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67B1 -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67B1
KR101599667B1 KR1020150029015A KR20150029015A KR101599667B1 KR 101599667 B1 KR101599667 B1 KR 101599667B1 KR 1020150029015 A KR1020150029015 A KR 1020150029015A KR 20150029015 A KR20150029015 A KR 20150029015A KR 101599667 B1 KR101599667 B1 KR 10159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 board
st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상
장동석
Original Assignee
포스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21V25/04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breaking the electr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 F21Y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무대에 설치된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하기 위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대 기계의 모터를 제어하고, 이하의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간 주고받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모터 제어기, 및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의 상태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포함한 모터 제어기와 상기 무대 조명들을 포함한 무대 조명 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대 조명들 또는 상기 모터를 그룹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제어하되, 마스터 제어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에 대한 각 동작 상태 또는 조합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콘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STAGE REMOTE CONTROL SYSTEM FOR LIGHTING AND DRIVING MOTOR}
본 발명은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에 설치된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하기 위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은 공연 시설의 무대에 설치된 각종 조명이나 음향기기 및 이벤트 기기를 포함한 무대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DMX512 신호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머(DIMMER)에 신호를 주어 각각의 등기구 및 LED 등기구에 전압을 인가하여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였다.
이 방식은 조명 기구에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색의 표현을 원하는 곳에서 각각의 등기구에 색상지(R,G,B,W)를 통해 표현하였다.
이때, 무대 기계와 조명 등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의 무대 원격 제어 시스템은 모터 제어보드, 마스터 제어보드 및 스위치부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모터 제어보드 및 마스터 제어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첫 번째, 무대 조명들과 무대 기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보드와 마스터 제어보드 사이에서 전송되는 속도 제어가 세밀하지 못하여 공연 막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두 번째, 조명등이나 무대 기계들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제어권이 마스터 제어보드에서 이루어지지 않아 이 또한 신속한 공연 막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 번째, 통신 두절이나 전원 공급 차단 및 써지, 과부하 및 트립 현상과 같이 모터 제어보드 및/또는 마스터 제어보드에서 발생되는 이상 현상에 대응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때 조명이 켜지지 않는 등 공연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았다.
네 번째, 종래의 모터 제어보드에는 리미트 제어부를 두어 비상 상황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 맞게 모터를 정지하였으나, 제때 정지되지 않았으며, 모터 제어보드에 구비된 인버터에게 운전 지령을 줄 때 통신으로 전달하였으나, 제한된 통신 속도로 인해 운전 지령에 대한 지연 조작이 발생하였다.
다섯 번째, 종래의 마스터 제어보드 및 스위치를 통한 제어 방식은 각종 조명이나 음향기기 및 이벤트 기기를 포함한 무대 기계들을 임의적으로 선택/상승/정지/하강의 제어 방식을 취하였으나 별개로 동작되어 이 또한 신속한 막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섯 번째,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 제어보드간 통신 두절이 발생하면, 무대 조명들과 무대 기계들이 모두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 제2012-0025363호, 공개일자 : 2012년 03월 15일, 발명의 명칭 : 라이트 디밍 전원공급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조이스틱과 마스터 볼륨을 두어 세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 조명 및/또는 무대 기계 등을 그룹화한 가상 그룹을 두어 선택/상승/정지/하강과 같은 제어를 동시에 그룹 제어하기 위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 인버터 접점 변환과 감지 센서 활용을 통해 안전하게 모터를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분배를 그룹화하여 통신 두절시에 대비하기 위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권을 마스터 제어 보드에 두어 비상시에 제어하기 위한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대 기계의 모터를 제어하고, 이하의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간 주고받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모터 제어기, 및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의 상태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포함한 모터 제어기와 상기 무대 조명들을 포함한 무대 조명 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대 조명들 또는 상기 모터를 그룹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제어하되, 마스터 제어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에 대한 각 동작 상태 또는 조합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콘솔을 포함하는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콘솔은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와 더불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을 선택적으로 상승, 정지 및 하강시켜 스위칭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선택하여 스위칭하고, 선택된 가상 그룹에 대하여 상승, 정지 및 하강을 동시에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값을 포함한 마스터 볼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선택적으로 속도 제어하는 조이스틱부, 및 상기 모터 제어보드 및 무대 제어기마다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인수하여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제어하는 제어권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분배기는 1 내지 8 그룹을 포함한 가상 통신 그룹으로 나누어져, 비상시 연결된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 제어보드간 선택적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통신 그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분배기는 연결된 상기 가상 통신 그룹의 상태를 LED 형태로 점멸시키는 LED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은 색상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속도값에 따른 과부하로 인하여 인버터에 인버터 트립이 발생할 경우 인버터 트립의 상태를 램프로 표시함과 동시에, 예비 인버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 및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비상 운전 상태-수동 운전 상태를 포함함-로 제어하는 비상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스위치부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보드에 연결된 모터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지 상태에 따라 상기 비상 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모터 제어보드는 상기 비상 운전 상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 또는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보드는 상기 비상 운전 상태가 발생될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접점 방식을 선택적으로 접점되도록 상기 접점 방식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연결을 그룹화하고,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그룹화한 가상 그룹화를 통해 해당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의 신속한 선택 및 조합 제어가 가능하여 막 전환 및 무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가상 그룹 제어를 통해 비상시 한번에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이스틱과 볼륨 조절이 용이한 마스터 볼륨을 통해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어, 막 전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 접점 방식을 통한 인버터 제어를 통해 비상시에도 모터를 구동시켜 계속적인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동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터 제어보드의 구성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콘솔의 스위치부 구성에 대한 일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터 제어보드의 구성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그룹의 등기구 및 LED 등기구의 배열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통신 분배기의 구성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무대 원격 제어의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제어 콘솔(100),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제어 콘솔(100)은 이후에 설명할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 등의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 콘솔(100)은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의 상태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후에 설명할 모터 제어기(200)와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제어한다.
더욱이, 제어 콘솔(100)은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무대 조명들, 예컨대 등기구(310) 및 LED 등기구(310)에 대한 신속한 디밍 제어를 위하여 무대 조명(미도시)들 및/또는 모터 제어기(200)의 모터(220)들을 그룹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1001)을 만들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콘솔(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1001), A 그룹 및 B 그룹에 대한 각 동작 상태 또는 조합된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1001)은 색상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및 노란색과 같은 색상이 가상 그룹(1001)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그룹(1001)의 제어는 주로 제어 콘솔(100)에 포함된 마스터 제어보드(11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보드(110)는 실적으로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스터 제어보드(110)는 차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반면, 모터 제어기(200)는 제어 콘솔(100)과 유선 통신(내부 통신), 예컨대 RS485 통신을 통해 제어 콘솔(100)과 연결된다. 이러한 모터 제어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220) 및 상기 모터(22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 제어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 제어보드(210)는 무대 기계의 모터(220)를 제어하고, 제어 콘솔(100)과 모터(220)간 주고받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터 제어보드(210)는 모터의 갯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제어보드(210)는 제어 콘솔(100)의 제어하에 있지만 독립적으로 모터(220)의 상태를 체크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터 제어보드(210)는 내부 통신을 통해 제어 콘솔(100)과 이중 통신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통신, 예컨대 모드 버스 프로토콜(Modbus Protocol)지원이 가능한 RS-485 통신모드, PLC모뎀 통신에 대비한 전력선통신모드, 낙뢰나 고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노이즈가 강한 광통신 모드 또는 이더넷(Ehternet)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무대 조명 제어기(300)는 무대 조명들(미도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등기구(310) 및 LED 등기구(310)를 제어하며, 제어 콘솔(1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등기구(310) 및 LED 등기구(310)와 제어 콘솔(100)간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무대 조명들은 제어 콘솔(100)에 의해 가상적으로 그룹화한 가상 그룹(1001)으로 분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대 조명 제어기(300)는 유선 통신(내부 통신) 예컨대 DMX 통신을 통해 제어 콘솔(10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무대 조명 제어기(300)는 앞서 설명한 등기구(310) 및 LED 등기구(310)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머(320)는 머저부(미도시)로부터의 선택 출력된 DMX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머수신부(미도시)와, 디머수신부 또는 마스터 제어보드(110)로부터의 조명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무대 조명등을 제어하고, 각 무대 조명등의 디밍 상태를 미믹보드 또는 마스터 제어보드(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디머(320)는 할로겐 등기구, LED 등기구 등의 상태신호 및 디밍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DMX 신호로 변환한 후, 마스터 제어보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머저부는 미믹보드로부터 출력된 조명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제1수신부(미도시)와, 마스터 제어보드(110)로부터의 조명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2수신부(미도시)와, 마스터 제어보드(110)로부터 출력된 조명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3수신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조명 제어 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밝기가 강한 조명 제어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제1비교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1 비교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선택된 조명 제어 신호를 디머 제어보드로 출력하는 머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제어 콘솔(100)은 앞서 간략히 마스터 제어보드(110)뿐만 아니라, 통신 분배기(120), 스위치부(130) 및 주변 입력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마스터 제어보드(110)는 주변 입력기(140), 예컨대 무선 리모콘의 디밍 제어신호 또는 모터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여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대 조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등기구 및/또는 LED 등기구를 포함하며, 무대 기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통합적으로 마스터 제어보드(110)에서 제어하게 된다.
통신 분배기(120)는 제어 콘솔(100)의 마스터 제어보드(110)와 모터 제어기(200)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어 콘솔(100)의 마스터 제어보드(110)와 모터 제어기(200)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통신 분배기(120)는 임의의 두 제어 콘솔(100)의 마스터 제어보드(110)와 모터 제어기(200)간 통신 두절(예: 물리적 또는 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두절이 발생함)이 발생할 경우 우회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1 내지 8 그룹을 포함한 가상 통신 그룹으로 나누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제어보드(110) 및 모터 제어기(200)는 가상 통신 그룹으로 나눠진 통신 분배기(120)를 통해 비상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 등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스위치부(130)는 모터 제어보드(210) 및/또는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각 스위치는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SELECT), 모터 및/또는 무대 조명들과 가상 그룹(1001)의 회전을 통해 무대 기계의 상승과 오픈을 위한 상승키(UP), 모터 및/또는 무대 조명들과 가상 그룹(1001)의 정지를 위한 정지키(STOP), 모터 및/또는 무대 조명들과 가상 그룹(1001)의 하강 또는 닫힘을 위한 하강키(DOWN)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대 기계 및/또는 무대 조명들을 선택적으로 상승, 정지 및 하강시켜 스위칭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1001)을 선택하여 스위칭하고, 선택된 가상 그룹(1001)에 대하여 상승, 정지 및 하강을 동시에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를 그룹화한 가상 그룹(1001)화를 통해 해당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의 신속한 선택 및 조합 제어가 가능하여 막 전환 및 무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변 입력기(140)는 리모콘 수신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모콘 수신기(141)는 관리자가 제어 콘솔(100)을 이용하여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조작하지만, 원격제어신호 수신이 가능한 리모콘 수신기(141)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 수신기(141)가 원격 조작되면, 이를 수신한 마스터 제어보드(110)가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어 콘솔(100)에 포함된 마스터 제어보드(110)의 관점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터 제어보드의 예>
도 2는 도 1의 마스터 제어보드의 구성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제어보드(110)는 입력부(111), 제어권 설정부(112), 중앙 제어부(113), 조명 제어부(114), PC 통신부(115), 통신 표시부(116), 전원부(117) 및 리모콘 수신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값을 포함한 마스터 볼륨 및 상기 마스터 볼륨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1001)을 선택적으로 속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이스틱은 가상 그룹(1001) 제어뿐만 아니라, 무대 조명들과 모터를 포함한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들과 주고받는 제어신 신호의 속도를 제어하며, 모터들과 무대 조명들의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어권 설정부(112)는 모터 제어기(200)의 모터 제어보드(210)마다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인수하여 모터 제어보드(210)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무대 조명 제어기(300)마다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인수하여 직접적으로 무대 등기구(310) 및 LED 등기구(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권을 인수하는 이유는 무대 조명 및 무대 기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무대 조명 및 무대 기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무대 조명과 무대 기계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상시, 예컨대 전원 이상, 각종 에러에 의한 동작 중지 등인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13)는 입력부(111) 및 제어권 설정부(112)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부(114), PC 통신부(115), 통신 표시부(116), 전원부(117) 및 리모콘 수신부(118)간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앙 제어부(113)는 제어 콘솔(100)과 모터 제어기(200)간 데이터 흐름 및 제어 콘솔(100)과 무대 조명 제어기(300)간 데이터 흐름을 더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제어부(113)의 제어하에 있는 각 구성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명 제어부(114)는 앞서 설명한 중앙 제어부(113)의 제어 명령에 따라 처리된 신호를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콘솔, 디머, 등기구 및 머저등으로 전송하고, 무대 조명 제어기(300)로부터 동작되거나, 처리된 결과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11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조명 제어부(114)는 중앙 제어부(113)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콘솔, 디머, 등기구, 머저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PC 통신부(115)는 주변 입력기(140)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142)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11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터치 입력은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동작과 상태와 관련한 데이터일 수 있다. 결국, 앞서 설명한 무선 리모콘(141)과 입력 형태만 다를 뿐 터치 입력을 통한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표시부(116)는 중앙 제어부(113)에 의해 처리된 모터 제어기(200) 및 무대 조명 제어기(300)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부(117)는 입력부(111), 제어권 설정부(112), 중앙 제어부(113), 조명 제어부(114), PC 통신부(115), 통신 표시부(116) 및 리모콘 수신부(118)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리모콘 수신부(118)는 리모콘 수신기(141)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중앙 제어부(113)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처리된 결과를 중앙 제어부(113)로부터 수신하여 리모콘 수신기(14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리모콘 수신기(14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무대 조명 제어기(300) 및 모터 제어기(200)의 상태(동작을 포함함)와 관련한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위치부의 예>
도 3은 도 1의 제어 콘솔의 스위치부 구성에 대한 일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콘솔(100)의 스위치부(130)는 선택부(131), 입력부(132), 비상 스위치부(133) 및 LED 표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131)는 가상 그룹(1001) 예컨대, A 그룹 및 B 그룹을 선택한다. 이때, A 그룹과 B 그룹은 색상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및 노란색과 같은 색상들이 각 그룹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들을 갖는 임의의 가상 그룹(1001)이 선택되면, 입력부(132)는 모터 및/또는 무대 조명들과 가상 그룹(1001)에 대하여 상승, 정지 및 하강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된 제어 신호는 마스터 제어보드(110)로 전송됨과 동시에 LED 표시부(135)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LED 표시부(135)는 해당 상태를 LED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LED 형태는 점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마스터 제어보드(110)의 마스터 볼륨이 조이스틱 또는 수동에 의해 조절됨에 따라, 모터 제어기(200)에서 과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부하 현상은 모터 제어기(200)에 포함된 인버터로 하여금 인버터 트립 현상을 유발시키고, LED 표시부(135)의 램프를 계속 커지도록 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비상 스위치부(133)는 인버터 트립의 상태를 LED 표시부(135)의 램프로 표시함과 동시에, 인버터를 예비 인버터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모터 제어보드(210) 및/또는 마스터 제어보드(110)를 비상 운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상 운전 상태는 수동 운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비상 스위치부(133)는 속도 제어를 하는 인버터 타입의 모터 제어기(200)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인버터 트립과 같은 고장 현상으로 인해 모터(220)가 구동되지 못할 경우 스위치부(130)의 정지 버튼을 길게 누르면 예비 인버터 모드로 전환이 되어 즉각적으로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모터 제어보드(210) 및/또는 마스터 제어보드(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콘솔(100)의 스위치부(130)는 감지 센서(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센서는 모터 제어보드(210)에 연결된 모터(210)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지 상태에 따라 비상 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모터 제어보드(210)는 위와 같은 비상 운전 상태의 제어에 대응하여 모터(220)를 정지 또는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상 운전 상태를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보다 빠르게 제어하게 된다.
<모터 제어보드의 예>
도 4는 도 1의 모터 제어보드의 구성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보드(210)는 입력부(211), 출력부(212), 통신부(213), 표시부(214), 전원부(215) 및 중앙 제어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리미트부, CT 전류 감지부, OCR부, 센서부 및 엔코더 고속 카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에서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는 기존의 리미트 제어만으로는 비상시 모터(220)를 즉시 정지시키는데 한계점을 안고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센서들을 가리킨다.
이러한 감지 센서는 비상시 이상 현상을 감지하여 모터(220)를 정지할 것인지 아니면 구동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를 통해 모터 제어보드(210)에 연결된 모터(220)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지 상태에 따라 비상 운전 상태를 비상 스위치부(133)에서 제어할 경우, 모터 제어보드(210)는 비상 스위치부(133)로부터 전송된 비상 운전 상태의 제어에 대응하여 모터(220)를 정지 또는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12)는 접점부, 수동 스위치부 및 인버터 제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에서 인버터 제어부(221)는 비상 운전 상태가 발생될 경우, 인버터의 접점 방식을 선택적으로 접점되도록 접점 방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인버터 제어부(221)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모터(220)의 구동 속도를 더 제어할 수도 있다. 기존에는 인버터에게 운전 지령을 줄 때에 통신으로 전달하였으나 제한된 통신 속도로 인하여 운전 지령에 대한 지연 조작이 발생하였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직접적으로 인버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버터의 운전 지령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점 방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비상시 정지 명령이 늦지 않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통신부(213)는 출력부(220)의 인버터 제어부(221)/중앙 제어부(260) 및 인버터 사이에 구비되어 중앙 제어부(260)의 제어하에 인버터와 통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와 통신하는 이유는 현재 인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가속 시간과 감속 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로 할 수도 있다.
표시부(214)는 통신 램프 표시부, 전원 램프 표시부 및 LCD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며, 전원부(215)는 PCB 전원 입력부와 엔코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앙 제어부(216)는 앞서 설명한 입력부(211), 출력부(212), 통신부(213), 표시부(214) 및 전원부(215)간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며, 더 나아가 제어 콘솔(100) 및 모터 제어기(200)간 데이터 흐름을 더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스터 제어보드(110)의 제어하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그룹의 등가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그룹의 등기구 및 LED 등기구의 배열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및 LED 등기구(320)는 색상 별 또는 색상 조합으로 그룹화된 가상 그룹(1001)에 따라 연결과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의 등기구 및 LED 등기구(320)는 색상별로 그룹화된 가상 그룹(1001)에 따라 배열되고, 하측의 등기구 및 LED 등기구(320)는 색상 조합, 예컨대 R,G,B,Y로 각각 그룹화된 가상 그룹(1001)에 따라 연결과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가상 그룹(1001)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통신 분배기의 구성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분배기(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 제어보드(210)와 RS485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분배기(120)는 1 내지 8 그룹을 포함한 가상 통신 그룹으로 나누어져, 비상시 연결된 마스터 제어보드(110)와 모터 제어보드(210)간 선택적으로 통신되도록 통신 그룹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그룹부(121)를 두는 이유는 통신 두절시 우회 루트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더욱이 써지와 같은 위험 요소가 통신 포트를 통해 마스터 제어보드(110)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통신 두절과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여 지속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위함이다. 이는 LED 램프가 점멸되는 상태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는 동일 출원인에 의해 2010년 02월 08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2010-0011625호와 2012년 01월 31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2012-0009855호에 기초한다. 따라서, 제2010-0011625호 및 제2012-0009855호에 개시된 구성들은 본 실시예의 일부로서 채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칭이 아니어도 그 기능면에서 유사하면 이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로서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0 :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1001 : 가상 그룹
100 : 제어 콘솔 110 : 마스터 제어보드
120 : 통신 분배기 130 : 스위치부
140 : 주변 입력기 200 : 모터 제어기
210 : 모터 제어보드 220 : 모터
300 : 무대 조명 제어기 310 : 등기구
330 : 디머

Claims (9)

  1. 무대 기계의 모터를 제어하고, 이하의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 제어보드간 주고받는 제어 신호를 중계하는 모터 제어기;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의 상태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포함한 모터 제어기와 상기 무대 조명들을 포함한 무대 조명 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대 조명들 또는 상기 모터를 그룹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제어하되, 마스터 제어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에 대한 각 동작 상태 또는 조합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콘솔; 및
    1 내지 8 그룹을 포함한 가상 통신 그룹으로 나누어져, 비상시 연결된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와 모터 제어보드간 선택적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통신 그룹부와 연결된 상기 가상 통신 그룹의 상태를 LED 형태로 점멸시키는 LED 표시부를 구비한 통신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콘솔은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와 더불어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무대 기계와 무대 조명들을 선택적으로 상승, 정지 및 하강시켜 스위칭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선택하여 스위칭하고, 선택된 가상 그룹에 대하여 상승, 정지 및 하강을 동시에 스위칭 제어하고,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도값을 포함한 마스터 볼륨을 통해 색상별로 구분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그룹을 선택적으로 속도 제어하는 조이스틱부; 및
    상기 모터 제어보드 및 무대 제어기마다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인수하여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제어하는 제어권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속도값에 따른 과부하로 인하여 인버터에 인버터 트립이 발생할 경우 인버터 트립의 상태를 램프로 표시함과 동시에, 예비 인버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 및 상기 모터 제어보드를 비상 운전 상태-수동 운전 상태를 포함함-로 제어하는 비상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보드는,
    상기 비상 운전 상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 및 구동시키되, 상기 비상 운전 상태가 발생될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접점 방식-상기 접점 방식은 상기 인버터에 대한 정회전 및 역회전과 관련한 운전 지령을 포함함-을 선택적으로 접점되도록 상기 접점 방식을 구동하는 인버터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스위치부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보드에 연결된 모터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지 상태에 따라 상기 비상 운전 상태를 제어하는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50029015A 2015-03-02 2015-03-02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59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15A KR101599667B1 (ko) 2015-03-02 2015-03-02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15A KR101599667B1 (ko) 2015-03-02 2015-03-02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667B1 true KR101599667B1 (ko) 2016-03-14

Family

ID=5554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015A KR101599667B1 (ko) 2015-03-02 2015-03-02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65B1 (ko) * 2016-05-12 2017-0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공간 디바이스 제어 및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8445824A (zh) * 2018-06-11 2018-08-24 上海汇焰智能科技有限公司 吊挂系统控制台及吊挂系统
CN108499139A (zh) * 2018-01-31 2018-09-07 上海广电影视制作有限公司 舞台灯光与演出场景结合的舞台系统及其应用
CN109089361A (zh) * 2018-08-31 2018-12-25 江苏新广联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灯控制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5B1 (ko) * 2009-06-08 2010-03-25 포스인주식회사 엘이디무대조명 제어장치
KR20110125752A (ko) * 2010-05-14 2011-11-22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20025363A (ko) 2010-09-02 2012-03-15 주식회사 동양아이엔씨 라이트 디밍 전원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85B1 (ko) * 2009-06-08 2010-03-25 포스인주식회사 엘이디무대조명 제어장치
KR20110125752A (ko) * 2010-05-14 2011-11-22 부원엔지니어링(주)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20025363A (ko) 2010-09-02 2012-03-15 주식회사 동양아이엔씨 라이트 디밍 전원공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65B1 (ko) * 2016-05-12 2017-0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공간 디바이스 제어 및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8499139A (zh) * 2018-01-31 2018-09-07 上海广电影视制作有限公司 舞台灯光与演出场景结合的舞台系统及其应用
CN108445824A (zh) * 2018-06-11 2018-08-24 上海汇焰智能科技有限公司 吊挂系统控制台及吊挂系统
CN109089361A (zh) * 2018-08-31 2018-12-25 江苏新广联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灯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089361B (zh) * 2018-08-31 2023-06-23 江苏新广联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灯控制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67B1 (ko) 공연장 무대 조명 및 기계 원격 제어 시스템
JP2819165B2 (ja) 主電気負荷制御システム
CN102007818B (zh) 用于通过多个用户接口表面控制光源的照明控制系统
KR100980829B1 (ko) 무대장치의 구동모터 원격제어 시스템
US9214834B1 (en)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load control
KR100704435B1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가로등주 제어장치
KR101622677B1 (ko) 화재 또는 정전 시에 비상등 전원 공급장치
CN102938950A (zh) Led模块化路灯控制系统
JP6242408B2 (ja) 2つの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る発光装置
CN101621340A (zh) 一种检测装置及方法
US20120153842A1 (en) Illuminance sensor setting device
GB2343796A (en) Lighting control
JP2003045678A (ja) 照明制御装置
JP6502563B1 (ja) 負荷制御システム
US10327310B2 (en) Backup power for distribut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JP2010039706A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駆動装置、交通信号制御機及び信号制御判定方法
JP58703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KR20020067474A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KR101214468B1 (ko) 교통신호제어기
KR20120134557A (ko) 기중차단기의 소손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509165B2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for lighting loads with integral load shedding by dimming control
KR20100138014A (ko) 오토 디밍 시스템
WO2015119292A1 (ja) 調光システムおよび大規模調光システム
EP2597542B1 (en) Motor starter having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motor starter
KR101286566B1 (ko) 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