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938B1 -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938B1
KR101602938B1 KR1020130111240A KR20130111240A KR101602938B1 KR 101602938 B1 KR101602938 B1 KR 101602938B1 KR 1020130111240 A KR1020130111240 A KR 1020130111240A KR 20130111240 A KR20130111240 A KR 20130111240A KR 101602938 B1 KR101602938 B1 KR 10160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s
service
providing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377A (ko
Inventor
양주일
황광연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9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들에 기반하여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별로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FOR CONNECTED USERS USING MOVING PATH OF US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위치기반서비스들은 단순히 등산이나 사이클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제공하거나, 얼마나 많은 운동량을 기록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단순히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대한 기록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위치기반서비스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현재 위치만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대부분의 활동들에 대한 정보들이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38583호 >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가 아니라, 이동경로와 운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을 측정 및 기록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유지 및 고무시킬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들에 기반하여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별로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들의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들의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친구로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또는 제휴사에 의해 목표를 갖도록 생성된 챌린지를 함께 진행하여 동일한 목표를 갖도록 추천하는 서비스 또는 동일한 이벤트에 함께 참여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게임을 함께 진행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사용자의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목표를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 중 상기 목표를 달성하는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는,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 겹쳐지는 사용자들을 서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위치정보들에 기반하여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별로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저장 및 유지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일상모드 및 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운동모드의 선택에 따라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일상모드의 선택에 따라 운동량을 측정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그룹핑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들은, 사용자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그룹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가 아니라, 이동경로와 운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을 측정 및 기록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유지 및 고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매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활동 중 일상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활동 중 운동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동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순위 결정 및 기록 도전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 도전 및 수집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발급 및 타겟 정보 제공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의 POI 뱃지 발급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기반의 POI 뱃지 발급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종류별 운동량을 표시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와 포인트의 획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록을 공유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와 아이템 북을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1은 사용자단말기(110), 파일 배포 서버(120) 및 서비스 서버(130)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단말기(11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와 통신하여 서비스 서버(1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파일 배포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배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파일 배포 서버(120)는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파일 배포 서버(120)에서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파일 배포 서버(120)는 서비스 서버(130)에 포함된 서버일 수도 있으나, 제3자의 서버로서 서비스 서버(130)와 연계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는 사용자의 일상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활동을 응원하며, 사용자들간에 서로의 활동에 공감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활동은 이동경로와 운동량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동경로는 사용자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및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조건에 따라 GPS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사용자단말기(110)를 제어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운동량은 칼로리, 이동거리, 이동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및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활동은, 일상과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니게임 등의 진행 등이 사용자의 활동으로 추가될 수 있다.
운동은 걷기, 뛰기, 사이클, 등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운동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이동경로 및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활동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운동에서는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GPS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 칼로리, 이동거리, 이동시간, 이동속도 또는 고도와 같이 다양한 정보들이 측정 및 기록될 수 있다. 반면, 일상은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상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활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단말기(110)의 위치정보는 이용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사용자들간의 순위(랭킹)를 결정할 수 있으며, 활동의 보상으로 디지털 컨테츠를 사용자에게 발급/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유지/고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 중에는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특정 이동경로를 이동하거나 일정 운동량을 달성하는 등의 사용자의 활동 기록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활동이 끝나면, 사용자의 활동량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뱃지나 디지털 쿠폰, 포인트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는 개인의 프로필 영역에 보관될 수 있으며, 이후 스토어에서 디지털 화폐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들간의 기록을 공유하거나 또는 서로 유사한 활동 중인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량이나 활동량 또는 포인트 등에 따라 사용자들간에 순위가 부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높은 순위의 친구가 세워놓은 기록에 도전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서비스 서버(130)는 특정 사용자나 제휴사에 의해 생성되는 챌린지를 관리할 수 있다. 챌린지는 다수의 유저가 함께 참여하여 진행되는 운동(일례로, 마라톤이나 사이클 경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휴사가 마라톤 경기를 개최하면서 챌린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디지털 컨텐츠나 디지털 화폐를 참가비로 하여 해당 챌린지에 참가할 수 있으며, 챌린지 참가에 따른 결과에 따라 추가 보상(디지털 컨텐츠나 디지털 화폐)을 얻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량과 GPS 정보 그리고 이동경로에 따라 뱃지나 쿠폰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활동량에 따라 포인트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일상 및 운동 외의 활동을 통해서도 뱃지, 쿠폰, 포인트와 같은 추가의 디지털 컨텐츠가 추가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상 및 운동 외의 활동은 "친구 맺기", 활동과 관련된 포스팅(사진, 의견 등), 친구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덧글 활동 또는 미니게임의 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활동 중 일상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일상"과 "운동"으로 구분되는 사용자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상"은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상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활동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상"을 선택한 후, 이동을 시작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와 서비스 서버(130)는 다음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해당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21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일상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상"은 만보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110)는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를 운동량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되는 운동량은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21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량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단계(211) 및 단계(21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상"이 지속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기설정된 기간마다 측정된 운동량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되는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량을 기록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운동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 다음 단계들(213 및 214)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213)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량 기반의 뱃지 또는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조건이 만보기 기능의 예에서 만번의 걸음이 측정되는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130)는 만번의 걸음에 해당하는 운동량이 기록되는 경우, 해당 운동량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로서 뱃지나 쿠폰을 사용자에게 발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30)는 디지털 컨텐츠의 발급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14)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뱃지 또는 쿠폰 발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에게 뱃지 또는 쿠폰이 발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단계(214) 이후에는 다시 단계(211)가 수행되어 사용자단말기(110)는 계속 일상의 운동량이 측정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이동이 종료되면, 다음 단계들(221 내지 223)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의 종료는 사용자단말기(110)에서 자동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다.
단계(22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일상의 운동량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30)로 운동량 측정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22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일상"의 진행에 따른 전체 활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고, 계산된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단계(22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의 확인과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스토어 등에서 디지털 화폐로 전환할 수 있으며, 디지털 화폐를 이용하여 다른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는 "친구 맺기", 활동과 관련된 포스팅(사진, 의견 등), 친구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덧글 활동 또는 미니게임의 플레이 등과 같은 기타 활동을 통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기타 활동이 수행되는 경우, 다음 단계(231 및 232)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23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일상 및 운동 이외의 서비스 내 활동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기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23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기타 활동 기반의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단계(232) 이후, 사용자단말기(110)는 다시 단계(223)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활동 중 운동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일상"과 "운동"으로 구분되는 사용자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운동은 걷기, 뛰기, 사이클, 등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운동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이동경로 및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활동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의 종류를 선택한 후, 운동을 시작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와 서비스 서버(130)는 다음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해당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GPS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313)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량을 계산 및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운동량은 운동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10)의 위치정보의 변화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계(314)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운동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계산된 운동량을 사용자단말기(110)로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는 전달된 운동량을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계(311) 내지 단계(314)는 운동이 지속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위치나 운동량, 이동경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기설정된 조건이 달성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위치 또는 운동량 기반의 뱃지 또는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뱃지 또는 쿠폰의 발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시 단계(311)가 수행되어 운동에 대한 위치와 운동량이 지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되면, 다음 단계들(321 내지 323)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의 종료는 사용자단말기(110)에서 자동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다.
단계(32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운동의 운동량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30)로 운동량 측정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32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의 진행에 따른 전체 활동량(일례로, 이동에 따른 활동량과 운동량에 따른 활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고, 계산된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단계(32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의 확인과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스토어 등에서 디지털 화폐로 전환할 수 있으며, 디지털 화폐를 이용하여 다른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는 "친구 맺기", 활동과 관련된 포스팅(사진, 의견 등), 친구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덧글 활동 또는 미니게임의 플레이 등과 같은 기타 활동을 통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기타 활동이 수행되는 경우, 다음 단계(331 및 332)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33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일상 및 운동 이외의 서비스 내 활동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기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33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기타 활동 기반의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단계(332) 이후, 사용자단말기(110)는 다시 단계(323)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동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400)은 사용자단말기(110)의 화면의 일례로서, 운동의 종류(계단 걷기(Step), 빨리 걷기(Power Walking), 달리기(Running), 싸이클(Cycle) 및 등산(Climbing))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화면(400)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종류의 운동을 선택하면, 해당 종류의 운동에 알맞게 도 3을 통해 설명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되면, 운동량에 따라 사용자들간에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세부 항목별로 구분하여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자신보다 더 높은 순위의 친구들의 기록에 도전하여 디지털 컨텐츠(뱃지나 쿠폰 또는 포인트)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미니게임에 대해서도 순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미니게임에 대해서도 더 높은 순위의 친구들의 기록에 도전하여 추가 디지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순위 결정 및 기록 도전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운동이 종료되면, 다음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51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운동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운동기록은 사용자의 이동경로(실질적으로는 사용자단말기(110)의 이동경로)와 운동량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513)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량에 따라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순위는 전체 순위, 운동의 종류(걷기, 달리기, 싸이클 등)별 순위, 운동량의 종류(칼로리, 이동속도, 시간, 거리 등)별 순위 및 이동경로별 순위와 같이 세부 항목별로 결정될 수 있다. 운동량의 종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칼로리, 이동거리, 이동시간, 이동속도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4)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순위 및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순위가 더 높은 친구의 운동기록에 대한 도전을 시작하면, 다음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도전의 시작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1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10)에서 인식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30)로 도전의 시작이 알려질 수 있다.
단계(52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도전 시도에 따른 뱃지를 발급할 수 있다. 이때, 단계(521)은 사용자의 도전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전의 시작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단계들(311 내지 315)가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도전이 종료(운동이 종료)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단계들(321 내지 322)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53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도전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된 친구보다 동일한 경로를 더 빠른 시간내에 통과하였거나 선택된 친구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도전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전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53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도전 성공에 따른 뱃지 또는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단계(53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뱃지나 쿠폰과 같은 특정 디지털 컨텐츠는 아이템 북(book)을 통해 수집 및 편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가하고 싶은 디지털 컨텐츠들을 도전하기를 통해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뱃지마다 필요로 하는 운동기록이 존재하고, 도전하기를 통해 해당 운동기록을 달성하는 경우, 해당 뱃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A산의 B코스를 완주하는 경우에 특정 뱃지가 제공된다면, 사용자는 해당 뱃지에 도전하여 A산의 B코스를 완주함으로써, 해당 뱃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뱃지들은, 10km 걷기, 특정 경로 완주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서비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 도전 및 수집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61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디지털 컨텐츠 및 아이템 북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10)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612)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소유한 디지털 컨텐츠 및 아이템 북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61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추가 수집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획득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수집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여 도전을 시작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단계들(311 내지 315)가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도전이 종료(운동이 종료)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단계들(321 내지 322)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62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도전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획득조건에 따른 운동기록을 달성한 경우, 도전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전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62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도전 성공에 따른 뱃지 또는 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단계(62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중 포인트는 서비스 서버(130)와 연관된 스토어 내의 디지털 화폐로 교환될 수 있다. 디지털 화폐는 '에너지(Energy)'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화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를 전환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구매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에너지는 포인트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에너지를 통해 스토어 내에서는 뱃지와 아이템 북, 뱃지의 편집을 위해 뱃지 내에 삽입 가능한 기프트콘, 또는 미니게임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뱃지 역시 판매가 가능하며 판매 시, 에너지로 전환되어 다른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뱃지 발급 시, 기본 아이템 북이 함께 발급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북 카테고리에 있는 뱃지들은 해당 아이템 북으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템 북에서 뱃지들을 편집(추가/이동/제거 등)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뱃지와 아이템 북은 스토어에서 에너지로 구매하여 추가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구성 및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북을 제공할 수 있다. 중복된 뱃지를 소유하거나, 소유한 뱃지가 불필요해진다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뱃지와 교환하거나 뱃지를 에너지로 교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는 메시지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아이템은 사용자가, (1) 특정 위치, 구간 또는 경로에, (2) 특정 사용자를 위한 (3) 메시지를 부여할 수 있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메시지 아이템을 이용하여 구간 B에 사용자 C를 위한 메시지 "사랑해"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C가 구간 B를 지나는 경우, 메시지 "사랑해"가 사용자 C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혹은, 광고주가 특정 위치에 모든 사용자를 위한 광고 메시지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에는 디지털 컨텐츠(뱃지, 쿠폰 또는 포인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메시지와 함께 쿠폰이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 A가 사용자 C에게 "사랑해"라는 메시지와 함께 일정량의 포인트를 선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메시지는 '문구' 또는 '문구 + 보상'의 형태로 제공 가능하며, 보상은 디지털 컨텐츠나 사용자단말기에서 다운받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본인에게 메시지와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메시지 아이템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특정 위치기반이 아닌, 사용자의 이동경로(구간의 지도경로, 이동거리, 운동기록)에 따라 활동을 보상하거나, 타게팅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광고나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도경로(예: 자전거 도로, 마라톤 경로 등)을 지나는 사용자들을 타게팅하여 정보제공, 광고 또는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지도경로 또는 거리경로를 목표로 세우고, 친구들이나 사용자들간에 도전하여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지도경로 또는 이동거리, 운동기록(시간, 속도 등)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뱃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도전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 중 이동경로(특정 경로를 통과하는 시간 또는 특정 이동경로를 통과한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디지털 컨텐츠(뱃지, 포인트 또는 쿠폰)를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경로별로 운동기록에 따른 순위를 결정하고, 사용자들간에 운동기록을 공유하며, 해당 운동기록에 도전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발급 및 타겟 정보 제공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단계들(311 내지 315)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운동 및 타겟정보(지역정보/광고/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별로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운동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계들(311 내지 315)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운동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지역별로 지역에 대한 정보, 광고 또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71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에 따른 타겟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경로와 사용자가 진행중인 운동의 종류 등을 이용하여 지역정보/광고/이벤트에 대한 타겟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바꿔 말해,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지역정보/광고/이벤트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713)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타겟팅된 지역정보/광고/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지역정보, 광고 또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역정보/광고/이벤트에 참여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72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지역정보/광고/이벤트 참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73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경로/운동량의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10)는 경로/운동량의 측정이 종료되었음을 서비스 서버(130)로 알릴 수 있다.
단계(73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디지털 컨텐츠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30)는 단순히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및 지역정보/광고/이벤트 참여에 따라 기설정된 디지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활동량에 따른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지도경로와 거리경로를 목표로 하는 뱃지/이벤트/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다. 뱃지에 도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설명하였다. 챌린지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저가 함께 참여하여 진행되는 운동(일례로, 마라톤이나 사이클 경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도경로는 지도상의 기설정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거리경로는 특정 거리를 만족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방법은 특정 위치기반이 아닌,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따라 사용자를 연결하고, 해당 사용자들이 정보(사용자 정보, 활동 정보, 구매 정보 등)를 공유하거나 함께 활동(친구 추천, 챌린지, 이벤트, 미니게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경로 A를 지나는 사용자들에게 해당 경로를 지나간 혹은, 현재 지나고 있는 사용자를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거나 함께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30)는 특정 수치 이상 겹치는 이동경로에 대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이동경로의 사용자들을 따로 그룹핑하여 연결함으로써, 같은 그룹 내의 사용자들 간에 서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함께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특정경로를 지나고 있는 혹인 지나는 중인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이동경로를 트래킹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모두 특정경로의 N% 이상을 이동한 경우, 사용자 A와 사용자 B를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하고, 사용자 A와 사용자 B 각각에게 그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두 명의 사용자들에 대한 그룹 연결을 설명하였으나, 특정경로를 N% 이상 이동한 셋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해서도 그룹 연결이 가능함은 당연한다.
이때,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는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뱃지, 랭킹 및 도전/게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를 친구로 추가하거나 다른 사용자를 미니게임에 초대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기록에 도전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챌린지를 추천 또는 공유하는 등의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30) 해당 액션에 대한 요청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해당 요청에 대해, 친구 초대를 확인 또는 수락하거나, 챌린지 추천을 수락하거나 미니게임 초대를 수락하는 등의 응답액션을 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러한 응답액션에 따라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를 연결하여, 친구추가, 미니게임 진행 또는 챌린지 공유 등의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활동 중 이동경로에 따라 특정 '위치'와 '경로'를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POI(Position Of Interest) 뱃지)를 발급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의 활동반경을 확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지오해쉬(GeoHash) 알리고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지오해쉬 알고리즘은 위도/경도 지오코드 시스템으로, 서비스 서버(130)는 지오해쉬 알고리즘에서 5자리(오차범위 ±2.4km)와 7자리(오차 ±76m) 문자로 정의한 사각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도 화면(800)에는 지오해쉬 알고리즘에 따라 5자리 문자 'wydm9'로 정의된 하나의 사각형과 6자리 문자들로 정의된 16개의 사각형들이 나타나 있다. 이때, 사각형(810)이 사용자의 GPS 정보에 대응하는 사각형이라 가정할 때, 사용자의 다음 이동 위치는 지도 화면(800)에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8가지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위치'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발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30)는 발급 예상 가능한 뱃지들을 계산하여 미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10)에 저장하게 하여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바로 발급하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의 POI 뱃지 발급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91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전체 지도의 좌표를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92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GPS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10)는 GPS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923)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GPS 정보를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911)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924)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8방위 지오해쉬 좌표의 영역에 포함된 POI 뱃지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지오해쉬 좌표에서는 하나의 사각형을 중심으로 8방위의 이동이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러한 8방위의 이동에 따른 영역에 포함된 POI 뱃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10)로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단계(925)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8방위 지오해쉬 좌표의 뱃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는 실시간으로 발급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는 다음 위치로 예상 가능한 8방위 지오해쉬 좌표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POI 뱃지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이동 전에 미리 사용자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 A에서 위치 B로 이동하였음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93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현 위치(B)에 POI 뱃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현 위치(B)에 POI 뱃지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단말기(110)는 단계(932)를 수행할 수 있고, 현 위치(B)에 POI 뱃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단말기(110)는 단계(921)을 수행하여 계속 사용자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단계(932)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위치(B)에 포함된 POI 뱃지를 발급 및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다면, 사용자단말기(110)에서 측정이 종료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10)에서 획득된 뱃지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서버(1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경로'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는 경로(또는 경로와 뱃지)에 대한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130)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이동이 끝나는 시점에 이동경로를 서비스 서버(130)에 전달함으로써, 경로와 발급 가능한 뱃지를 한꺼번에 체크하여 발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기반의 POI 뱃지 발급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01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특정 경로(또는 경로 + 뱃지)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뱃지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로는 디지털 컨텐츠와 경로에 대한 데이터가 서로 연관하여 관리될 수 있다.
단계(101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해당 경로를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하여 경로 DB(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 및 종료하고 나면,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21)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경로를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운동이 시작 및 종료하기까지 수집된 운동경로에 대해, 운동경로의 좌표들을 지오해쉬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1022)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1023)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023)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M% 이상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이 90인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된 경로에 90% 이상 일치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된 경로와 M% 이상 일치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1024)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1024)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운동경로 내의 발급 가능한 POI 뱃지를 확인 및 발급할 수 있다.
단계(104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획득한 POI 뱃지 및 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계(1022)에서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운동경로가 경로 DB에 포함된 경로에 M%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1031)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31)에서 사용자단말기(110)는 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동경로에는 발급될 POI 뱃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10)를 통해 운동경로를 확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활동 "운동"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활동 "일상"에서도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실시예들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종류별 운동량을 표시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칼로리를, 도 12는 현재속도를, 도 13은 고도를, 도 14는 시간을, 그리고 도 15는 거리를 각각 나타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와 포인트의 획득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화면(1610)은 뱃지를 획득한 경우의 화면 예를, 제2 화면(1620)은 포인트를 획득한 경우의 화면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록을 공유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화면(1710)은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지도에 표시하여 공유하는 예를, 제2 화면(1720)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사진을 공유하는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뱃지와 아이템 북을 표시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화면(1810)은 다양한 종류의 뱃지들을 화면에 표시한 예를, 제2 화면(1820)은 아이템 북을 화면에 표시한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30)가 수행하는 단계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가 아니라, 이동경로와 운동량을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을 측정 및 기록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발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유지 및 고무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들에 기반하여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별로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일상모드 및 운동모드로 구분되는 사용자 활동 중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운동량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운동량 및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에서 측정된 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일상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들의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들의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친구로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또는 제휴사에 의해 목표를 갖도록 생성된 챌린지를 함께 진행하여 동일한 목표를 갖도록 추천하는 서비스 또는 동일한 이벤트에 함께 참여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게임을 함께 진행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사용자의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목표를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 중 상기 목표를 달성하는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는,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 겹쳐지는 사용자들을 서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위치정보들에 기반하여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별로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위치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은,
    일상모드 및 운동모드로 구분되는 사용자 활동 중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운동량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별로 이동경로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운동량 및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에서 측정된 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일상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들의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들의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친구로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또는 제휴사에 의해 목표를 갖도록 생성된 챌린지를 함께 진행하여 동일한 목표를 갖도록 추천하는 서비스 또는 동일한 이벤트에 함께 참여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니게임을 함께 진행하도록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사용자의 운동기록을 포함하는 목표를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과정에서,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 겹쳐지는 사용자들을 서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시스템.
  17. 사용자의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저장 및 유지하는 파일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일상모드 및 운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운동모드의 선택에 따라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상기 일상모드의 선택에 따라 운동량을 측정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그룹핑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들은, 사용자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그룹핑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운동모드가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운동량 및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일상모드가 선택된 단말기에서 측정된 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일상모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들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선정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0130111240A 2013-09-16 2013-09-16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40A KR101602938B1 (ko) 2013-09-16 2013-09-16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240A KR101602938B1 (ko) 2013-09-16 2013-09-16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77A KR20150032377A (ko) 2015-03-26
KR101602938B1 true KR101602938B1 (ko) 2016-03-15

Family

ID=5302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240A KR101602938B1 (ko) 2013-09-16 2013-09-16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468B1 (ko) 2016-02-11 202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41025B1 (ko) * 2017-11-23 2023-06-09 주식회사 쏠리드 IoT 통신 단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583A (ja) * 2006-05-26 2009-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モビリティ管理
JP2011514192A (ja) * 2008-02-27 2011-05-0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対話型運動トレーニングロ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583A (ja) * 2006-05-26 2009-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モビリティ管理
JP2011514192A (ja) * 2008-02-27 2011-05-0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対話型運動トレーニングロ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다이어트 도우미 어플 "카디오 트레이너 - Cardio Trainer". 2011.02.18.*
티스토리, 알깨기 SNS, 트레이스트레일로 친구를 만나보자, 2011.1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77A (ko)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986B1 (ko) 사용자의 활동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93194B1 (ko)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09178B1 (ko)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24959B1 (ko) 사용자의 활동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761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eeming user activity level for virtual currency
US91472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geolocation conversions
US20190392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vehicle sharing reward program
US20120323347A1 (en) Promoting exploration
US20150081529A1 (en) Method of managing online reward content
WO2013057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our guidance
KR101991491B1 (ko)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938B1 (ko)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1434A (ko) 사용자의 이동경로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9857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동한 달리기 게임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80137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ward-Driven Transaction Opportunities within an Event
TWI777554B (zh) 用於提供用於在一平行實境體驗中顯示之一虛擬元素之方法及電腦可讀儲存媒體
KR20220021538A (ko) 코스 추적형 걷기 챌린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21540A (ko) 워크존 걷기 챌린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ijaya et al. Development of a Gamified Cycling Mobile Application for Fitness and Touring with Community
Thomas et al. Smartphone challenges to stimulate cycling: clues from a living lab in Enschede
KR20150032397A (ko)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연동 방법 및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