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373B1 -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373B1
KR101600373B1 KR1020140088238A KR20140088238A KR101600373B1 KR 101600373 B1 KR101600373 B1 KR 101600373B1 KR 1020140088238 A KR1020140088238 A KR 1020140088238A KR 20140088238 A KR20140088238 A KR 20140088238A KR 101600373 B1 KR101600373 B1 KR 10160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script
presentation
data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291A (ko
Inventor
최병석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지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아이(주) filed Critical 지앤아이(주)
Priority to KR102014008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98Creation of a soft photo presentation, e.g. digital slide-sh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제어신호를 스크립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이벤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CONTENTS PLAY}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젠테이션 자료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자료를 별도의 기기에 구비하고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페이지 넘김 등의 플레이와 스크립트 자료의 페이지 넘김 등의 플레이어를 서로 연동하여 함으로써, 발표자가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 간의 플레이를 별도로 각각 제어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를 주시하며 발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는 바로 화술이다. 특히 프리젠테이션 능력은 화술의 일부분으로 영업, 기획, IT 등의 분야를 막론하고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실제 사례로 스티브 잡스를 꼽을 수 있다. 스티브 잡스는 혁신적인 기업 CEO일뿐만 아니라 훌륭한 프리젠테이터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놀라운 프리젠테이션 능력은 애플 제품의 성능,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단순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가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쏟은 열정과 노력을 어필하여 듣는 이에게 감동을 주기 때문에 많은 이들에게 추앙 받는다. 또한 2018 동계올림픽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프리젠테이션을 꼽을 수 있다. 동계올림픽에 선정된 후 김연아 선수와 나승연 대변인의 프리젠테이션은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다
이처럼 소통(Communication)이 화두에 오르기 시작한 이래로 프리젠테이션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거론되기 시작했으며 심지어 근래에는 면접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능력을 면접관이 평가하여 채용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2009년 대한프리젠테이션협회(KPA:Korea Presentation Association)가 설립되어 프리젠테이션 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기업에서도 개별적으로 프리젠테이션 대회를 개최할 정도로 프리젠테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고 기업의 모든 업무는 프리젠테이션에서 시작되며 기업의 성패가 프리젠테이션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종래의 프리젠테이션 환경은 발표자가 프리젠테이션 자료에 대응하는 원고(스크립트)를 암기하거나 별도의 원고지로 작성하여 해당 원고지를 일일이 읽어가며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발표자의 개인능력에만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과 스마트 패드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의 보급이 활성화되어, 발표자가 원고를 자신의 단말기에 따로 저장하여 이를 통해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방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발표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원고를 읽어가며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편리함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페이지 넘김 등의 플레이 제어에 대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제어와 원고자료의 제어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이 역시 또 다른 불편한 발표환경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프리젠테이션 환경의 불편함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를 동시에 시청하면서도 발표자가 보다 편리한 환경에서 프리젠테이션 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젠테이션 자료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자료를 별도의 기기에 구비하고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페이지 넘김 등의 플레이와 스크립트 자료의 페이지 넘김 등의 플레이어를 서로 연동하여 함으로써, 발표자가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 간의 플레이를 별도로 각각 제어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를 주시하며 발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제어신호를 스크립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이벤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각 페이지 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하고,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음성인식모듈을 유지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페이지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하며,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 발화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에 따르면, 발표자가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 간의 플레이를 별도로 각각 제어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와 스크립트 자료를 주시하며 발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잇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에 따르면, 스크립트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진행시간에 대한 타이머 정보와 초과된 시간이나 부족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발표자가 주시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표자가 효율적인 시간 배분을 도모하면서 스크립트를 통해 긴장감을 최소화하여 보다 스마트하게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립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T 페이지 및 SR 페이지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제1 디바이스(110), 제2 디바이스(120),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기기(140)에 연결될 수 있는데,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는 컴퓨터 및 영상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발표자가 파지하는 휴대기기로 프리젠테이션의 플레이, 예를 들어 페이지 넘김 등의 이벤트 동작의 제어를 입력하는 버튼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별도의 개인휴대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동작의 각 실시예에 따라 구성 및 동작 형태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동작은 3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3가지 실시예에 따른 각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제1 디바이스(110), 제2 디바이스(120), 및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저장하는 USB 등의 저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제2 디바이스(120)나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1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의 제어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정된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도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넘김 등의 이벤트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제어신호를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전송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유지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하나 이상의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스크립트 표시영역(210), 현재 페이지정보 표시영역(211), 전체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220), 현재 페이지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230), 타임오버 알람 표시영역(221, 231), 지난 페이지에 대한 부족시간/초과시간 누적 표시영역(240)을 포함한다.
스크립트 표시영역(210)에는 스크립트나 핵심 키워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현재 페이지정보 표시영역(211)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스크립트의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전체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220)에는 해당 프리젠테이션의 전체 발표시간이 타이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체 발표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페이지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230)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페이지 별로 할당된 발표시간이 타이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타임오버 알람 표시영역(221, 231)에는 전체발표시간과 페이지 별 발표시간이 초과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알람표식이 표시될 수 있다.
지난 페이지에 대한 부족시간/초과시간 누적 표시영역(240)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발표시간의 부족과 초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전체발표시간이 12분이고, 발표할 페이지가 24페이지이며, 각 페이지 별로 30초씩 발표시간이 할당되었는데, 발표자가 1 페이지를 20초만에 종료하고 2페이지를 발표하는 경우, 지난 페이지에 대한 부족시간/초과시간 누적 표시영역(240)에는 "-0:10" 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표자는 자신의 현재 발표속도를 전체발표시간과 비교하면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제2 디바이스(120)로부터 상기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 동작은 페이지 넘김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페이지에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페이지가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기기(310)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페이지 중 제1 PT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여 제1-1 SR 페이지, 제1-2 SR 페이지, 제1-3 SR 페이지가 스크립트 페이지로 설정되어 스크립트 디바이스(320)에 각각 번갈아 가며 표시될 수 있다.
발표자는 제1 PT 페이지 내용을 발표하는 경우, 제1-1 SR 페이지, 제1-2 SR 페이지, 제1-3 SR 페이지의 내용을 참고하면서 발표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립트 디바이스(320)에는 한번에 하나의 SR 페이지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기기(310)에는 제1 PT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며, 스크립트 디바이스(320)에는 제1-1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발표자는 스크립트 디바이스(320)의 SR 페이지를 다음 페이지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2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페이지 넘김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제2 디바이스(120)는 이를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전송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페이지 넘김 이벤트 제어신호를 제2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1-1 SR 페이지에서 상기 제1-2 SR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이벤트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제1-2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제1-3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제2 디바이스(120)로부터 페이지 넘김 이벤트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수단에는 제2-1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PT 페이지에서 제2 PT 페이지로 페이지 넘김 이벤트가 실행되도록 제1 디바이스(11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화면(141)에는 제2 PT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에는 제2 PT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2-1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발표자는 스크립트 데이터의 페이지 넘김을 제어하는 동작만으로 프리젠테이션 페이지가 그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면서 보다 편안하게 발표를 진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제1 디바이스(110) 및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로 제공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와,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각 페이지 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함께 음성인식모듈을 구비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변환되는 텍스트가 포함하는 각 단어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와 실시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특정단어가 스크립트 데이터의 제1 페이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1 페이지 식별단어와 동일한 것으로 판독하는 경우,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페이지가 상기 제1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발표자는 특별한 동작을 할 필요 없이, 페이지 식별단어를 발화하는 동작만으로도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에 자신이 원하는 스크립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페이지 넘김 이벤트에 대응하는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는 "다음"이나 "이전" 등과 같은 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 상기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와 동일한 단어가 인식되는 경우,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스크립트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페이지 넘김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표자는 단지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를 인식하여 발화하는 것만으로도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에서 페이지 넘김 이벤트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 페이지 전환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페이지 전환 동작이 제2 실시예에서도 함께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는 제1 디바이스(110), 제2 디바이스(120), 및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구성된다.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로 제공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음성인식모듈을 구비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페이지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 발화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유지하고, 제2 디바이스(120)의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한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포함하는 단어와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서로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텍스트의 특정단어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PT 페이지 중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PT 페이지 식별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한 경우, 상제2 디바이스(120)는 프리젠테이션 화면(141)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페이지가 상기 제1 PT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제1 디바이스(11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기기(1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화면(141)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페이지가 상기 제1 PT 페이지로 전환되면, 제1 디바이스(110)는 프리젠테이션 화면(141)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이 제1 PT 페이지임을 판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전송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PT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SR 페이지를 유지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가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여 제1-1 SR 페이지 및 제1-2 SR 페이지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한 현재 PT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제1-1 SR 페이지 및 상기 제1-2 SR 페이지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스크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는 상기 스크롤 버튼을 통해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로 전송한다. 스크립트 디바이스(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SR 페이지의 페이지 스크롤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T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에 제1-1 SR 페이지 및 제1-2 SR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발표자는 제2 디바이스(120)의 상기 스크롤 버튼을 통해 스크립트 디바이스(130)에 표시되는 상기 제1-1 SR 페이지 및 상기 제1-2 SR 페이지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표자는 페이지 식별단어를 발화를 통해 프리젠테이션 페이지를 전환하면서, 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크립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페이지들은 파지하고 있는 제2 디바이스(120)의 스크롤 버튼조작만으로 간편하게 페이지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1 디바이스
120: 제2 디바이스
130: 스크립트 디바이스
140: 프리젠테이션 기기
141: 프리젠테이션 화면

Claims (10)

  1.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제어신호를 스크립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script)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이벤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상기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되며,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스크립트 표시영역, 현재 페이지정보 표시영역, 전체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 현재 페이지 플레이 시간 타이머 표시영역, 타임오버 알람 표시영역, 지난 페이지에 대한 부족시간/초과시간 누적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가 제1 PT 페이지 내지 제N PT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는 상기 각 PT 페이지마다 하나 이상의 SR 페이지가 각각 대응하여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여 제1-1 SR 페이지, 제1-2 SR 페이지, 제1-3 SR 페이지가 각각 설정되어 있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기기에는 상기 제1 PT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에는 상기 제1-1 SR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 제어신호의 일종인 페이지 넘김 이벤트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1 SR 페이지에서 상기 제1-2 SR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제1-3 SR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페이지 넘김 이벤트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PT 페이지에서 제2 PT 페이지로 페이지 넘김 이벤트가 실행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3. 삭제
  4.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및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각 페이지 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하고,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되는 텍스트가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각 페이지 중 제1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페이지 식별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한 경우,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페이지가 상기 제1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페이지 넘김 이벤트에 대응하는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 중 상기 페이지 넘김 식별단어와 동일한 텍스트 단어를 인식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스크립트 페이지가 다음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페이지 넘김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7.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유지하고, 프리젠테이션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를 상기 기기로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
    음성인식모듈을 유지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페이지마다 설정된 페이지 식별단어를 유지하며, 상기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텍스트로 인식하는 사용자 발화내용과 상기 페이지 식별단어를 비교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플레이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립트 데이터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스크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립트 데이터의 페이지 스크롤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되는 텍스트가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PT 페이지 중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PT 페이지 식별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한 경우, 상기 프리젠테이션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페이지가 상기 제1 PT 페이지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기기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PT 페이지를 판독하여 현재 PT 페이지 정보를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데이터의 각 PT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SR 페이지를 유지하며,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응하여 제1-1 SR 페이지 및 제1-2 SR 페이지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PT 페이지에 대한 현재 PT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1 SR 페이지 및 상기 제1-2 SR 페이지가 상기 스크립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KR1020140088238A 2014-07-14 2014-07-14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KR10160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38A KR101600373B1 (ko) 2014-07-14 2014-07-14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38A KR101600373B1 (ko) 2014-07-14 2014-07-14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91A KR20160008291A (ko) 2016-01-22
KR101600373B1 true KR101600373B1 (ko) 2016-03-07

Family

ID=5530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38A KR101600373B1 (ko) 2014-07-14 2014-07-14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4024B2 (en) 2017-12-15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interacting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331A (ko) * 2011-06-02 2012-12-12 (주)스마트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4024B2 (en) 2017-12-15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interacting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91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4453B1 (en) Full duplex communication for conversation between chatbot and human
CN107369462B (zh) 电子书语音播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00088096A1 (en) Hand held speech recognition device
KR20140100704A (ko) 음성 대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음성 대화 방법
US11064000B2 (en) Accessible audio switching for client devices in an online conference
US9047858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9474562A (zh) 标识的显示方法和装置、请求的响应方法和装置
CN111078078B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50286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860877A (zh) 客服作业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198375A (zh) 录音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300012A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1600373B1 (ko) 프리젠테이션 플레이 제어장치
CN103596051A (zh) 电视装置及其虚拟主持人显示方法
CN111684410A (zh) 语言呈现装置、语音呈现方法和语言呈现程序
CN109951741A (zh) 数据对象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6052501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の通知方法
CN115212543A (zh) 一种界面可切换健身系统
KR20220083887A (ko)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CN109361940A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系统和vr设备
JP4679463B2 (ja) 静止画像表示システム
WO2022131178A1 (ja) ウェブ会議システム
KR102631621B1 (ko) 목소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120631B1 (ko) 프리젠테이션 기기용 무선 데이터 송신장치 및 그 방법
CN207503174U (zh) 一种用于增强现实操控的ar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