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836B1 -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836B1
KR101597836B1 KR1020100006462A KR20100006462A KR101597836B1 KR 101597836 B1 KR101597836 B1 KR 101597836B1 KR 1020100006462 A KR1020100006462 A KR 1020100006462A KR 20100006462 A KR20100006462 A KR 20100006462A KR 101597836 B1 KR101597836 B1 KR 10159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terrestrial
mobile
mod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027A (ko
Inventor
김봉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 신호와 모바일 방송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를 기반으로 방송 출력 모드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에 맞게 방송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A COMPLEX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OF SWITCHING OUTPUT MODE THEREOF}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 신호 및 모바일 방송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 신호와 모바일 방송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를 기반으로 방송 출력 모드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에 맞게 방송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전의 모바일 방송 시스템은 현재 나와있는 규격인 한국의 T-DMB, 일본, 브라질의 1-seg, 중국의 CMMB, 유럽의 DVB-H, 북미의 ATSC-M/H 등의 규격을 사용하는 수신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상파의 개선된 전송 환경과 높은 송신 출력, 향상된 수신기의 수신 감도 등의 영향으로 휴대폰 등의 모바일 장치도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지속적이고 짧은 시간이라도 오랫동안 고화질의 시청을 위해 지상파 고정 모드와 모바일 TV 고정 모드 보다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현지 신호 상태를 가지고 절환하는 자동 모드를 보통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은 모바일 신호나 지상파 신호의 방송 신호 한쪽의 수신 상태만을 파악하여 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는 좋은 화질의 지상파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는 약전계 같은 지역에서 모바일 신호 출력 모드로의 전환 타이밍이나 그 반대 전환 타이밍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 신호 및 모바일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방송 수신 상태뿐만 아니라 사용자 관점에서의 중요한 팩터를 함께 고려하여 매끄럽고 개선된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지상파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지상파 방송 처리부; 모바일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모바일 방송 처리부;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에 따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및 모바일 방송 신호 중 어느 것을 출력할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지상파 신호 출력 모드 및 모바일 신호 출력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가 선택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상기 디코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지상파 신호 출력 모드 및 모바일 신호 출력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 수신 상태 뿐만 아니라, 시스템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 처리 상태까지 고려하여 출력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출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파와 모바일 방송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복합 방송 수신기에서, 고화질의 지상파 방송 수신 시간을 최대로 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출력 모드 전환 타이밍을 제공하여, 부드러운 출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코더(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가 방송 수신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방송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되 모바일 모드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되 지상파 모드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는, RF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 지상파용 RF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디코딩 가능한 신호를 추출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부(12), 모바일용 RF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디코딩 가능한 신호를 추출하는 모바일 방송 수신부(13), 지상파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지상파 디코더(14), 모바일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모바일 디코더(15),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에 따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및 모바일 방송 신호 중 어느 것을 출력할지 판단하는 제어부(18), 상기 제어부(18)의 판단에 따라 상기 지상파 신호 출력 모드 및 모바일 신호 출력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6), 및 상기 스위칭부(16)가 선택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상파 방송 수신부(12) 및 지상파 디코더(14)는 지상파 방송 신호 처리부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방송 수신부(12) 및 모바일 디코더(15)는 모바일 방송 신호 처리부라고 할 수 있다.
안테나(11)를 통해 지상파 신호와 모바일 신호 모두 수신된다. 지상파 신호는 지상파 방송 수신부(12) 및 지상파 디코더(14)를 통해 출력되고, 모바일 신호는 모바일 방송 수신부(12) 및 모바일 디코더(15)를 통해 출력된다.
제어부(18)는 지상파 방송 수신부(12)에 의한 방송 신호 수신 상태와 지상파 디코더(14)에 의한 디코딩 상태를 파악하여 현재 방송 출력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다른 방송 출력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8)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일 수 있으며, ASIC(Application Specified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된 집적 회로이거나,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된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지상파 방송 신호 수신부(12)의 출력을 분석하여 일정 단위, 예컨대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단위인 188 바이트 단위로 패킷 에러 수, 즉 패킷 에러 카운트(PEC:Packet Error Count)를 산출해낸다. 패킷 에러 카운트가 낮을수록 방송 신호 수신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코더(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디코더(14)는 방송 신호의 시스템 정보, 즉 PSIP/SI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디코더(141),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142),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143)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디코더(141)는 비디오 디코더가 현재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중에 발생하는 에러 수인 시퀀스 에러 카운트(Seq_Err_Ent)를 출력할 수 있다. 시퀀스 에러 카운트 시스템 디코더(141)의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시퀀스 에러 카운트가 낮을수록 디코딩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낸다.
비디오 디코더(142)는 현재 디코딩되는 프레임 중 I 픽쳐, 즉 인트라 픽쳐 수(Vid_Ipic_Cnt)를 산출한다. I 픽쳐 수가 낮으면 디코딩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18)는 시스템 디코더(141)로부터의 시퀀스 에러 카운트와 비디오 디코더(142)로부터의 I 픽쳐수로부터 디코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가 방송 수신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방송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지상파 신호의 패킷 에러 카운트(PEC)가 PEC 임계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PEC 임계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시청할 때, 화면에 이상이 있음을 느끼게 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DB 시스템의 12seg(지상파 시스템)에서는 188 바이트 패킷에 대해 PEC 임계값을 3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SDB 시스템에서 188 바이트 패킷에 대해 PEC가 30이상이면 사용자가 화면이 깨짐을 느낄 수 있다.
PEC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단계(S12)에서 Good_Tuner_Cnt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나서, 단계(S13)에서 Good_Tuner_Cnt가 Good_Tuner_Cnt의 임계값 보다 크고, 시퀀스 에러 카운트(Seq_Err_Cnt)가 0인지를 판단한다.
Good_Tuner_Cnt가 임계값 이상이라는 것은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SDM 시스템에서 Good_Tuner_Cnt의 임계값을 10으로 설정하면, Good_Tuner_Cnt 임계값 이상일 때는 방송 수신 상태가 5~10초간 양호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Seq_Err_Cnt가 0이라는 것은 현재 디코딩되는 프레임에 시퀀스 에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디코딩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Good_Tuner_Cnt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Seq_Err_Cnt가 0이 아니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Good_Tuner_Cnt가 임계값보다 크고, Seq_Err_Cnt가 0이면, 방송 수신 상태와 디코딩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S14)에서 Good_Status_Cnt를 하나 증가시킨다.
단계(S11)에서 PEC값이 임계값 보다 크면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S15)에서 Bad_Tuner_Cnt를 하나 증가시키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수신되는 지상파 방송 신호에 대해 일정 수의 프레임 단위로 또는 일정 시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거쳐, 방송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3개의 파라미터, Good_Tuner_Cnt, Bad_Tuner_Cnt 및 Good_Status_Cnt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모드 전환은 방송 신호 수신 상태, 시스템 디코더의 상태 및 사용자에게 즉시 인지되는 비디오 디코더의 상태를 모두 판단하여 수행된다.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의 이동은 신속한 이동이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상태는 Good_Tuner_Cnt와 Bad_Tuner_Cnt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디코더의 상태는 Seq_Err_Cnt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의 상태는 디코딩된 I 픽쳐 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들 중 어느 하나라도 일정 레벨 이하이면 지상파 방송 수신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모드로의 이동은 신속히 이루어진다.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가급적이면 모바일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상파 신호 보다는 모바일 신호 쪽이 더 안정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단, 신호 상태나 시스템 상태가 순간 나쁘다고 해서 즉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너무 빈번한 이동이 되기 쉬으므로 순간적인 패이딩 지역이나 일시적인 신호 나쁨 상태는 어느 정도 감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S21)에서, 지상파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22)에서, Bad_Tuner_Cnt로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즉, Bad_Tuner_Cnt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임계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ISDB 시스템을 기준으로 15로 설정하였다. Bad_Tuner_Cnt가 임계값 이상이면 지상파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S23)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한다.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면, 단계(S24)에서, Seq_Err_Cnt으로 시스템 디코더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Seq_Err_Cnt가 임계값 이상이면, 시스템 디코딩 상태가 양호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계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ISDB 시스템을 기준으로 40으로 설정하였다. Seq_Err_Cnt가 임계값 이상이면 시스템 디코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S23)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한다.
시스템 디코딩 상태가 양호하면, 단계(S25)에서, I 픽쳐 수로 비디오 디코딩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단계(S25)에서, Vid_Ipic_Cnt가 0이면 비디오 디코딩 상태가 양호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단계(S23)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Vid_Ipic_Cnt에 대해 임계값을 설정하고, 그 이하인 경우에 비디오 디코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모드에서 지상파 모드로의 전환할 때는 더 많은 조건을 설정하여 신중하게 전환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바일 모드에서 보다 안정된 신호가 제공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즉, 모바일 방송 시청 중일 때는 지상파 방송 신호 수신 상태를 충분히 모니터링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상파의 방송 수신 상태는 먼저 비디오 디코더 상태인 I 픽쳐 수 증가 여부와 지속적인 프레임 디코딩이 계속되고 있는지, 시스템 디코더에 Seq_Err_Cnt가 없는지와 도 2의 프로세스에 의해 산출해낸 방송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Good_Status_Cnt를 고려하여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모드에서 지상파 모드로 전환할 때는, 지상파 우선 모드와 모바일 우선 모드를 생각할 수 있다. 지상파 우선 모드는 모드 전환 조건을 완화한 것이고, 모바일 우선 모드는 모드 전환 조건을 강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되 모바일 모드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31)에서, 모바일 모드에 진입한다. 단계(S32)에서, Vid_Ipic_Cnt가 임계값 예컨대, ISDM 12seg에서, 100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비디오 디코더 상태를 판단한다. 임계값 이하이면 모바일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임계값 이상이면 비디오 디코딩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S33)에서 시스템 디코딩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여 비디오 상태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시스템 디코딩 상태가 양호한지는 예컨대, Seq_Err_Cnt가 임계값 보다 작은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4)에서, Good_Status_Cnt가 임계값, 예컨대, ISDM 12seg에서, 60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한다. Good_Status_Cnt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된 파라미터이다. 비디오 디코딩 상태와 방송 수신 상태가 모두 양호하면, 단계(S35)에서 지상파 모드로 전환한다. 위 조건들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즉 단계(S32,S33,S34)의 조건을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모바일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지상파 모드에서 모바일 모드로 전환하되 지상파 모드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각 단계들(S41~45)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동일하며, 다만 단계(S42,S43,S44)에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이 보다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가 도 5보다 좋지 않더라도 지상파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도 5이나 도 6 외에도 각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들을 조절하여 어느 때 지상파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고, 이들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1 : 지상파 방송 수신부
12 : 모바일 방송 수신부
13 : 디코더
14 : 디스플레이

Claims (18)

  1.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지상파 방송 처리부;
    모바일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모바일 방송 처리부; 및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에 검출되는 시퀀스 에러 카운트 또는 I 픽쳐 카운트를 기반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를 판단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로부터 산출된 패킷 에러 카운트를 기반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거나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로부터 산출된 패킷 에러 카운트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에러 카운트는 상기 지상파 방송 처리부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처리부에 포함되어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하는 시스템 디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 픽쳐 카운트는 상기 지상파 방송 처리부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처리부에 포함되어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이를 무시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상기 디코딩 상태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정하여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상기 디코딩 상태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정하여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는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모바일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및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상태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에 검출되는 시퀀스 에러 카운트 또는 I 픽쳐 카운트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의 수신 상태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는 상기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로부터 산출된 패킷 에러 카운트를 기반으로 판단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간을 스위칭하는 단계는
    일시적으로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 수신 상태 및 디코딩 상태 중 하니 이상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출력 모드 전환 방법.



KR1020100006462A 2010-01-25 2010-01-25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KR10159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62A KR101597836B1 (ko) 2010-01-25 2010-01-25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62A KR101597836B1 (ko) 2010-01-25 2010-01-25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27A KR20110087027A (ko) 2011-08-02
KR101597836B1 true KR101597836B1 (ko) 2016-03-07

Family

ID=4492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462A KR101597836B1 (ko) 2010-01-25 2010-01-25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552A (ja) * 2005-08-26 2007-03-08 Xanavi Informatics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96508A (ja) * 2005-09-27 2007-04-12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552A (ja) * 2005-08-26 2007-03-08 Xanavi Informatics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96508A (ja) * 2005-09-27 2007-04-12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27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58492A (ja) 地上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431236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移動体
US7692727B2 (en) Channel switch control method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US7460184B2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er
JP3598056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003499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1597836B1 (ko) 복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출력 모드 전환 방법
WO2009122668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862307B1 (ko) 디엠비 및 브이에스비 튜너 모듈
US7528888B2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JP200411265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6522979B2 (ja) テレビ受信装置
US20130055332A1 (e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JP200621118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666897B1 (ko)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JP2012169902A (ja) 車載用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174030A (ja) 移動体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683329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5318138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WO2009157140A1 (ja) テレテキストデコード装置
KR10030830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 표시 방법
KR100791661B1 (ko) 무선 디지털티브이에서의 이피지 데이터 처리방법
KR20030067994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절환 장치 및 방법
KR101162209B1 (ko)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채널변경방법
JP5039829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