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541B1 - 관로 격벽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격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541B1
KR101598541B1 KR1020150127600A KR20150127600A KR101598541B1 KR 101598541 B1 KR101598541 B1 KR 101598541B1 KR 1020150127600 A KR1020150127600 A KR 1020150127600A KR 20150127600 A KR20150127600 A KR 20150127600A KR 101598541 B1 KR101598541 B1 KR 10159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rtition member
fitting
channel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건
이희성
Original Assignee
플러스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러스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격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덮개로 개폐되는 ㄷ자 형상의 관로 몸체의 바닥에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격벽부재에 상기 관로 몸체를 따라 포설되는 케이블을 걸어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행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과 대면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격벽부재의 수직부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형부와, 상기 ㄷ자형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안치하여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날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1개 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로 격벽장치{WALL APPARATUS FOR PIPE LINE}
본 발명은 관로 격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벽의 설치가 쉽고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케이블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관로 격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로프와 같은 관로는 지하 케이블의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로는 상면 및 양단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며 내부 바닥으로부터 격벽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돌출 형성된 관로 몸체와, 관로 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즉, 관로는 격벽들 사이에 철도와 관련된 동력선, 통신선, 신호제어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케이블선, 유선방송라인, 군사작전라인, 국가 통신 중추선인 광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을 배치하고 지중에 안전하게 포설되어 오작동이나 오류없이 유지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영향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099호 "케이블 트로프" 등 다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격벽의 설치 및 위치 조정이 어렵고, 케이블이 관로 몸체의 바닥에 놓여 포설되기 때문에 방열면적이 작고, 바닥에 깔린 케이블은 공극이 작아 방열하는데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099호 "케이블 트로프"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의 설치가 쉽고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케이블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관로 격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덮개로 개폐되는 ㄷ자 형상의 관로 몸체의 바닥에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격벽부재에 상기 관로 몸체를 따라 포설되는 케이블을 걸어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행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과 대면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격벽부재의 수직부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형부와, 상기 ㄷ자형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안치하여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날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1개 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부재의 날개부에는 바인더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에 상기 케이블을 묶어 고정시키는 장소를 마련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입설시키는 받침판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받침판체의 중앙 또는 일측에 편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에는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체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하는 다수개의 제1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받침판체가 서로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에는 상기 받침판체가 분리된 상기 격벽부재의 끼움돌기를 직접 끼워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입설시키는 제2 끼움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구멍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1열 이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배수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체는 좌우단부가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좌우단부로부터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지며,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좌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받침판체의 좌단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우단부에는 상기 결합구멍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이 관로 몸체에 분리되게 결합되어 격벽의 설치가 쉽고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케이블의 종류나 조건에 따라 관로 몸체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고, 케이블이 격벽에 매달려 포설되기 때문에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방열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로 격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로 격벽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행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격벽부재와 받침판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격벽부재와 받침판체의 다른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설치 모습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격벽부재와 받침판체의 또 다른 결합 모습을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리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관로 격벽장치의 또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 격벽장치는 격벽부재(10)와 행거부재(20)를 포함한다. 격벽부재(10)는 덮개(1)로 개폐되는 ㄷ자 형상의 관로 몸체(3)의 바닥에 입설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구획 분할한다.
행거부재(20)는 격벽부재(10)에 설치되며 격벽부재(10)에 관로 몸체(3)를 따라 배설되는 케이블(5)을 걸어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관로 몸체(3)는 상면 및 양단이 개구된 ㄷ자 형상이고 일렬로 배열되어 케이블(5)을 보호하며, 덮개(1)는 관로 몸체(3)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다.
격벽부재(10)는 관로 몸체(3)의 바닥과 대면하는 수평부(11)와, 수평부(11)로부터 입설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수직부(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격벽부재(10)는 받침판체(30)의 도움을 받아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될 수 있다.
받침판체(30)는 격벽부재(10)의 수평부(11) 아래에 설치되어 격벽부재(10)를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입설시키며, 격벽부재(10)는 받침판체(30)의 중앙(도 5 참조) 또는 일측에 편향(도 8 참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0)가 받침판체(30)의 중앙에 입설되면 전체가 T자형을 이루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0)가 받침판체(30)의 일측에 편향되어 입설되면 전체가 L자형을 이룬다.
받침판체(30)는 관로 몸체(3)의 바닥에 쉽게 들어낼 수 있게 안치되며, 격벽부재(10)는 받침판체(30)의 면적과 자중에 의해 관로 몸체(3)의 바닥에 안전하게 입설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구획 분할한다.
받침판체(30)의 지지를 받아 입설되는 격벽부재(1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몸체(3)의 바닥 중앙에 입설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균등 분할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로 몸체(3)의 일측벽에 편향되게 입설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서로 크기가 다른 2개의 공간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체(30)의 지지를 받아 입설되는 격벽부재(10)는 관로 몸체(3)의 바닥에 2열로 배열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고, 관로 몸체(3)의 크기가 큰 경우 3열 이상으로 배열되어 관로 몸체(3)의 내부를 4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체(30)는 좌우단부(31)(33)가 격벽부재(10)의 수평부(11)의 좌우단부(11a)(11b)로부터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T1)(T2)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T1)(T2)는 격벽부재(10)가 관로 몸체(3)를 따라 배열시 서로 포개져 받침판체들(30)이 서로 하중으로 눌러 지지함으로써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입설될 수 있도록 한다.
격벽부재(10)의 수평부(11)의 좌단부(11a)로부터 돌출되어 단차(T1)을 형성하는 받침판체(30)의 좌단부(31)에는 결합구멍(35)이 형성되고, 단차(T2)를 형성하는 격벽부재(10)의 수평부(11)의 우단부(11b)에는 결합구멍(35)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돌기(15)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구멍(35)과 결합돌기(15)는 단차(T1)(T2)가 포개질 시 서로 끼움 결합되어 격벽부재(10)가 서로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지진 등과 같은 외부 진동으로부터 격벽부재(10)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10)와 받침판체(30)는 서로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다. 격벽부재(10)와 받침판체(30)가 분리 결합되면 제작성, 운반성, 보관성, 시공성 등이 우수해질 수 있다. 즉, 격벽부재(10)와 받침판체(30)가 분리되면 금형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우수하고, 운반 중량이 줄고 서로 포개져 적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성과 보관성이 우수하며, 건설기계의 큰 도움없이 인력으로 받침판체(30)를 관로 몸체(3)의 바닥에 놓고 그 위에 격벽부재(10)를 세울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격벽부재(10)의 수평부(1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끼움돌기(17)가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고, 받침판체(30)에는 끼움돌기(17)와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끼움구멍(37)이 형성되어, 격벽부재(10)와 받침판체(30)가 서로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몸체(3)의 바닥에는 제2 끼움구멍(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구멍(40)은 격벽부재(10)의 끼움돌기(17)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제2 끼움구멍(40)은 받침판체(30)가 분리된 격벽부재(10)의 끼움돌기(17)를 끼워 격벽부재(10)가 직접 받침판체(30)의 도움을 받지 않고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끼움구멍(40)은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끼움돌기(17)가 끼워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관로 몸체(3)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공을 형성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형태의 제2 끼움구멍(40)은 격벽부재(1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격벽부재(10)를 1열 이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5)에 따른 관로 몸체(3)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형태의 제2 끼움구멍(40)은 받침판체(30)와 대면하지 않는 부위가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관로 몸체(3)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20)는 격벽부재(10)의 수직부(13)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형부(21)와, ㄷ자형부(2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케이블(5)을 안치하여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날개부(2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3)는 케이블(5)을 감쌀 수 있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23)는 1개가 형성되어 케이블(5)을 안치할 수 있고,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어 케이블(5)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안치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3)에는 다수개의 구멍(25)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25)은 끈이나 밴드, 체결구 등의 바인더부재(50)를 관통시켜 날개부(23)에 케이블(5)을 묶을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함으로써 날개부(23)에 케이블(5)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행거부재(20)는 케이블(5)을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 띄움으로써 관로 몸체(3)의 바닥에 고이는 물이 닿지 않도록 하고, 외부와 접하는 케이블(5)의 면적을 늘려 방열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케이블(5)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부재(10)가 관로 몸체(3)에 분리되게 결합되어 격벽부재(10)의 설치가 쉽고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케이블(5)의 종류나 조건에 따라 관로 몸체(5)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구획 분할할 수 있고, 케이블(5)이 격벽부재(10)에 매달려 포설되기 때문에 관로 몸체(3)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방열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덮개 3: 관로 몸체
5: 케이블 10: 격벽부재
11: 수평부 11a: 좌단부
11b: 우단부 13: 수직부
15: 결합돌기 17: 끼움돌기
20: 행거부재 21: ㄷ자형부
23: 날개부 25: 구멍
30: 받침판체 31: 좌단부
33: 우단부 35: 결합구멍
37: 제1 끼움구멍 40: 제2 끼움구멍
50: 바인더부재 T1,T2: 단차

Claims (7)

  1. 덮개로 개폐되는 ㄷ자 형상의 관로 몸체의 바닥에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격벽부재에 상기 관로 몸체를 따라 포설되는 케이블을 걸어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행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과 대면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관로 몸체의 내부를 구획 분할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격벽부재의 수직부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형부와, 상기 ㄷ자형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안치하여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날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1개 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입설시키는 받침판체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받침판체의 중앙 또는 일측에 편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격벽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의 날개부에는 바인더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에 상기 케이블을 묶어 고정시키는 장소를 마련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더 형성되는 관로 격벽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에는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체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하는 다수개의 제1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받침판체가 서로 분리되게 결합되는 관로 격벽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에는 상기 받침판체가 분리된 상기 격벽부재의 끼움돌기를 직접 끼워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관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입설시키는 제2 끼움구멍이 더 형성되는 관로 격벽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끼움구멍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재를 1열 이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진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관로 격벽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체는 좌우단부가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좌우단부로부터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지며,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좌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받침판체의 좌단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재의 수평부의 우단부에는 상기 결합구멍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관로 격벽장치.
KR1020150127600A 2015-09-09 2015-09-09 관로 격벽장치 KR10159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00A KR101598541B1 (ko) 2015-09-09 2015-09-09 관로 격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00A KR101598541B1 (ko) 2015-09-09 2015-09-09 관로 격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541B1 true KR101598541B1 (ko) 2016-03-02

Family

ID=555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600A KR101598541B1 (ko) 2015-09-09 2015-09-09 관로 격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5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7A (ja) * 1992-10-01 1994-04-28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ダクト
KR101089099B1 (ko) 2009-10-14 2011-12-06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KR20140005570A (ko) * 2012-07-05 2014-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7A (ja) * 1992-10-01 1994-04-28 Nichidou Denko Kk 配線用ダクト
KR101089099B1 (ko) 2009-10-14 2011-12-06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KR20140005570A (ko) * 2012-07-05 2014-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140B2 (en) Poke-through device
US7173186B1 (en) Dual-sided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es and method
US10283949B2 (en) Weather resistant floor box with draining chamber
US5285009A (en) Electrical floor box
US20110001408A1 (en) Network Cabinet Fitting System
US20190006830A1 (en) Poke-through device
US20140131088A1 (en) Recessed poke-through fitting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US20100193237A1 (en) Convertible pvc/cast iron electrical floor box
US100484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and distributing a single optical fiber cable to multiple rack shelves
US7427050B2 (en) Apparatus for adjustably retaining and sealing pathway conduits mounted extending through a wall panel
US11088523B1 (en) Poke-through floor box assembly
US9814157B2 (en) Wire management and wire entry cover bracket
KR102369917B1 (ko)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1843778B1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1598541B1 (ko) 관로 격벽장치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JP6347059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内部排水構造
US9726396B2 (en) Universal line components duct elbow
KR101424356B1 (ko) 전선 관로용 격벽 설치장치
JP2017112692A (ja) 電線共同溝用の管路構成物における電線引出方法、及び管路構成物
KR101728325B1 (ko) 배관 및 전선 가이드 기구
US20100101855A1 (en) Cable raceway with box
US20010052563A1 (en) Branch connection accessory for fitting at a junction between two lengths of trunking
US20160036211A1 (en) Poke-thru floor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