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17B1 -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617B1 KR101602617B1 KR1020150140655A KR20150140655A KR101602617B1 KR 101602617 B1 KR101602617 B1 KR 101602617B1 KR 1020150140655 A KR1020150140655 A KR 1020150140655A KR 20150140655 A KR20150140655 A KR 20150140655A KR 101602617 B1 KR101602617 B1 KR 101602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ensing
- level
- pump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다량의 배설물을 포함한 오수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전해장치와 멤브레인 여과장치의 복합식 처리방식의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는 실용적인 오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인 오수처리장치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를 갖으며, 오수만 유입되는 제1 탱크(10), 상기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며, 상기 제1 탱크(10)의 최하위에 형성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1 펌프(20), 상기 제1 펌프(2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해수유입라인(C)에 형성된 제1 제어부(30), 상기 제1 탱크(10)에서 배출된 오수 및 상기 해수유입라인(C)에서 배출된 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장치(40), 상기 전해장치(40)를 통해 산화분해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 펌프(20) 및 상기 제1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제2 제어부(50), 상기 제2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0)에서 산화분해된 상기 1차 처리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1차 처리수에 항시 침지되어 있도록 여과장치(T)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T)보다 높게 형성된 저수위알람부재(L) 위로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가 형성되는 제2 탱크(60) 및 상기 제2 탱크(60)의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탱크(60)의 저수위알람부재(L) 위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2 펌프(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전해장치와 여과장치를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서, 전기분해방식으로 산화분해된 1차 처리수를 다시 필터링하여 2차 처리수를 획득함에 따라, 오수를 2번에 걸쳐 정화 처리함으로서 오수처리의 처리성능과 효율을 높여 친환경적인 오수 정화능력을 배가시키고, 고가의 전해장치 크기를 작게 형성함으로서 제조 경쟁력이 강화된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배설물을 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생물화학적인 방법과 전기분해 방법으로 대별할 수가 있는데, 생물화학적인 방법은 미생물과 약품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분해하므로 배설물의 양에 따라 투입이 요구되는 화학약품 또한 증가하게 되어서, 이로 인하여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생물화학적인 방법은 다량의 배설물 처리에 있어서 처리속도가 길기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비효율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동일 출원인의 종래 특허(10-1145039)를 살펴보면, 전기분해방법으로 분뇨를 처리한 후 배출탱크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여과필터에 처리수를 통과시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등의 찌꺼기를 여과시키고 있으나, 최근 국제해양오염방지기준이 강화되면서 미세부유물질뿐만 아니라 총질소, 총인을 제거해야 하는 환경처리기준이 요구되어 강화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처리능력이 강화된 오수처리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높아진 환경처리기준을 만족하면서도, 복합식 처리방식을 어떠한 구조로 컴팩트하게 구성하는지를 본 발명을 통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오수처리장치와는 달리 다량의 배설물을 포함한 오수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전해장치와 멤브레인 여과장치의 복합식 처리방식을 통하여 강화된 환경처리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로 제조경쟁력이 강화된 실용적인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멤브레인 여과장치에 필수적인 세척약품공급이나 미생물공급장치를 구성하지 않아도 성능기준을 만족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오수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오수처리장치의 각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효율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서 오수처리능력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공간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며 친환경적이기까지 한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오수처리장치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를 갖으며, 오수만 유입되는 제1 탱크(10), 상기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며, 상기 제1 탱크(10)의 최하위에 형성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1 펌프(20), 상기 제1 펌프(2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해수유입라인(C)에 형성된 제1 제어부(30), 상기 제1 탱크(10)에서 배출된 오수 및 상기 해수유입라인(C)에서 배출된 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장치(40), 상기 전해장치(40)를 통해 산화분해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 펌프(20) 및 상기 제1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제2 제어부(50), 상기 제2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0)에서 산화분해된 상기 1차 처리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1차 처리수에 항시 침지되어 있도록 여과장치(T)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T)보다 높게 형성된 저수위알람부재(L) 위로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가 형성되는 제2 탱크(60), 및 상기 제2 탱크(60)의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탱크(60)의 저수위알람부재(L) 위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2 펌프(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탱크(60)를 통과한 2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를 갖는 제3 탱크(80)가 부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탱크(60)의 고수위알람부재(H)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20) 및 상기 제1 제어부(30)가 작동하나, 상기 제2 제어부(50)는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제3 탱크(80)에 상기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제3 제어부(100)가 작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탱크(10) 및 상기 제2 탱크(60)에는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P)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오수처리시스템은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부유물질뿐만 아니라 강화된 환경처리기준에 따라 부영양화물질의 유발인자인 총질소, 총인도 제거가 가능하여 국제 환경처리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과정이 환경친화적으로 진행되어 친환경적인 시장 추세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오수처리 능력을 복합처리방식을 통하여 제공하고, 복합처리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품 제조시의 단가를 하락시킴으로서 제품경쟁력이 강화된 효과가 있다.
종래의 오수처리장치의 한계를 넘는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고, 종래의 친환경적이지 않은 생물화학적 처리방식 제품들이 갖는 장점을 구비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과정과 결과물로 구성되고, 종래의 친환경적이지만 처리성능적으로 한계가 있는 전기분해식 오수처리장치제품들이 갖는 단점을 극복한 복합적인 오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효과를 기능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본 발명에서 채택한 오수처리장치의 전해장치는 복합처리방식의 구성으로서 기존의 전기분해방식의 오수처리장치보다 장치의 용량과 크기를 줄일수 있어서, 보다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면서도 오수에 포함된 부영양화물질의 유발인자인 총질소, 총인 및 유기물 등을 산화처리하면서 국제적 처리기준에 부합하도록 다량의 오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제2 탱크내부에 설치된 여과장치는 1차 처리된 1차 처리수의 산화된 총질소, 총인 및 미세부유물질등을 효과적으로 미세하게 제거하여 국제적으로 강화된 해양오염방지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매우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약품의 첨가 없이도 오수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강화된 해양오염방지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경제적 면에서 검토해보면, 전해장치의 체적과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임으로서 원자재 비용을 절감시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상술한 기능과 효율을 발휘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시스템은 친환경적이면서도, 강화된 오수처리능력이 요구되며, 설치공간에 맞춤제공이 필요한 곳에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치 설명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오수만 유입되는 제1 탱크(10), 제1 펌프(20), 제1 제어부(30), 오수 및 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장치(40), 제2 제어부(50), 1차 처리수가 유입되는 제2 탱크(60), 제2 펌프(70)로 분별된다.
제1 탱크(10)는 인간의 배설물 등을 포함한 오수만 유입되며, 상기 제1 탱크(10) 내부에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가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는 오수가 만수위시 고수위를 감지하여 경보알람이 작동되게 한다.
제1 펌프(20)는 상기 제1 탱크(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1 탱크(10) 내부의 감지부재(S)와 연동하여 작동하는데, 상기 제1 탱크(10)의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1 펌프(20)가 작동하여 오수를 전해장치(40)로 이송하고, 상기 제1 탱크(10)의 최하위에 형성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1 펌프(20)는 오수 이송을 멈춘다. 상기 제1 탱크(10)의 하부에는 저장된 오수의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라인(P)이 연결된다.
제1 제어부(30)는 해수유입라인(C)에 형성되어, 전해장치(40)에 공급되는 해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펌프(20)과 연동하여 작동한다. 상기 제1 펌프(20)가 작동하여 오수를 상기 전해장치(40)로 공급시 상기 제1 제어부(30)는 상기 해수유입라인(C)을 개방하여, 상기 전해장치(40)로 공급되는 오수에 해수를 혼입시켜 상기 전해장치(40)내에서 오수의 전기분해시 필요한 전해질을 공급하여 오수처리의 효율을 높여준다.
전해장치(40)의 내부는 양극과 음극의 전기분해 전극이 설치되어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산화분해시킨다. 또한 분뇨에 포함된 대장균 및 병원균도 전해장치(40) 내에서 해수의 NaCl(염화나트륨)이 전기분해되어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HoCl(차아염소산)의 살균작용으로 살균분해처리된다. 본 발명의 오수처리장치는 전해장치(40)와 제2 탱크(60) 내에 형성된 여과장치(T)로 구성된 효율적인 복합처리방식으로, 기존의 전해장치만으로 단독 구성된 장치보다 상기 전해장치(40)의 용량과 크기가 작어져도 충분히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제어부(50)는 상기 전해장치(40)에서 처리된 1차 처리수를 제2 탱크(60)로 유입을 제어해주는 장치이다. 평상시에는 상기 제2 제어부(50)는 상기 제1 펌프와 연동되어 상기 제2 탱크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열려있다.
제2 탱크(60)는 전해장치(40)를 통하여 산화분해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 탱크(60) 내부에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가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는 만수위시 고수위를 감지하여 경보알람이 작동되게 한다. 상기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2 펌프(70)가 작동하여 탱크내의 여과장치(T)에서 여과된 2차 처리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감지부재(S)보다 아래에 추가 설치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2 펌프(70)가 멈춘다. 상기 제2 탱크(60)내에 설치된 여과장치(T)는 멤브레인필터, 나노필터, 마이크로필터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필터를 보호하기 위해 항시 수위 아래에 침지되어있다. 이러한 침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탱크(60)의 최하부에 형성된 감지부재(S)에 저수위를 감지하게 하여 경보알람이 작동되게 한다. 상기 제2 탱크(60)의 하부에는 저장된 1차 처리수에서 발생할수 있는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라인(P)이 연결된다. 또한 통상적인 일반 여과장치는 미세 공극, 분리막 등에 유기물 또는 미생물 또는 슬러지 등으로 인하여 여과장치가 막히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약품세정을 해야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T)는 상기 전해장치(40)에서 오수를 처리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이 상기 제2 탱크(60)에 1차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여과장치(T)를 별도의 약품이나 장치없이도 막힘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3 탱크(80)는 전기분해 및 여과처리된 2차 처리수를 추가적으로 저장시 필요에 따라 부가된다. 상기 제3 탱크(80) 내부에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가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는 만수위시 고수위를 감지하여 경보알람이 작동되게 한다. 상기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3 펌프(90)가 작동하여 탱크 내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만약 상기 제2 탱크(60) 내에 형성된 여과장치(T)나 상기 제2 펌프(70)에 작동 이상이 생기거나, 상기 제2 탱크(60)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제2 제어부(50)가 닫혀 1차 처리수의 제2 탱크(60) 안으로의 유입를 막기 위하여, 제3 제어부(100)가 열리며 1차 처리수를 제3 탱크(90)로 유입시킨다. 이 경우 제3 제어부(100)는 이머전시라인(EMERGENCY LINE)으로 작동하여, 오수처리장치의 오버플로우(OVER FLOW)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1차 처리수를 상기 제3 펌프(90)를 통해 외부로 이송 배출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 탱크 20 : 제1 펌프
30 : 제1 제어부 40 : 전해장치
50 : 제2 제어부 60 : 제2 탱크
70 : 제2 펌프 80 : 제3 탱크
90 : 제3 펌프 100 : 제3 제어부
S : 감지부재 H : 고수위알람부재
L : 저수위알람부재 C : 해수유입라인
P : 배출라인 T : 여과장치
30 : 제1 제어부 40 : 전해장치
50 : 제2 제어부 60 : 제2 탱크
70 : 제2 펌프 80 : 제3 탱크
90 : 제3 펌프 100 : 제3 제어부
S : 감지부재 H : 고수위알람부재
L : 저수위알람부재 C : 해수유입라인
P : 배출라인 T : 여과장치
Claims (4)
-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를 갖으며, 오수만 유입되는 제1 탱크(10);
상기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위치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며, 상기 제1 탱크(10)의 최하위에 형성된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1 펌프(20);
상기 제1 펌프(2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해수유입라인(C)에 형성된 제1 제어부(30);
상기 제1 탱크(10)에서 배출된 오수 및 상기 해수유입라인(C)에서 배출된 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장치(40);
상기 전해장치(40)를 통해 산화분해된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 펌프(20) 및 상기 제1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작동을 시작하거나 멈추는 제2 제어부(50);
상기 제2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0)에서 산화분해된 상기 1차 처리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1차 처리수에 항시 침지되어 있도록 여과장치(T)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장치(T)보다 높게 형성된 저수위알람부재(L) 위로는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가 형성되는 제2 탱크(60);
상기 제2 탱크(60)의 고수위알람부재(H) 아래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탱크(60)의 저수위알람부재(L) 위에 형성된 수위를 센싱하는 감지부재(S)에 수위가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는 제2 펌프(70);
상기 제2 탱크(60)를 통과한 2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수위를 센싱하는 다수의 감지부재(S) 및 다수의 상기 감지부재(S) 최상위에 형성된 고수위알람부재(H)를 갖는 제3 탱크(80); 및
상기 제2 탱크(60)의 고수위알람부재(H)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20) 및 상기 제1 제어부(30)가 작동하나, 상기 제2 제어부(50)는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제3 탱크(80)에 상기 1차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제3 제어부(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10) 및 상기 제2 탱크(60)에는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655A KR101602617B1 (ko) | 2015-10-06 | 2015-10-06 | 오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655A KR101602617B1 (ko) | 2015-10-06 | 2015-10-06 | 오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617B1 true KR101602617B1 (ko) | 2016-03-10 |
Family
ID=5553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655A KR101602617B1 (ko) | 2015-10-06 | 2015-10-06 | 오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6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7677B1 (ko) * | 2020-11-19 | 2022-02-28 | 주식회사 테크로스 | 밸러스트수 재처리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5974B1 (ko) * | 2007-04-27 | 2007-08-02 | 아쿠아셀 주식회사 | 선박의 분뇨 및 오수처리장치 |
KR101145039B1 (ko) * | 2010-04-30 | 2012-05-16 |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 선박용 분뇨처리장치 |
KR101185687B1 (ko) * | 2012-03-07 | 2012-09-24 |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 오수처리시스템 |
-
2015
- 2015-10-06 KR KR1020150140655A patent/KR101602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5974B1 (ko) * | 2007-04-27 | 2007-08-02 | 아쿠아셀 주식회사 | 선박의 분뇨 및 오수처리장치 |
KR101145039B1 (ko) * | 2010-04-30 | 2012-05-16 |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 선박용 분뇨처리장치 |
KR101185687B1 (ko) * | 2012-03-07 | 2012-09-24 |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 오수처리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7677B1 (ko) * | 2020-11-19 | 2022-02-28 | 주식회사 테크로스 | 밸러스트수 재처리 장치 및 방법 |
WO2022108069A1 (ko) * | 2020-11-19 | 2022-05-27 | 주식회사 테크로스 | 밸러스트수 재처리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09104A (en) | Marine sanitation method and device | |
US8910799B2 (en) | Integrated membrane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treatment | |
US990880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 |
KR100938463B1 (ko) |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 |
KR101638970B1 (ko) |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 |
CN102417253A (zh) | 重金属废水深度处理零排放回收设备 | |
KR20140114586A (ko) | 고농도 오·폐수 처리용 처리조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 | |
KR101769595B1 (ko) |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 |
JP2010247051A (ja) | 水処理装置 | |
CN106277553A (zh) | 反渗透ro浓水的处理方法及设备 | |
KR100346500B1 (ko) | 인산 이온 함유수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101541070B1 (ko) | 고도처리장치 | |
KR101602617B1 (ko) | 오수처리장치 | |
CN107721102A (zh) | 一种污水处理系统 | |
JP2015205232A (ja) | バイオトイレシステム及び汚物処理方法 | |
CN202265468U (zh) | 重金属废水深度处理零排放回收设备 | |
JP2020025952A (ja) | 浄水処理装置 | |
CN202116396U (zh) | 海上废水处理系统 | |
KR102344803B1 (ko) | 양돈장 분뇨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정화 방법 | |
KR100497771B1 (ko) | 간이정수처리시스템 | |
US20110284469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 Liquid | |
RU153765U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 |
JP4099369B2 (ja) | 排水処理装置 | |
KR100816714B1 (ko) | 고도정수처리장치 | |
KR200307988Y1 (ko) | 오폐수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