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275B1 -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275B1
KR101602275B1 KR1020150036973A KR20150036973A KR101602275B1 KR 101602275 B1 KR101602275 B1 KR 101602275B1 KR 1020150036973 A KR1020150036973 A KR 1020150036973A KR 20150036973 A KR20150036973 A KR 20150036973A KR 101602275 B1 KR101602275 B1 KR 10160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test
initialization
vehicle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훈
이민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초기화 테스트부, 차량의 주행중 상기 제어기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런타임 테스트부 및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 및 런타임 테스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실행한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확인된 상기 제어기의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저장되어 있는 액션 리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운전자가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액션 리스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최초 제조시 발견되지 않은 오류가 후발적으로 발견된 경우라도 액션 리스트에 추가하여 자발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F TES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자제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기의 초기화 테스트 및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제어기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전장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안전 및 편의와 결부된 제어기들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 제어기, 변속 제어기, 제동 제어기 등의 제어기들과 기계적 구조물이 결합된 시스템의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시스템은 자동차의 각 부분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송 받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기들을 적절하게 제어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면서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이르러야만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상태로 수리를 위해 정비소 등에 진입하여 차량 진단기를 통해 오류 발생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다수의 오류 발생 사실의 인지 시점이 제어기에서 이미 오류가 발생하여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이며, 그 상태로 정비소 등에 진입하기 위해 운행을 지속하는 경우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한편,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한 시점에서 운행을 중단하고 견인차를 호출하여 정비소 등에 진입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편한 방법에 속한다. 따라서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시동이 ON된 경우 또는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에 지속적으로 제어기로부터 본연의 기능 수행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아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1797호(2001.10.23)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운전자가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함과 동시에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차량 자제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초기화 테스트부, 차량의 주행중 상기 제어기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런타임 테스트부 및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 및 런타임 테스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실행한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확인된 상기 제어기의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저장되어 있는 액션 리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운전자가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액션 리스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최초 제조시 발견되지 않은 오류가 후발적으로 발견된 경우라도 액션 리스트에 추가하여 자발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CAN 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테스트 결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션 리스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상기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상기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가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가 상기 제어기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은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며,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테스트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액션 리스트에 저장된 액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CAN 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가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가 상기 제어기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수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액션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은 (a) 초기화 테스트부가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b) 제어기가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에 전송하는 단계, (c) 초기화 테스트부가 상기 전송받은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초기화 테스트부가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기에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일 수 있으며, 상기 (b)단계 이후에, (b-1) 테스트 결과 저장부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d)단계의 액션 리스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b)단계의 제어기는, 상기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은 (a') 런타임 테스트부가 차량의 주행중 제어기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b') 제어기가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에 전송하는 단계, (c') 런타임 테스트부가 상기 전송받은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런타임 테스트부가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기에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일 수 있으며, 상기 (b')단계 이후에,(b'-1) 테스트 결과 저장부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d')단계의 액션 리스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b')단계의 제어기는, 상기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수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제어기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운전자가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기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함과 동시에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액션 리스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최초 제조시 발견되지 않은 오류가 후발적으로 발견된 경우라도 액션 리스트에 추가하여 자발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액션 리스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가 실행되는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구체적으로 런타임 테스트가 실행되는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와 런타임 테스트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술할 '제어기'는 그 명칭에 상관없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 및 편의와 연관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BCM(Body Control Module), EMS(Engine Management System), TMS(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PS(Electric Power Steering), ACC(Adaptive Cruise Control), AEB(Advanced Emergency Brake), BSD(Blind Spot Detection), LKAS(Lane Keeping Assist System),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SPAS(Smart Parking Assist System), HDA(Highway Driving Assist)와 같은 제어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되거나, 일부 구성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초기화 테스트부(10), 런타임 테스트부(20) 및 액션 리스트부(30)를 포함하며, 테스트 결과 저장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 테스트부(10)는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며, 제어기(50)로부터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다.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부(10)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에 모듈 등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제어기(50)에 CAN BUS를 통해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CAN BUS는 차량 내 ECU들 간의 데이터 전송에 많이 이용되는 노이즈에 강하고 통신 속도가 빠른 상용화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2가닥의 데이터 배선을 의미하며, 제어기(50)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CAN BUS를 통해 모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차량이 CAN BUS가 아닌 다른 상용화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초기화 테스트란 차량의 시동이 ON된 이후 최초로 수행되는 제어기(50)에 대한 테스트로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점검절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MS 제어기의 경우 TMS 제어기가 수행하는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변속에 관한 사항을 점검하며, AEB 제어기의 경우 AEB 제어기가 수행하는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브레이크에 관한 사항을 점검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TMS 제어기나 AEB 제어기 등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차해 있는 차량의 기어를 변속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할 수는 없으므로, 여기서 테스트는 일종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즉, 초기화 테스트부(10)로부터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받은 제어기(50)는,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초기화 테스트부(10)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기(50)에는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별도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기(50) 자체에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초기화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 테스트부(10)는 TMS 제어기, AEB 제어기, ESC 제어기, ACC 제어기 등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면, 각각의 제어기(50)가 초기화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될 것이므로, 초기화 테스트부(10) 입장에서 테스트 수행 결과를 전송받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바,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어떠한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할지 여부는 차량 제조사 또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나, 안전과 연관된 제어기(50)의 경우에는 차량 제조사만 설정 가능하고 사용자는 임의로 설정할 수 없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초기화 테스트는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수행하는 테스트이므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하여 초기화 테스트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기화 테스트부(10)가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전송하는 경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하여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MS 제어기가 변속기의 변속시점과 변속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TMS 제어기 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는 변속기의 변속시점과 변속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 모두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런타임 테스트의 경우와 상이한바, 그에 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런타임 테스트부(20)는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며, 제어기(50)로부터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다. 런타임 테스트부(20) 역시 초기화 테스트부(10)와 마찬가지로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에 모듈 등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중 제어기(50)에 CAN BUS를 통해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아울러 초기화 테스트부(10)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CAN BUS가 아닌 다른 상용화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런타임 테스트는 상기 설명한 초기화 테스트와 일부만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런타임 테스트란 차량의 주행 중 수행되는 제어기(50)에 대한 테스트로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점검절차를 의미한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TMS 제어기나 AEB 제어기 모두 차량의 주행 중에 테스트가 실행되는 것만 제외하면, TMS 제어기가 수행하는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변속에 관한 사항을 점검하고, AEB 제어기의 경우 AEB 제어기가 수행하는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브레이크에 관한 사항을 점검하는 기본 사항은 초기화 테스트의 경우와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TMS 제어기나 AEB 제어기 등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차해 있는 차량의 기어를 변속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할 수는 없으므로, 여기서 테스트 역시 일종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즉, 런타임 테스트부(20)로부터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 받은 제어기(50)는,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런타임 테스트부(20)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기(50)에는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별도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기(50) 자체에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런타임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어기(50)는 역시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일 수 있다. 런타임 테스트부(20)는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TMS 제어기, AEB 제어기, ESC 제어기, ACC 제어기 등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면, 각각의 제어기(50)가 런타임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될 것이므로, 런타임 테스트부(20) 입장에서 테스트 수행 결과를 전송받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바,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어떠한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할지 여부는 차량 제조사 또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나, 안전과 연관된 제어기(50)의 경우에는 차량 제조사만 설정 가능하고 사용자는 임의로 설정할 수 없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런타임 테스트는 초기화 테스트와 다르게 차량의 주행 중 수행하는 테스트이므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런타임 테스트부(20)가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전송하는 경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MS 제어기가 변속기의 변속시점과 변속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중 이미 변속기의 변속시점을 체크하는 기능이 수행되었다면, TMS 제어기에 대한 런타임 테스트는 변속기의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에 대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속기의 변속시점을 체크하는 기능에 대한 테스트 실행 여부가 문제될 수 있으나, 차량의 시동이 ON된 경우 이미 초기화 테스트가 수행되었으며, 차량의 주행 중 TMS 제어기가 변속기의 변속시점을 체크하는 기능을 문제없이 수행한 이후이므로 이러한 기능은 정상상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한 초기화 테스트부(10)와 런타임 테스트부(20)에 의해 운전자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제어기(50)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이전에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으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제어기(50)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이하 설명할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그에 대한 실행명령을 전송하여 제어기(50)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함과 동시에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액션 리스트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고, 도 1의 경우와 같이 다른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되거나, 일부 구성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액션 리스트부(30)는 제어기(50)의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부(10) 및 런타임 테스트부(20)와 연결되어, 제어기(50)가 실행한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확인된 제어기(50)의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액션 리스트(31)로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액션 리스트(31)는 제어기(50)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제어기(50)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어 있으며, 초기화 테스트부(10) 및 런타임 테스트부(20)는 액션 리스트(3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액션 리스트(31)에 제어기(50)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이 저장되어 있는 이유는 제어기(50)에 발생한 오류가 기계적 구조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초기화 및 재시동으로 인해 오류를 해결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제어기(50)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이 저장되어 있는 이유는 제어기(50)의 상태를 중앙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전송하여 추후 정비소 등에 진입한 경우 오류를 쉽게 확인하기 위함이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이 저장되어 있는 이유는 운전자에게 제어기(50)의 오류 발생 사실을 인지시키기 위함이다.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의 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초기화 테스트 결과 TMS 제어기에 오류가 발생했다면 초기화 테스트부(10)는 액션 리스트에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을 선택하여 TMS 제어기의 초기화 및 재시작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제어기(50)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을 선택하여 중앙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이러한 TMS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까지 선택하여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런타임 테스트 결과 AEB 제어기에 오류가 발생했다면 런타임 테스트부(20)는 액션 리스트(31)에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을 선택하여 AEB 제어기의 초기화 및 재시작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제어기(50)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을 선택하여 중앙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이러한 AEB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까지 선택하여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액션 리스트부(30)에는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액션 리스트(31)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액션 리스트(31)는 제어기(50)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며, 도 2를 참조하면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가 제1 액션 내지 제N 액션(N은 양의 정수)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액션 리스트(31)는 예를 들어, 차량의 최초 제조 시에는 발견하지 못한 제어기(50)의 오류가 후발적으로 발견되었다면, 그러한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을 액션 리스트(31)에 추가하여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즉,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는 업데이트 가능하며, 액션 리스트(31)는 차량의 안전과 연관된 것이 많으므로 차량 제조사만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임의로 업데이트할 수 없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차량 제조사가 제공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자가 단순 다운로드 받는 것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액션 리스트부(30)에 의해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 제어기(50)에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운전자가 인지한 경우 정비소 등에 진입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제어기(5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테스트 결과 저장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결과 저장부(40)는 반복하여 실행되는 초기화 테스트에 대한 결과 및 런타임 테스트에 대한 결과를 모두 저장해야 하므로 대용량 저장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결과 저장부(40)에 의해 운전자와 정비사는 차량에 설치된 제어기(50)가 수행한 테스트 결과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제어기(50)에 어떠한 오류가 몇 번 발생했는지 등 제어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와 제어기(50)를 모두 포함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1000)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차량 자체점검 제어 시스템(1000)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와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구성 역시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되거나, 일부 구성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기(50)는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며, 초기화 테스트부(10) 또는 런타임 테스트부(20)가 전송하는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에 따라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초기화 테스트부(10) 또는 런타임 테스트부(20)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기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명칭에 상관없이 차량의 안전 및 편의와 연관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 역시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부(10), 런타임 테스트부(20) 및 액션 리스트부(30)와 추가적으로 테스트 결과 저장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테스트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액션 리스트(31)에 저장된 액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의 초기화 테스트부(10)가 제어부(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하며, 런타임 테스트부(20)가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수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하고,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예는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를 설명하며 기술하였으므로 중복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제어기(50)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CAN BUS를 통해 연결되며, 차량이 CAN BUS가 아닌 다른 상용화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록 시스템으로 구현하였지만,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어기(50)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인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는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포함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에 대한 순서도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도에 불과하고,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초기화 테스트부(10)가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제어기(50)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S210). 여기서 초기화 테스트는 차량의 시동이 ON된 이후 최초로 수행되는 제어기(50)에 대한 테스트로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점검절차를 의미한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제어기(50)를 구동시켜볼 수는 없으므로, 초기화 테스트는 일종의 시뮬레이션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일 수 있다.
초기화 테스트부(10)로부터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받은 제어기(50)는 초기화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초기화 테스트부(10)에 전송한다(S220). 구체적으로 제어기(50)에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테스트 결과의 전송은 CAN BUS를 통해 수행되며, 차량이 CAN BUS가 아닌 다른 상용화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테스트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초기화 테스트 이후에, 테스트 결과 저장부(40)가 제어기(5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221). 이를 통해 운전자와 정비사는 차량에 설치된 제어기(50)가 수행한 초기화 테스트 결과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제어기(50)에 어떠한 오류가 몇 번 발생했는지 등 제어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초기화 테스트부(10)가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았다면, 이후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여 제어기(50)의 오류가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230). 이 경우 초기화 테스트부(10)에는 차량에 설치된 모든 제어기(50)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 결과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전송 받은 초기화 테스트 결과와 비교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초기화 테스트부(10) 자체가 제어기(50)가 전송한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초기화 테스트부(10)의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어기(50)에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S240). 여기서 액션 리스트부(3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31)로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기(50)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나, 액션 리스트(31)는 차량의 안전과 연관된 것이 많으므로 차량 제조사만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임의로 업데이트할 수 없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차량 제조사가 제공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자가 단순 다운로드 받는 것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5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런타임 테스트에 대한 순서도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도에 불과하고,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런타임 테스트부(20)가 차량의 주행 중 제어기(50)에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S310). 여기서 런타임 테스트는 차량의 주행 중 수행되는 제어기(50)에 대한 테스트로서, 제어기(50)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점검절차를 의미한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제어기(50)를 구동시켜볼 수는 없으므로, 런타임 테스트는 일종의 시뮬레이션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제어기(50)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50)일 수 있다.
런타임 테스트부(20)로부터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받은 제어기(50)는 런타임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런타임 테스트부(20)에 전송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기(50)에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수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테스트 결과의 전송은 CAN BUS를 통해 수행되며, 차량이 CAN BUS가 아닌 다른 상용화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테스트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런타임 테스트 이후에, 테스트 결과 저장부(40)가 제어기(50)로부터 전송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321). 이를 통해 운전자와 정비사는 차량에 설치된 제어기(50)가 수행한 런타임 테스트 결과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제어기(50)에 어떠한 오류가 몇 번 발생했는지 등 제어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런타임 테스트부(20)가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았다면, 이후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여 제어기(50)의 오류가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330). 이 경우 런타임 테스트부(20)에는 차량에 설치된 모든 제어기(50)가 정상상태인 경우에 대한 런타임 테스트 결과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전송 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와 비교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런타임 테스트부(20) 자체가 제어기(50)가 전송한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런타임 테스트부(20)의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어기(50)에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S340). 여기서 액션 리스트부(3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31)로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기(50)의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나, 액션 리스트(31)는 차량의 안전과 연관된 것이 많으므로 차량 제조사만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임의로 업데이트할 수 없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차량 제조사가 제공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자가 단순 다운로드 받는 것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은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에 따라 각각 별개의 단계를 포함하는 순서도로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를 모두 포함한 하나의 순서도로도 구현할 수도 있는바, 도 6에서 확인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순히, 도 4와 도 5의 순서도를 합쳐놓은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부 단계가 추가된바 구체적으로 초기화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곧장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 전송 단계(S310)로 넘어가며, 런타임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 전송 단계(S310)로 회귀하여 반복하게 된다. 아울러, 오류가 발생하여 런타임 테스트부(20)가 액션 리스트부(30)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3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어기에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S240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도 S310 단계로 회귀하여 반복할 수 있으나, 운전자의 런타임 테스트 반복 정지 요청(S350)이 있는 경우, 런타임 테스트부(20)가 이를 확인하여 반복을 정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초 시동을 ON하는 경우, 차량이 지속적으로 운행중인 경우 어느 경우에나 안정적인 차량 자체점검과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은 차량의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100)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10: 초기화 테스트부
20: 런타임 테스트부
30: 액션 리스트부 31: 액션 리스트
40: 테스트 결과 저장부
50: 제어기
1000: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

Claims (24)

  1.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초기화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초기화 테스트부;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제어기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전송받는 런타임 테스트부; 및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 및 런타임 테스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실행한 초기화 테스트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확인된 상기 제어기의 오류에 대한 해결방안이 저장되어 있는 액션 리스트부;
    를 포함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CAN BUS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또는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테스트 결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 리스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초기화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상기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상기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테스트부가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9. 삭제
  10.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며, 초기화 테스트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테스트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확인된 경우, 액션 리스트에 저장된 액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한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는,
    CAN BUS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가 상기 제어기에 초기화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두에 대한 초기화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 리스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a') 런타임 테스트부가 차량의 주행 중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b') 제어기가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에 전송하는 단계;
    (c') 런타임 테스트부가 상기 전송받은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기의 오류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런타임 테스트부가 액션 리스트부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기에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런타임 테스트부는,
    상기 제어기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중에서 차량의 주행 중 아직 실행되지 않은 기능에 대해서만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런타임 테스트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b'-1) 테스트 결과 저장부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런타임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액션 리스트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대한 초기화 및 재시작 액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액션,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류 메시지 생성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액션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체점검 제어방법
  24. 삭제
KR1020150036973A 2015-03-17 2015-03-17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0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73A KR101602275B1 (ko) 2015-03-17 2015-03-17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73A KR101602275B1 (ko) 2015-03-17 2015-03-17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75B1 true KR101602275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973A KR101602275B1 (ko) 2015-03-17 2015-03-17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97A (ko) 2000-03-18 2001-10-23 조형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자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471237B1 (ko) * 2002-07-08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의 시뮬레이션 방법
JP2009129463A (ja) * 2007-11-22 2009-06-11 Robert Bosch Gmbh 車両制御装置のリアルタイムシステムにおける一時的エラー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97A (ko) 2000-03-18 2001-10-23 조형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자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471237B1 (ko) * 2002-07-08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의 시뮬레이션 방법
JP2009129463A (ja) * 2007-11-22 2009-06-11 Robert Bosch Gmbh 車両制御装置のリアルタイムシステムにおける一時的エラーの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81565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和自动驾驶车辆的控制装置
US9401923B2 (en) Electronic system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compromise of vehicle electrical and control systems
JP6865572B2 (ja) 自動車のリスクベースの制御
US20190145861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testing functionalities of a vehicle
US79213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faults in electronic systems
RU2017100927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ыполнением диагностических тестов
US2013015877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ault diagnosis system of a vehicle and vehicle
US11288054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9514A (ko) 차량용 온보드 사이버보안진단 시스템, 전자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Oka et al. Shift left: Fuzzing earlier in the automotive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using hil systems
JP2006253921A (ja) 車両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3110909A (zh) 一种车辆仪表的测试方法和装置
KR101602275B1 (ko) 차량 자체점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9213092A (ja) 異常箇所特定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箇所特定システム
US11040715B2 (en) Activity monitor
KR20090000008A (ko) 차량진단시 진단단말기간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45711A (ja) 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6055673A (ja) 故障診断装置、および電子制御装置
CN112606779A (zh) 一种汽车故障预警方法及电子设备
US20220358024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scenario-based testing and / or homologation of at least partially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to be tested by mean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
JP2015171853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Harris Embedded software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7205245B2 (ja) 電子制御装置
CN109490662B (zh) 汽车电子设备的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782499B (zh) 测试用例生成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