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509B1 - 증발원 - Google Patents

증발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509B1
KR101599509B1 KR1020150037664A KR20150037664A KR101599509B1 KR 101599509 B1 KR101599509 B1 KR 101599509B1 KR 1020150037664 A KR1020150037664 A KR 1020150037664A KR 20150037664 A KR20150037664 A KR 20150037664A KR 101599509 B1 KR101599509 B1 KR 10159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d groove
crucible
evaporation
diffuser
evapor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신
김명수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3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01L21/203

Landscapes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가열에 따라 상기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증발입자가 분출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가니와 연통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도록 뿔대 형상으로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는 복수의 분사홀이 관통하여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디퓨져 바디; 및 외주면이 상기 함입홈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의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홀의 중앙의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 결합되는 디퓨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발원{Evaporation source}
본 발명은 증발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가니에서 증발된 증발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분사함으로써 기판에 증착되는 증착막의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증발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에 빛을 가하기 위한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이고 박형의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며, 시야각이 넓어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기 전계 발광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층인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등이 유기 박막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유기 박막은 진공열 증착방법으로 기판 상에 증착된다.
진공열 증착방법은 진공 챔버 내에 기판을 배치하고, 일정 패턴이 형성된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기판에 정렬시킨 후, 증발물질이 담겨 있는 증발원에 열을 가하여 증발원에서 승화되는 증발물질을 기판 상에 증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에 의해 박막 증착을 하는 경우, 도가니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의 분포는 도가니의 중심부에서 밀도가 높고 외측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 가우스(Gauss) 분포를 나타낸다.
가우스(Gauss) 분포에 따른 증발입자의 분포에 의해 기판에 증착되는 유기박막의 증착 균일도가 저하되며, 이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306호 (2005.08.26)
본 발명은 도가니에서 증발된 증발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분사함으로써 기판에 증착되는 증착막의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증발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가열에 따라 상기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증발입자가 분출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가니와 연통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도록 뿔대 형상으로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는 복수의 분사홀이 관통하여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디퓨져 바디; 및 외주면이 상기 함입홈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의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홀의 중앙의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 결합되는 디퓨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홀은 상기 도가니에서 분출되어 상기 분사홀로 유입되는 상기 증발입자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함입홈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댐의 내주에는 상기 가이드댐의 상면에서 둔각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헤드의 상면에 결합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분배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가니에서 증발된 증발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분사함으로써 기판에 증착되는 증착막의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증발원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디퓨져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내부에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가열에 따라 상기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증발입자가 분출되는 도가니(10); 상기 도가니(10)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가니(10)와 연통되는 분배관(12); 상기 분배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도록 뿔대 형상으로 함입홈(14)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홈(14)의 바닥에는 복수의 분사홀(16)이 관통하여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디퓨져 바디(18); 및 외주면이 상기 함입홈(14)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함입홈(14)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의 확산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홀(16)의 중앙의 상기 함입홈(14)의 바닥에 결합되는 디퓨져 헤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을 포함하는 증착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진공챔버의 내부는 진공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진공의 분위기가 유지되며, 진공 분위기 하에서 증발원으로부터 분출되는 증발입자가 상부에 위치한 기판에 증착된다.
기판은 진공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 안착부에 의해 안착되어 지지되고, 기판의 하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이 배치된다.
도가니(10)는 가열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증발물질이 기화되고, 기화된 증발입자가 증발원을 통해 분출되어 기판상에 증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가니(10)의 내부에는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가열에 따라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증발입자가 도가니(1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분출된다. 도가니(10)의 외주에는 도가니(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가 구비될 수 있고 가열히터의 가열에 따라 도가니(10)가 가열되면서 도가니(10) 내부의 증발물질이 승화 또는 기화되면서 증발입자가 상단을 통해 분출된다.
그리고, 도가니(10)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분배관(12)이 결합된다. 분배관(12)은 좌우 양단이 막힌 튜브 형태로서, 도가니(10)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도가니(10)와 연통된다. 서로 결합된 도가니(10)와 분배관(12)은 대략 T자 형상을 가진다. 도가니(10)는 분배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가니(10)가 분배관(12)에 결합된 형태를 제시한다.
분배관(12)의 상단에는 분배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디퓨져(18,22)가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18,22)는 도가니(10)에서 증발된 증발물질이 확산되면서 증발될 수 있도록 한다.
도가니(10)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의 분포는 도가니(10)의 중심부에서 밀도가 높고 외측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 가우스(gauss) 분포를 갖게 되는데, 도가니(10)에서 분출되는 가우스 분포의 증발입자가 바로 기판에 증착되는 경우 기판에 대한 증착정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디퓨져 바디(18)와 디퓨져 헤드(22)를 통해 도가니(10)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기판에 증착되는 증착막의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디퓨져 바디(18)의 상단에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도록 뿔대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14)이 형성되고, 함입홈(14)의 바닥에는 함입홈(14)의 바닥을 관통하는 복수의 분사홀(16)이 바닥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디퓨져 바디(18)는 분배관(12)의 상단과 결합되며, 도가니(10)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가 디퓨져 바디(18)의 분사홀(16)을 통해 유출된다. 분사홀(16)을 통해 유출되는 증발입자는 디퓨져 바디(18)의 함입홈(14)의 내벽과 디퓨져 헤드(22)의 확산부(20)가 형성하는 분출 경로를 통해 확산되면서 기판에 증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상의 함입홈(14)이 디퓨져 바디(18)의 상면에 함임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분사홀(16)도 함입홈(14)의 바닥에 환 형을 이루어 형성된다.
디퓨져 바디(18)는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함입홈(14)의 바닥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사홀(16)이 일정 높이를 갖게 된다. 일정 높이를 갖는 분사홀(16)은 도가니(10)에서 분출되어 분사홀(16)로 유입되는 증발입자가 일정 높이의 분사홀(16)을 거치면서 분사홀(16)의 형성 방향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분사홀(16)에서 분출된다.
디퓨져 바디(18)의 외주에는 플랜지(2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원을 원통 형태의 가열히터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 디퓨져 바디(18)의 플랜지(23)가 가열히터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가열히터에 설치될 수 있다.
디퓨져 헤드(22)는, 외주면이 함입홈(14)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함입홈(14)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의 확산부(20)를 구비하며, 복수의 분사홀(16)의 중앙의 함입홈(14)의 바닥에 결합된다.
확산부(20)는, 디퓨져 바디(18)에 형성되는 함입홈(14)의 형상과 상응하여 함입홈(14)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함입홈(14)의 측벽과 확산부(20)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의 함입홈(14)의 바닥에는 복수의 분사홀(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함입홈(14)의 측벽과 확산부(2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함입홈(14)의 분사홀(16)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의 분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뿔대 형상의 함입홈(14)의 측벽과 뿔대 형상의 확산부(2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도가니(10)의 중심에 대해 경사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경사에 의해 증발입자가 확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20)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상의 함입홈(14)에 상응하여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디퓨져 바디(18)와 디퓨져 헤드(22)의 결합을 위하여 함입홈(14)의 바닥에는 결합홈(19)이 형성되고 디퓨져 헤드(22)의 확산부(20)의 하단에는 결합구(21)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구(21)를 결합홈(19)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디퓨져 바디(18)에 디퓨져 헤드(22)가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 헤드(22)의 상면에는 판 상의 리플렉터(28)가 결합될 수 있다. 가열히터에 의해 도가니(10)가 가열되는 경우, 열 에너지가 디퓨져 바디(18)와 디퓨져 헤드(22)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러한 열 에너지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디퓨져 헤드(22)의 상면에 리플렉터(28)를 결합하여 도가니(10)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를 가둬 둘 수 있다.
리플렉터(28)는 탄탈륨(Ta, tantalum), 티타늄(Ti, titanium) 등이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퓨져 바디(18)의 상단에는 함입홈(14)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댐(24)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댐(24)의 내주에는 가이드댐(24)의 상면에서 둔각으로 경사면(26)이 형성될 수 있다. 함입홈(14)의 측벽과 확산부(2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하여 분출되는 증발입자가 넓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퓨져의 상단에 가이드댐(24)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댐(24)은, 함입홈(14)의 상단 외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함입홈(14)의 외주를 따라 디퓨져 바디(18)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가이드댐(24)의 경사면(26)과 디퓨져 헤드(22)의 확산부(20)의 외주면이 다시 증발입자의 분출 경로를 형성하여 증발원에서 분출되는 증발입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기판에 증착되도록 유도한다.
디퓨져 바디(18)의 하단에는 분배관(1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30)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결합돌기(30)는 디퓨져 바디(18)의 하단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분배관(1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디퓨져(18,22)는 일반적으로 도가니(10)의 상단에 직접 결합되는 점증발원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착 균일도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디퓨져(18,22)를 선형증발원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분배관(12)의 상단에 복수개의 노즐을 배치하여 증발입자가 분산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입자의 분사범위가 훨씬 큰 디퓨져(18,22)를 사용하여 분배관(12)으로 유입된 증발입자가 확산되어 분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노즐을 통해 증발입자를 분산시켰던 종래에 비해 분사범위를 크게 가져갈 수 있어 증착 균일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가니 12: 분배관
14: 함입홈 16: 분사홀
18: 디퓨져 바디 19: 결합홈
20: 확산부 21: 결합구
23: 플랜지 22: 디퓨져 헤드
24: 가이드댐 26: 경사면
28: 리플렉터 30: 결합돌기

Claims (6)

  1. 내부에 증발물질이 수용되며, 가열에 따라 상기 증발물질이 증발되어 증발입자가 분출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도가니와 연통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도록 뿔대 형상으로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는 복수의 분사홀이 관통하여 상기 바닥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디퓨져 바디; 및
    외주면이 상기 함입홈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뿔대 형상의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홀의 중앙의 상기 함입홈의 바닥에 결합되는 디퓨져 헤드를 포함하는 증발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은 상기 도가니에서 분출되어 상기 분사홀로 유입되는 상기 증발입자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함입홈의 외주를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댐의 내주에는 상기 가이드댐의 상면에서 둔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헤드의 상면에 결합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증발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분배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KR1020150037664A 2015-03-18 2015-03-18 증발원 KR10159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64A KR101599509B1 (ko) 2015-03-18 2015-03-18 증발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64A KR101599509B1 (ko) 2015-03-18 2015-03-18 증발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509B1 true KR101599509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664A KR101599509B1 (ko) 2015-03-18 2015-03-18 증발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06A (ko)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증착원
KR101057552B1 (ko) * 2011-02-23 2011-08-17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막 증착을 위한 증착 물질 공급장치
KR20120102504A (ko) * 2011-03-08 2012-09-1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증발원 및 증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06A (ko)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증착원
KR101057552B1 (ko) * 2011-02-23 2011-08-17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막 증착을 위한 증착 물질 공급장치
KR20120102504A (ko) * 2011-03-08 2012-09-1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증발원 및 증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488B2 (en) Linear evaporation source and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046440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60112293A (ko) 증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2046441B1 (ko)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70095371A (ko) 재료 증착 어레인지먼트, 진공 증착 시스템, 및 재료를 증착하기 위한 방법
KR102036597B1 (ko) 선형증발원,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증착방법
KR102082192B1 (ko) 증발된 재료를 증착하기 위한 장치, 분배 파이프, 진공 증착 챔버, 및 증발된 재료를 증착하기 위한 방법
KR101740007B1 (ko) 증발원
KR102480457B1 (ko) 증착 장치
KR101532740B1 (ko) 증발원 노즐
KR20150113742A (ko) 증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1711588B1 (ko) 증발원
KR101599509B1 (ko) 증발원
KR101660393B1 (ko)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한 증착장치
KR102221757B1 (ko) 점 증발원용 도가니 및 점 증발원
KR20220052190A (ko) 점 증발원용 도가니 및 점 증발원
KR20160076369A (ko) 증발원
KR20220093673A (ko) 증발원
KR20170057646A (ko) 각도제한판을 갖는 증착장치
KR20230022712A (ko) 증착 물질 분사 장치
KR102371102B1 (ko) 증발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20150017849A (ko) 하향식 증착용 증발원
KR101456664B1 (ko) 증착장치용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KR20180066427A (ko) 증발원용 도가니
KR20170007556A (ko) 다중 증착 증발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