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570B1 -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 Google Patents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70B1
KR101596570B1 KR1020140033968A KR20140033968A KR101596570B1 KR 101596570 B1 KR101596570 B1 KR 101596570B1 KR 1020140033968 A KR1020140033968 A KR 1020140033968A KR 20140033968 A KR20140033968 A KR 20140033968A KR 101596570 B1 KR101596570 B1 KR 10159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inding
panel
fen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095A (ko
Inventor
이승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Priority to KR102014003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장 등에 가설되는 시공현장용 가설울타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울타리를 구성하는 울타리용 판넬 간에 삐뚤어져 돌출되는 면이 없도록 하며, 공사 현장에서 발생된 진동으로 흔들려 울타리판넬 간의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상단과 하단이 중심부를 향해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일정 두께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속부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으로 개방된 양측 단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의 사이에서 베이스판의 상,하부 결속부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베이스판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골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하부에는 적층안내수단이 구비되고, 측면프레임에는 측면실링부재가 구비된 시공현장용 가설용울타리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Temporary construction site fence panels}
본 발명은 공사장 등에 가설되는 시공현장용 가설울타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울타리를 구성하는 울타리용 판넬 간에 삐뚤어져 돌출되는 면이 없도록 하며, 공사 현장에서 발생된 진동으로 흔들려 울타리판넬 간의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시공성이 향상된 시공현장용 가설울타리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용울타리는 공사현장에 설치되어 공사현장과 외부를 차단하여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소음 차단 및 공사현장의 위험한 환경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설용울타리는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한시적으로 설치된 후 공사가 끝나고 철거되는 것이어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근래에는 가설용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해 규정된 간격으로 비계를 설치한 후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공간에 클램프를 사용하여 울타리판넬을 비계에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비계로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는 울타리판넬은 상측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울타리판넬의 접촉되는 면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강제하는 수단이 없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들쑥날쑥한 형상으로 적층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며, 정확한 위치로 적층되지 않았을 경우 울타리판넬 간에 틈새가 발생하여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소음 또는 분진이 외부로 새어나가게 되며, 한편으로는 공사장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밀착되지 않은 울타리판넬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소음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20-0386864
이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가설용판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측으로 면접촉되며 적층되는 울타리판넬이 삐뚤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적층되며, 울타리판넬 간에 공사장에서 발생한 진동이 전달되어 흔들려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성이 향상된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이 중심부를 향해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일정 두께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속부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으로 개방된 양측 단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의 사이에서 베이스판의 상,하부 결속부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이 결합된 베이스판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골판으로 구성된 시공현장용 가설용울타리용 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울타리판넬을 설치시 상측으로 적층이 적층수단에 의해 이루어져 정확한 위치로 적층되며, 양측 측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측면으로 설치된 울타리판넬이 시공현장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충돌되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울타리판넬에 구성된 적층수단에 의해 상측으로 적층되는 울타리판넬과, 측면프레임에 접합된 실링부재에 의해 미세한 틈새도 발생되지 않게되어 공사장에서 발생한 소음 및 분진에 대해 더 향상된 차단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적층안내수단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골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의 클램프로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에 클램프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을 적치해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은 상단과 하단이 중심부를 향해 마주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일정 두께의 공간부를 갖도록 결속부(110)가 형성된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으로 개방된 양측 단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과,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200)의 사이에서 베이스판(100)의 상,하부 결속부(110)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300)과, 상기 보강프레임(300)이 결합된 베이스판(100)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골판(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하부에서 절곡 형성된 결속부(110)는 적층되는 울타리판넬이 정확한 위치로 결합될 수 있게 적층안내수단이 구비되고, 적층안내수단의 양측 끝부분에는 울타리판넬을 비계에 설치할 때 인접한 4개의 울타리판넬의 모서리부분을 클램프(500)를 이용하여 한번에 고정할 수 있도록 울타리판넬결속공(112)이 형성되며, 양측 개방된 면에는 측면프레임(200)을 결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벳체결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적층안내수단은 도 3과 같이 결속부(110)의 상,하부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호형으로 형성된 결속홈(114)과, 상,하부면에 형성된 결속홈(11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속바(130)로 구성된 것과,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와 하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결속부(110) 중 일측은 결속홈(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호형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116)로 형성된 것과, 결속부(110) 양측 모두 돌출되는 안내돌기(116)로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00)은 울타리판넬의 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100)의 개방된 좌우측면으로 끼워진 후 리벳(10)으로 고정결합되며, 일면이 개방면(210)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베이스판체결공(212)이 형성되며, 개방면(210)을 형성한 양측 단부에는 울타리판넬을 을 적치하여 보관할 때 표면으로 돌출된 리벳머리가 끼움되는 리벳머리삽입공(214)이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베이스판(100)의 결속홈(114)의 길이방향을 따른 안착홈(216)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는 클램프(500)를 구성하는 걸이부(402)에 걸리는 걸이핀(218)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0)에 개방된 양측면으로 측면프레임(200)이 결합된 후 결속부(110)에는 'ㄷ'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결속부의 단부 내측에서 접촉되는 내측 보강프레임(302)과, 결속부의 단부 외측에서 접촉되는 외측 보강프레임(304)으로 구성된 보강프레임(300)이 접합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00)에는 측면으로 연결되는 울타리판넬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폴리스티렌(PS)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측면실링부재로(220)가 결합된다.
상기 골판(40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다수의 소음차단홈(410)과, 소음차단홈(410) 사이마다 베이스판(10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수용호형홈(412)이 형성되며, 접착제수용호형홈(412)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측면프레임(200)과 보강프레임(300)이 결합된 공간부로 삽입되어 접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규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시스템 비계에 형성된 울타리판넬 설치공간에 맞는 적층방향으로 확장된 것으로,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개방된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은 적층방향으로 두개의 울타리판넬을 적층한 길이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골판(400)이 결합되는 공간부의 중간지점에는 양단이 양측의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중앙보강프레임(150)이 결합되어 상,하부 공간부를 구획하며, 상,하부 공간부에는 골판(400)이 삽입되어 접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을 비계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울타리판넬은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홈(114)에 결속바(130)를 결합하여 그 상측으로 다른 울타리판넬을 적층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측에 위치한 울타리판넬은 하부에 형성된 결속홈의 하측 울타리판넬에 결합된 결속바(130)에 의해 결합 위치가 안내되어 적층된 울타리판넬은 틀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울타리판넬은 첨부된 도 8 및 도 9와 같이 인접한 4개의 울타리판넬 모리리 부분을 하나의 클램프(500)를 이용하여 비계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울타리판넬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200)의 개방면(210)을 통해 클램프(500)를 구성하는 걸이부(402)의 선단을 삽입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U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402)의 선단이 측면프레임(200)의 상단에 구성된 걸이핀(218)을 걸고 결속홈(114)의 양단에 형성된 울타리판넬결속공(112)을 통과하여 상측에 적층된 다른 울타리판넬의 결속공(112)을 통과하여 걸이핀(218)이 걸림되어 클램프(500)의 비계체결부(504)를 비계에 고정시킴으로서 울타리판넬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적층안내수단은 도 4와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느 일면은 결속홈(114)으로 형성하고 타면은 안내돌기(116)로 형성하였을 경우 단독으로 시공현장용 가설울타리용 판넬의 시공이 가능하고, 상하부 결속부(110) 모두 안내돌기(116)를 형성할 경우 양측 모두 결속홈(114)이 형성된 울타리판넬과 교차로 적층되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으로 밀착 결합되는 울타리판넬은 측면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에 폴리스틸렌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쿠션을 갖는 측면실링부재(220)가 부착되어 있어 측면 접촉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어도 울타리판넬의 흔들림을 완충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100 : 베이스판
110 : 결속부 112 : 울타리판넬결속공 114 : 결속홈
116 : 안내돌기 120 : 리벳체결공 130 : 결속바
150 : 중앙보강프레임
200 : 측면프레임
210 : 개방면 212 : 베이스판체결공 214 : 리벳머리삽입공
216 : 안착홈 218 : 걸이핀 220 : 측면실링부재
300 : 보강프레임 302 : 내측 보강프레임 304 : 외측 보강프레임
400 : 골판 410 : 소음차단홈 412 : 접착제수용호형홈
500 : 클램프

Claims (4)

  1. 좌우측면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ㄷ'형으로 절곡되어 적층안내수단이 구비되는 결속부(110)가 형성되고, 결속부(110)의 양측단에는 적층된 울타리판넬을 클램프로 결속하기 위한 관통된 울타리판넬결속공(112)이 형성되며, 개방된 좌우측면에는 측면프레임(200)을 결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벳체결공(120)이 형성된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개방된 양측면에 리벳(10)으로 고정결합되는 일 측면이 개방된 개방면(210)이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베이스판체결공(212)이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베이스판(100)과 체결될 때 결속홈(114)에 간섭받지 않도록 안착홈(216)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는 완성된 울타리판넬을 시스템 비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클램프(500)에 걸림되는 걸이핀(218)이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결속부(110)에는 'ㄷ'형으로 절곡되어 결속부의 단부 내측에서 접촉되는 내측 보강프레임(302)과 결속부의 외측에서 접촉되는 외측 보강프레임(304)으로 구성된 보강프레임(3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내측면에 반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소음차단홈(410)과, 소음차단홈(410) 사이마다 베이스판(10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수용호형홈(412)이 형성되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접착되는 골판(400)과,

    상기 측면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에는 측면으로 인접해 설치되는 울타리판넬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면실링부재(220)가 접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안내수단은 결속부(110)의 상,하부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호형으로 형성된 결속홈(114)과, 상,하부면에 형성된 결속홈(11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결속바(130)로 구성된 것과,
    상기 적층안내수단은 결속부(110)의 상,하부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호형으로 형성된 결속홈(114)과, 상,하부면의 결속홈(114)에 결속바(130)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과,
    결속부(110)의 상,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홈(114)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호형으로 돌출된 안내돌기(116)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과,
    결속부(110)의 상,하부면을 호형으로 돌출된 안내돌기(116)가 형성되게 하여 상,하부면 양측이 결속홈(114)이 형성된 베이스판(100)과 교차로 적층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의 개방된 양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200)은 적층방향으로 두개의 울타리판넬을 적층한 길이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골판(400)이 결합되는 공간부의 중간지점에는 양단이 양측의 측면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중앙보강프레임(150)이 결합되어 상,하부 공간부로 구획하며, 상,하부 공간부에는 골판(400)이 삽입되어 접합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 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200)에서 개방면(210)을 형성하는 양측 단부에는 울타리판넬을 적치하여 보관할 때 표면으로 돌출된 리벳머리가 끼움되어 안정적인 적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리벳머리삽입공(2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 판넬.
KR1020140033968A 2014-03-24 2014-03-24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KR10159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68A KR101596570B1 (ko) 2014-03-24 2014-03-24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68A KR101596570B1 (ko) 2014-03-24 2014-03-24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095A KR20150110095A (ko) 2015-10-02
KR101596570B1 true KR101596570B1 (ko) 2016-02-22

Family

ID=5434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968A KR101596570B1 (ko) 2014-03-24 2014-03-24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1429B (zh) * 2021-06-17 2022-09-13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曲线顶管施工中使用的洞口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826B1 (ko)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방음벽용 방음벽체
KR200465143Y1 (ko) 2011-12-23 2013-02-05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화된 건축공사용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702A (ja) * 1997-04-01 1998-10-20 Masao Suzuki 仮設用防音パネル
KR200386864Y1 (ko) 2005-03-24 2005-06-16 박인식 공사현장의 가설펜스
KR20100001381U (ko) * 2008-07-29 2010-02-08 (주) 장진플라테크 방음벽용 조립식 방음판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826B1 (ko)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방음벽용 방음벽체
KR200465143Y1 (ko) 2011-12-23 2013-02-05 주식회사 동성진흥 경량화된 건축공사용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095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516B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596570B1 (ko) 시공현장용 가설 울타리판넬
KR20170132030A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KR101794092B1 (ko) 지붕판넬용 인서트클립 조립체
JP532791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2193501A (ja) 外断熱壁の構築方法
US20070251409A1 (en) Car wall arrangement for an elevator car
WO2013054571A1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JP5798593B2 (ja) 天井下地材及び天井構造
KR101417507B1 (ko) 강관 접합 구조물
JP5771470B2 (ja) 防水シートの取付金具及びユニット建物の防水構造
JP2016142021A (ja) コンクリート製柱梁架構における耐震壁と下方梁との応力伝達構造
KR101556546B1 (ko)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KR20150138986A (ko) 모듈러 구조물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20170003543U (ko) 보강재가 내장된 방음판용 프레임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JP6842995B2 (ja) 制振装置付き構造物
KR20160108032A (ko)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JP5238217B2 (ja) 壁パネル
JP6598212B2 (ja) パネル用ジョイント材、間仕切り構造および間仕切り施工方法
KR101478210B1 (ko) 월파 차단벽
JP4861882B2 (ja) 耐力壁
KR102111802B1 (ko) 칸막이 조립체
JP7079623B2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