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430B1 -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430B1
KR101602430B1 KR1020140166737A KR20140166737A KR101602430B1 KR 101602430 B1 KR101602430 B1 KR 101602430B1 KR 1020140166737 A KR1020140166737 A KR 1020140166737A KR 20140166737 A KR20140166737 A KR 20140166737A KR 101602430 B1 KR101602430 B1 KR 10160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unique identification
posi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선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웍스 filed Critical (주)케이웍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난용 위치 표시기와 근접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구난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Emergency rescue manag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긴급 구난에 관련한 기술로, 특히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580호(2014. 04. 02)에서 긴급 구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비상 상황에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직접 긴급 구난을 위한 발신을 할 수 없는 경우 원격으로 용이하게 휴대폰의 발신을 제어함으로써 긴급 구난의 요청을 도와준다.
본 발명자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와 근접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구난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580호(2014. 04. 02)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구난용 위치 표시기와 근접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구난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식별정보 수집부와; 상기 식별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정보 전송부와; 관제서버로부터 해당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관련한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이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응답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응답 처리부가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단말 위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가 관제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구난용 위치 표시기가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는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단말의 GPS신호를 활성화시키는 GPS 활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긴급 구난 관리 방법이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수집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에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일,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다 판단된 경우,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표지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을 검색하여 조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는 구난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부터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는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긴급 구난 관리 방법이 만일,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없다 판단된 경우,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관제서버에 수집정보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서버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근접한 구난용 위치 표시기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난용 위치 표시기와 근접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구난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망 구축없어 저비용으로 사회안전망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이동단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구난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은 이동단말(100)과,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 및 관제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이동단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이동단말(100)은 긴급 구난 관리 앱을 탑재하며, 이 긴급 구난 관리 앱은 식별정보 수집부(110)와, 식별정보 전송부(120)와,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 수집부(110)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기호 또는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는 산악 지형, 해안가 등에 특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각 또는 원형 말뚝 형태로 구현한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일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기(210)가 내장될 수 있다. 이 때,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가 비콘(Beacon) 신호를 이용해 고유 식별정보를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120)는 상기 식별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이동단말(100)이 WiFi, 3G, 4G 등의 셀 기지국 기반 이동통신을 통해 관제서버(300)로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가 이동단말 전화번호일 수 있다.
등산로 또는 갯바위 근처에 고정형 구난용 위치표지기(200)를 설치하고 구난용 위치표지기와 연동되는 긴급 구난 관리 앱을 탑재한 이동단말을 소지한 등산객 또는 낚시꾼들이 등산 중 조난을 당하거나 낚시 중에 예상치 못한 사고로 실종 상태인 경우 119등에서 구난 대상자를 찾고자 할 때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취득한 후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된 위치정보로부터 실종 또는 응급상황이 발생한 구난 대상자의 위치가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관제서버(300)는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100)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들의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설치 위치들을 검색해 구난 대상자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관제서버(300)는 해당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조난 위치를 파악했으며 긴급구난이 시작되었다는 구난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난용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또는 푸쉬(Push) 기반 메시지일 수 있으며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관제서버(300)가 해당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 위치와 근접한 피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구난 대상자에 대한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용 메시지를 더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와 근접한 구난 대상자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100)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난 대상자를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100)이 식별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을 관제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식별정보 전송부(120)를 통해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119등 구난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이동단말(100)이 하나 이상의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을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 전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의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130)가 관제서버(300)로부터 구조대가 조난 위치를 파악했으며 긴급구난이 시작되었다는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구난 대상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피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의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130)가 관제서버(300)로부터 구난 대상자에 대한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구난 대상자 주변의 피구난 대상자들이 긴급 구난에 참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100)이 응답 처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처리부(140)는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처리한다. 예컨대, 상기 응답 처리부(140)가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단말 위치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한 구난 대상자가 조난 위치를 파악했으며 긴급구난이 시작되었다는 구난용 메시지를 확인했다는 응답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한 피구난 대상자가 주변을 탐색해 구난 대상자를 찾아 구난을 수행한다. 피구난 대상자가 구난 대상자를 찾으면, 응답 처리부(140)를 통해 구난 대상자를 발견했음을 알리는 응답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쉬 메시지 형태의 구난용 메시지에 위치 전송용 푸쉬 버튼이나 119 구조대에 통화 연결을 위한 신고용 푸쉬버튼이 포함되도록 구현했다면, 구난용 메시지에 포함된 푸쉬 버튼을 피구난 대상자가 클릭함에 의해 응답 처리부(140)가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120)가 관제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구난 대상자로부터 구난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관제서버(300)가 불특정 다수의 이동단말(100)들로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 전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단말(100)이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150)는 관제서버(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는 WiFi, 3G, 4G 등의 셀 기지국 기반 이동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이 비콘(Beacon) 신호 처리가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일 수 있다.
이동단말(1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관제서버(3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150)는 관제서버(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식별정보 수집부(110)를 통한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이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구난 관리 동작을 도 4 를 통해 알아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구난용 위치표지기를 이용한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의 구난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411에서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수집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해당 이동단말 소지자가 구난 대상자로 결정되면, 단계 412에서 관제서버가 이동단말에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예컨대,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는 이동단말 전화번호일 수 있다.
그러면, 단계 413에서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 정보 즉,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단계 413에 의해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다 판단된 경우, 단계 414에서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415에서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단계 422에서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표지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을 검색하여 조난위치를 결정한다.
한편, 단계 413에 의해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없다 판단된 경우, 즉,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아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 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경우 단계 416에서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관제서버에 수집정보가 없음을 보고한다.
그러면, 관제서버는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았다 판단하여. 단계 417에서 관제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418에서 관제서버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단계 419에서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근접한 구난용 위치 표시기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단계 420에서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421에서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422에서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표지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을 검색하여 조난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423에서 관제서버가 구난 대상자 또는 피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거나 또는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424에서 구난 대상자 또는 피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부터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는 또는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425에서 구난 대상자 또는 피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을 처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난용 위치 표시기와 근접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구난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사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긴급 구난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구난용 외에도 특정 위험 지역에 대한 접근 경고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접근 경고 절차는 구난 요청 부분을 뺀 나머지 부분이 구난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긴급 구난 관련한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이동단말
110 : 식별정보 수집부
120 : 식별정보 전송부
130 :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
140 : 응답 처리부
150 :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
200 : 구난용 위치 표시기
300 : 관제서버

Claims (8)

  1. 관제서버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는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부에 의해 이동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활성화 된 경우, 구난용 위치 표시기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식별정보 수집부와;
    상기 식별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정보 전송부와;
    관제서버로부터 해당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관련한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구난용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응답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처리부가:
    구난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단말 위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가:
    관제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용 위치 표시기가:
    고정형 구난용 위치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수집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에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일,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있다 판단된 경우,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 및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용 위치표지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 시간을 검색하여 조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는 구난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단말이 관제서버로부터 구난 진행상황을 알리는 구난용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구난 관리 방법이:
    만일,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식별정보가 없다 판단된 경우,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관제서버에 수집정보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와;
    관제서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제서버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근접한 구난용 위치 표시기로부터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구난 대상자의 이동단말이 수집된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구난용 위치 표시기의 고유 식별정보 수집시간, 이동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난 관리 방법.




KR1020140166737A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518 2014-10-22
KR1020140143518 2014-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430B1 true KR101602430B1 (ko) 2016-03-10

Family

ID=555393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39A KR101602433B1 (ko)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0166737A KR101602430B1 (ko)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0166738A KR101602432B1 (ko)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39A KR101602433B1 (ko)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38A KR101602432B1 (ko) 2014-10-22 2014-11-26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02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94B1 (ko) * 2017-11-22 2018-12-24 (주)에프에스알엔티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747A (ko) * 2010-10-28 2012-05-08 이종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20140039580A (ko) 2012-09-24 2014-04-02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747A (ko) * 2010-10-28 2012-05-08 이종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20140039580A (ko) 2012-09-24 2014-04-02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94B1 (ko) * 2017-11-22 2018-12-24 (주)에프에스알엔티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103212A1 (ko) * 2017-11-22 2019-05-31 주식회사 에프에스알엔티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433B1 (ko) 2016-03-10
KR101602432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US112341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lert messaging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N207611468U (zh) 一种用户区域人员检测的安全电子围栏系统
US20130057696A1 (en) Personal mobile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KR101486402B1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CN107077774B (zh) 脱离监视区域的远程管理系统
GB2539952A (en) Location systems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JP6013660B1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602430B1 (ko) 긴급 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323436A (ja) 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
JP2008299728A (ja) 監視システム
KR20190070068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낙상 사고 관리 시스템
KR101502739B1 (ko) 메신저 앱을 활용한 실종 또는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97739A (ja) 移動履歴管理機能を有するサーバ及び端末
KR101969584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US20130154832A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EP3440647B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US10546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field workers
KR1010782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0087683A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