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090B1 -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 Google Patents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090B1
KR101601090B1 KR1020150096422A KR20150096422A KR101601090B1 KR 101601090 B1 KR101601090 B1 KR 101601090B1 KR 1020150096422 A KR1020150096422 A KR 1020150096422A KR 20150096422 A KR20150096422 A KR 20150096422A KR 101601090 B1 KR101601090 B1 KR 1016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odgate
watertight
watertightness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철
Original Assignee
장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식 filed Critical 장경식
Priority to KR102015009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보 하단의 하층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이나 하천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에 수문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가동보의 수문과 접촉되는 수밀부재를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수밀부재를 수문과 분리시켜 수문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수문의 유공압식 수밀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에 있어서, 수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에 접촉 및 분리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수용홈이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Water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operation dam for lower emissions}
본 발명은 가동보의 하단의 하층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이나 하천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에 길이가 가변되어 가동보의 수문과 접촉되는 수밀부재를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수밀부재를 수문과 분리시켜 수문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수문의 유공압식 수밀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물의 흐름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로 강이나 하천, 저수지, 댐 등의 수로에 설치되고, 이러한 수문은 크게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하는 수동식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문을 개폐하는 자동식으로 분류되며 근래에는 자동식 수문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자동식 수문 중 회전식 수문은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수문의 규모가 큰 경우에 수문이 대형화되어 조작시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과 수문의 좌우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들과의 밀폐가 어려워 그 틈새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문에 지수고무를 부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수문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수문의 개폐시에 지수고무와 프레임들과의 마찰 및 수로 하층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지수고무가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파손된 틈새로 다량의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지수고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지수고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구조가 개발되어 있으나, 압력의 저하시에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함께 변형되는 지수고무의 재질이 장시간 사용시에는 쉽게 경화되어 이를 교체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수고무의 내부에 유체 또는 기체를 주입 배출시켜 지수고무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문도 개발되고 있으나, 수문에 지수고무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 수문의 하중이 증가되어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예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73375호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의 하부와 바닥프레임의 사이에 수밀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수문내부에 브래킷(803)을 설치하고, 브래킷(803)에 핸들(802)을 설치하며, 핸들(802)의 일측말단에 승강재(801)를 하부방향으로 설치하는 한편, 승강재(801)의 하부에 설치되되, 수문의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체(800) 및 승강체(800)의 하부에 수밀고무(804)를 설치하여 수문의 하부와 바닥프레임의 사이의 수밀상태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수문에 브래킷(803), 핸들(802), 승강재(801) 및 승강체(800) 등의 구성이 설치되어 있어 수문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회전식 수문 등 작동에 의해 바닥프레임과 접하는 면적이 달라지는 수문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491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863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수문은 수문에 부착된 지수고무가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지수고무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 수문에 장착되어 수문을 구동시키는 에너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수문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에 길이가 가변되는 수밀부재를 설치하여 수문에 접촉시킴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육지(강, 하천 등) 또는 바다(간척지 등)의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에 있어서, 수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에 접촉 및 분리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수용홈이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밀부재는 바닥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와 로드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바닥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기어와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래크바와 래크바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는 수로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에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과 접촉 및 분리되는 수밀부재를 설치하여 수문의 작동 후 틈새를 막음으로써, 수밀부재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수문을 작동시키지 않고 필요에 따라 수밀부재를 수문과 분리시켜 수문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와 수밀부재의 부수적인 구성이 수문에 설치되지 않아 수문의 작동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문의 지수장치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밀부재가 수문에 접촉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밀부재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전축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가동보 수문(10)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문(10)의 하부에 설치된 바닥프레임(20)에 수문(10)이 개폐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가이드홈(22)과 수문(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길이가 가변되는 수밀부재(30)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수밀부재를 수문(10)과 분리시켜 수문(10)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10)에 있어서, 수문(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홈(22)이 형성된 바닥프레임(20);과 바닥프레임(20)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수밀부재(30);를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가이드홈(22)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수용홈(26)이 형성된 경사면(24)을 더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32);와 실린더(32)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34);와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거나,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기어(31);와 기어(3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래크바(33);와 래크바(33)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를 더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드(34)와 래크바(33)는 타측 내부에 탄성체(3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래이트(36)는 로드(34) 또는 래크바(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성체(35)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2 내지 도면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본 발명의 수문(10)은 수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문(10)의 하부에 틈(미표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고, 본 발명에서는 섹터 게이트(sector gate) 방식의 회전식 수문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닥프레임(20)은 수문(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문(10)이 안내되어 개폐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 것으로서,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사각형태의 프레임 또는 H빔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수밀부재(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프레임(20)의 가이드홈(22)은 일측 즉, 수문(10)이 설치되는 가동보의 내측에 하부방향 즉, 수로의 바닥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수용홈(26)이 관통형성된 경사면(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미표시)과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함께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경사면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즉, 수문(10)과 가이드홈(22) 사이에서 이후에 설명될 수밀부재(30)가 작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10)에 접촉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32)와 실린더(32)에 의해 타측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34)와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밀부재(30)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0)의 전방 즉, 가동보 내측방향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 즉,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밀부재(30)는 수문(10)을 작동시키지 않고, 필요시 하층수 및 하층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가동보의 내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 수문(10)과 분리되고, 가이드홈(22)의 경사면(24)에 의해 형성된 확장공간(미표시)을 통해 좁은 틈으로 하층수가 이동될 때 수압이 증가되면서 수밀부재(30)에 부딪쳐 와류가 발생하여 하층수에 쌓인 이물질이 하층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실린더(32)는 바닥프레임(20)의 전방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로드(34)는 실린더(32)와 함께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실린더(32)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6)는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고,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플레이트(36)와 지수고무(38)는 실린더(32)에 의해 로드(3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실린더(32)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수평방향 즉,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밀성이 향상되고, 실린더(32)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가동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실린더(32)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로드(34)와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실린더(32)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수고무(38)는 수용홈(26)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32)와 로드(34) 및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을 방지하고,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만 수용홈(26)에 관통설치되어 물에 노출되도록 하며, 수용홈(26)의 상부와 하부에는 리테이너(retainer) 등의 기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지수고무(38)의 인입출 시 수용홈(26)을 통해 바닥프레임(20)의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몸체(38a)와 지수몸체(38a)의 타측에 형성되되, 지수몸체(38a)의 높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지수헤드(38b)로 구성되고, 지수헤드(38b)가 더 큰 면적으로 수문(10)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지수헤드(38b)의 단면 형상은 다각의 형상 중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에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원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로드(34)는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내부에 탄성체(3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6)가 로드(3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성체(35)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지수고무(38)가 수문(10)에 접촉 시 지속적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즉, 지수고무(38)가 부식이나 수문(10)과의 마찰에 의해 미미하게 손상되면 수밀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탄성체(35)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수고무(38)를 수문(10)방향으로 가압하여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10)에 접촉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기어(31)와 기어(31)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래크바(33)와 래크바(33)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밀부재(30)는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0)의 전방 즉, 가동보 내측방향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 즉,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밀부재(30)는 수문(10)을 작동시키지 않고, 필요시 하층수 및 하층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가동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과 분리되고, 가이드홈(22)의 경사면(24)에 의해 형성된 확장공간(미표시)을 통해 좁은 틈으로 하층수가 이동될 때 수압이 증가되면서 수밀부재(30)에 부딪쳐 와류가 발생하여 하층수에 쌓인 이물질이 하층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기어(31)는 바닥프레임(20)의 전방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래크바(32)는 기어(31)와 함께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되, 기어(31)의 회전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기어(31)는 회전축(37)과 함께 회전하여 래크바(3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도면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0)의 전방 내부 즉, 기계실 또는 옹벽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부에 모터 등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축(미표시)과 회전축(37)이 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베벨기어로 연결되어 수동 또는 전동으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축(37)과 기어(31)가 회전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고정플레이트(36)는 래크바(32)의 타측말단에 결합되고,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플레이트(36)와 지수고무(38)는 기어(31)에 의해 래크바(32)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기어(31)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수평방향 즉, 가동보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밀성이 향상되고, 기어(31)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가동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기어(31)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래크바(33)와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지지되어 기어(31)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수고무(38)는 수용홈(26)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어(31)와 래크바(33) 및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을 방지하고,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만 수용홈(26)에 관통설치되어 물에 노출되도록 하며, 수용홈(26)의 상부와 하부에는 리테이너(retainer) 등의 기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지수고무(38)의 인입출 시 수용홈(26)을 통해 바닥프레임(20)의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몸체(38a)와 지수몸체(38a)의 타측에 형성되되, 지수몸체(38a)의 높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지수헤드(38b)로 구성되고, 지수헤드(38b)가 더 큰 면적으로 수문(10)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지수헤드(38b)의 단면 형상은 다각의 형상 중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에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원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래크바(33)는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내부에 탄성체(3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6)가 래크바(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성체(35)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지수고무(38)가 수문(10)에 접촉 시 지속적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즉, 지수고무(38)가 부식이나 수문(10)과의 마찰에 의해 미미하게 손상되면 수밀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탄성체(35)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수고무(38)를 수문(10)방향으로 가압하여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10)에 접촉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32)와 실린더(3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34)와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밀부재(30)는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0)의 전방 즉, 가동보 내측방향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상부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밀부재(30)는 수문(10)을 작동시키지 않고, 필요시 하층수 및 하층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문(10)과 바닥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밀부재(30)가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 수문(10)과 분리되고, 가이드홈(22)의 경사면(24)에 의해 형성된 확장공간(미표시)을 통해 좁은 틈으로 하층수가 이동될 때 수압이 증가되면서 수밀부재(30)에 부딪쳐 와류가 발생하여 하층수에 쌓인 이물질이 하층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실린더(32)는 바닥프레임(20)의 전방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로드(34)는 실린더(32)와 함께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실린더(3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6)는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고,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플레이트(36)와 지수고무(38)는 실린더(32)에 의해 로드(34)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실린더(32)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에 접촉되어 수밀성이 향상되고, 실린더(32)의 작동으로 지수고무(38)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수문(10)의 하단으로 하층수 및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실린더(32)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로드(34)와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실린더(32)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수고무(38)는 수용홈(26)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32)와 로드(34) 및 고정플레이트(36)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식 및 고장을 방지하고,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만 수용홈(26)에 관통설치되어 물에 노출되도록 하며, 수용홈(26)의 일측과 타측에는 리테이너(retainer) 등의 기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지수고무(38)의 인입출 시 수용홈(26)을 통해 바닥프레임(20)의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수고무(38)는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몸체(38a)와 지수몸체(38a)의 타측에 형성되되, 지수몸체(38a)의 높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지수헤드(38b)로 구성되고, 지수헤드(38b)가 더 큰 면적으로 수문(10)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지수헤드(38b)의 단면 형상은 다각의 형상 중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에 접촉력을 높이기 위해 원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로드(34)는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내부에 탄성체(3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6)가 로드(3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성체(35)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지수고무(38)가 수문(10)에 접촉 시 지속적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즉, 지수고무(38)가 부식이나 수문(10)과의 마찰에 의해 미미하게 손상되면 수밀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탄성체(35)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수고무(38)를 수문(10)방향으로 가압하여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3에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린더(32)와 로드(34)의 구성을 대신하여 각각 기어(31)와 래크바(33)를 적용하여 실시가능 함은 자명할 것이고, 래크바(33)는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미표시)가 기어(31)의 톱니에 걸려 이동되도록 하거나, 기어(31)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 톱니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고정플레이트(36)는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타측말단에 지수고무(38)가 고정설치되거나, 'ㄴ' 형태로 지수고무(38)가 안착된 후 고정되어 설치되어 지수고무(38)가 인출되는 한계를 설정하여 과도한 작동을 방지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수밀부재(30)는 수문(10)의 개폐 작동 후 수문(10)이 어떠한 형태로 멈춰 있어도, 수문(10)의 전면, 즉, 가동보의 내측방향의 면에 수밀부재(30)가 밀착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22)의 경사면(24)에 어떠한 각도로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되어도 수밀부재(30)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수문 20 : 바닥프레임
22 : 가이드홈 24 : 경사면
26 : 수용홈 30 : 수밀부재
31 : 기어 32 : 실린더
33 : 래크바 34 : 로드
35 : 탄성체 36 : 고정플레이트
37 : 회전축 38 : 지수고무
38a : 지수몸체 38b : 지수헤드

Claims (4)

  1.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10)에 있어서,
    수문(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홈(22)이 형성된 바닥프레임(20);과
    바닥프레임(20)에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수문(10)에 접촉 및 분리되는 수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기어(31);와
    기어(3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래크바(33);와
    래크바(33)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2)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수용홈(26)이 형성된 경사면(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32);와
    실린더(32)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34);와
    로드(34)의 타측말단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6); 및
    고정플레이트(36)의 타측에 결합되는 지수고무(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4. 삭제
KR1020150096422A 2015-07-07 2015-07-07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KR10160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22A KR101601090B1 (ko) 2015-07-07 2015-07-07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22A KR101601090B1 (ko) 2015-07-07 2015-07-07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090B1 true KR101601090B1 (ko) 2016-03-08

Family

ID=5553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422A KR101601090B1 (ko) 2015-07-07 2015-07-07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445A (ko) * 2007-01-24 2007-11-12 한상관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798630B1 (ko) 2007-07-02 2008-01-28 주식회사 우승산업 회전식 수문의 수밀장치
KR100849174B1 (ko) 2007-07-06 2008-07-30 장태영 여울작용을 하는 회전형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445A (ko) * 2007-01-24 2007-11-12 한상관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798630B1 (ko) 2007-07-02 2008-01-28 주식회사 우승산업 회전식 수문의 수밀장치
KR100849174B1 (ko) 2007-07-06 2008-07-30 장태영 여울작용을 하는 회전형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423B (zh) 可调式水围堰
KR101638160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게이트
CN113684793B (zh) 一种可自动清理的水利工程用闸门装置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CN108060712B (zh) 一种防水车库
KR101405016B1 (ko)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KR101601090B1 (ko) 가동보 하단 배출용 지수장치
KR101276031B1 (ko) 방류형 수문
CN113668465B (zh) 一种水利工程施工中堤防溃口警示装置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JP4880544B2 (ja) 防水扉装置
CN210217291U (zh) 一种地下车库防淹门排水装置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101953344B1 (ko) 역류방지용 덮개 및 이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20000027657A (ko) 조력발전기
KR101977546B1 (ko) 이중수밀구조를 갖는 라이징 섹터게이트 구조
US3377810A (en) Pumping apparatus for drydock and caisson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KR101885903B1 (ko) 수문 시스템
KR101285341B1 (ko)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CN211143010U (zh) 一种排水闸
CN216515427U (zh) 一种水利工程防渗结构
KR200433102Y1 (ko) 인양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