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01B1 -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01B1
KR101599601B1 KR1020140017030A KR20140017030A KR101599601B1 KR 101599601 B1 KR101599601 B1 KR 101599601B1 KR 1020140017030 A KR1020140017030 A KR 1020140017030A KR 20140017030 A KR20140017030 A KR 20140017030A KR 101599601 B1 KR101599601 B1 KR 10159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araquat
corn
organic ac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544A (ko
Inventor
현규환
박혜인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생장을 촉진하면서도,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에 대한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기존 잡초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던 제초제, 특히 파라콰트(paraquat) 제초제의 살포 시 문제가 되는 저항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물의 생장을 탁월하게 촉진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작물재배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Pesticide composition comprising organic acid}
본 발명은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물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생장을 촉진하면서도,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에 대한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제초제 중 파라콰트(paraquat)는 약효 발현속도가 가장 빠르다. 또한, 폭넓은 잡초스펙트럼으로 농경지와 비농경지에 나타나는 잡초의 방제를 위한 중요한 농업자재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일한 작용기작을 가진 제초제를 매년 같은 포장에 계속 사용함으로써 특정계통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잡초종이 출현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세계적으로 393 여종의 잡초가 출현하였다고 보고되었다. 그 중 파라콰트에 저항성인 것으로 28종이 보고되었는데, 이러한 파라콰트 저항성 초종들의 저항성 기장은 1) 파라콰트 분자의 대사 불활성화, 2) 큐티클을 통한 제한된 침투, 3) 파라콰트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 방어능력, 4) 작용점 변형, 5) 파라콰트의 세포 내 격리기구 등으로 생각되지만, 일부 초종은 한 가지 이상의 저항성 기작이 상호 관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반면 한가지 가설로만으로도 설명 가능한 것도 있다.
상기 파라콰트 저항성인 28 초종은 파라콰트의 계속된 사용에 의해서 발생되었으며, 일부 초종은 과거에 전혀 노출되지 않았는데도 내성을 보인 경우도 있다. 파라콰트에 대한 내성은 식물의 종간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동일종 내에서도 품종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국에서는 실제로 사용된 품종 간에 파라콰트에 대한 내성 차이가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같은 작물의 품종 내에서도 엽령에 따라 파라콰트에 대한 내성 차이를 보이는데, Ohe 등(2005)은 담배에서 Casano 등(1994)은 보리에서 성숙한 엽이 어린옆에 비해 파라콰트에 대한 내성이 크다고 보고하였고, 그런 차이는 항산화효소에 의한 활성산소의 소거능력과 항산화제에 기인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성숙엽이 어린엽보다 파라콰트 및 환경 스트레스의 내성이 큰 것은 식물에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Kuk 등(2006)은 오이의 파라콰트에 대한 내성은 동일 개체 내에서 어린잎일수록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파라콰트를 처리하였을 때 4엽이 전개된 오이잎의 엽위별 내성 정도는 4엽(어린엽)>3엽>2엽>1엽 순이고, 특히 최상위 엽은 파라콰트의 높은 농도처리에 의해서도 외형적으로 피해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엽령별로 보이는 내성의 차이는 항산화효소 활성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여러 선행연구에 의하면 호박잎 추출물은 파라콰트 활성경감 효과를 나타내며, 파라콰트의 활성을 경감시키는 물질은 말산으로 추정된다고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면서도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 방제 효과를 갖는 안전한 친환경 소재의 농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말산 이외에 다른 유기산을 처리하는 경우 작물 생장 촉진 및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에 대한 탁월한 방제 효과를 갖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파라콰트 제초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제초제를 이용하는 잡초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은 담배(Nicotiana tabacum L.), 호박(Cucurbita), 오이(Cucumis sativus), 보리(Hordeum vulgare L.) 등의 식물 잎에서 추출, 분리 및 정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 제조된 상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산을 식물에서 추출하는 경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유기산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방제 가능한 잡초에는 밭, 과원, 비농경지 등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잡초 또는 다년생 잡초가 모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망초, 명아주, 쇠비름, 여뀌 및 마디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작물에 관한 생장 촉진 효과를 함께 나타내는데, 이러한 대상 작물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옥수수, 감자, 파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용 조성물은 잡초에 살포 가능하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희석배율로 희석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초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도록 희석하여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용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소망하는 잡초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사용량 증가에 따른 효과 증대 효과가 미미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제 또는 저배율 농축물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희석액을 혼합하여 필요에 따른 적정한 희석 배율로 희석하여 묽은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한 희석배율을 갖도록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들 모두가 그 자체로 잡초에 처리되고, 잡초의 고사에 필요한 유동 가능한 조성물, 현탁액, 미세 현탁액, 서스포에멀젼, 습윤 가능한 분말, 과립 농축물, 마이크로에멀젼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통상적인 기타 불활성 성분, 예를 들면, 보호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틱소트로픽제, 침투제, 보존제, 안정화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안료, 착색제 및 중합체와 함께 고체 및/또는 액체 담체(예를 들어, 물)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활성물질과 배합하여 식물, 종자 또는 토양 산포 또는 도포를 용이하게 하는 천연 또는 합성,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의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용 조성물은 작물의 생산을 촉진하면서도 잡초 방제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식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물질로 인축에 대한 부작용이 화학적 합성 제초제에 비해 극히 적어 매우 안전하므로, 향후 화학 합성 제초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등의 유려가 없는 친환경적 제제이며, 유기 농산물 생산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초용 조성물은 기존 잡초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던 제초제, 특히 파라콰트(paraquat) 제초제의 살포 시 문제가 되는 저항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물의 생장을 탁월하게 촉진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작물재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발생하는 잎 고사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잎의 상대적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잎의 초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잎의 과산화수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잎의 과산화질소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옥수수에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잎의 엽록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중앙애호박 잎의 엽위별 포함된 유기산 함량 및 파라콰트 100μM을 처리한 중앙애호박 잎의 엽위별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원비애호박 잎의 엽위별 포함된 유기산 함량 및 파라콰트 100μM을 처리한 중앙애호박 잎의 엽위별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유기산( organic acid )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잎 피해율 및 상대적 수분함량 측정
1-1. 다양한 유기산을 처리한 옥수수 준비
홍농종묘에서 옥수수 종자를 구입하여 원예용 상토가 충진된 원형포트(7×7cm)에 파종한 후, 주/야 온도가 30±2/20±3℃, 광주기는 주/야 14/10시간, 상대습도는 70%, 광량은 500μmol/m2/sec의 조건하에서 10일간 생육하였다. 그 다음 상기 생육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 100 μM을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또는 말론산(malonic acid)과 혼합하여 0.1, 0.3, 0.5 및 1%의 농도로 처리하고, 파라콰트(paraquat)를 혼합하지 않은 상기 유기산 1%을 단독처리 하였다.
1-2. 유기산(organic acid)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잎 피해율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하면서 유기산에 따른 잎 피해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파라콰트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이는 말산, 옥살산 및 시트르산이 기본 농도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도 피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파라콰트와 혼합합하여 0.01 및 0.05%의 농도로 옥수수에 처리하여 잎 피해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말산, 옥살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을 혼합한 파라콰트를 처리한 옥수수의 잎 피해율은 대체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잎 피해율이 감소하였다. 반면, 숙신산 0.1% 이상을 혼합한 파라콰트를 처리한 옥수수는 파라콰트를 단독처리한 옥수수와 잎 피해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말론산 1%을 혼합한 파라콰트를 처리한 옥수수는 50% 정도의 잎 피해율을 보였다.
한편, 말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저농도인 0.01%로 처리한 옥수수는 80%의 잎 피해율을 나타내었고, 옥살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저농도로 처리한 경우 0.01%농도에서만 피해를 보였으며 0.05% 농도에서는 거의 피해를 보이지 않았다. 시트르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저농도로 처리한 경우 0.01%, 0.05% 농도에서 각각 약 50%, 30% 정도의 피해를 보이더니 그 이후의 농도에서는 피해를 보이지 않았다.
1-3. 유기산(organic acid)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상대적수분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하면서 유기산에 따른 옥수수의 상대적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구제척으로, 상대수분함량(RWC)은 중량 측정에 의하여 평가되는 것이며, 지상부를 절제한 즉시 생체중(FW)을 측정하고, 건물중(DW)을 측정하기 위하여 110℃로 유지된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유기산을 혼합한 파라콰트를 처리한 옥수수의 수분함량은 잎 피해가 없고 건강할수록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옥수수의 수분함량은 잎 피해율과 비슷한 양상으로 말산, 옥살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은 잎에 수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숙신산과 말론산은 적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한편, 말론산은 1%의 말론산만 단독 처리하였을 때도 적은 수분함량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 2 : 유기산( organic acid )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초과산화물( superoxide , O 2 - )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이 끝난 옥수수의 잎을 수확한 후 -80℃의 냉동고에서 동결하였다. 초과산화물 함량은 Wang와 Luo(1990)에 의해 서술한 spectrophotometer 방법을 사용한 히드록실아민(hydroxylamine) 산화에 의해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말산, 옥살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에 비하여 숙신산 및 말론산을 파라콰트에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의 초과산화물 함량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실시예 3 : 유기산( organic acid )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 H 2 O 2 )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이 끝난 옥수수의 잎을 수확한 후 -80℃의 냉동고에서 동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옥수수 잎 0.1g을 막자사발에 넣고 3ml의 50mM phosphate buffer(pH 6.8) 용액을 첨가하여 마쇄한 후, 4℃의 온도에서 6,000 ×g의 속도로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원심분리 한 상층액에 0.1% titanium chloride와 20% H2SO4 용액을 각각 1ml씩 넣고 혼합한 뒤 다시 4℃의 온도에서 6,000 ×g의 속도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기 상층액은 분광광계도를 이용하여 41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과산화수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과산화수소 함량은 초과산화물 함량과 비슷하게 숙신산 및 말론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에서 많이 측정되었으며, 말론산만 1% 처리한 옥수수는 다른 유기산만 처리한 옥수수에 비하여 많은 과산화수소 함량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4 : 유기산( organic acid )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지질과산화물( malondialdehyde , MDA )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이 끝난 옥수수의 잎을 수확한 후 -80℃의 냉동고에서 동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옥수수 잎을 막자사발에 넣고 20% Ferric thiocyanate(TCA)에 0.5% 2-thiobarbituric acid(TBA)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5ml 넣어 마쇄한 후, 20,000 ×g의 속도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따. 그 다음, 상기 상층액을 100℃에서 25분 동안 가열한 다음 얼음이 들어있는 상자에 넣어 냉각시킨 후 다시 20,000 ×g의 속도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흡광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600nm에서의 흡광도 값으로 보정하였다. 한편, 배양액은 20% Ferric thiocyanate(TCA)에 0.5% 2-thiobarbituric acid(TBA)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과 1:1(v/v)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DA 함량은 156mM-1cm-1의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산출된 배양액과 잎의 MDA 농도를 합하여 생체중량/당으로 환산하여 총 MDA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숙신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의 MDA 함량이 다른 유기산을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에 비하여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실시예 5 : 유기산( organic acid )처리에 따른 파라콰트(paraquat)에 감수성인 옥수수의 엽록소( Chlorophy Ⅱ)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옥수수에 파라콰트(paraquat)와 유기산을 혼합한 제초제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생육이 끝난 옥수수의 잎을 수확한 후 -80℃의 냉동고에서 동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동결된 잎 0.1g을 막자사발에 넣고 dimethyl sulfoxide(DMSO) 5ml을 넣어 마쇄한 후 48시간 동안 암상태에서 클로로필을 추출한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45nm 및 66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실험식 1을 이용하여 클로로필 함량을 계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 및 유기산 모두 처리하지 않은 옥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식 1]
클로로필 Ⅱ(mg/L)=[(20.2×A645) + (8.02×A663)] × 희석수치
실험결과, 말산, 옥살산 및 타르타르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는 많은 클로로필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나 숙신산 및 말론산을 파라콰트와 혼합하여 처리한 옥수수는 낮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산만 처리한 경우 말론산 1%만 처리한 옥수수 잎은 낮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냈다.
실시예 6 : 호박잎의 엽위별 유기산 함량 측정
중앙종모에서 중앙애호박(joongangaehobak)을 구입하고, 현대종묘에서 원비애호박(wonhiaehobak)을 구입하였다. 그 다음 상기 생육한 애호박에 파라콰트(paraquat) 100 μM을 단독처리 하였다. 그 후 상기 호박잎 1엽 또는 4엽 5g에 증류수 20ml을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AM-11, Nissei사, Japan)로 마쇄하여 추출하고, 추출액은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여 동량의 수포화 에테르로 2회 세척한 다음, 수층을 감압농축하여 HPLC용 증류수 20ml로 정용하였다. 그 중 일부를 취하여 C18 cartidge를 통과시킨 다음, 여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HPLC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대조군으로는 파라콰트 제초제를 처리하지 않은 애호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14518323-pat00001
실험결과, 중앙애호박 및 원비애호박에서는 타르타르산, 말론산, 젖산(lactic acid), 아세트산(cetic acid), 시트르산 및 말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1엽보다 4엽에 시트르산과 말산의 함량이 많았다.
구체적으로, 중앙애호박은 시트르산과 말산은 1엽보다 4엽에서 많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파라콰트를 처리하였을 때 시트르산의 함량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4엽의 말론산 함량이 약 3배 정도 감소하였다(도 7).
원비애호박에서는 중앙애호박과 비슷한 양상으로 시트르산과 말산의 함량이 1엽보다 4엽에서 많은 함량을 보였으나 파라콰트를 처리하였을 때 4엽의 말산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도 8).

Claims (4)

  1. 파라콰트와 함께 말산(malic acid), 옥살산(ox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콰트 저항성 잡초에 대한 제초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중량%의 함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및 보호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틱소트로픽제, 침투제, 보존제, 안정화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염료, 안료, 착색제, 중합체, 고체 및 액체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용 조성물.
  4. 제1항에 따른 제초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
KR1020140017030A 2014-02-14 2014-02-14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KR10159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30A KR101599601B1 (ko) 2014-02-14 2014-02-14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30A KR101599601B1 (ko) 2014-02-14 2014-02-14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44A KR20150096544A (ko) 2015-08-25
KR101599601B1 true KR101599601B1 (ko) 2016-03-04

Family

ID=5405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030A KR101599601B1 (ko) 2014-02-14 2014-02-14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425B1 (ko) 1999-11-12 2004-02-11 주식회사경농 안정한 발포성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방법
US20080161188A1 (en) * 2006-12-29 2008-07-03 Tim Anderson Herb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weed grow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000A (en) * 1987-10-05 1990-06-12 Ciba-Geigy Corporation Herbicidal compound concentrate
US5888938A (en) * 1994-07-18 1999-03-30 Ecoval Inc. Herbicidal composition and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425B1 (ko) 1999-11-12 2004-02-11 주식회사경농 안정한 발포성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방법
US20080161188A1 (en) * 2006-12-29 2008-07-03 Tim Anderson Herb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weed grow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44A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ia et al. Environmental eco-physiology and economical potential of the halophyte Crithmum maritimum L.(Apiaceae)
Wang et al. Control of plant diseases by extracts of Inula viscosa
CN105875611B (zh) 一种植物抗盐调节剂及其制备方法
EP2687095B1 (en) Phytosanitary composition comprising carvacrol or thymol that potentiates the antifungal activity of potassium bicarbonate
SA520411051B1 (ar) تركيبة جديدة لتقوية المحاصيل وتغذيتها وحمايتها
Medeiros et 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to drought stress in Barbados cherry
Singh et al. Effect of parthenin—a sesquiterpene lactone from Parthenium hysterophorus—on early growth and physiology of Ageratum conyzoides
Vargas-Alvarez et al. Kinetics of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of flavonoids in guava (Psidium guajava L.)
CN105494375B (zh) 一种水稻催枯组合物
JP5570726B2 (ja) 植物体の病原因子に対する植物体の保護
CN111296263A (zh) 一种利用茉莉酸甲酯缓解镉对番茄毒害作用的水培方法及茉莉酸甲酯的应用
CN104430460A (zh) 吡嘧磺隆、异噁草松和丁草胺复配可分散油悬浮剂及其制备方法
CN102144639A (zh) 具有抗旱作用的壳寡糖组合物及应用
WO2013141715A1 (e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composition and methods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20150083617A (ko)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Yongguang et al. Effects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oat (Avena sativa) seedlings
KR101599601B1 (ko) 유기산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Bisessar et al. Ozone, antioxidant spray and Meloidogyne hapla effects on tobacco
KR100873611B1 (ko) 둥근마의 주아(珠芽) 비대제(肥大劑) 조성물 및 그것을이용한 둥근마의 주아 비대 재배방법
Epidi et al. Susceptibility of Sitophilus zeamais Mots. and Callosobruchus maculatus F. to plant parts of Ricinodendron heudelotii
CN106852329A (zh) 一种都尔和精喹禾灵微乳剂的配制方法
RU2677030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Biczak et al. Effect of the quaternary ammonium salts, tetraethylammonium halide on Rumex acetosa L., Chenopodium album L. and Galinsoga parviflora Cav.: inhibition of growth and changes in assimilation pigments content in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