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08B1 -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08B1
KR101605008B1 KR1020140114184A KR20140114184A KR101605008B1 KR 101605008 B1 KR101605008 B1 KR 101605008B1 KR 1020140114184 A KR1020140114184 A KR 1020140114184A KR 20140114184 A KR20140114184 A KR 20140114184A KR 101605008 B1 KR101605008 B1 KR 10160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led
thin film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429A (ko
Inventor
송헌일
백승한
배효대
여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08B1/ko
Priority to US14/790,931 priority patent/US9490447B2/en
Priority to CN201510381535.2A priority patent/CN105280680B/zh
Publication of KR2016002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31Aging

Abstract

본 발명은 OLED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OLED의 투과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이 향상되거나 화소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OLED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발광방식 OLED의 제 2 전극을 낮은 면저항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과율을 갖는 은(Ag)박막으로 형성하고, 이물에 의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 산소 분위기 내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이물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의 투과율이 높아져, 발광물질막의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 빛이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OLED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Fabrication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vice}
본 발명은 OLED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OLED의 투과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이 향상되거나 화소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OLED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는 정공주입전극과 유기발광층 및 전자주입전극으로 구성되며, 유기발광층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OLED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장치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OLED는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하부 발광방식은 안정성 및 공정이 자유도가 높은 반면 개구율의 제한이 있어 고해상도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고개구율 및 고해상도를 갖는 상부 발광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상부 발광방식 OLED는 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이 투명한 음극(cathode)을 투과하여 외부로 나가, OLED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음극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음극은 10Ω/□이하의 면저항을 가지면서도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음극이 10Ω/□이하의 면저항을 갖기 위해서는 적어도 300Å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첨부한 도 1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300Å 이상의 두께를 갖는 음극은 550nm의 파장대에서 15%의 투과율을 가져, 투과율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OLED의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양극(anode)은 주로 ITO로 이루어진 단일막으로서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에 의한 단일증착으로 형성하는데, 이때, 스퍼터링 방법에 의한 단일증착으로 양극 형성 시 발생하는 이물들이 양극 상에 단단히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물들은 발광층 형성 전의 세정공정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아, 음극 형성 시 양극과 음극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는 단락(short)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양극에 전압이 인가되어 흐르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전류가 발광층으로 흘러 소정의 색상을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단락된 음극으로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소정의 색상을 발광하지 않게 되어 화소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결국 소비전력을 높이게 되며, 또한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과율이 향상된 OLED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에 의해 OLED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휘도 및 화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기판 상에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구동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과 접촉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이물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하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뱅크와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로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역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극의 일부를 산화은층으로 변화시키는 에이징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와; g) 상기 기판을 인캡슐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극은 1.0Å/s 내지 2.0 Å/s의 속도로 증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은 판 결정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극은 150 ~ 250Å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f) 단계는 산소 분위기에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으로는 -15V ~ -9V의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역바이어스는 30초 내지 60초 동안 인가한다.
또한, 상기 g) 단계 전에, 상기 제 2 전극 상부로 캡핑층을 더욱 형성하며, 상기 g) 단계는 상기 기판 상부로 인캡기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판과 상기 인캡기판 사이로 접착층을 개재하여 진행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부발광방식 OLED의 제 2 전극을 낮은 면저항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과율을 갖는 은(Ag)박막으로 형성하고, 이물에 의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 산소 분위기 내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역바이어스(reverse bias)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이물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화소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전극의 투과율이 높아져, 발광물질막의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 빛이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어, OLED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음극(cathode)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
도 2a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OLED의 유기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갖는 밴드다이어그램.
도 3은 이물이 잔존하는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은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
도 5는 은(Ag)의 증착속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
도 6a ~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의 제조방법을 공정흐름에 따라 도시한 공정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의 OLED의 유기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나타내는 밴드다이어그램이다.
한편, OLED(100)는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부 발광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LED(1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어레이기판(101)이 인캡기판(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즉, 어레이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에는 반도체층(103)이 형성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1a, 111b)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과 두 전극(113, 115)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 드레인전극(115)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117)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과 이들 전극(113, 115)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을 예로서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서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의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제 1 전극(211)과 유기발광층(213) 그리고 제 2 전극(2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2 전극(211, 215)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213)은 발광다이오드(E)를 이루게 된다.
제 1 전극(211)은 제 2 층간절연막(109b)의 드레인콘택홀(117)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5)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 1 전극(211)은 애노드(anode)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로 형성하며, 제 2 전극(215)은 캐소드(cathode)의 역할을 하기 위해 비교적 일함수 값이 낮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OLED(100)는 발광다이오드(E)에 의해 빛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2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제 1 전극(211)은 각 화소영역(P)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2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캐핑층(capping layer : 217)이 위치하며, 캐핑층(217) 상부로 인캡기판(102)이 구비되어, 어레이기판(101)과 인캡기판(102)은 접착특성을 갖는 접착층(130)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이를 통해, OLED(100)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여기서, 캡핑층(217)은 발광다이오드(E)를 덮어, 발광다이오드(E)의 유기발광층(213)으로 수분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 2 전극(215)에 의한 외광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130)은 외부 습기가 발광다이오드(E)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레이기판(10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를 보호하는 막으로, 발광다이오드(E)를 에워싸며 어레이기판(101) 상에 형성된다.
한편, 어레이기판(101)은 유리, 플라스틱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금속호일(metal foil)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인캡기판(102)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층(213)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발광다이오드(E)는 애노드전극인 제 1 전극(211)과 유기발광층(213) 그리고 캐소드전극인 제 2 전극(215)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유기발광층(213)은 정공수송막(213b), 발광물질막(213a), 전자주입막(213c)의 유기박막층들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전자와 정공을 발광물질막(213a)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전극(211)과 정공수송막(213b) 사이로 정공주입막(213d)을 더욱 형성하며, 제 2 전극(215)과 전자수송막(213c)사이로 전자주입막(213e)을 더욱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정공수송막(213b)과 제 1 전극(211) 사이에 정공주입막(213d)을 더욱 형성하며, 제 2 전극(215)과 전자수송막(213c) 사이에 전자주입막(213e)을 더욱 형성하게 되면, 정공주입막(213d)과 전자주입막(213e)이 정공 주입에너지 및 전자 주입에너지의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고 구동 전압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E)는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에 각각 양(+)과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막(213b)의 정공과 전자수송막(213c)의 전자가 발광물질막(213a)으로 수송되어 엑시톤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될 때 빛이 발생되어 발광물질막(213a)에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하게 된다.
발광물질막(213a)에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되는 빛은 제 2 전극(2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의 제 2 전극(215)은 낮은 면저항을 가지면서도 투과율이 높은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제 1 전극(211) 상에 이물(300, 도 3 참조)이 잔존하여, 이물(300, 도 3 참조)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영역(P)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215)의 투과율이 높아져, 발광물질막(213a)의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 빛이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OLED(100)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3은 이물이 잔존하는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 상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판(101)은 인캡기판(도 2a의 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여기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과 이들 전극(113, 115)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E)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5)과 연결되며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위치하여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211)과, 제 1 전극(211)의 상부의 유기발광층(213) 그리고 유기발광층(213)의 상부로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215)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전극(2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2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이러한 유기발광층(213)은 적(R), 녹(G), 청(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 마다 적(R), 녹(G), 청(B)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3a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을 나타내며, 109a는 제 1 층간절연막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2a의 100)는 제 1 전극(211)을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증착하는 과정에서, 제 1 전극(211) 형성 시 발생하는 이물(300)들이 제 1 전극(211) 상에 단단히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물(300)들은 유기발광층(213) 형성 전의 세정공정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아, 제 1 전극(211) 상부로 뱅크(119)와 유기발광층(213)을 형성하면 제 1 전극(211)의 일부는 이물(3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300)에 의해 제 1 전극(2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기판(101) 상에 제 2 전극(215)을 형성할 경우, 이물(300)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2a의 100)는 제 2 전극(215)을 은(Ag)박막으로 형성하고, 에이징처리를 통해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의 일부 즉, 제 2 전극(215)과 제 1 전극(211)이 접촉되는 영역(A)이 산화처리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접촉되는 영역(A)의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 사이에 산화은층(200)이 형성되는데, 산화은층(200)에 의해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은 서로 접촉되는 영역(A)에서 단전되게 된다.
따라서, 이물(300)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영역(P)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징처리에 의한 산화은층(200)은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으로 역바이어스(reverse bias)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역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 2 전극(215)의 일부를 산화시켜 형성하게 된다.
즉, 아래 [표 1]과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은(Ag)은 150Å ~ 200Å의 얇은 박막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10Ω/□이하의 낮은 면저항을 가지며, 또한 380 ~ 650nm 파장대의 평균 투과율이 50%로 매우 높다.
Ag 두께 150Å 200Å 500Å
면저항(Ω/□) 7.0 3.4 1.5
따라서, 은(Ag)은 상부 발광방식 OLED(도 2a의 100)의 제 2 전극(215)으로 매우 적합한 물질이다.
이때, 제 2 전극(215)은 150 ~ 250Å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2 전극(215)의 두께가 150Å미만 일 때는 제 2 전극(215)을 형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또한 제 2 전극(215)이 얇은 박막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면저항이 낮은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질 지라도, 150Å미만일 경우에는 제 2 전극(215)이 갖춰야 할 10Ω/□이하의 낮은 면저항을 갖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전극(215)의 두께가 250Å 이상일 경우에는 제 2 전극(215)의 투과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은(Ag)은 대기중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쉽게 산화가 되지 않으나, 높은 순도의 산소와 열을 가할 경우 표면에 산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2a의 100)는 은(Ag)으로 제 2 전극(215)을 형성하고,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이물(300)에 의해 통전될 경우, 챔버 내부로 고순도의 산소를 주입하고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으로 역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제 1 전극(211)과 접촉되는 제 2 전극(215)의 일부를 산화처리하여 산화은층(20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산화은층(200)에 의해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A)이 단전되어, 이물(300)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영역(P)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 [표 2]은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의 면저항을 에이징 여부에 따라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에이징 전 면저항(?/?) 전압(V) 시간(s) 에이징 후 면저항(Ω/□)
1 30 -9 30 0.2K
45 940K
60 40M
2 30 -12 30 0.3K
45 550K
60 10M
3 30 -15 30 700
45 800K
60 1M
[표 2]를 참조하면,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의 면저항은 30Ω/□이나, 에이징 처리를 진행하고 난 후에는 최소 700Ω/□ ~ 40M까지 면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은(Ag)박막에 에이징처리를 할 경우 은(Ag)박막은 산화은으로 변화되어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절연특성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이물(300)에 의해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접촉되어도,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접촉된 영역(A)에서 제 2 전극(215)의 일부를 에이징처리를 함으로써,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 사이에 산화은층(200)을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단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순도의 산소 분위기 내에서 에이징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에이징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기발광층(213)이 외부 대기성분에 노출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징처리는 -20V ~ -5V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으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기발광층(21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5V ~ -9V의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0초 내지 90초 동안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초 내지 60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에이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A)에서 열이 발생하여, 제 1 전극(211)과 접촉되는 제 2 전극(215)의 일부가 산화처리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 사이에는 절연특성을 갖는 산화은층(200)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은 서로 단전되게 된다.
또한,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은 은(Ag)의 결정구조에 따라 에이징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데, 에이징 공정 중 산소가 은(Ag)의 결정 사이를 파고 들어 유기발광층(213)에 도달하여 유기발광층(213)을 산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2 전극(215)으로 형성되는 은(Ag)의 결정구조는 산소가 은(Ag)의 결정사이로 파고들지 못하도록 그레인 결정형태가 아닌 판 결정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2 전극(21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은(Ag)의 증착속도가 1.0Å/s 내지 2.0 Å/s의 빠른 형태로 증착되도록 하여, 판 결정형태의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을 형성할 수 있다.
판 결정형태의 제 2 전극(215)은 그레인 결정형태에 비해 투과율이 더욱 높게 형성되는데, 이는 첨부한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5의 그래프는 은의 증착속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실험결과로, 증착속도가 빠른 은(Ag)박막이 증착속도가 낮은 은(Ag)박막에 비해 투과율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판 결정형태의 은(Ag)박막이 그레인 결정형태의 은(Ag)박막에 비해 결정구조가 결합력과 치밀화가 보다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결정형태의 결합력과 치밀화가 높을 경우에는 면저항도 더욱 낮아지게 되므로, 판 결정형태의 은(Ag)박막은 보다 효율적인 제 2 전극(215)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2a의 100)는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으로 에이징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기발광층(2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 전극을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할 경우, 이물에 의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접촉이 발생하면 클린에어 분위기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역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어야 하므로, 유기발광층이 클린에어에 존재하는 대기성분에 노출되어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도 2a의 100)는 제 2 전극(215)을 은(Ag)박막으로 형성하고, 이물(300)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접촉되더라도 산소분위기 내에서 제 2 전극(215)의 일부를 에이징처리함으로써, 유기발광층(213)이 대기성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이징 처리 공정 중에 유기발광층(2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의 제조방법을 공정흐름에 따라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 상에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 및 데이터배선(208)을 형성하고,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미도시, 208)이 교차하는 부근에 이들 두 배선(미도시, 208)과 연결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형성한다.
이때,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반도체층(103)과, 게이트절연막(105), 게이트전극(107),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으로 이루어지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의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과 두 전극(113, 115)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 드레인전극(115)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117)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게이트절연막(105)과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109a, 109b)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01) 상에 비정질실리콘을 증착하여 비정질실리콘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에 대해 레이저빔을 조사하거나 또는 열처리를 실시하여 비정질실리콘층을 폴리실리콘층(미도시)으로 결정화시킨다.
이후, 마스크 공정을 실시하여 폴리실리콘층(미도시)을 패터닝하여 순수 폴리실리콘 상태의 반도체층(103)을 형성한다. 이때 비정질실리콘층(미도시)을 형성하기 전에 무기절연물질 예를들면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을 기판(101)의 전면에 증착함으로써 버퍼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순수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103) 위로 산화실리콘(SiO2)을 증착하여 게이트절연막(105)을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절연막(105) 위로 저저항 금속물질 예를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합금 중 하나를 증착하여 제 1 금속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반도체층(103)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을 형성한다.
다음, 게이트전극(107)을 블록킹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101)의 전면에 불순물 즉, 3가 원소 또는 5가 원소를 도핑함으로써 반도체층(103) 중 게이트전극(107) 외측에 위치한 부분에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이루도록 하고, 도핑이 방지된 게이트전극(107)에 대응하는 부분은 순수 폴리실리콘의 액티브영역(103a)을 이루도록 한다.
다음으로 반도체층(103)이 형성된 기판(101)의 전면에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을 증착하여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9a)을 형성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제 1 층간절연막(109a)과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을 동시 또는 일괄 패터닝함으로써 반도체층(103)의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콘택홀(111a, 111b)을 형성한다.
이후, 제 1 층간절연막(109a) 위로 금속물질 예를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구리(Cu), 구리합금,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하나를 증착하여 제 2 금속층(미도시)을 형성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콘택홀(111a, 111b)을 통해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스 및 드레인전극(113, 115)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포토아크릴(photo acryl)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등의 유기절연물질을 도포하고 마스크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제 2 층간절연막(109b)을 형성한다.
이때, 제 2 층간절연막(109b)은 드레인전극(115)을 노출하는 드레인전극 콘택홀(117)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층간절연막(109a)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도 3의 E)를 구성하는 제 1 전극(211)이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2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5)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전극(211)은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단일증착으로 형성하는데, 이때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제 1 전극(211)을 단일증착으로 형성할 시 발생되는 이물(300)들이 제 1 전극(211) 상에 단단히 부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211)의 상부로 뱅크(119)가 형성되는데, 뱅크(119)는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2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 전극(211) 상에 이물(300)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뱅크(119)는 이물(300)에 의해 제 1 전극(211)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211) 상부로 뱅크(119)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P)에 대응하여 유기발광물질을 도포 또는 증착하여 유기발광층(21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층(213) 상부에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인 은(Ag)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215)을 형성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E)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제 2 전극(21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은(Ag)이 증착되지 않아야 하는 영역에도 증착되게 되는데, 즉, 제 1 전극(211) 상부에 부착된 이물(300) 상부와, 이물(300)에 의해 뱅크(119)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211) 상에도 은(Ag)이 증착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일부 영역(A)에서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게 된다.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통전되면, 단락(short)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1 전극(211)에 전압이 인가되어 흐르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전류가 유기발광층(213)으로 흘러 소정의 색상을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단락된 제 2 전극(215)으로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소정의 색상을 발광하지 않게 되어 화소영역(P)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결국 소비전력을 높이게 되며, 또한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 내부로 고순도의 산소를 주입한 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으로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에이징 처리를 진행한다.
역바이어스 전압은 -20V ~ -5V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기발광층(21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5V ~ -9V의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0초 내지 90초 동안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초 내지 60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은 에이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이징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역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의 서로 접촉된 영역(A)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열에 의해 제 1 전극(211)과 접촉되는 제 2 전극(215)의 일부가 산화처리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 사이에는 절연특성을 갖는 산화은층(200)이 형성되게 되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은 서로 단락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전극(215)이 형성된 기판(101)의 전면에 캡핑층(217)과 접착층(1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인캡기판(102)을 가합착하여 인캡슐레이션한다.
접착층(130)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무기막과 유기막이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제 2 전극(215)을 낮은 면저항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과율을 갖는 은(Ag)박막으로 형성하고, 이물(300)에 의해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 산소 분위기 내에서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으로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이물(300)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전극(211, 215)이 서로 통전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영역(P) 전체가 암점(dark pixel)으로 나타나는 화소불량이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215)의 투과율이 높아져, 유기발광층(213)에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 빛이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OLED(100)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 기판
103 : 반도체층(103a : 액티브영역, 103b, 103c : 소스 및 드레인영역)
105 : 게이트절연막
107 : 게이트전극
109a, 109b :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
113 : 소스전극, 115 : 드레인전극
119 : 뱅크
211 : 제 1 전극, 213 : 유기발광층, 215 : 제 2 전극
200 : 산화은층
300 : 이물

Claims (9)

  1. a) 기판 상에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구동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과 접촉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이물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하는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전극 상부로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뱅크와 상기 유기발광층 상부로 은(Ag)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역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극의 일부를 산화은층으로 변화시키는 에이징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와;
    g) 상기 기판을 인캡슐레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으로는 -15V ~ -9V의 역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극은 1.0Å/s 내지 2.0 Å/s의 속도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판 결정형태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150 ~ 250Å의 두께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산소 분위기에서 진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역바이어스는 30초 내지 60초 동안 인가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전에, 상기 제 2 전극 상부로 캡핑층을 더욱 형성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기판 상부로 인캡기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기판과 상기 인캡기판 사이로 접착층을 개재하여 진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40114184A 2014-07-03 2014-08-29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60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184A KR101605008B1 (ko) 2014-08-29 2014-08-29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4/790,931 US9490447B2 (en) 2014-07-03 2015-07-0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510381535.2A CN105280680B (zh) 2014-07-03 2015-07-02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184A KR101605008B1 (ko) 2014-08-29 2014-08-29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29A KR20160027429A (ko) 2016-03-10
KR101605008B1 true KR101605008B1 (ko) 2016-03-22

Family

ID=5553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184A KR101605008B1 (ko) 2014-07-03 2014-08-29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354B2 (en) 2016-05-19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79B1 (ko) * 2015-05-11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354B2 (en) 2016-05-19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17873B2 (en) 2016-05-19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29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737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40139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0735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2015001465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683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109404A (ja) El表示装置
KR1025127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8424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872948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064759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17025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9211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0434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47895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1100655A (ja) El表示装置
US10797127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484903B1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0500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4134356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765608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202394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75503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
WO2018173177A1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474345B2 (ja) 光電変換素子、表示装置、および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