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210B1 -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210B1
KR101596210B1 KR1020150003154A KR20150003154A KR101596210B1 KR 101596210 B1 KR101596210 B1 KR 101596210B1 KR 1020150003154 A KR1020150003154 A KR 1020150003154A KR 20150003154 A KR20150003154 A KR 20150003154A KR 101596210 B1 KR101596210 B1 KR 10159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andle
locking
locking mean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봉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15000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10B1/en
Priority to CN201510190812.1A priority patent/CN106136968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andle coupl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which enable a tongue, operated by a button, to elastically move forward into and backward from an opening of a coupler fixated at a connection neck of the cooking utensils, for connecting a handle to the coupler to be detachable, thereby enabling a user to safely and simply separate and recouple the handle from and to a container body of the cooking utensils, and having high user convenience, conservability, stability, and detachable reliability. The detachable hand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having an end opening part and a concave part; the coupler inserted into the end opening part; the button having a wedge part with a third tilted part; a sliding and locking member having the tongue in which a stopper and a tilted recess are forme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moving the sliding and locking member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 조리 기구의 파지부(grip part)인 핸들을 조리 기구의 용기 몸체에 대한 접촉 없이 필요에 따라 조리 기구로부터 안전하고 간단하게 분리하고 다시 체결할 수가 있어 높은 사용 편의성 및 보관성과, 높은 안정성 및 착탈 신뢰성을 가지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fastening structure having a hand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having high us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high stability and detachable / detachable reliability,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주방용 조리 기구는 가열을 위한 용기 몸체와 상기한 용기 몸체로부터의 열전도를 차단하여 안전하게 용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길게 연장된 핸들과 상기 용기 몸체와 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경우 상기한 용기 몸체와 핸들은 상기한 연결부에 의해 통상의 상태에서 분리 불가하게 일체로 고정 형성되어 있다.Generally, the kitchen cook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for heating, a handle extended outwardly so as to shut the thermal conduction from the container body to safely move the container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handle In most cases, the container body and the handle are integrally and integrally fixed by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ortion in a normal state.

따라서, 상기한 핸들은 용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포장 용적이 커지게 되어 포장비용 및 운송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됨은 물론, 주방에서의 사용 후 보관 시 핸들로 인한 공간 점유율이 크므로 주방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을 곤란하게 하여 여가 활동을 위한 휴대 또는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above-described handle is fixed in a form elong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the packing capacity of the product becomes large, which increases packaging cost and transportation cos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utilize the kitchen space 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or transport for leisure activities.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캠핑용 냄비 및 팬의 경우 핸들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하여 원형 용기 몸체의 외주연부에 좌우 양측의 핸들이 각각 밀착되게 접힐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핸들 구조는 경량의 캠핑용 조리 기구에 적용되고 있을 뿐,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주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조리 기구에는 적용되고 있지 못하며, 핸들의 열전도의 차단 효과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case of the camping pot and the fan, the handle is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left and right handles can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ound contain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pplied to a cookware for camping of a kitchen appliance, and it is not applicable to a cookware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mainly used in a kitchen due to its structural limitations, and the effect of blocking the heat conduction of the handle is also low.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55호(2006.01.02. 등록)는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핸들을 암을 개재하여 용기 몸체 내부로 접힐 수 있도록 하되 핸들의 말단 저부와 연결부에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턱을 두어 일정 각도 이상 하방으로 핸들이 꺽이지 않도록 한 조리용기용 접이식 핸들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05455 (Registered on Jan. 2, 2006) of Patent Document 1 has a connecting portion and a handle coupled to a container body so that they can be folded into the container body through an arm, A folding handle and a hooking jaw are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prevent the handle from turning downwar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핸들 분리 타입이 아니라 접힘 타입이므로, 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암과 핸들의 직경만큼 높이 증가가 있게 되므로 콤팩트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핸들 하단부의 걸림 돌기에 다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is not a handle-separated type but a folded type, the handle is folded in a state of being raised by a diameter of an arm and a handle in a state of being folded, so that it is not only compact, .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의 JP 2001-224514 A(2001.08.21. 공개)는 고정 제1 파지암과 조작암의 부분적인 회전 운동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전후진 할 수 있는 가동 제2 파지암을 가지는 파지구를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한 제1 파지암은 용기 몸체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상기한 제2 파지암은 용기 몸체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용기 몸체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P 2001-224514 A (published on August 21, 2001) of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ortable robot having a movable first gripping arm and a movable second gripping arm which can elastically advance and retreat And the first gripping arm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gripping arm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o grip the container body.

그러나, 상기한 파지구는 제1 및 제2 파지암 사이의 스프링에 의한 협지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용기 몸체 내에 중량물이 수용될 경우 파지구 협지 상태에서 용기 몸체가 이탈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heavy object is received in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may be detached from the gripper in a state where the gripper is gripped by the gripper, because the gripper i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holding force of the spr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arms.

이와 유사한 종래 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3의 WO 2004/010832 A(2004.02.05. 공개)는 제1 및 제2 파지 부재를 가지되, 용기 몸체 두께에 따라 상기한 제1 및 제2 파지 부재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탈 방지를 위한 잠금핀을 가지는 잠금 수단을 구비한 파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s a similar prior art, WO 2004/010832 A (published on Feb. 2, 2004) of Patent Document 3 has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an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And a locking means having a locking pin for preventing dislocation when the locking device is in position.

그러나, 상기한 파지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며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gripp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ts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and assembly is not easy.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455호(2006.01.02. 등록)Patent Document 1: Utility Model No. 0405455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Jan. 2, 2006) 특허문헌 2 : JP 2001-224514 A(2001.08.21. 공개)/ JP 3297869 B(2012.08.29. 등록)Patent Document 2: JP 2001-224514 A (published on August 21, 2001) / JP 3297869 B (registered on August 29, 2012) 특허문헌 3 : WO 2004/010832 A(2004.02.05. 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0984907호(2010.09.27. 등록)Patent Document 3: WO 2004/010832 A (2004.02.05. Open) / Korean Patent No. 0984907 (Registered on September 27,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 조리 기구의 파지부(grip part)인 핸들을 조리 기구의 용기 몸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없이 필요에 따라 조리 기구로부터 안전하고 간단하게 분리하고 다시 체결할 수가 있어 높은 사용 편의성 및 보관성과, 높은 착탈 신뢰성 및 안정성을 가지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hich can safely and easily separate and re-fasten a handle, which is a grip part of a cooking utensil such as a frying pan, from a cooking apparatus, To provide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having ease of use and storage performance, high attachment / detachment reliability and stability,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2)에 고정되되, 상부에 제2 경사부(33c)가 형성된 단턱부(33)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고정 단턱(32b) 및 상기 고정단턱(32b)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라운드부(32c)가 형성된 안착부(32)가 구성되며, 내부에 통공형성되는 개구(34)를 포함하는 커플러(30);와, 상기 커플러(30)와 결합되되, 타측 상부에는 상기 단턱부(33)와 결합되는 상부 걸림부(27)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안착부(32)와 결합되는 하부 걸림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부(27) 및 하부 걸림부(28) 사이에 통공형성되는 선단 개구부(21)가 구성되며, 상기 선단 개구부(21)의 일측에는 상기 선단 개구부(21)와 연통되는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2)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걸림 돌출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돌편(25)이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22) 상부에 통공형성되는 상방 개구(22b)를 포함하는 핸들(20);과, 상기 오목부(22)에 구비되되, 타측에 상기 걸림 돌출부(24)와 접촉되는 스토퍼(52)가 형성된 통(51)이 구성되고, 일측에 탄성부재(60)와 연결되는 돌출 단부(55)가 형성되며, 상부에 경사홈(53)이 형성되고, 하부에 탄성변형되는 슬롯(54)을 포함하는 활주 록킹 부재(50);와, 상기 오목부(22)의 상방 개구(22b)에 설치되되, 하부에 상기 경사홈(53)과 연결되는 제3 경사부(42)가 형성된 쐐기부(41)를 포함하는 버튼(40);으로 구성되되, 상기 버튼(4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40)의 제3 경사부(42)는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경사홈(53)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가 상기 슬롯(54)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편(25)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후퇴하여 상기 통(51)이 상기 커플러(30)의 개구(34)로부터 탈리되고, 상기 버튼(40)에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통(51)에 형성된 스토퍼(52)가 상기 걸림 돌출부(24)의 간섭으로 이동이 정지될때까지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가 상기 슬롯(54)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편(25)을 따라 탄성적으로 전진하여 상기 통(51)이 상기 커플러(30)의 개구(34)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ep portion 33 which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 and has a second inclined portion 33c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s a fixing step 32b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coupler 30 including a seating portion 32 formed with a second round portion 32c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32b and including an opening 34 formed therein for passage therethrough, An upper latching part 27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to be coupled with the stepped part 33 and a lower latching part 28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art to be coupled with the seat part 32, And a concave portion 22 communicating with the distal end opening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tal end opening 21. The distal end opening 21 is formed with a through- A latching protrusion 2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ss 22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rotruded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 22, A handle 20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25 and an upper opening 22b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22 so as to pass through the concave portion 22 and an upper opening 22b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22, A protruding end portion 55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60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inclined groove 53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rrel 51, A slide locking member 50 including a slot 54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22 and a slide locking member 50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opening 22b of the concave portion 22, And a button 40 including a wedge portion 41 having an inclined portion 42.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the third inclined portion 42 of the button 40 presses the slide 40,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groove 53 of the locking member 50 and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guide groove 25 located in the slot 54 The stopper 52 formed in the cylinder 5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4 (see FIG. 2) so that the stopper 52 is released from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elastically advanc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25 located in the slot 5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until the movement is stopp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60, (5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또한, 상기 오목부(22)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이 구성되고, 상기 버튼(40) 일측 하부에는 상기 버튼(4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3)에 삽입되는 돌편(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rail 23 is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ss 22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3 so as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40 to a lower side of the button 40. A protrusion 43 is formed.

또한, 상기 오목부(22)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60)가 안착되도록 삽입공(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sertion hole 29 is formed in the recess 22 so that the elastic member 60 is seated.

또한, 상기 오목부(22)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버튼(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 단턱(22a)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 단턱(22a)에 접촉되는 걸림부(45)가 형성된 날개부(4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s 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22 with a locking step 22a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s 40. Both sides of the button 40 are provided with hooks 22a, And a wing portion (44)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ngs (45).

또한, 상기 통(51)의 선단은 선수형(船首型)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cylinder 51 is formed as a bow-like arc.

또한, 상기 핸들(20)의 상부 걸림부(27) 하부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30)의 단턱부(33)에 호환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33c)에 대응하는 제1 경사부(27a)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2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안착부(32)의 고정 단턱(32b)과 제2 라운드부(32c)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걸림턱(26)과 제1 라운드부(28a)가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만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상기 핸들(20)이 탈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27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3c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27 of the handle 20 so as to be interchangeably inserted into the step portion 33 of the coupler 30. [ A locking protrusion 26 and a second round portion 32c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20 in such a manner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6 and the second round portion 32c are fitted into the fixing step 32b of the mounting portion 32 and the second round portion 32c, And the handle 2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2 only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upward direction.

또한, 상기 버튼(40)이 위치하는 핸들(2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잠금턱(20b)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되, 타측에 상기 핸들(2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72)를 포함한 커버부재(7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71)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턱(20b)에 탈착가능하도록 체결구(73)가 형성되는 제1 잠금 수단(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ck jaw 20b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20 where the button 40 is located. The handle 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ith the lock jaw 20b, A cover member 71 including a hinge portion 72 hinged to the cover member 7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71 and a fastening opening 7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71, (70) is formed.

또한, 상기 버튼(40)의 상부 양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홈(46)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2 잠금수단(80)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잠금수단(80)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4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잠금수단(80)이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돌기(8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locking means 8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40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A first guide protrusion 81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groove 46 and guiding the sliding of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means 80 .

또한, 상기 버튼(40)의 상부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 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홈(47)이 구성되며,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3 잠금수단(90)이 형성되되,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외측에는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91)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47)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잠금수단(90)이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돌기(92)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의 상방 개구(22b)는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40)이 가압될 때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걸림돌기(91)가 통과되도록 통과홈(22b-1)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통과홈(22b-1)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상기 핸들(20)의 눌림제한부(20c)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with a second slide groove 47 formed to be recessed. A locking protrusion 91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47 is formed in the third locking means 90. [ And the upper opening 22b of the recess 2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20 so that the handle 20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A passage groove 22b-1 is formed to allow the locking projection 91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to pass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detaching from the body 2, ,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rotated to place the locking projection 91 in the passage groove 22b-1 And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91 is positioned in the pressing restricting portion 20c of the handle 20 in order to prevent the button 40 from being pressed, .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 조리 기구의 파지부(grip part)인 핸들을 필요에 따라 용기몸체에 대한 접촉 없이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하여 용기몸체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가 있어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주방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므로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님과 아울러, 제품의 포장용적 최소화로 인한 포장 및 운송비용이 저감이 가능하고, 여가활동을 위한 휴대 또는 운반이 편리하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고장이 없고 높은 가격 경쟁력을 지니며, 용기몸체 내에 중량물이 수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핸들 체결 안정성을 지니므로 핸들의 이탈 우려가 없어 높은 안정성을 지니며, 아울러, 버튼에 대한 열전도를 최소화시킨 구조를 가지므로 안정성이 제고되어 있고, 선택적으로는 사용시 부주의로 버튼이 잘못 눌려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더욱 안전성이 제고되어 있다.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king utensil including the handle can be easily and easily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by a simple button operation without touching the container body as necessary as a grip part of a cooking utensil such as a frying pan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kitchen space and can be fastened by a simple operation, so that it is highly convenient to use and the cost of packing and transportation due to the minimization of the packaging volume of the product And it is easy to carry or transport for leisure activities. Especially, the structure is simple, the number of parts is minimized, the assembly is easy, and there is no breakdown and high price competitiveness. Even when a heavy object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Handle locking stability, so there is It has high stability because it has a structure minimizing the thermal conduction to the button. Therefore, the stability is improved. Optionally, it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pressed accidentally during use.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의 모습을 보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중 버튼을 가압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1 잠금수단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1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8은 도 1의 Ⅰ-Ⅰ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2 잠금수단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2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3 잠금수단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의 구성 제3 잠금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ate of " A "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tton is pressed in a structure of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means of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means of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locking means is operated in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모터 브라켓 조립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an automobile motor bracke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조리기구' 라는 용어는 용기 몸체에 외부로 길게 연장되는 핸들이 달린 용기를 지칭하며, 전형적으로는 프라잉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용 용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Also, the term " cooking utensil "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container with a handle extending elongate outwardly to the container body, typically a frying p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a kitchen Quot; is defined to refer to various types of cooking vess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조리기구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조리기구(1)는 식재료가 수용되어 조리하는 영역인 용기 몸체(2)와 상기 용기 몸체(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네크(3)와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로 구성된다.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king device to which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cooking device 1 includes a container body 2 A connecting neck 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 and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에는 걸이 구멍(20a)이 형성될 수 있는 핸들(20)과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버튼(40)이 형성된다.The handle 20 capable of forming the hook hole 20a and the button 40 for fastening and separating are formed on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의 주요 구성부는 선단 개구부(21)와 오목부(22)를 가지는 핸들(20)과, 상기 선단 개구부(21) 내에 끼워지는 커플러(30)와, 제3 경사부(42)가 형성된 쐐기부(41)를 가지는 버튼(40)과, 스토퍼(52) 및 경사홈(53)이 형성된 통(51)을 가지는 활주 록킹 부재(50)와, 상기 버튼(40)의 조작에 의한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전진 및 후퇴를 탄성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탄성 부재(60)로 구성된다.4, the main constituent parts of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andle 20 having a distal end opening 21 and a recessed portion 22, A button 40 having a wedge portion 41 in which a third inclined portion 42 is formed and a slider 51 having a stopper 52 and a slant groove 53 formed therein, A locking member 50 and an elastic member 60 for resiliently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sliding locking member 50 by operating the button 40. [

상기 커플러(30)는 상기 조리기구(1)의 용기 몸체(2)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 네크(3)에 고정되며, 수직부(33a), 바닥부(32b) 및 제2 경사부(33c)로 형성되는 상부의 단턱부(33)와, 고정 단턱(32b) 및 제2 라운드부(32c)를 가지는 하부의 안착부(32)와, 상기 단턱부(33)와 안착부(32)에 의해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34)를 가진다.The coupler 30 is fixed to the connecting neck 3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 of the cooking utensil 1 and includes a vertical portion 33a, a bottom portion 32b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33c A lower seating part 32 having a fixed step 32b and a second round part 32c formed on the upper step 33 and the seating part 32, And an opening 3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안착부(32)의 수직부(33a)에 인접한 쪽에 삽입부(31)가 형성되어 연결 네크(3)에 형성된 삽지공(미도시)에 끼워지며, 상기 단턱부(33)와 안착부(32)에는 제1 고정부(31a)와 제2 고정부(32a)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1, 2고정부(31a,32a)에는 볼트 등과 같은 공지의 통상적인 임의의 고정수단(미도시)이 관통되어 연결 네크(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nsertion portion 3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32 adjacent to the vertical portion 33a, and is fitted in an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onnection neck 3, A first fixing part 31a and a second fixing part 32a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31a and 32a. (Not shown) may be penetrated to be firmly fixed to the connecting neck 3.

한편, 상기 핸들(20)은 상부 걸림부(27) 및 하부 걸림부(28)에 의해 한정되는 선단 개구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 개구부(21)는 상방이 개방된 오목부(2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handle 20 is formed with a front end opening 21 defined by an upper locking part 27 and a lower locking part 28. The front opening 21 has a concave part 22 opened upward,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상부 걸림부(27)는 커플러(30)의 단턱부(33)의 형상에 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30)의 제2 경사부(33c)와 상기한 상부 걸림부(27)의 제1 경사부(27a)는 상호 접하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하부 걸림부(28) 역시 커플러(30)의 고정 단턱(32b) 및 제2 라운드부(32c)에 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핸들(20)이 상향 경사 형태로 형성되므로, 원칙상 후술하는 통(51)의 협지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용기 몸체(2)에 대하여 상기 핸들(20)을 하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분리 불가하고 상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에만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upper latching part 27 is formed to have a shape matched to the shape of the step 33 of the coupler 30 and can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inclined portion 27a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27 and the lower inclined portion 27b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27 are incli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andle 20 is formed in an upwardly inclined shap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ub 51 from being pinched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When the handle 20 is pressed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2, it is not separable and can be separated only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통(51)에 의한 협지는 신뢰성 높은 상호 결착을 담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에 의해 커플러(30)와 핸들(20) 간의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착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The pinch 51 is used to secure a reliable mutual engagement so that a firm and stable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30 and the handle 20 is achieved.

또한, 상기 오목부(22)에는 대략 중간 부분에는 상기 오목부(22)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걸림 돌출부(2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오목부(22)의 하단부에는 상향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편(25)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오목부(22) 후방에는 가이드 레일(2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공(29)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의 양측 상단부에는 걸림단턱(22a)이 형성된다.The recessed portion 22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ng portion 24 provid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thereof transversely to the recessed portion 22 and protruding upwar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ssed portion 22 A guide rail 23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ecess 22 and an insertion hole 29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ss 22. The lower end of the recess 22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step 22a are formed.

한편,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는 스토퍼(52)가 형성된 통(tongue)(51)과 탄성부재(60)가 끼워진 돌출 단부(55)를 가지며 상부에 경사홈(53)이 형성되고 하부에 슬롯(54)이 형성되어 있다.The slide locking member 50 has a tongue 51 formed with a stopper 52 and a protruding end portion 55 fitted with the elastic member 60. An inclined groove 53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 slot 54 is formed.

여기서, 상기 돌출 단부(55)에는 걸림턱(56)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0)가 끼워지며, 상기 오목부(22) 후방의 삽입공(29) 내에 상기 탄성부재(60)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9 in the rear of the recess 22 so that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9, Inserted state.

이어서, 버튼(40)에 대하여 언급하면, 상기 버튼(40)은 상방이 개방된 상기 오목부(22)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버튼(40)의 대략 중앙 하부에는 쐐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41)의 하방으로는 제3 경사부(42)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 경사부(42)의 경사면은 상기 활주록킹 부재(50)의 통(51)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홈(53)의 경사면과 상호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 상기 버튼(40)을 누르면 상기한 쐐기부(41)의 제3 경사부(42)가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통(51)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홈(53)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를 탄성부재(60)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button 40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2 opened upward and the wedge portion 41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button 40. [ And a third inclined portion 42 is extended below the wedge portion 41.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4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51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The third inclined portion 42 of the wedge portion 41 is pressed against the slidable surface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when the button 40 is depressed.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slide back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groove 53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51 and elastically retract the slide locking member 50 backward by the elastic member 60.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버튼(40)에는 후방으로 돌편(4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핸들(20)의 오목부(22)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3)을 따라 상하로 위치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utton 40 is formed with a rearwardly protruding piece 43 so as to be guided vertically along the guide rail 23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cave portion 22 of the handle 20 have.

또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버튼(40)의 양측 상단부에는 걸림부(45)가 형성된 날개부(44)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40)의 누름 해제 시 상기 버튼(40)의 걸림부(45)가 상기한 오목부(22)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 단턱(22a)에 걸려 상기 버튼(40)이 오목부(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8, a wing portion 44 having a latching portion 45 is formed at both upper ends of the button 40. When the button 40 is released, The button 45 is formed to prevent the button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ss 22 by being caught by the engagement step 22a formed at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recess 22.

한편, 상기 오목부(22)의 하부에는 오목구(28)가 형성되어, 위에서 미리 언급한 활주 록킹 부재(50)가 상기 오목구(28b) 내에서 전후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cave opening 28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22 so that the slide locking member 50 mentioned above can be slidably positioned back and forth in the concave opening 28b.

여기서,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슬롯(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54) 내에는 오목부(22)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편(25)이 위치하므로, 상기 버튼(40)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의하여 상기한 활주 록킹 부재(50)가 가이드 돌편(25)에 의해 슬롯(54)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의 활주 운동이 안내된다.The slot 54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nd the guide protrusion 2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ss 22 is located in the slot 54. Therefore,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25 in the sliding movement of advancing and retreating along the slot 54 by the pushing or unclamping operation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

전술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의 체결 및 분리 조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도 4에서 미리 설명한 세부 사항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하며 작동과 직접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5, the details of the fastening and detaching operation of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Only the relevant parts are mainly described.

도 5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장 위쪽의 도면은 커플러(30)에 체결하기 전 상태의 핸들(20)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버튼(4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6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가 좌측으로 전진하여 통(51)이 선단 개구부(21)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한 활주 록킹 부재(50)의 경사홈(53)이 버튼(40)의 제3 경사부(42)를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버튼(40)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버튼(40)은 날개부(44)에 형성된 걸림부(45)가 핸들(20)의 오목부(22)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단턱(22a)에 걸려 더 이상 상기한 버튼(40)이 상방으로 이동 불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40)이 상기 오목부(22)로부터 이탈 방지되며, 상기 버튼(40)의 돌편(43)은 상기 오목부(22)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3)을 따라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5 or 8, the uppermost drawing shows the state of the handle 20 in a state before it is fastened to the coupler 30. When the button 40 is not pressed, The slidable grooves 53 of the slidable locking member 50 ar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able locking member 50 is advanced to the left due to the force to cause the cylinder 51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21 at the front end. The button 40 is protruded upward and the button 4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45 formed in the wing portion 44 The buttons 40 are no longer moved upward because they are caught by the engaging step 22a formed on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22 of the handle 20. As a result, (43) of the button (40)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cave portion (22) It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along the guide rail (23).

이 상태에서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는 통(51)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52)가 상기 오목부(22)에 횡으로 설치된 걸림 돌출부(24)에 맞닿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전진은 불가하게 된 상태를 유지된다.In this state, the stopper 5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51 abuts against the engaging protrusion 24 provided transversely to the recess 22 in the slide locking member 50, State.

한편, 상기 통(51)의 선단부는 선수형(船首型)의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51)의 원활한 전진 및 후퇴와 아울러, 상기 커플러(30)의 개구(34) 상단 내측면에 대한 협지가 원활히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tip of the cylinder 51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so that the cylinder 51 smoothly advances and retreat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so that the nipping is smooth.

이어서, 도 5의 중간에 나타낸 도면에서와 같이, 핸들(20)의 선단 개구부(21)를 커플러(30)의 개구(34) 외주연부에 끼우게 되면 상기 핸들(20)의 상부 걸림부(27)와 하부 걸림부(28)는 각각 커플러(30)의 단턱부(33) 및 안착부(32)에 밀착하여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버튼(4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40)의 제3 경사부(42)가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경사홈(5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를 그 하부에 형성된 슬롯(54)이 오목부(22)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편(25)에 의해 안내하면서 탄성적으로 후방(우측)으로 후퇴시키게 되며,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스토퍼(52)는 상기 오목부(22)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24)로부터 이격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5, when the distal end opening 21 of the handle 20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the upper catching portion 27 (see FIG. 5)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28 are closely fitted to the step portion 33 and the seat portion 32 of the coupler 30.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third inclined portion 4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groove 53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so that the slot 54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engaged with the recessed portion 22 The stopper 52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24 formed on the recess 22 so that the stopper 52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retracted rearward (rightward)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2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

최종적으로, 도 5의 가장 아래쪽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의 버튼(40)의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6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는 좌측으로 전진하여 통(51)이 선단 개구부(21) 내측의 커플러(30)의 개구(34) 내로 돌출되어 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때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경사홈(53)은 버튼(40)의 제3 경사부(42)를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버튼(40)은 상방을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버튼(40)은 날개부(44)에 형성된 걸림부(45)가 핸들(20)의 오목부(22)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단턱(22a)에 걸려 더 이상 상기 버튼(40)이 상방으로 이동 불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40)이 상기한 오목부(22)로부터 이탈 방지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5, when the depressing of the downward button 40 is released,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dvances to the left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The inclined grooves 53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re in contact with the button 40. The slant grooves 53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re projected into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inside the opening 21, When the button 40 is protruded upwardly, the button 40 is pushed by the hook 45 formed in the wing portion 44 into the handle 40, The buttons 40 can not be moved upward because they are caught by the engaging step 22a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concave portions 22 of the buttons 20 so that the button 40 can be moved from the concave portion 22 Disengagement pre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결과적으로, 상기 버튼(40)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상기한 핸들(20)의 상부 걸리부(27)와 전진된 상태의 통(51)에 의해 상기 커플러(30)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20)의 하부 걸림부(28)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1 라운드부(28a)와 상기 커플러(30)의 안착부(28)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라운드부(32c)는 상호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As a result, the coupler 30 is fixed by the upper grip portion 27 of the handle 20 and the advanced cylinder 51 in the depressed state of the button 40, The first round portion 28a formed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28 of the coupler 30 and the second round portion 32c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ating portion 28 of the coupler 3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20)이 상향 경사 형성되므로, 핸들(20)에 하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하더라도 핸들(20)의 분리가 방지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handle 20 is upwardly inclined, separation of the handle 20 is prevented even if a downward force is exerted on the handle 20.

이어서, 도 6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에 제1 잠금 수단(70)이 더욱 적용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locking means 70 is further applied to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상기 버튼(40)이 위치하는 핸들(20) 부분의 일측에 잠금턱(20b)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턱(20b)에 대향하는 핸들(20) 부분에 연결되는 힌지부(72)와, 상기 힌지부(72)에 연결되는 상기 버튼(40)의 부주의로 인한 누름 방지를 위한 커버 부재(72)와 상기 잠금턱(20b)에 체결되는 체결구(73)를 가지는 제1 잠금 수단(70)이 더욱 포함되어 안전성이 더욱 제고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a lock jaw 20b is option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20 where the button 40 is located, and a hinge 20b, which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20 opposed to the lock jaw 20b, A cover 72 for preventing inadvertent depression of the button 40 connected to the hinge 72 and a fastener 73 fastened to the lock jaw 20b The first locking means 70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에 제2 잠금 수단(80)이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s formed in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버튼(40)의 상부 양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홈(46)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2 잠금수단(80)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잠금수단(80)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4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잠금수단(80)이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돌기(8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이다.The button 40 is formed with first slide grooves 4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40 and a second locking means 8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A first guide protrusion 81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groove 46 and guiding the sliding of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means 80 to be.

이로 인하여,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잠금수단(80)을 한쪽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제2 잠금수단(80) 하부의 일부가 상기 핸들(2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상기 제2 잠금수단(80)을 누르더라도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10, when the button 40 is not desired to be pressed,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s slid in one direction so that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s sl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40 from being pressed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second locking means 80 due to a mistake of the user.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쪼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10)에 제3 잠금 수단(90)이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hird locking means 90 formed on the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버튼(40)의 상부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 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홈(47)이 구성된다.First,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second slide groove 47 formed i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button 40 is formed.

또한,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3 잠금수단(90)이 형성되되,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외측에는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91)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47)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잠금수단(90)이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돌기(92)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의 상방 개구(22b)는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40)이 가압될 때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걸림돌기(91)가 통과되도록 통과홈(22b-1)이 형성된다.A third locking means 90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A locking protrusion 91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A second guide protrusion 92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 groove 47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22,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handle 20 from the container body 2, the opening 22b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2b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91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passed. (22b-1) is formed.

이로 인하여,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통과홈(22b-1)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상기 핸들(20)의 눌림제한부(20c)에 위치시켜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handle 2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2,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rotated to place the locking protrusion 91 in the passage groove 22b-1 The third locking means 90 may be rotated to place the locking protrusion 91 in the pressing restricting portion 20c of the handle 20 so as to prevent the button 40 from being pressed,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2: 용기 몸체 3: 연결 네크
10: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체결 구조체
20: 핸들
20a: 걸이구멍 20b: 잠금턱
20c: 눌림제한부 21: 선단 개구부
22: 오목부 22a: 걸림 단턱
22b: 상방 개구 22b-1: 통과홈
23: 가이드 레일 24: 걸림 돌출부
25: 가이드 돌편 26: 걸림턱
27: 상부 걸림부 27a: 제1 경사부
28: 하부 걸림부 28a: 제1 라운드 부
28b: 오목구 29: 삽입공
30: 커플러(coupler)
31: 삽입부 31a: 제1 고정부
32: 안착부 32a: 제2 고정부
32b: 고정 단턱 32c: 제2 라운드부
33: 단턱부 33a: 수직부
33b: 바닥부 33c: 제2 경사부
34: 개구부
40: 버튼
41: 쐐기부 42: 제3 경사부
43: 돌편 44: 날개부
45: 걸림부 46: 제1 슬라이드홈
47: 제2 슬라이드 홈
50: 활주 록킹 부재
51: 통(tongue) 52: 스토퍼
53: 경사홈 54: 슬롯
55: 돌출 단부 56: 걸림턱
60: 탄성 부재
70: 제1 잠금 수단
71: 커버 부재 72: 힌지부
73: 체결구
80: 제2 잠금 수단
81: 제1 가이드돌기
90: 제3 잠금 수단
91: 걸림돌기 92: 제2 가이드돌기
1: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 including the same
2: container body 3: connection neck
10: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Handle
20a: hook hole 20b: lock jaw
20c: a pressing restricting portion 21:
22: concave portion 22a:
22b: upper opening 22b-1: passing groove
23: guide rail 24: engaging projection
25: Guide stone 26:
27: upper latching portion 27a: first inclined portion
28: lower engaging portion 28a: first round portion
28b: concave portion 29: insertion hole
30: Coupler
31: insertion portion 31a: first fixing portion
32: seat part 32a: second fixing part
32b: Fixed step 32c:
33: step portion 33a: vertical portion
33b: bottom portion 33c: second inclined portion
34: opening
40: Button
41: wedge portion 42: third inclined portion
43: protrusion 44: wing portion
45: engaging portion 46: first slide groove
47: second slide groove
50: Sliding locking member
51: tongue 52: stopper
53: Slope groove 54: Slot
55: protruding end portion 56:
60: elastic member
70: first locking means
71: cover member 72: hinge portion
73: Fastener
80: second locking means
81: first guide projection
90: third locking means
91: locking projection 92: second guide projection

Claims (10)

용기 몸체(2)에 고정되되, 상부에 제2 경사부(33c)가 형성된 단턱부(33)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고정 단턱(32b) 및 상기 고정단턱(32b)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라운드부(32c)가 형성된 안착부(32)가 구성되며, 내부에 통공형성되는 개구(34)를 포함하는 커플러(30);
상기 커플러(30)와 결합되되, 타측 상부에는 상기 단턱부(33)와 결합되는 상부 걸림부(27)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안착부(32)와 결합되는 하부 걸림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부(27) 및 하부 걸림부(28) 사이에 통공형성되는 선단 개구부(21)가 구성되며, 상기 선단 개구부(21)의 일측에는 상기 선단 개구부(21)와 연통되는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2)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걸림 돌출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돌편(25)이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22) 상부에 통공형성되는 상방 개구(22b)를 포함하는 핸들(20);
상기 오목부(22)에 구비되되, 타측에 상기 걸림 돌출부(24)와 접촉되는 스토퍼(52)가 형성된 통(51)이 구성되고, 일측에 탄성부재(60)와 연결되는 돌출 단부(55)가 형성되며, 상부에 경사홈(53)이 형성되고, 하부에 탄성변형되는 슬롯(54)을 포함하는 활주 록킹 부재(50);
상기 오목부(22)의 상방 개구(22b)에 설치되되, 하부에 상기 경사홈(53)과 연결되는 제3 경사부(42)가 형성된 쐐기부(41)를 포함하는 버튼(40);으로 구성되되,
상기 버튼(4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40)의 제3 경사부(42)는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의 경사홈(53)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가 상기 슬롯(54)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편(25)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후퇴하여 상기 통(51)이 상기 커플러(30)의 개구(34)로부터 탈리되고,
상기 버튼(40)에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통(51)에 형성된 스토퍼(52)가 상기 걸림 돌출부(24)의 간섭으로 이동이 정지될때까지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활주 록킹 부재(50)가 상기 슬롯(54)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편(25)을 따라 탄성적으로 전진하여 상기 통(51)이 상기 커플러(30)의 개구(34)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A step portion 33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 and has a second inclined portion 33c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s a fixing step 32b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round portion 33b extending from the fixing step 32b, A coupler (30) constituted by a seating part (32) formed with a part (32c) and including an opening (34) formed therein;
An upper latching part 27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er 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stepped part 33 and a lower latching part 28 is coupled to the seating part 32 on the other side. And a distal end opening 21 formed to be communicated between the upper retaining portion 27 and the lower retaining portion 2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tal end opening 21 and a concave And a guide protrusion 25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cave portion 22, A handle (20) including an upper opening (22b)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cess (22);
A barrel 51 having a stopper 5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ss 22 and contacting the engaging protrusion 24 is formed and a protruding end portion 55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60 at one side is formed, A slide locking member 50 formed with an inclined groove 53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lot 54 elastically de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utton 40 including a wedge portion 41 provided at an upper opening 22b of the recess 22 and formed with a third inclined portion 42 connected to the inclined groove 53 at a lower portion thereof; Respectively,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the third inclined portion 42 of the button 40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groove 53 of the slide locking member 50 and the slide locking member 50 Is resiliently deform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25 located in the slot 54 so that the barrel 51 is disengaged from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The stopper 52 formed in the cylinder 51 is stopp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until the movement of the stopper 52 is stopp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latching protrusion 24, The member 50 is resiliently advanced along the guide bar 25 located in the slot 54 so that the barrel 5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4 of the coupler 30. [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2)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이 구성되고,
상기 버튼(40) 일측 하부에는 상기 버튼(4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3)에 삽입되는 돌편(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rail 23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concave portion 22,
And a protrusion (43)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3)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utton (40) to guid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4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2)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60)가 안착되도록 삽입공(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hole (29) is formed in the recess (22) so that the elastic member (60) is seated.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2)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버튼(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 단턱(22a)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 단턱(22a)에 접촉되는 걸림부(45)가 형성된 날개부(4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step 22a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22,
Wherein the button (40) has wings (44)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latching part (45) that contacts the latching step (22a).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51)의 선단은 선수형(船首型)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of the barrel (51) is formed in a bow-like arcuate shap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의 상부 걸림부(27) 하부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30)의 단턱부(33)에 호환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33c)에 대응하는 제1 경사부(27a)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2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안착부(32)의 고정 단턱(32b)과 제2 라운드부(32c)에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걸림턱(26)과 제1 라운드부(28a)가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만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상기 핸들(20)이 탈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inclined portion 27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3c is inserted into a lower side of the upper engaging portion 27 of the handle 20 so as to be interchangeably inserted into the step 33 of the coupler 30 Formed,
The engaging protrusion 26 and the first round portion 28a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0 so as to be closely fitted to the fixing step 32b of the seat portion 32 and the second round portion 32c ,
And the handle (2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2) only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upward direction.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0)이 위치하는 핸들(2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잠금턱(20b)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되, 타측에 상기 핸들(2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72)를 포함한 커버부재(7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71)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턱(20b)에 탈착가능하도록 체결구(73)가 형성되는 제1 잠금 수단(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lock jaw 20b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le 20 on which the button 40 is located,
And a cover member 71 including a hinge portion 72 hinged to the handle 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40. The cover member 71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lock- (70)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73)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73)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astening member (20b).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0)의 상부 양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홈(46)이 각각 구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2 잠금수단(80)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잠금수단(80)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46)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잠금수단(80)이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돌기(8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irst and second slide grooves 4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40,
And a second locking means 8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means 80,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rotrusion (81) for guiding sliding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0)의 상부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상부 측면에는 함몰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홈(47)이 구성되며,
상기 버튼(40)의 상부를 감싸는 제3 잠금수단(90)이 형성되되,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외측에는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91)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47)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잠금수단(90)이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돌기(92)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의 상방 개구(22b)는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40)이 가압될 때 상기 제3 잠금수단(90)의 걸림돌기(91)가 통과되도록 통과홈(22b-1)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20)을 상기 용기 몸체(2)로부터 탈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통과홈(22b-1)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버튼(40)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상기 제3 잠금수단(9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91)가 상기 핸들(20)의 눌림제한부(20c)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slide groove 47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button 40 is formed,
A third locking means 9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formed and a locking protrusion 91 protruding outside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formed and the third locking means 90 A second guide protrusion 92 inserted in the second slide groove 47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formed,
The upper opening 22b of the concave portion 22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when the button 40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handle 20 from the container body 2, The passage groove 22b-1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91,
When the handle 2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2,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rotated to place the locking protrusion 91 in the passage groove 22b-1,
When the button 40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the third locking means 90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91 is positioned in the pressing restricting portion 20c of the handle 20 And the handle is fastened to the handle.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detachable handl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50003154A 2015-01-09 2015-01-09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KR101596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54A KR101596210B1 (en) 2015-01-09 2015-01-09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CN201510190812.1A CN106136968B (en) 2015-01-09 2015-04-21 Detachable handle connection structural bodies and cooker with the structural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54A KR101596210B1 (en) 2015-01-09 2015-01-09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10B1 true KR101596210B1 (en) 2016-02-23

Family

ID=5544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154A KR101596210B1 (en) 2015-01-09 2015-01-09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6210B1 (en)
CN (1) CN106136968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28B1 (en) * 2019-01-07 2019-06-12 주식회사 조이드론 Drones with detachable body and wings
IT202000002119A1 (en) * 2020-02-04 2021-08-04 La Termoplastic F B M S R L REMOVABLE HANDLE, ESPECIALLY FOR COOKING CONTAINERS FOR FO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514A (en) 2000-02-15 2001-08-21 Beishitei:Kk Clamping tool for cooking container
JP2003210340A (en) * 2002-01-21 2003-07-29 Chuo Sangyo:Kk Handle structure
WO2004010832A1 (en) 2002-07-24 2004-02-05 Seb Sa Removable grip handle device adaptable to containers of different thickness
KR200405455Y1 (en) 2005-10-17 2006-01-11 주식회사 해피콜 folding handle of a pan
KR20120025460A (en) * 2009-04-27 2012-03-15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System for attaching and releasing the handle of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KR20120028819A (en) * 2010-09-15 2012-03-23 이만수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KR101130244B1 (en) * 2011-09-27 2012-03-26 김미라 Handle for cooking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3884A (en) * 2007-08-08 2008-01-16 李扬德 Separating type handle structure
JP2011513025A (en) * 2008-03-14 2011-04-28 キム,ジョンドュク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s
KR101105791B1 (en) * 2009-07-29 2012-01-17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Assembly grip suitable to cooker
KR101324568B1 (en) * 2011-10-26 2013-11-01 주식회사 해피콜 handle for kitchen utensi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514A (en) 2000-02-15 2001-08-21 Beishitei:Kk Clamping tool for cooking container
JP2003210340A (en) * 2002-01-21 2003-07-29 Chuo Sangyo:Kk Handle structure
WO2004010832A1 (en) 2002-07-24 2004-02-05 Seb Sa Removable grip handle device adaptable to containers of different thickness
KR200405455Y1 (en) 2005-10-17 2006-01-11 주식회사 해피콜 folding handle of a pan
KR20120025460A (en) * 2009-04-27 2012-03-15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System for attaching and releasing the handle of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KR20120028819A (en) * 2010-09-15 2012-03-23 이만수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KR101130244B1 (en) * 2011-09-27 2012-03-26 김미라 Handle for cooking vesse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28B1 (en) * 2019-01-07 2019-06-12 주식회사 조이드론 Drones with detachable body and wings
WO2020145484A1 (en) * 2019-01-07 2020-07-16 주식회사 조이드론 Drone having separable main body and wings
IT202000002119A1 (en) * 2020-02-04 2021-08-04 La Termoplastic F B M S R L REMOVABLE HANDLE, ESPECIALLY FOR COOKING CONTAINERS FOR FOOD.
CN113208398A (en) * 2020-02-04 2021-08-06 F.B.M.热塑有限责任公司 Removable handle, in particular for a cooking vessel for food
EP3861907A1 (en) * 2020-02-04 2021-08-11 La Termoplastic F.B.M. - S.r.l. Removable handle, particularly for cooking containers
US11607081B2 (en) 2020-02-04 2023-03-21 La Termoplastic F.B.M. S.R.L. Removable handle, particularly for cooking containers for food
CN113208398B (en) * 2020-02-04 2024-04-16 F.B.M.热塑有限责任公司 Removable handle, in particular for a cooking vessel for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6968A (en) 2016-11-23
CN106136968B (en)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5037A1 (en)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US8267277B2 (en)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KR101092735B1 (en)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101399805B1 (en) Cap of drink container
KR101063568B1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KR101037656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KR101509482B1 (en)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in cookware
TWM470051U (en) Fixing apparatus used for adjusting stretchable vehicle frame
KR101596210B1 (en)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KR101215223B1 (en)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101570707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101312368B1 (en) A Handle coupling equipment for Cooking Vessels
KR100883904B1 (en) Detachable and combination handle for cooking utensils
KR20110096999A (en)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JP5853247B2 (en) Detachable container handle
KR101388869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101388894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US20160045053A1 (en) Detachable Pivoting Handle For Gripping a Cookware Vessel
KR101846272B1 (en) Entitled to receive hair clips hair is prevented by the hair gripping force
KR20120004039A (en) Removable handle for cooker
KR20200001178U (en) Body handle gripping device in the form of wire bracket for cooking vessel
KR200488864Y1 (en) Tongs with locking structure
KR101873868B1 (en) Removable handle
KR101520321B1 (en) Attachable and detachable handle for cookware
KR101379336B1 (en) Detachable receptacle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