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43B1 -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43B1
KR101597043B1 KR1020140098886A KR20140098886A KR101597043B1 KR 101597043 B1 KR101597043 B1 KR 101597043B1 KR 1020140098886 A KR1020140098886 A KR 1020140098886A KR 20140098886 A KR20140098886 A KR 20140098886A KR 101597043 B1 KR101597043 B1 KR 10159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hole
clad metal
joining
tri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931A (ko
Inventor
도모야 데구치
도요헤이 이시하라
겐이치 아카사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1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for calibrating or setting of devices to function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제]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으면서, 접합시에 발생하는 용융물(溶融物)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을 얻는다.
[해결 수단]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은, 본체에 구멍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을 준비하는 공정과, 클래드 메탈의 구멍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선단에 클래드 메탈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을 가지는 금속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클래드 메탈에 마련된 구멍에, 금속 부품의 돌기부에 마련된 구멍을 맞닿게 하여 용접하는 공정을 가진다.

Description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METHOD OF JOINING CLAD METAL TO METAL PARTS,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AL TRIPPING DEVICE USING THE JOINING METHOD, AND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熱動式) 트리핑(tripping) 장치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동식 트리핑 장치를 이용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회로 차단기의 열동식 트리핑 장치는, 과전류를 검출하고, 주회로(主回路)의 트리핑을 행하는 장치이다. 열동식 트리핑 장치는, 과전류로부터 전류 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전기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바이메탈(bimetal)의 만곡(灣曲)에 의해, 개폐 레버를 회동시켜 가동 접촉자를 떨어지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클래드 메탈(clad metal)은, 복수의 전도율이 다른 금속이 압연 접합된 금속이다. 종래,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과 같은 열전도성이 다른 금속을 결합하는 기술의 하나로서, 프로젝션(projection) 용접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클래드 메탈의 용융이 심한 경우, 접합시에 발생하는 용융물(溶融物)이 비산하여 고드름 모양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용접 후에 제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일본실용신안등록공개 소63-153454호 공보에서는, 클래드 메탈에 용융물의 비산을 경감하기 위한 구멍을 마련하고, 이것에 금속 부품에 마련한 돌기를 맞닿게 하여 용접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실용신안등록공개 소63-15345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접합 방법에서는, 금속 부품의 돌기부와 클래드 메탈에서의 구멍의 둘레 상(上)에서 접합되기 때문에, 접합 면적이 좁으며, 열은 클래드 메탈로 크게 분산된다. 그 때문에, 용접 개소에 열이 효율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너깃(nugget)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것에 의해 접합 강도가 부족하거나, 융점이 낮은 부재의 용융물 비산량이 많기 때문에, 클래드 메탈에 마련된 구멍에 용융물이 머물러 붙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으면서,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시에 발생하는 용융물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는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은, 본체에 구멍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clad metal)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클래드 메탈의 구멍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선단에 상기 클래드 메탈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을 가지는 금속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클래드 메탈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금속 부품의 상기 돌기부에 마련된 구멍을 맞닿게 하여 용접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는, 절연 케이스, 상기 절연 케이스에 장착된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 기구부, 통전시(通電時)의 과전류에 따라 상기 개폐 기구부를 작동시키는 열동식(熱動式) 트리핑(tripping)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열동식 트리핑 장치는, 본체에 구멍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로 이루어지는 바이메탈(bimetal)과, 상기 바이메탈의 구멍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선단에 상기 바이메탈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을 가지는 중계(中繼) 단자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에 의하면,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으면서, 접합시에 발생하는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에 따르면, 충분한 접합 강도를 가지는 열동식 트리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관 사시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미들(middle) 베이스로의 각 부재의 수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중앙극(中央極)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에 절연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바이메탈과 중계(中繼) 단자의 접합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바이메탈과 중계(中繼) 단자의 접합 전의 측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의 바이메탈과 중계(中繼) 단자의 용접시의 전극의 맞닿음 방법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로서의 접합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합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로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를 위로부터 순서대로 커버, 미들(middle) 베이스, 베이스로 각각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미들 베이스에의 각 부재의 수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1극분(極分) 과전류 트리핑 장치 및 요크(yoke)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게다가, 도 5는 중앙극(中央極)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에 절연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3극용(極用) 회로 차단기(101)의 절연 케이스(50)는, 커버(1), 미들 베이스(2), 및 베이스(3)에 의해 구성된다. 이 중 미들 베이스(2)에는, 조작 핸들(4)을 구비한 개폐 기구부(51)와, 극수(極數) 만큼의(이 경우, 3개)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52)와, 중앙극(中央極)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52) 및 개폐 기구부(51)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 부재(54)가 수납된다. 또, 베이스(3)에는, 미들 베이스(2)와 동일하게 극수(極數) 만큼의 소호(消弧) 장치(53)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또, 미들 베이스(2)에 대해서는,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내부 압력 상승으로 인한 손상을 막기 위해서, 베이스(3)의 오목부(3a, 3b)에 미들 베이스(2)의 측판(2a, 2b)을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측판(2a, 2b)이 절연 케이스(50)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또, 조작 핸들(4)은 커버(1)의 핸들용 창공(窓孔, 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음으로써, ON 방향(도 1 지면 상(上), 시계 방향) 혹은 OFF 방향(도 1 지면 상, 반시계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다. 또, 소호 장치(53)의 위치 관계로부터, 부호 5는 전원(電源)측 단자이며, 부호 6이 부하(負荷)측 단자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과전류 트리핑 장치(52), 개폐 기구부(51), 소호 장치(53)에 대해 설명한다. 회로 차단기(101)에서는, 일단에 고정 접점(8)을 가지며 요크(7)에 고착된 고정 접촉자(9)와, 전원측 단자(5)에 접속되고, 일단에 가동 접점(11)을 가지며, 개폐 기구부(51)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크로스 바(cross bar, 12)에 의해서 유지되는 가동 접촉자(13)와의 사이에서 접리(接離, 접촉 및 떨어짐)가 반복된다. 이 접리 중, 특히 떨어짐에 의해서, 고정 접점(8)과 가동 접점(11)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 장치(53)에 의해서 재단(裁斷)하고 있다.
개폐 기구부(5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판(14A·14B)에 의해서 형성되는 프레임(14)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핸들 암(15), 이 핸들 암(15)에 고착되는 조작 핸들(4), 프레임(14)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후술하는 과전류 트리핑 장치(52)의 동작에 의해서 회동하는 트립 바(trip bar, 16) 및 걸쇠(17), 이 걸쇠(17)의 회동에 의해서 동작하는 토글 링크(toggle link)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동하며, 마찬가지로 프레임(14)에 축 지지되어 회동하는 크로스바(12)에 의해서, 유닛화 되어 있다.
또, 프레임판(14A, 14B)은, 전원·부하 방향의 전후에 다리부(14A1, 14A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다리부(14A1, 14A2)가, 미들 베이스(2)에 마련한 삽입 구멍에 삽입 장착됨으로써, 개폐 기구부(51)는 절연 케이스(50)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토글 링크 기구의 상세, 즉, 회로 차단기(101)의 수동 조작(온(on)으로부터 오프(off), 오프(off)로부터 온(on))이나 트립(trip) 조작, 혹은 트립 후의 리셋(reset) 조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는 아니기 때문에, 이것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전류 트리핑 장치(52)는, 전류 경로에서 본 경우, 일단에 고정 접점(8)을 가진 고정 접촉자(9), 이 고정 접촉자(9)에 전기적으로 접속(이하, 간단하게 '접속'이라고 기재함)된 코일(18), 이 코일(18)에 접속된 중계(中繼) 단자(19), 이 중계(中繼) 단자(19)에 접속된 바이메탈(20), 이 바이메탈(20)의 발열에 의한 소망한 만곡량(灣曲量)을 얻기 위한 임의의 개소에 접속된 가요 동연선(銅撚線, 21), 이 가요 동연선(21)에 접속된 부하측 단자(6)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과전류 트리핑 장치(52)는, 코일(18)에서의 전자력을 살리기 위해서, 고정 접촉자(9)에 요크(7)와 함께 고착된 고정 철심(22), 이 고정 철심(22)을 덮음과 아울러 코일(18)의 내경에 위치하는 절연 파이프(23), 이 절연 파이프(23)의 내경에 위치하며, 가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가동 철심(2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과전류 트리핑 장치(52)는, 열동(熱動) 전자식이며, 중계(中繼) 단자(19), 바이메탈(20), 및 가요 동연선(21)에 의해 열동부(熱動部)를, 요크(7), 코일(18), 고정 철심(22), 절연 파이프(23), 가압 스프링, 및 가동 철심(24)에 의해 전자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54)는, 대략 コ 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오목부에 마련된 홈에 중앙극(中央極)의 과전류 트리핑 장치(52)의 요크 단부(7b)가 장착된다. 과전류 트리핑 장치(52)가 미들 베이스(2)에 압입된 후, 과전류 트리핑 장치(52)의 한 쌍의 프레임(14)에 절연 부재(54)의 볼록부(54a)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절연 부재(54) 상(上)에 개폐 기구부(51)가 재치(載置)된다. 이 절연 부재(54)는, 고정 접점(8)의 근방에 마련되므로, 단락(短絡) 차단시에 소호성의 가스를 방출하는 재료로 형성하면, 차단시의 아크 발생에 의한 가스 압력의 상승에 기여한다. 또, 이 재료에 나일론계의 수지를 모체(母體)에 충전제로서 세라믹스 섬유나 금속 수산화물을 배합하면, 단락 차단 직후의 절연 회복을 조장할 수 있다.
이 과전류 트리핑 장치(52)의 동작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부하 전류가 소정 시간 이상 흐른 경우에는, 바이메탈(20)이 지면 상, 우측 방향으로 만곡함으로써, 조정 나사부(20a)가 트립 바(16)를 회동시키며, 이 회동에 의해 트립 바(16)에 맞닿고 있는 걸쇠(17)가 회동함으로써, 개폐 기구부(51)가 트립(trip)하여, 가동 접촉자(13)가 고정 접촉자(9)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단락 전류가 흐른 경우에는, 코일(18)에 큰 자력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24)이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직접 걸쇠(17)를 회동시켜, 마찬가지로 개폐 기구부(51)를 트립시킨다.
도 6은 바이메탈(20)과 중계(中繼) 단자(19)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 바이메탈(20)에는, 구멍(20b)이 마련되어 있다. 또, 중계(中繼) 단자(19)는, 돌기부(19a)와 이 중계(中繼) 단자의 돌기부(19a)에 마련된 구멍(19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접합 전의 바이메탈(20)과 중계(中繼) 단자(19)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측면도를, (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중계(中繼) 단자(19)의 돌기부(19a)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중계(中繼) 단자(19)의 돌기부(19a)는, 바이메탈(20)의 구멍(20b)보다도 크고, 바이메탈(20)의 구멍(20b)에 중계(中繼) 단자(19)의 돌기부(19a)가 들어가지는 않는다. 또 중계(中繼) 단자(19)의 구멍(19b)은, 바이메탈의 구멍(20b)의 지름 이상의 구멍으로 하고, 바이메탈의 구멍(20b) 지름 내에 중계(中繼) 단자의 돌기부(19a)의 구멍(19b)이 있어서는 안된다. 접합할 때에는, 바이메탈의 구멍(20b)과 중계(中繼) 단자의 구멍(19b)의 중심에서 위치 맞춤하여 용접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할 때에는 바이메탈(20)측과 중계(中繼) 단자(19)측으로부터 전극(電極)이 맞닿아져, 바이메탈(20)로 꽉 눌리는 중계(中繼) 단자(19)의 돌기부(19a)에 전류와 가압력이 집중하여, 그것이 찌부러져 접합된다.
여기서, 비교예로서의 접합 방법과 실시 형태 1의 접합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클래드 메탈은, 복수의 전도율이 다른 금속이 압연 접합된 금속이다. 클래드 메탈은, 고팽창 부재는 융점이 낮고, 저팽창 부재는 융점이 높은 금속이다. 클래드 메탈의 저팽창 부재면에 용접하는 경우는, 용접시의 열이 고팽창 부재측으로도 전해지고, 고팽창 부재측의 금속이 녹아 버려 용융물이 비산하기도 한다.
도 9는 비교예로서의 접합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a)는 고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전 단면도, (b)는 저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전 단면도를 나타내고, (c)는 고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후 단면도, (d)는 저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후 단면도를 나타내며, (e)는 용접 후의 용접부의 접합 면적을 나타내다.
도 9에서는, 클래드 메탈(31)의 구멍(33)에 접합하는 금속 부품(32)의 돌기부(32a)의 선단 부분을 넣는 접합을 하기 위해, 접합하는 금속 부품(32)의 돌기부(32a)에 가압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는다. 이 돌기부(32a)는, 찌부러지지 않고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되는 각 부품의 접합 면적은 크게 넓어지지는 않는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팽창 부재(31a)측에 용접하는 경우는, 먼저 돌기부(32a)와 클래드 메탈(31)의 구멍(33)에서 접촉한 원주(圓周) 상(上)에서 입열(入熱, 열이 들어옴)이 일어나, 가열된 고팽창 부재(31a)가 녹기 시작한다. 그러나,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되기 전에 돌기부(32a)주변의 고팽창 부재(31a)가 녹아 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금속 부품(32)은 저팽창 부재(31b)와 접합되어, 용융물(35)의 비산물은 구멍(33) 안에 머물러 억제되지만, 접합에 의한 너깃(nugget)부(34)(용융 응고 부분)의 생성이 적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또,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팽창 부재(31b)측에 용접한 경우, 돌기부(32a)와 클래드 메탈(31)의 구멍(33)에서 접촉한 원주(圓周) 상(上)에서 입열이 일어나, 가열된 저팽창 부재(31b)에 용접된다. 그러나, 돌기부(32a)에 의한 프로젝션(projection) 용접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팽창 부재(31a)측에의 접합에 비해 접합 강도는 증가하지만, 클래드 메탈(31)로의 열 분산이 커지기 때문에,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시의 열이 고팽창 부재(31a)로도 전해져 용융해 버려, 클래드 메탈(31)의 구멍(33)으로부터 용융물(35)이 분출하는 일이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접합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a)는 고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전 단면도, (b)는 저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전 단면도를 나타내고, (c)는 고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후 단면도, (d)는 저팽창 부재면에의 접합 후 단면도를 나타내며, (e)는 용접 후의 용접부의 접합 면적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부품(26)의 돌기부(26a)는, 원추대(圓錐台) 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원추대 모양의 돌기부(26a)는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보다도 크며,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에 금속 부품(26)의 돌기부(26a)가 들어가지는 않는다. 또 금속 부품(26)의 구멍(26b)에서의 정점(頂点)측의 지름은,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의 지름 이상의 구멍으로 하고, 클래드 메탈의 구멍(27) 지름 내(內)에 금속 부품(26)의 돌기부(26a)의 구멍(26b)이 있어서는 안된다. 접합할 때에는,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과 금속 부품(26)의 구멍(26b)의 중심에서 위치 맞춤시켜 용접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접합 방법에서는,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에 접합하는 금속 부품(26)의 돌기부(26a)의 선단 부분이, 초기에는 원주(圓周) 모양의 선접촉으로 되어 있지만, 입열하고 가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돌기부(26a)는 서서히 찌부러지면서 용접되어, 이것에 따른 접합 면적도 넓어진다.
그 때문에, 접합시에 클래드 메탈(25)로의 방열이 일어나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로서의 접합 방법에 비해 접합면에 열이 머물기 때문에 열 분산이 적고, 용접 전류, 용접 시간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a) 고팽창 부재(25a)측에의 용접, (b) 저팽창 부재(25b)측에의 용접에 상관없이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클래드 메탈(25)의 구멍(27) 및 금속 부품(26)의 구멍(26b)에 용융물(29)이 머물기 때문에, 용융물(29)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접합 방법에 의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접합 방법보다도 용접되는 각 부품의 접합 면적이 넓어 접합면에 열이 머물기 때문에, 접합에 필요한 열을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어,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열을 효율적으로 전도(傳導)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 시간도 짧고, 용접 전류도 낮게 할 수 있으며, 입열량이 적기 때문에 용접시에 발생하는 용융물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용융물이 발생한 경우도 바이메탈 및 중계(中繼) 단자에 마련한 구멍에 머물기 때문에, 이들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도 1 내지 도 5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접합 방법에 의해 열동식 트리핑 장치, 즉 과전류 트리핑 장치(52)는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나타낸 바이메탈(20)은, 도 10에서 나타낸 클래드 메탈(25)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0에서 나타낸 금속 부품(26)은, 도 6에서 나타낸 중계(中繼) 단자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회로 차단기의 열동식 트리핑 장치는, 본체에 구멍(20b)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로 이루어지는 바이메탈(20)과, 이 바이메탈(20)의 구멍(20b)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19a)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19a)의 선단에 바이메탈(20)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19b)을 가지는 중계(中繼) 단자(19)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1:커버 2:미들 베이스
3:베이스 4:조작 핸들
5:전원측 단자 6:부하측 단자
7:요크 8:고정 접점
9:고정 접촉자 11:가동 접점
12:크로스 바 13:가동 접촉자
14:프레임 15:핸들 암
16:트립 바 17:걸쇠
18:코일 19:중계(中繼) 단자
20:바이메탈 21:가요 동연선(銅撚線)
22:고정 철심 23:절연 파이프
24:가동 철심 25:클래드 메탈
26:금속 부품 27:구멍
28:너깃부(nugget部) 29:용융물
50:절연 케이스 51:개폐 기구부
52:과전류 트리핑 장치 53:소호 장치 
54:절연 부재

Claims (4)

  1. 본체에 구멍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clad metal)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클래드 메탈의 구멍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선단에 상기 클래드 메탈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을 가지는 금속 부품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클래드 메탈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금속 부품의 상기 돌기부에 마련된 구멍을 맞닿게 하여 용접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상기 클래드 메탈에 마련된 구멍과, 상기 금속 부품의 상기 돌기부에 마련된 구멍의 중심에서 위치 맞춤을 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접합 방법에 의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클래드 메탈은, 상기 열동식(熱動式) 트리핑(tripping) 장치의 바이메탈(bimetal)이고,
    상기 금속 부품은, 상기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중계(中繼)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4. 절연 케이스,
    상기 절연 케이스에 장착된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가동 접촉자,
    상기 가동 접촉자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 기구부,
    통전시(通電時)의 과전류에 따라 상기 개폐 기구부를 작동시키는 열동식 트리핑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열동식 트리핑 장치는, 본체에 구멍을 가지는 클래드 메탈로 이루어지는 바이메탈과, 상기 바이메탈의 구멍보다도 큰 지름의 돌기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선단에 상기 바이메탈에 개구된 구멍 지름보다도 큰 지름의 구멍을 가지는 중계(中繼) 단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140098886A 2013-12-17 2014-08-01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KR101597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9818 2013-12-17
JP2013259818A JP6116470B2 (ja) 2013-12-17 2013-12-17 クラッドメタルと金属部品の接合方法及びその接合方法を用いた熱動式引き外し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931A KR20150070931A (ko) 2015-06-25
KR101597043B1 true KR101597043B1 (ko) 2016-02-23

Family

ID=5254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886A KR101597043B1 (ko) 2013-12-17 2014-08-01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16470B2 (ko)
KR (1) KR101597043B1 (ko)
CN (2) CN104715976B (ko)
TW (1) TWI572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470B2 (ja) * 2013-12-17 2017-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クラッドメタルと金属部品の接合方法及びその接合方法を用いた熱動式引き外し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回路遮断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628A (ja) 2000-06-12 2001-12-25 Ohashi Technica Inc 軸体と板体との圧入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5767U (ko) * 1974-08-12 1976-02-25
JPS5227919U (ko) * 1975-08-18 1977-02-26
JPS5847270B2 (ja) * 1978-07-21 1983-10-21 富士電機株式会社 ろう付け品の製造方法
JPS6054833B2 (ja) * 1979-04-11 1985-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抵抗溶接方法
JPS60181278U (ja) * 1984-05-12 1985-12-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エクシヨン溶接に於けるバリ防止構造
JPH0515423Y2 (ko) * 1986-10-20 1993-04-22
JPS63153454A (ja) 1986-12-17 1988-06-25 Asahi Chem Ind Co Ltd 光デイスク透明円板の欠陥検査装置
JPS63153454U (ko) * 1987-03-27 1988-10-07
JPS63309372A (ja) * 1987-06-06 1988-12-16 Tokai T R W Kk 溶接部材構造
CA2070469A1 (en) * 1991-07-25 1993-01-26 Alexander Rossetti Molded case circuit breaker load terminal assembly
JP3496164B2 (ja) * 1992-11-25 2004-02-09 カイペ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 座席の調節装置にある部材結合部の製造方法
JPH0740058A (ja) * 1993-07-28 1995-02-10 Toyoda Gosei Co Ltd アイ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3740858B2 (ja) * 1997-09-16 2006-02-01 マツダ株式会社 接合金属部材及び該部材の接合方法
JP3752830B2 (ja) * 1998-03-31 2006-03-08 マツダ株式会社 接合金属部材及び該部材の接合方法
CN101098768B (zh) * 2004-11-30 2010-09-29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连接构件
TWM284068U (en) * 2005-06-20 2005-12-21 Sheng-Fu Shiu Non-fuse circuit breaker with a starter for displaying the shut down message
JP2007301577A (ja) * 2006-05-09 2007-11-22 Shimizu Seisakusho:Kk 筒製品
JP5485493B2 (ja) * 2006-05-15 2014-05-07 株式会社清水製作所 管の端面同士の溶接方法
JP5419939B2 (ja) * 2011-09-12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過電流引き外し装置および回路遮断器
JP5747806B2 (ja) * 2011-12-14 2015-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6116470B2 (ja) * 2013-12-17 2017-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クラッドメタルと金属部品の接合方法及びその接合方法を用いた熱動式引き外し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回路遮断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628A (ja) 2000-06-12 2001-12-25 Ohashi Technica Inc 軸体と板体との圧入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4657A (zh) 2015-07-01
KR20150070931A (ko) 2015-06-25
JP6116470B2 (ja) 2017-04-19
CN104715976A (zh) 2015-06-17
JP2015116577A (ja) 2015-06-25
TWI572435B (zh) 2017-03-01
CN204167240U (zh) 2015-02-18
CN104715976B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2814A (en) Circuit breaker with force generating shunt
US10672579B2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EP3611748B1 (en) Contact device,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ical equipment
JP5327038B2 (ja) 回路遮断器
US6515569B2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conductor commutating current out of the bimetal during short circuit interruption and method of commutating current out of bimetal
US4220935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high speed magnetic trip device
KR101597043B1 (ko) 클래드 메탈과 금속 부품의 접합 방법 및 그 접합 방법을 이용한 열동식 트리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회로 차단기
KR101579698B1 (ko) 회로차단기
CN102610456B (zh) 热磁式断路器及配电设备
KR101301335B1 (ko) 회로차단기
CZ20032437A3 (cs) Jho magnetického systému zkratového vypínacího zařízení
CN202585291U (zh) 小型断路器的一体化热磁系统支架
JP2013105751A (ja) 接触器の中に組込可能な、交流電流が供給される電気回路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CN102709130B (zh) 小型断路器的一体化热磁系统支架及其制作方法
CN215911378U (zh) 断路器
JP5760545B2 (ja) 回路遮断器
JP2012248516A (ja) 回路遮断器及びその熱動引外し装置
US11348753B2 (en) Contactor having fixed and movable iron cores and a movable contact
JP7076635B2 (ja) 回路遮断器
JPH0282429A (ja) 遮断器用磁気引外しユニット
CN113496856A (zh) 断路器
JPH07214333A (ja) 電気機器の溶接構造
JP2013246946A (ja) 回路遮断器
JP2005285494A (ja) 回路遮断器
JPH02256112A (ja) 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