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462B1 -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462B1
KR101601462B1 KR1020140104270A KR20140104270A KR101601462B1 KR 101601462 B1 KR101601462 B1 KR 101601462B1 KR 1020140104270 A KR1020140104270 A KR 1020140104270A KR 20140104270 A KR20140104270 A KR 20140104270A KR 101601462 B1 KR101601462 B1 KR 10160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izer
cylinder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676A (ko
Inventor
현동윤
정종윤
이중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동력과 유압으로 각 휠의 제동력을 제공하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동 시 원치 않는 차량 요거동으로 쏠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좌우 제동력 차이를 최소화하고, 양쪽 휠 제동력을 위한 각각의 전동식 액추에이터 중 한 개가 고장 시 나머지 한 개로 양쪽 차륜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휠실린더까지의 유압라인이 1개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차륜쪽 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며, ABS 작동, 제동안정성 제어(ESC) 등 특별한 상황에서는 양쪽 휠 제동력이 독립적으로 제동될 수 있는 전륜 제동용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동력과 유압으로 각 휠의 제동력을 제공하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자동차는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이라든가 유압, 기계적인 장치 등에 의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자동차에 전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브레이크와 엑셀러레이터, 스티어링 휠 등 자동차 각 부분에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Brake-By-Wire) 기술의 채용이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보통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신호에 따라 ECU에 의해 전기동력으로 각 휠의 제동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는 전기동력으로 생성되어 각 휠에 공급된 유압으로 제동력을 생성하는 전기유압식과, 각 휠에 공급된 전기동력을 사용하여 전기기계식 캘리퍼로 제동력을 생성하는 전기기계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는 진공 부스터를 사용하는 기존의 유압 브레이크 대비 빠르고 정밀한 제동 응답 성능, 패키지 레이아웃 간소화, 응용로직 개발의 용이함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기기계식 전동식 브레이크는 전동 액추에이터가 브레이크 캘리퍼에 병합되므로 기존의 저전압 차량 전원(12V) 기반으로 설계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모터 사이즈로 인해 차량 조향 시 또는 범프/바운드 시 주변 서스펜션 부품과의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가 하중량이 커지는 불리함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종래의 전동식 브레이크(한국공개특허 10-2013-0020045호)를 보여준다.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는 전기기계식 브레이크로서, 모터(100)와 감속기(110)로 구성된 액추에이터와 이에 연결된 스크류 및 너트 가압부재(120)가 브레이크 캘리퍼(130)에 병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 동력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동력을 만드는 동시에 감속기를 거쳐 출력하고, 계속해서 스크류를 통해 볼트-너트 매커니즘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패드를 가압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12V 차량 전원용으로 설계될 때, 모터 감속기로 구성된 전동 액추에이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전륜에 사용할 경우 조향 시 전동 액추에이터가 주변 서스펜션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현가 하중량이 증대하여 휠의 노면 접지력이 낮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 조향/제동/구동 성능 열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이중의 전원 소스를 사용하거나, 전원장치 고장 시를 대비한 유압 또는 기계적인 백업 제동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13-0079243호와 한국공개특허 10-2011-0079681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동 시 원치 않는 차량 요거동으로 쏠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좌우 제동력 차이를 최소화하고, 양쪽 휠 제동력을 위한 각각의 전동식 액추에이터 중 한 개가 고장 시 나머지 한 개로 양쪽 차륜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휠실린더까지의 유압라인이 1개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차륜쪽 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며, ABS 작동, 제동안정성 제어(ESC) 등 특별한 상황에서는 양쪽 휠 제동력이 독립적으로 제동될 수 있는 전륜 제동용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력으로 유압을 형성하며 메인 실린더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실린더와 서로 통하는 양쪽 2개의 유압 형성실 및 그 사이의 유압 이퀄라이져를 가지면서 각 휠측에 제동을 위한 유압력을 제공하는 메인 실린더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양측에 결합되어 각 유압 형성실 내에서의 유압 형성을 위해 마스터 실린더를 구동하는 2개의 전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와, 상기 기어장치측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음과 더불어 메인 실린더의 유압 형성실 내에 설치되며 서로 간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통해 유압을 형성하는 스핀들 및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메인 실린더에 있는 가운데의 유압 이퀄라이져와 어느 한 쪽의 유압 형성실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C)를 설치하여, 유압 형성실과 유압 이퀄라이져 간의 유압 전달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 이퀄라이져는 유압 형성실과 통하는 이퀄라이저 실린더와 상기 이퀄라이저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의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은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연장되어 접촉되는 각 이퀄라이져 로드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개재되는 이퀄라이져 스프링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서브 실린더와 메인 실린더 사이의 유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A)를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A)의 개폐작동에 의해 서브 실린더에서 형성된 유압이 메인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서브 실린더는 솔레노이드밸브(B)의 개폐작동에 의해 서브 실린더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페달 시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유압라인 한 개가 파손되거나 한 개의 액추에이터가 고장나더라도 최소한의 제동력을 확보함으로써 더욱 더 강화된 안전성능을 제공한다.
둘째, 현가 하중량이 증대되지 않아 핸들링 특성의 불리함이 없다.
셋째, 좌우 제동력 차이를 최소화하여 급제동 시 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유압 이퀄라이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전동식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원장치 고장 시를 대비한 유압 또는 기계적인 백업 제동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의 제동의지에 따라 조작이 가능한 브레이크 페달(10),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느끼게 해주는 페달 시뮬레이터(15), 유압력을 생성하는 마스터 실린더(16), 상기 마스터 실린더(16)를 구동하는 2개의 전동 액추에이터(17),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에 연결되어 유압력을 전달하는 2개의 유압라인(22a,22b), 상기 유압라인(22a,22b)에 각각 연결되고 브레이크 캘리퍼에 설치된 2개의 휠실린더(23),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7)를 제어하는 ECU(24),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서브 실린더(12)측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는 리저버(25)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라인(23a,23b)에는 압력 등으로 유압라인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유압센서(26)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에는 페달 트러블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로드(27)는 서브 실린더(12)의 피스톤측과 연결되며, 브레이크 페달(10)을 밟게 되면 서브 실린더(12)의 내부에서 유압이 형성되면서 이때의 형성된 유압은 페달 시뮬레이터(15)측 또는 메인 실린더(11)측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페달 시뮬레이터(15)는 서브 실린더(12)의 일측과 연결되며, 이때의 서브 실린더(12)와 페달 시뮬레이터(15) 사이의 유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B)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B)의 개폐작동에 의해 서브 실린더측 유압력이 페달 시뮬레이터(15)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밸브(B)의 ON 작동 시 서브 실린더측 유압력이 페달 시뮬레이터(15)에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B)의 OFF 작동 시 이때의 서브 실린더측 유압력은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달되지 않고 메인 실린더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마스터 실린더(16)는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로 구성되고, 이때의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는 실린더 하우징에 형성되는 유로(2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서브 실린더측에서 메인 실린더측으로 유압력이나 브레이크오일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실린더(11)의 하우징에는 서로 통하는 양쪽 2개의 유압 형성실(13a,13b) 및 그 사이의 유압 이퀄라이져(14)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운데의 이퀄라이져(14)를 사이에 두고 양옆에 1개씩의 유압 형성실(13a,13b)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이퀄라이져(14) 및 유압 형성실(13a,13b)은 서로 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유압 형성실(13a,13b)은 유압라인(22a,22b)을 통해 각 휠측에 있는 휠실린더(23)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유압 형성실(13a,13b)에서 형성된 유압력이 각 휠실린더(23)측으로 보내져 휠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를 이어주는 유로(28)는 서브 실린더(12)로부터 1개의 라인으로 연장되다가 3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가운데의 유압 이퀄라이져(14)와 양옆의 유합 형성실(13a,13b)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 사이의 유로에는 운전자 답력에 따른 유압이 메인 실린더(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A)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A)의 ON 작동 시 서브 실린더측에서 형성되는 유압력이 메인 실린더측으로 제공되고, 솔레노이드밸브(A)의 OFF 작동 시 서브 실린더측 유압력은 페달 시뮬레이터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실린더(11)에 있는 유압 이퀄라이져(14)와 양쪽의 유압 형성실(13a,13b) 중에서 어느 한쪽의 유압 형성실(예를 들면 13a) 사이의 유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C)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14) 내에서 발생된 유압은 솔레노이드밸브(C)의 개폐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압 형성실(13a)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C)의 ON 작동 시 유압 이퀄라이져측 유압력이 유압 형성실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되고, 솔레노이드밸브(C)의 OFF 작동 시 유압 이퀄라이져측과 유압 형성실측 사이가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실린더(12)와 페달 시뮬레이터(15) 사이,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 사이, 유압 이퀄라이져(14)와 유압 형성실(13a)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B,A,C)는 ECU(24)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A)와 솔레노이드밸브(C)는 노말리 오픈 타입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B)는 노말리 클로즈 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실린더(12)의 내부, 페달 시뮬레이터(15)의 내부, 메인 실린더(11)에 있는 유압 형성실(13a,13b)의 내부에는 각각 리턴스프링이 설치되어, 피스톤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14)는 양쪽의 유압 형성실(13a,13b) 사이에 설치되며, 두 개의 피스톤을 내장하여 3개의 격실을 형성한다.
이 중 양측실은 유압 형성실(13a,13b)과 연통되도록 개구, 즉 유로가 구비되고, 중앙실은 솔레노이드밸브(A)를 통해 서브 실린더(12)와 연통되도록 개구가 구비된다.
즉,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14)는 유압 형성실(13a,13b)과 통하는 이퀄라이저 실린더(14a)와 이 이퀄라이저 실린더(14a)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2개의 격실을 조성함과 더불어 유압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14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퀄라이져 실린더(14a)의 내부에 조성되는 3개의 격실에는 각각 스프링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스프링 중에서 이퀄라이져 피스톤(14b)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은 이퀄라이져 스프링(14d)으로서, 양쪽의 이퀄라이져 피스톤(14b) 간의 일정간격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이퀄라이져 실린더(14a)의 내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이퀄라이져 피스톤(14b)은 서로가 마주보고 있는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이퀄라이져 로드(14c)를 통해 서로 접촉하면서 서로 간의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2).
한편,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구동을 위한 수단으로 2개의 전동 액추에이터(17)가 마련되고, 상기 각 전동 액추에이터(17)는 메인 실린더(11)의 양측에 하나씩 배속되어 메인 실린더(11)가 가지는 각 유압 형성실(13a,13b) 내에서의 유압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11)의 하우징 단부에는 액추에이터 하우징(31)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하우징(31)의 외부 일측에는 모터(18)가 설치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서로 치합 전동가능한 제1기어(19a)와 제2기어(19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어장치(1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19a)는 모터(18)의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19b)의 축에는 후술하는 스핀들(2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18)의 동력은 제1기어(19a)와 제2기어(19b) 간의 전동(감속)을 통해 스핀들(2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실린더(11)의 하우징 내부, 즉 유압 형성실(13a,13b)과 통하는 하우징 내부에는 서로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스핀들(20)과 피스톤(21)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21)은 기어장치(19)의 제2기어(19b)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21)은 스핀들과의 스크류 전동을 통해 유압 형성실(13a,13b)의 내부에서 전후진 직선운동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스핀들(2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 전동에 의해 피스톤(21)이 전진하면서 유압 형성실(13a,13b) 내에서 유압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스핀들(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 전동에 의해 피스톤(21)은 스프링 힘을 받으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1)은 메인 실린더(11)의 하우징 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9)을 따라 안내되는 후단의 가이드돌기(3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핀들(20)의 경우 하우징 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에 의한 회전안내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정상 작동 시 상태로서, 유압 이퀄라이져(14)에 의해 좌우 편 제동이 방지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전동 액추에이터(17)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21)이 전진하면서 유압 형성실(13a,13b)에 생긴 유압력은 각 유압라인을 통해 양쪽 휠측으로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C)는 열림(ON) 상태이고, 모터 2개 모두 작동하는 상태이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피스톤(24b)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이므로, 유압 이퀄라이져(14)의 격실측 유압력 또한 유압 형성실(13a)을 통해 각 휠측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B)는 열림 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A)는 닫힘(OFF) 상태이므로, 운전자 답력은 그대로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해진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좌우 독립 제동 시 상태로서, ABS, ESC 작동 시와 같이 좌우 독립제동이 사용될 경우를 보여준다.
전동 액추에이터(17)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21)이 전진하면서 유압 형성실(13a,13b)에 생긴 유압력은 각 유압라인을 통해 양쪽 휠측으로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C)는 닫힘 상태이고, 모터 2개 모두 작동하는 상태이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피스톤(24b)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B)는 열림 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A)는 닫힘(OFF) 상태이므로, 운전자 답력은 그대로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해진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라인 1개 파손 시의 상태로서, 유압라인 정상측 모터를 작동시켜 제동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전동 액추에이터(17)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21)이 전진하면서 유압 형성실(13b)에 생긴 유압력은 정상측 유압라인을 통해 한쪽 휠측으로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C)는 닫힘 상태이고, 정상측 모터 1개만 작동하는 상태이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피스톤(24b)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B)는 열림 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A)는 닫힘(OFF) 상태이므로, 운전자 답력은 그대로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해진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1개 고장 시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정상 작동되는 전동 액추에이터(17)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21)이 전진하면서 유압 형성실(13b)에 생긴 유압력은 각 유압라인을 통해 양쪽 휠측으로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C)는 열림(ON) 상태이고, 정상 모터만 작동하는 상태이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피스톤(24b)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이므로. 유압 이퀄라이져(14)의 격실측 유압력 또한 유압 형성실(13a)을 통해 휠측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B)는 열림 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A)는 닫힘(OFF) 상태이므로, 운전자 답력은 그대로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해진다.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원 고장 시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운전자 답력에 의한 페달 작동력으로 서브 실린더(12)에 유압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유압은 유압 이퀄라이져(14)의 중앙 격실로 공급되며, 계속해서 양쪽의 이퀄라이져 피스톤(14a)이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유압력은 유압 형성실(13a,13b)를 거쳐서 각 유압라인을 통해 양쪽 휠측으로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A)와 솔레노이드밸브(C)는 열림 상태이고, 솔레노이드밸브(B)는 닫힘 상태이며, 운전자 답력은 페달 시뮬레이터(15)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유 충전 시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전동 액추에이터(17)의 모터 작동에 의해 유압 형성실(13a,13b)에 있는 피스톤(21)이 초기 위치로 후진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밸브(A), 솔레노이드밸브(B) 및 솔레노이드밸브(C)는 모두 열림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리버저(25)의 브레이크유는 서브 실린더(12), 페달 시뮬레이터(15), 메인 실린더(11)의 유압 형성실(13a,13b)로 공급되어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전동 액추에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의 조합을 적용하여 전원 장치 고장 시를 대비한 유압 또는 기계적인 백업 제동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더욱 더 강화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브레이크 페달 11 : 메인 실린더
12 : 서브 실린더 13a,13b : 유압 형성실
14 : 이퀄라이져 14a : 이퀄라이져 실린더
14b : 이퀄라이져 피스톤 14c : 이퀄라이져 로드
14d : 이퀄라이져 스프링 15 : 페달 시뮬레이터
16 : 마스터 실린더 17 : 전동 액추에이터
18 : 모터 19 : 기어장치
19a : 제1기어 19b : 제2기어
20 : 스핀들 21 : 피스톤
22a,22b : 유압라인 23 : 휠실린더
24 : ECU 25 : 리저버
26 : 유압센서 27 : 페달로드
28 : 유로 29 : 가이드홈
30 : 가이드돌기 31 : 액추에이터 하우징

Claims (8)

  1. 브레이크 페달(10);
    상기 브레이크 페달(10)의 작동력으로 유압을 형성하며 메인 실린더(11)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실린더(12)와 서로 통하는 양쪽 2개의 유압형성실(13a,13b) 및 그 사이의 유압 이퀄라이져(14)를 가지면서 각 휠측에 제동을 위한 유압력을 제공하는 메인 실린더(11)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16);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양측에 결합되어 각 유압 형성실(13a,13b) 내에서의 유압 형성을 위해 마스터 실린더(16)를 구동하는 2개의 전동 액추에이터(17);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유압 이퀄라이져(14)는 유압 형성실(13a,13b)과 통하는 이퀄라이저 실린더(14a)와 상기 이퀄라이저 실린더(14a) 내에 배치되어 유압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14b)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14b)은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연장되어 접촉되는 각 이퀄라이져 로드(14c)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17)는 모터(18)와, 상기 모터(18)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19)와, 상기 기어장치(19)측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음과 더불어 메인 실린더(11)의 유압 형성실(13a,13b) 내에 설치되며 서로 간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통해 유압을 형성하는 스핀들(20) 및 피스톤(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메인 실린더(11)에 있는 가운데의 유압 이퀄라이져(14)와 어느 한 쪽의 유압 형성실(13a 또는 13b)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C)가 설치되어, 유압 형성실(13a 또는 13b)과 유압 이퀄라이져(14) 간의 유압 전달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이퀄라이져(14)의 2개의 이퀄라이저 피스톤(14b)은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개재되는 이퀄라이져 스프링(14d)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서브 실린더(12)와 메인 실린더(11) 사이의 유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A)가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A)의 개폐작동에 의해 서브 실린더(12)에서 형성된 유압이 메인 실린더(11)로 제공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6)의 서브 실린더(12)는 솔레노이드밸브(B)의 개폐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페달 시뮬레이터(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40104270A 2014-08-12 2014-08-12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60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70A KR101601462B1 (ko) 2014-08-12 2014-08-12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70A KR101601462B1 (ko) 2014-08-12 2014-08-12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76A KR20160019676A (ko) 2016-02-22
KR101601462B1 true KR101601462B1 (ko) 2016-03-09

Family

ID=5544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270A KR101601462B1 (ko) 2014-08-12 2014-08-12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6369B1 (en) 2019-05-20 2020-11-17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 booster having force-feedback-control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683B1 (ko) * 2017-02-02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동 장치
DE102017220686A1 (de) * 2017-11-20 2019-05-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Druckbereitstellungsanordnung, Bremssystem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CN108016420A (zh) * 2017-12-20 2018-05-11 芜湖伯特利电子控制系统有限公司 电子线控制动系统的主缸结构
KR20200056223A (ko) * 2018-11-14 2020-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브레이크 부스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84A (ja) * 2001-08-22 2003-05-14 Denso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KR101028380B1 (ko) *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391A (ko) * 2010-09-24 2012-04-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일세이프강화 타입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
KR20120045597A (ko) * 2010-10-29 2012-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84A (ja) * 2001-08-22 2003-05-14 Denso Corp 電動ブレーキ装置
KR101028380B1 (ko) * 2010-10-29 2011-04-13 주식회사 군영 부스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6369B1 (en) 2019-05-20 2020-11-17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 booster having force-feedback-contro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76A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818B1 (ko) 두개의 압력 소스들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두 방법들
KR102272226B1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1548406B1 (ko) 차량용 제동 시스템
JP5136592B2 (ja) ブレーキ装置
CN111512060A (zh) 具有多个压力源的制动系统
JP6219186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601462B1 (ko) 차량의 전기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US7780246B2 (en) Brake system
JP5240237B2 (ja) ブレーキ装置
US9174617B2 (en) Brak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07660188B (zh) 电动液压机动车辆制动系统以及用于操作该系统的方法
JP5516819B2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20200216052A1 (en) Vehicle brake system with auxiliary control unit
KR102286836B1 (ko) 차량용 제동 장치
WO2012039411A1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
US11904819B2 (en) Vehicle brake system
JP5626414B2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JP6040306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CN108860105B (zh) 车辆用制动系统
JP6200059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20160099950A (ko) 드래그 저감을 위한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CN111511616A (zh) 具有制动踏板单元的车辆制动系统
JP5459371B2 (ja) ブレーキ装置
JP2008062782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5708743B2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