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860B1 - 누수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누수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860B1
KR101602860B1 KR1020150069688A KR20150069688A KR101602860B1 KR 101602860 B1 KR101602860 B1 KR 101602860B1 KR 1020150069688 A KR1020150069688 A KR 1020150069688A KR 20150069688 A KR20150069688 A KR 20150069688A KR 101602860 B1 KR101602860 B1 KR 10160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akage
leakage
main body
leakage inductio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5006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어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을 포함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따라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에 누수유도관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누수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누수유도구멍들 중 누수유도관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들의 뚜껑를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함으로써 누수유도관과의 연결부위의 막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연결부위를 막히게 하는 백태 등의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해당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하고, 해당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누수유도장치와 누수유도관의 연결부위가 터져 누수가 재발하거나 누수 재발 시 누수유도장치와 누수유도관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모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유도장치{Water leakage induction device}
본 발명은 누수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어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는 누수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널, 지하 차도, 지하 구조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통상 콘크리트 단면복구공법이나 방수제주입공법을 수행한다.
상기한 콘크리트 단면복구공법은 누수부위의 열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고압 물청소를 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손상부위를 건조한 다음, 건조된 손상부위에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넣어 손상부위의 단면을 복구하고 복구된 단면을 마감재로 도포함으로써 누수문제를 해결한다.
상기한 방수제주입공법은 누수부위에 방수제를 주입함으로써 누수문제를 해결한다.
상기한 콘크리트 단면복구공법이나 방수제주입공법을 수행하여 누수문제를 해결하더라도 대개는 2∼3년을 넘기지 못하고 누수가 재발하거나 최초 방수시공 전의 상태보다 누수문제가 악화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누수유도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누수유도 구조물에 누수연결관(예컨대, PVC관)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종래의 누수유도 구조물은 누수연결관을 연결하여 시공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로 인해 발생하는 백태 등의 잔유물에 의해 누수연결관이 막히는 경우, 누수유도 구조물과 누수연결관의 접합부가 터져 누수가 재발하고, 특히 누수 재발 시 누수유도 구조물과 누수연결관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로 인해 발생하는 백태는 재료의 치밀성이 약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서 시멘트 중의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성분이 외부에서 침투한 물에 의해 용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공극을 통해 표면으로 흘러나와 물이 증발한 후 가용성 알칼리 황산염 또는 난용성 탄산 칼슘의 형태로 석출되거나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화물 형태로 고형화된 것을 말한다.
(특허문헌 1) KR20-0414823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고,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 중에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누수유도구멍에 누수유도관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누수유도구멍들 중 상기한 누수유도관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들의 뚜껑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누수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 중에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에 누수유도관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누수유도구멍들 중 상기한 누수유도관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들의 뚜껑를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막는 전면 덮개; 및 상기 본체의 후면을 막는 후면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닥면이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도록 경사져있고, 전면과 후면을 가로질러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2등분 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는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제1 누수유도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누수유도구멍 주변의 바닥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통로의 입구에는 본체의 바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제2 누수유도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측 벽면의 선단과 우측 벽면의 선단에 각각 콘크리트 구조물과 맞닿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는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상기 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내측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고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본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앵커가 통과하는 앵커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외측 플랜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을 포함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따라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에 누수유도관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누수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누수유도구멍들 중 누수유도관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들의 뚜껑를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함으로써 누수유도관과의 연결부위의 막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연결부위를 막히게 하는 백태 등의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해당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하고, 해당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누수유도장치와 누수유도관의 연결부위가 터져 누수가 재발하거나 누수 재발 시 누수유도장치와 누수유도관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모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누수유도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누수유도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누수유도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에 누수유도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제4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어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막는 전면 덮개(120) 및 상기 본체(110)의 후면을 막는 후면 덮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는 플라스틱, 갈바판,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111,111a) 중에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111)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111)에 누수유도관(200)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누수유도구멍(111,111a)들 중 상기한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111a)들의 뚜껑(111b)를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바닥면이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도록 경사져있고, 전면과 후면을 가로질러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2등분 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는 좌측 경사면(110a)과 우측 경사면(110b)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제1 누수유도구멍(1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누수유도구멍(111) 주변의 바닥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110c)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통로(110c)의 입구에는 본체(110)의 바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은 뚜껑(111b)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이 천공되어 있는 통로(110c)의 입구와 뚜껑(111b)는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110c)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저면 측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통로(110c)는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2에 예시한 통로(110c)는 반으로 잘린 원추형으로 본체(11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이 천공되어 있는 입구 측에서 끝으로 갈수록 구멍의 크기가 줄어들어 말단이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수렴하는 구조이며, 상기 본체(110)의 저면 측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본체(110)는 좌측 벽면의 선단과 우측 벽면의 선단에 각각 콘크리트 구조물과 맞닿는 플랜지(11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10d)는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상기 전면 덮개(120)와 상기 후면 덮개(130)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내측 플랜지(110d_1)와 상기 본체(110)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고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본체(110)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앵커가 통과하는 앵커 구멍(110d')이 천공되어 있는 외측 플랜지(110d_2)로 구분된다.
상기 앵커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칼블록(Calblock) 앵커 못이나 칼블록 앵커 나사, 칼블록 앵커 볼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막는다.
상기 전면 덮개(120)는 이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본체(110)의 전면 입구 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 플랜지(110d_1)에 각각 걸려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 덮개(13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을 막는다.
상기 후면 덮개(130)는 이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본체(110)의 후면 입구 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 플랜지(110d_1)에 각각 걸려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한 제1 누수유도구멍(111)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실시예이다.
작업자는 먼저 상기 누수부위와 그 주변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상기 누수유도장치(100)의 본체(110)를 해당 누수부위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누수유도구멍(111,111a)들을 전부 뚜껑(111b)로 막아 작업 중에 누수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누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또한, 이때 상기 본체(110)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외측 플랜지(110d_2)에 천공된 앵커 구멍(110d')을 통해 앵커 작업을 하여 상기 본체(1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고정하고 나면, 작업자는 상기 누수부위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전면 덮개(120)와 후면 덮개(130)를 끼워 넣어 상기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을 덮는다.
이와 달리, 작업자는 상기 본체(1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고정하기 전에, 미리 상기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전면 덮개(120)와 후면 덮개(130)를 끼워 넣어 상기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고정된 본체(110)에 전면 덮개(120)와 후면 덮개(130)를 끼워 고정하고 나면, 작업자는 누수유도관(200)을 통해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누수유도구멍(111,111a)을 선택하고, 선택된 누수유도구멍(111,111a)에 상기 누수유도관(200)을 연결함으로써 누수유도장치(10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참고로, 도 3은 본체(110)의 바닥면에서 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제1 누수유도구멍(111)에 누수유도관(200)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한 후, 점검자가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검자가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제2 누수유도구멍(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하면 본체(110)와 누수유도관(200)과의 연결부위의 막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제2 누수유도구멍(111a)들을 개방하여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하는 도중에 본체(110)와 누수유도관(200)과의 연결부위를 막히게 하는 백태 등의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해당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본체(110)와 누수유도관(200)과의 연결부위의 막힘을 예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누수유도장치(100)와 누수유도관(200)의 연결부위가 터져 누수가 재발하거나 누수 재발 시 누수유도장치(100)와 누수유도관(200) 전체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모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한 제1 누수유도구멍(111)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실시예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과 해당 수직면과 만나는 수평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를 적절한 각도로 접고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접힘 부위는 절단하여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접힘 부위가 겹쳐지도록 절단하여 겹쳐진 부분을 밀봉 처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는 상기한 제1 누수유도구멍(111)에 누수유도관(200)을 연결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방향에 형성된 나머지 다른 제2 누수유도구멍(111a)들 중에 어느 1개를 선택하여 누수유도관(2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제1 누수유도구멍(111)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후면 방향에 위치한 제2 누수유도구멍(111a)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한 후, 점검자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111,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6는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제1 누수유도구멍(111)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2 누수유도구멍(111a)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한 후, 점검자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111,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제1 누수유도구멍(111)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우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2 누수유도구멍(111a)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한 후, 점검자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111,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제1 누수유도구멍(111)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좌측면 방향에 위치한 제2 누수유도구멍(111a)에 누수유도관(200)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한 후, 점검자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111,111a)의 뚜껑(111b)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유도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누수유도장치 110: 본체
110a: 좌측 경사면 110b: 우측 경사면
110c: 통로 110d: 플랜지
110d_1: 내측 플랜지 110d_2: 외측 플랜지
110d': 앵커 구멍 111: 제1 누수유도구멍
111a: 제2 누수유도구멍 111b: 뚜껑
120: 전면 덮개 121: 걸림 돌기
130: 후면 덮개 131: 걸림 돌기
200: 누수유도관

Claims (3)

  1. 전면과 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도록 경사져있고,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면을 2등분 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을 향해 누수를 유도하는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 중 상기 후면에 근접한 바닥면에 직하 방향으로 제1 누수유도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누수유도구멍 주변의 바닥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의 입구에는 본체의 바닥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제2 누수유도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평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에 형성된 누수부위에 설치될 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면과 해당 수직면과 만나는 수평면에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의 경계 지점을 기준으로 접혀 접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접힘 부위가 겹쳐지도록 절단되어 겹쳐진 부분이 밀봉 처리됨으로써 상기 수직면에서의 누수를 상기 수평면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누수유도구멍이나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의 입구에 천공된 상기 제2 누수유도구멍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1 누수유도구멍이나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의 입구에 천공된 상기 제2 누수유도구멍 중에서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기 위해 정해진 방향에 형성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어느 1개의 누수유도구멍에 누수유도관을 연결하여 누수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유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에 설치 완료된 후에는 상기한 누수유도구멍들 중 상기한 누수유도관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누수유도구멍들의 뚜껑을 개방하여 수시로 누수유도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막는 전면 덮개; 및
    상기 본체의 후면을 막는 후면 덮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측 벽면의 선단과 우측 벽면의 선단에 각각 콘크리트 구조물과 맞닿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는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상기 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내측 플랜지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고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본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앵커가 통과하는 앵커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외측 플랜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유도장치.
  3. 삭제
KR1020150069688A 2015-05-19 2015-05-19 누수유도장치 KR10160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88A KR101602860B1 (ko) 2015-05-19 2015-05-19 누수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88A KR101602860B1 (ko) 2015-05-19 2015-05-19 누수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860B1 true KR101602860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688A KR101602860B1 (ko) 2015-05-19 2015-05-19 누수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14A (ko) 2021-05-31 2022-12-08 윤상훈 콘크리트 구조물용 누수유도장치
KR102594350B1 (ko) * 2023-07-03 2023-10-26 정희찬 천정누수 유도배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823Y1 (ko) 2005-11-30 2006-04-26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KR200435421Y1 (ko) * 2006-07-24 2007-01-22 백공명 투명 누수모임장치
KR100724069B1 (ko) * 2005-11-30 2007-06-04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및 누수유도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823Y1 (ko) 2005-11-30 2006-04-26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KR100724069B1 (ko) * 2005-11-30 2007-06-04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및 누수유도 공법
KR200435421Y1 (ko) * 2006-07-24 2007-01-22 백공명 투명 누수모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14A (ko) 2021-05-31 2022-12-08 윤상훈 콘크리트 구조물용 누수유도장치
KR102594350B1 (ko) * 2023-07-03 2023-10-26 정희찬 천정누수 유도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6720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1602860B1 (ko) 누수유도장치
JP2006183454A (ja) 逆止弁および排水施設
JP3753729B1 (ja) トンネル防水構造
US8820015B2 (en) Shuttering element for a trench wa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trench wall
CN204781016U (zh) 气囊式明挖隧道变形缝密封结构
JP2007291630A (ja) 遮水壁の継手嵌合部構築方法および雌継手ならびに雄継手
CN109139062A (zh) 一种电磁焊机铺设隧道防水板施工方法
CN112360518B (zh) 一种隧道环向施工缝的快速维修结构及维修方法
US5375733A (en) Corner lock for lining tank bottoms
KR200414823Y1 (ko)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JP3923461B2 (ja) トンネル防水工法
JP2017193869A (ja) コンクリート面の漏水対策工法
FI128880B (en) Water drainage system
CN108894255A (zh) 地下混凝土结构变形缝的止水方法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JP3232208U (ja) 漏水検査用治具
KR20220162214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누수유도장치
CN110410113A (zh) 一种混凝土管片嵌缝封堵装置和封堵方法
KR19990076189A (ko) 매설관 내부보수용 작업통로구의 폐쇄장치
JP2010248904A (ja) 逆止弁および排水施設
CN219840664U (zh) 一种带注胶孔的膨胀止水条
CN108589753A (zh) 降水井过底板封堵方法
JPH09228403A (ja) 地中建造物の防水性維持方法
JPH0647812B2 (ja) 遮水シートにおける欠損部の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