 양팔이 관통하는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이 형성된 겉옷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속옷부 내측 머리끼움공(101)의 가장자리는 상기 겉옷부(200)의 외측 머리끼움공(201)의 가장자리에 봉재되고, 상기 속옷부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의 가장자리는 상기 겉옷부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의 가장자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속옷부(100)의 외측면 전체는 상기 겉옷부(200) 내측면과 분리된 상태가 되며; 상기 속옷부(100)는, 상기 착용자의 가슴이 모아지도록 체형보정하는 가슴보정부(11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전방측에서 상부봉재라인(UL)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가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복부보정부(12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후방측에서 상기 상부봉재라인(UL)과 연결되고, 상기 복부보정부(120)의 측부에서 사이드봉재라인(SL)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등살이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등보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보정부(120)는, 상기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 상부측 및 하부측으로 제1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복부보정원단(121)과, 상기 제1복부보정원단(121)의 내측의 덧대어져 봉재된 것으로서 복부 중앙측이 가로 방향에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제2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복부보정원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옷부(100)는, 상기 착용자의 가슴이 모아지도록 체형보정하는 가슴보정부(11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전방측에서 상부봉재라인(UL)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가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복부보정부(12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후방측에서 상기 상부봉재라인(UL)과 연결되고, 상기 복부보정부(120)의 측부에서 사이드봉재라인(SL)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등살이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등보정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의 하단에 봉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바지내측으로 넣어져 그 바지 내측면과 마찰력을 발생하여 상기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 하단이 상기 바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마찰단(1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슴보정부(110)는, 상기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것으로서 가슴이 몰입되는 한쌍의 컵(112)을 가지는 베이스원단(111)과, 상기 베이스원단(111)의 전방측에 봉재된 것으로서 상기 한쌍의 컵이 상부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모아지게 가슴보정압력을 인가하는 가슴보정원단(1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슴보정원단(113)은, 한쌍의 컵중 좌측의 컵(112a)을 상부 우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가슴보정원단(113a)과, 상기 제1가슴보정원단(113a)에 수직봉재라인(113c)로 연결된 것으로서 우측의 컵(112b)을 상부 좌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가슴보정원단(113b)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원단(111)은 땀이 날 때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냉감원단으로 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봉재라인(SL)은 상기 착용자의 측부 중앙선(C)을 기준으로 등측으로 3~10cm 범위에서 치우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겉옷부의 내측에서 속옷부는 겉옷부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활동에 따라 속옷부의 형태 변화에 의하여 겉옷부의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슴보정부, 복부보정부 및 등보정부가 착용자의 가슴, 복부, 허리살, 등살에 입체적으로 보정압력을 인가함으로서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체형보정을 가능하게 하고, 어느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보정압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속옷부 하단에 바지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는 마찰단이 덧대어짐으로써, 급격한 스포츠 활동에도 속옷부 하단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활동중에도 가슴보정부, 복부보정부 및 등보정부가 정위치에서 가슴, 복부, 허리살, 등살에 보정압력을 인가할 수 있어 균형잡힌 체형보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겉옷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속옷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속옷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속옷부의 배변도,
도 5는 도 2의 속옷부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겉옷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속옷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속옷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속옷부의 배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속옷부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은, 상부측에 착용자의 머리가 관통되는 내측 머리끼움공(101) 및 양팔이 관통하는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이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가슴, 복부 및 등의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와; 속옷부(100)를 감쌈으로써 그 속옷부(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가 관통하는 외측 머리끼움공(201) 및 상기 양팔이 관통하는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이 형성된 겉옷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속옷부 내측 머리끼움공(101)의 가장자리는 겉옷부(200)의 외측 머리끼움공(201)의 가장자리에 봉재되고, 속옷부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의 가장자리는 겉옷부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의 가장자리와 연결됨으로써, 속옷부(100)의 외측면 전체는 겉옷부(200) 내측면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겉옷부(200)는,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를 감싸는 것으로서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또한 속건시키며, 항균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원단이나 천연 면재질로 된다. 이때 겉옷부(200)에는 다양한 패턴이 인쇄되어 외출용 운동복의 디자인을 구현하며,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여 주위시선을 끄는 것을 방지한다.
속옷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이 모아지도록 체형보정하는 가슴보정부(110)와; 가슴보정부(110) 전방측에서 상부봉재라인(UL)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가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복부보정부(120); 가슴보정부(110) 후방측에서 상기 상부봉재라인(UL)에서 연결되고, 상기 복부보정부(120)의 측부에서 사이드봉재라인(SL)에 연결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등살이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등보정부(130)와;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의 하단에 봉재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바지내측으로 넣어져 그 바지 내측면과 마찰력을 발생하여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 하단이 상기 바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마찰단(140);을 포함한다.
가슴보정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것으로서 가슴이 몰입되는 한쌍의 컵(112)을 가지는 베이스원단(111)과, 베이스원단(111)의 전방측에 봉재된 것으로서 한쌍의 컵이 상부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모아지게 가슴보정압력을 인가하는 가슴보정원단(113)을 포함한다.
베이스원단(111)은 착용자의 상체 부분을 감싸면서 한쌍의 컵(112) 및 가스보정원단(113)이 봉재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열기를 느낄수 있다. 따라서 상체부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더위를 느끼거나 땀이 나는 경우가 많으며, 스포츠활동을 할 경우에는 더운 느낌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더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원단(111)은 땀이 날 때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냉감원단으로 된다.
가슴보정원단(113)은 도 3 및 도 4에 좌측의 컵(112a)을 상부 우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가슴보정원단(113a)과, 제1가슴보정원단(113a)에 수직봉재라인(113c)로 연결된 것으로서 우측의 컵을 상부 좌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가슴보정원단(113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2가슴보정원단(113a)(113b)은 동일한 신축방향을 가지므로, 제1가슴보정원단(113a)의 신축방향이 상부 우측 45°방향을 향하고, 제2가슴보정원단(113b)의 신축방향이 상부 좌측 45°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1,2가슴보정원단(113a)(113b)을 수직봉재라인(113c)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가슴보정원단(113a)은 좌측 컵(112a)을 상부 우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고, 제2가스보정원단(113b)은 우측 컵(112b)을 상부 좌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며, 이러한 제1,2가슴보정원단(113a)(113b)은 나일론이나 폴리우렌탄과 같은 고신축성 재질로 된다.
이러한 가슴보정부(110)에 의하여, 좌측 컵(112a) 및 우측 컵(112b)에 감싸여진 착용자의 가슴은 제1,2가스보정원단(113a)(113b)에 의하여 45°각도로 대칭되게 인가되는 보정압력에 의하여 상부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처진 가슴은 볼록해지도록 체형보정한다.
복부보정부(120)는,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복부 상부측 및 하부측으로 제1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복부보정원단(121)과, 제1복부보정원단(121)의 내측의 덧대어져 봉재된 것으로서 복부 중앙측이 가로 방향에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제2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복부보정원단(12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부 중앙측은 제2복부보정압력에 의하여 모아진 후 제1복부보정압력에 의하여 상부측 및 하부측으로 펼쳐지므로, 복부는 전체적으로 편편해지게 체형보정된다.
등보정부(130)는, 착용자의 등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등살이 상부측 및 하부측으로 분산되도록 등보정압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등보정부(130)는 등측 허리살을 견고하게 밀착 및 압박하고 허리살의 처짐을 방지하여 체형보정이 되도록 한다.
마찰단(140)은 본원의 운동복 착용시 속옷부(100)의 하단, 즉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의 하단이 바지 내측으로 넣어질 때, 상기한 보정압력에도 불구하고 운동중에 속옷부 하단이 바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급격한 스포츠활동중에 속옷부(100)의 하단이 위로 말리는 것을 방지하여, 가슴보정부(110),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는 정위치에서 가슴, 복부살, 허리살에 보정압력을 인가하여 균형잡힌 체형보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단(140)은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의 하단에 덧대어져 봉재되며, 벨벳류와 같이 부드러우면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찰단(140)은 하복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속옷부(100)의 하단이 바지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봉재라인(SL)은 착용자의 측부 중앙선(C)을 기준으로 등측으로 3~10cm 범위에서 치우친 상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선(C)을 기준으로 등측으로 5cm 치우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 기초대사량이 떨어지기 때문에, 젊었을 때 섭취하였던 양만큼의 음식을 섭취하여도 나이가 들면 열량이 전부 연소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비연소 열량은 복부에 지방 형태로 축적되며,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복부 비만이 된다. 또한 많은 음식을 섭취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비만은 통상 복부지방이 쌓이면서 시작되어 점차로 허리살 및 겨드랑이살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즉 어떠한 경우이든 비만은 복부에 지방층이 형성되면서 시작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측부에서 보았을 때 복부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허리살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체형보정 운동복로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몸매로 보정하기 위하여, 복부 및 허리살에 인가되는 보정압력은 등측에 인가되는 보정압력보다 커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복부보정부(120)와 등보정부(130)를 연결하는 사이드봉재라인(SL)은, 착용자의 복부 비만 정도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측부 중앙선(C)을 기준으로 등측으로 3~10cm 범위내에서 치우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복부나 허리살에 인가되는 보정압력을 등측으로 인가되는 보정압력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봉재라인(SL)이 등측으로 3cm 미만 치우치는 경우, 복부 및 허리살에 인가되는 보정압력이 등측으로 인가되는 보정압력보다 크게 하기가 어렵고, 10cm 이상일 경우 복부 및 허리살에 큰 보정압력이 인가되어 압박이 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착용감이 나빠진다.
즉 상기한 사이드봉재라인(SL)이 착용자의 측부 중앙선(C)으로부터 등측으로 3~10cm 범위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복부 및 허리살에 인가되는 보정압력을 등 측으로 인가되는 보정압력보다 크게 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용감이 나빠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체적인 옷맵시가 살아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 운동복에 따르면, 겉옷부(200)의 내측에서 속옷부(100)는 겉옷부(200)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활동에 따라 속옷부(100)의 형태 변화에 의하여 겉옷부(200)의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슴보정부(110),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가 착용자의 가슴, 복부, 허리살, 등살에 입체적으로 보정압력을 인가함으로서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체형보정을 가능하게 하고, 어느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보정압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속옷부(100) 하단에 바지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는 마찰단(140)이 덧대어짐으로써, 급격한 스포츠 활동에도 속옷부(100) 하단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활동중에도 가슴보정부(110),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가 정위치에서 가슴, 복부, 허리살, 등살에 보정압력을 인가할 수 있어 균형잡힌 체형보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속옷부 101... 내측 머리끼움공
102, 102' ... 내측 양팔끼움공 110 ... 가슴보정부
111 ... 베이스원단 112 ... 컵
112a, 112b ... 좌측 및 우측 컵 113 ... 가슴보정원단
113a, 113b ... 제1,2가슴보정원단 113c ... 수직봉재라인
120 ... 복부보정부 121 ... 제1복부보정원단
122 ... 제2복부보정원단 130 ... 등보정부
140 ... 마찰단 200 ... 속옷부
201 ... 외측 머리끼움공 202, 202' ... 외측 양팔끼움공
UL ... 상부봉재라인 SL ... 사이드봉재라인

Claims (8)

  1. 상부측에 착용자의 머리가 관통되는 내측 머리끼움공(101) 및 양팔이 관통하는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가슴, 복부 및 등의 체형보정을 수행하는 속옷부(100); 및
    상기 속옷부(100)를 감쌈으로써 그 속옷부(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가 관통하는 외측 머리끼움공(201) 및 상기 양팔이 관통하는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이 형성된 겉옷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속옷부 내측 머리끼움공(101)의 가장자리는 상기 겉옷부(200)의 외측 머리끼움공(201)의 가장자리에 봉재되고, 상기 속옷부 내측 양팔끼움공(102)(102')의 가장자리는 상기 겉옷부 외측 양팔끼움공(202)(202')의 가장자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속옷부(100)의 외측면 전체는 상기 겉옷부(200) 내측면과 분리된 상태가 되며;
    상기 속옷부(100)는, 상기 착용자의 가슴이 모아지도록 체형보정하는 가슴보정부(11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전방측에서 상부봉재라인(UL)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가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복부보정부(120)와; 상기 가슴보정부(110) 후방측에서 상기 상부봉재라인(UL)과 연결되고, 상기 복부보정부(120)의 측부에서 사이드봉재라인(SL)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등살이 편편해지도록 체형보정하는 등보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복부보정부(120)는, 상기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복부 상부측 및 하부측으로 제1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복부보정원단(121)과, 상기 제1복부보정원단(121)의 내측의 덧대어져 봉재된 것으로서 복부 중앙측이 가로 방향에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제2복부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복부보정원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의 하단에 봉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바지내측으로 넣어져 그 바지 내측면과 마찰력을 발생하여 상기 복부보정부(120) 및 등보정부(130) 하단이 상기 바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마찰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보정부(110)는,
    상기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것으로서 가슴이 몰입되는 한쌍의 컵(112)을 가지는 베이스원단(111)과, 상기 베이스원단(111)의 전방측에 봉재된 것으로서 상기 한쌍의 컵이 상부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모아지게 가슴보정압력을 인가하는 가슴보정원단(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보정원단(113)은,
    한쌍의 컵중 좌측의 컵(112a)을 상부 우측 45° 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1가슴보정원단(113a)과, 상기 제1가슴보정원단(113a)에 수직봉재라인(113c)로 연결된 것으로서 우측의 컵(112b)을 상부 좌측 45°각도로 보정압력을 인가하는 제2가슴보정원단(11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원단(111)은 땀이 날 때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냉감원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봉재라인(SL)은 상기 착용자의 측부 중앙선(C)을 기준으로 등측으로 3~10cm 범위에서 치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 운동복.
KR1020150009703A 2015-01-21 2015-01-21 체형보정 운동복 KR10160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03A KR101605501B1 (ko) 2015-01-21 2015-01-21 체형보정 운동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03A KR101605501B1 (ko) 2015-01-21 2015-01-21 체형보정 운동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501B1 true KR101605501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03A KR101605501B1 (ko) 2015-01-21 2015-01-21 체형보정 운동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844B1 (ko) 2017-06-15 2018-09-07 김혜진 보정 속옷
KR102510344B1 (ko) * 2022-08-02 2023-03-14 얀스양화 스포츠용 상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76B1 (ko) 2014-06-12 2014-11-10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착용감이 증진된 체형보정속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76B1 (ko) 2014-06-12 2014-11-10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착용감이 증진된 체형보정속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844B1 (ko) 2017-06-15 2018-09-07 김혜진 보정 속옷
KR102510344B1 (ko) * 2022-08-02 2023-03-14 얀스양화 스포츠용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4570A1 (en) Men's & Women's Activewear
KR101460476B1 (ko) 착용감이 증진된 체형보정속옷
US7909675B1 (en) Garment with breast implant stabilizers
KR101413417B1 (ko) 다층 직물을 이용한 브래지어 구조
US20100005569A1 (en) Undergarment with Memory Foam Insert
KR101821869B1 (ko) 기능성 브래지어
US9022833B2 (en) Garment for a patient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or other uses
JP2008214813A (ja) 背筋強化ハーフトップ
JP3146561U (ja) 整形衣料
US20120178344A1 (en) Conforming Band to a Designated Object
KR101605501B1 (ko) 체형보정 운동복
JP2019173256A (ja) 姿勢回復治療用ブラジャー
KR200474107Y1 (ko) 원피스형 보정속옷
KR100923504B1 (ko) 올인원
CN108669669B (zh) 一种减压舒适的运动型内衣
JP5548557B2 (ja) 背中矯正ハーフトップ
JP3146560U (ja) 整形衣料
US20210052020A1 (en) Supportive Bra
KR100825850B1 (ko) 남성용 가슴패드
KR102072342B1 (ko) Y 밸런스 웨어
KR102034847B1 (ko) 기능성 바디 슈트
KR20180058499A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20160050977A1 (en) Minimal-coverage undergarments
KR200473335Y1 (ko) 체형보정용 팬티
JP6697814B1 (ja) カップを備える運動用女性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