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244B1 - Handle for cooking vessel - Google Patents

Handle for cooking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244B1
KR101130244B1 KR1020110097294A KR20110097294A KR101130244B1 KR 101130244 B1 KR101130244 B1 KR 101130244B1 KR 1020110097294 A KR1020110097294 A KR 1020110097294A KR 20110097294 A KR20110097294 A KR 20110097294A KR 101130244 B1 KR101130244 B1 KR 10113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cooking vessel
butt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라
Original Assignee
김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라 filed Critical 김미라
Priority to KR102011009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2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244B1/en
Priority to PCT/KR2012/007684 priority patent/WO2013048074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PURPOSE: A handle for a cooking container is provided to reduce a gap between a cooking container bracket and hanging protrusion by placing a button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are closely adhered to upward and downward each other. CONSTITUTION: A handle for a cooking container comprises a handle head(100), a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90), an elastic member(80), and a locking releasing unit. The locking releasing unit comprises a button unit(40), a rotary shaft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73). The rotary shaft unit is installed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hea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ntacted with the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to straight-linearly transfer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unit simultaneously rotating with transferring the button unit. The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comprises a main body(95), a first up-and-down movement limit block(93),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block(99). The first up-and-down movement limit block is extended from the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to seclude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The elastic member supporting block is extended from the main body of the transferring unit for joining.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손잡이{Handle for cooking vessel}Handle for cooking vessel {Handle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용이하게 착탈되며,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which is easily detachable to the cooking vessel,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use.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팬이나 냄비 등 모든 조리용기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파지 및 상기 조리용기의 운반을 위한 손잡이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In general, all cooking vessels such as pans or pots used for cooking various foods are essentially provided with handles for holding the cooking vessel and carrying the cooking vessel.

종래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조리용기 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손잡이로써, 상기 조리용기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양수형 손잡이 또는 상기 조리용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되는 편수형 손잡이로 제공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is provided as a handl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oking vessel main body, and is provided as a pump-type handl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oking vessel main body or a single-handed handle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cooking vessel body.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 손잡이는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꺼운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여지도록 제작됨으로 인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적층시 전체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Here, the handle of the cooking vessel is manufactured to be wrapped in a thick plastic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a burn of the user, so that the overall volume is increased when the cooking vessel is lamin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of the cooking vessel is not easy.

최근에는 상기 조리용기 본체의 양측 상단부 외측면에 상기 조리용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 브래킷이 설치되고, 사용자는 별도의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브래킷과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를 운반하고 있다.Recently, handle bracket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body on both outer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body, and the user carries the cooking vessel by detaching the handle of the cooking vessel from the handle bracket. .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35023호에 따르면, 손잡이 브래킷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버튼잠금돌기를 회전시키면서 승강판이 상기 손잡이 브래킷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파지하고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5023, while holding the lifting plate close to the bottom of the handle bracket while holding the cooking container by rotating the button locking projection of the handle for cooking vessel for firm coupling with the handle bracket and have.

그러나, 사용자가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사용하여 상기 조리용기 본체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버튼잠금돌기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user intends to transport the cooking container body by using th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artificially rotates the button locking protrus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35023호 명세서 식별번호 <32>,<33>,<34>, <35>, <36> 및 도 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5023 specif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32>, <33>, <34>, <35>, <36> and Figure 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며,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운반 또는 파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which can carry or grip the cooking vessel conveniently and stably.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된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손잡이 헤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일단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을 파지하기 위한 락킹블럭을 갖는 결합용 이동유닛,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을 전방으로 밀고 있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락킹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버턴부와, 상기 손잡이 헤드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버턴부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을 직선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접촉되어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be solv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dle hea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ody,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 coupling mobile unit having a locking block for holding the cooking vessel bracket together with the locking projection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be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upling moving unit to push the coupling moving unit forward. An elastic memb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oving unit, the locking release unit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oving unit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wherein the locking release unit is in contact with a user's hand. A button portion, a rotating shaft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and the button portion is It provides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moving unit to linearly move the coupling moving uni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상기 버턴부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턴부를 밀기 위한 그립이 형성된 버턴 상부블럭과, 상기 버턴 상부블럭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턴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버턴 이동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촉하는 버턴 하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button upper block formed with a grip for pushing the button by the user fing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obile unit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pper block, the straight line of the button It may have a button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it may include a button lower block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버턴 하부블럭은 상기 버턴부의 직선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헤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와 대응되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 lower block may further include a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for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button portion, and a first stopper corresponding to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락킹블럭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에서 돌출 연장형성된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과, 상기 탄성부재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설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에서 돌출 연장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obile unit may include a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block, a first shandong block and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bile unit; The elastic member suppor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moving unit main body while the elastic member installing part is formed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에서 상부로 돌출 연장형성된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obi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handong block limit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in order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bile unit.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는 상기 버턴 하부블럭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에 구비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part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part, the upper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utton of the button, and the lower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is elastically provided in the coupling mobile unit. It may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ember support block.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버턴 하부블럭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대응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pinion gear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part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part, and the button lower block has a first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inion gear. It further comprises a formed thread forming member, the coupling mobile un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formed with a second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inion gear.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버턴부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얼식 버턴으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동력전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동력전달 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release unit is provided with a dial button having the button porti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and a power transmission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s formed, the coupling mobile un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formed with a second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thread.

상기 락킹블럭이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하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락킹블럭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락킹블럭의 하면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헤드에는 상기 경사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blo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 inclined protrusion protruding obliquely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to reduce frictional force of the locking block, and the handle head is inserted with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rotrusion. Grooves may be formed.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외부 공간에 걸어두기 위한 걸이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헤드와 결합되는 중간연결부재, 일단은 상기 손잡이 헤드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에 끼워지는 연장케이스, 그리고 상기 연장케이스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걸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for the cooking vessel is a hook member for hanging the cooking vessel handle in the outer space,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head while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one end is fitted to the handle head, The other end may include an extension case fitted to the hook member and a penetrating member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extension case,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and the hook member.

본 발명에 다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nother handle for cooking vessel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홀에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걸림돌기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과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락킹해제유닛을 밀어서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과 결합용 이동유닛의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과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착탈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Firs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the cooking vessel hand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ock release uni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is pushed to engage the cooking vessel bracket.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mobile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the cooking vessel handle.

둘째,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버턴부와, 회전축부 및 동력전달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 손잡이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handle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simply implemented by integrally forming the button porti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of the unlocking unit.

셋째, 상기 버턴부와 상기 동력전달부 및 결합용 이동유닛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과 상기 걸림돌기 사이의 간극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 button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coupling unit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the locking projection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넷째,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락킹블럭의 하면에 경사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락킹블럭이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하면에 밀착될 때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과 상기 락킹블럭의 마찰력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the inclin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of the mobile unit for coupling, and when the locking blo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d the locking block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have.

다섯째, 상기 버턴부에는 상기 버턴부의 직선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에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 및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락킹해제유닛 및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fth, the butt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for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button portion, the coupling movement unit for limi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vement unit up and down movement blo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unit and the coupling mobile unit can be stably performed by installing a second shandong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1 실시 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1 실시 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하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서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2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2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서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3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3 실시 예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조리용기 브래킷에서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first embodiment of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for cooking vessel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for cooking vessel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of FIG. 1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bracket.
Figure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for cooking vessel of Figure 1 is released from the cooking vessel bracket.
Figure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vessel handle is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bracke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handle is uncoupled from the cooking vessel bracket.
Figure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vessel handle is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bracke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andle is uncoupled from the cooking vessel brack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6, a first embodiment of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손잡이 헤드(100), 결합용 이동유닛(90), 락킹해제유닛, 탄성부재(80), 중간연결부재(60), 체결부재(50), 연장케이스(20) 및 걸이부재(30)를 포함한다.Th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handle head 100, a coupling moving unit 90, an unlocking unit, an elastic member 80,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0, a fastening member 50, an extension case ( 20) and the hook member 30.

상기 손잡이 헤드(100)는 헤드본체(120), 상기 헤드본체(120)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0), 상기 헤드본체(120)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헤드 결합부(130)를 포함한다.The handle head 100 includes a head body 120, a locking protrusion 110 protruding forwardly of the head body 120, and a head coupling part 130 extending rearward of the head body 120. do.

상기 헤드본체(120)의 내부공간은 비어 있으며, 상기 헤드본체(120)의 상면 일부는 상기 락킹해제유닛의 버턴부(40)가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head body 120 is empty,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body 120 has an opening in which the button portion 40 of the unlocking unit is seated.

상기 헤드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이 설치되는 이동유닛 설치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본체(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이 출입하는 출입구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출입구홈(125)에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에 구비된 락킹블럭(91)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돌기(91a)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125a)이 형성되어 있다.A moving unit installation unit (not shown) in which the coupling mobile unit 90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head body 120, and the coupling mobile unit 9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ead body 120. The entrance and exit groove 125 is formed. In particular, the entrance groove 125 is formed with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125a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rotrusion 91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91 provided in the coupling unit 90.

상기 걸림돌기(110)는 조리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된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홀(1a)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돌기(110)가 상기 결합홀(1a)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락킹블럭(91)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일단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돌기(110)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The locking projec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a)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ody. When the locking projec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a), the locking block 9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110) It is to fix (1) stably.

상기 헤드 결합부(130)는 상기 연장케이스(20)와 끼움결합되며, 상기 헤드 결합부(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간연결부재(60)가 삽입되는 연결부재 삽입홈(131)이 형성되어 있다.The head coupling portion 130 is fitted with the extension case 20,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131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coupling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0) have.

한편,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은 상기 락킹블럭(91), 상기 락킹블럭(9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 상기 탄성부재(80)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설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연장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99)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obile unit 90 is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block 91, the coupling mobile unit body 9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block 91, the elastic member (80).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moving unit main body 95.

또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연장형성된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93)과,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연장형성된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97)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obile unit 90 is a first shangdong limited block 93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95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And a second shankdong restriction block 97 protruding upward from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은 상기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항상 전방(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돌기(110)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홀(1a)에 삽입될 때 상기 락킹블럭(91)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에 접촉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락킹블럭(91)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상기 경사돌기(91a)는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과 상기 락킹블럭(91)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The coupling moving unit 90 is always forced for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As a result, when the locking projec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a)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the locking block 91 is moved to the rear while contacting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t this time, the inclined protrusion 91a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91 minimize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nd the locking block 91.

다음으로, 상기 걸림돌기(110)가 상기 결합홀(1a)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락킹블럭(91)은 상기 탄성부재(8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하면에 밀착배치된다.Next, when the locking projection 110 is fu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a), the locking block 91 is moved for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t is placed close to the.

또한, 상기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93)이 상기 헤드 결합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상하이동 제한스토퍼(미도시)와 대응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의 상하 이동이 일차적으로 제한된다. In addition, while the first shandong movement restriction block 93 corresponds to a first shandong movement restriction stopper (not shown) formed inside the head coupling unit 130,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vement unit 90 is primarily performed. Limited to.

또한, 상기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97)이 상기 헤드 결합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상하이동 제한 스토퍼(미도시)와 대응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의 상하이동이 이차적으로 제한된다. 물론, 상기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97)은 상기 락킹해제유닛에 의하여 상하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ile the second shandong movement restriction block 97 corresponds to a second shandong movement restriction stopper (not shown) formed inside the head coupling unit 130, the shandong movement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is secondary. Limited. Of course, the second shandong block limited block 97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shandong is limited by the unlocking unit.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은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 설치부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평면도상 "ㄷ"자 형상의 벽체구조를 가진다.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 has a wall structure of a "C" shape in plan view so that a space of the elastic member installation portion is formed therein.

상기 탄성부재(80)는 일단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의 후방, 즉 상기 탄성부재 설치부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을 전방으로 밀고 있고, 타단은 상기 중간연결부재(60)에 의하여 지지된다.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80 is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that is, the elastic member installation unit, and pushes the coupling mobile unit 90 to the front, and the other end i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60 is supported.

상기 탄성부재(80)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재질과 형태라도 무관하다.The elastic member 80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and form as long as it is capable of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cluding a coil spring and a leaf spring.

한편,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unlock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serves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버턴부(40)와,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71)와, 상기 버턴부(40)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부(7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을 직선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접촉되어 있는 동력전달부(73)를 포함한다.The locking release unit has a button portion 40 to which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a rotating shaft portion 71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and the button portion 40 is moved.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73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moving unit 90 to linearly move the coupling moving unit 9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unit 71 to be rotated.

구체적으로, 상기 버턴부(40)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턴부(40)를 밀기 위한 그립(47)이 형성된 버턴 상부블럭(41)과, 상기 버턴 상부블럭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73)와 접촉하는 버턴 하부블럭(43)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40 has a grip 47 for pushing the button portion 40 by the user fing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nd a button upper block 41 formed below the button upper block 41 and a button lower block 43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3.

상기 버턴 상부블럭(41)은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턴 하부블럭(43)은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부공간상에 설치된다.The button upper block 41 is install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handle head 100, and the button lower block 43 is installed on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head 100.

상기 버턴 하부블럭(43)은 상기 버턴부(40)의 직선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45)와, 상기 버턴부(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버턴 이동가이드(43a)를 포함한다.The button lower block 43 has a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45 for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button portion 40 and a button movement guide 43a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40. It includes.

상기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45)와 상기 버턴 이동가이드(43a)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버턴 하부블럭(43)은 단차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73a)는 상기 단차진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The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45 and the button movement guide 43a are formed to be ste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utton lower block 43 forms a stepped area, and the upper portion 73a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the end. It is located in the area of difference.

상기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45)는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스토퍼(미도시)와 대응되며, 상기 버턴 이동가이드(43a)는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1)과 대응된다.The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45 corresponds to a first stopper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and the button movement guide 43a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It corresponds to the guide rail 121 formed.

상기 회전축부(71)는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측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 헤드(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부(71)는 상기 동력전달부(73)의 중심축 상에서 상기 동력전달부(73)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부(71)는 상기 동력전달부(73)에서 돌출된 회전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portion 71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it is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The rotation shaft portion 7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73 on the central axis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73. 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 portion 7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tation shaft protruding from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73.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부(71)는 상기 동력전달부(73)의 중심축 상에서 함몰된 형성된 회전축홈과, 상기 손잡이 헤드의 내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홈과 대응되는 회전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otary shaft portion 71 is formed on the inner shaft of the handle head and the rotary shaft groove reces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3, the rotary shaft groov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corresponding to.

상기 동력전달부(73)는 상기 회전축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7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73a)는 상기 버턴 하부블럭(43)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73b)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의 일단면(99a)과 접촉되어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7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unit 71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unit 71, and the upper portion 73a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ontacts the button lower block 43. The lower portion 73b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s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99a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73a)는 상기 버턴 하부블럭(43)의 단차진 영역에서 매끄럽게 회전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upper portion 73a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as a rounded shape to smoothly rotate in the stepped area of the button lower block 43.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73b)에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함몰 접촉부(73c)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recessed contact portion 73c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73b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73a)는 상기 회전축부(71)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73b)는 상기 회전축부(71)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회전축부(7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As a result, the upper portion (73a)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rotation shaft portion 71, the lower portion (73b)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rotation shaft portion 71 At the same time, the rotary shaft 7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18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obile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re coupled, and FIG. 6 is a coupling of the coupling mobile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released state.

먼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락킹블럭(91)이 상기 버턴부(4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obile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are coupled, the locking block 91 of the coupling mobile unit protrudes forward from the button portion 40.

여기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턴 상부블럭(41)을 전방으로 밀게되면, 상기 버턴 상부블럭(4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버턴 하부블럭(43)이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Here,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upper block 41 forward in ord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t is integr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pper block 41 The button lower block 43 is formed as a linear movement.

다음으로, 상기 버턴 하부블럭(43)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73a)는 상기 회전축부(7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73b)도 상기 회전축부(7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Next, the upper portion 73a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lower block 4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7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ortion 73b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ry shaft (71).

그러면,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73b)에 접촉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이 후방으로 밀려지게 되면서 상기 락킹블럭(91)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1)과의 결합이 해제된다.Then, the locking member 91 is moved backward while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73b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moved backward, and the coupling moving unit 90 is The coupling with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이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ere, the elastic member 80 is maintained in a compressed state by the distance that the coupling moving unit 90 is moved to the rear.

한편,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상기 탄성부재(80)의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헤드(100)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handle head 100 while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80).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상기 헤드 결합부(130)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삽입블럭(61)과, 상기 체결부재(50)와 결합되는 결합블럭(63)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60 is an insertion block 61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groove 131 formed in the head coupling portion 130, and a coupling block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50 ( 63).

상기 삽입블럭(61)의 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0)의 후단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 지지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61a)는 상기 삽입블럭(61)에 함몰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61a)는 상기 탄성부재(8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80)가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An elastic member support part 61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ertion block 61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80. The elastic member support portion 61a is recessed in the insertion block 61. Here, the elastic member support portion 61a may be provided in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astic member 8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supported. Any form is irrelevant.

상기 결합블럭(63)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볼트(5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홀(63a)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upling block 63 is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63a into which the bolt 51 of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한편, 상기 연장케이스(20)는 중공의 막대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연장케이스(2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 헤드(100)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30)에 끼워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case 20 has a hollow bar shape, and provides an area where the user's palm is located. One end of the extension case 20 is fitted to the handle head 100, and the other end is fitted to the hook member 30.

또한, 상기 체결부재(50)는 상기 연장케이스(2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중간연결부재(60)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30)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5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extension case 20, one end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6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ook member 30.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재(50)는 볼트(51)와 너트(53)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51)의 일단은 상기 결합블럭의 볼트 삽입홀(63a)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53)와 결합되고, 상기 볼트(51)의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30)에 형성된 나사형성홈(3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fastening member 50 includes a bolt 51 and a nut 53, one end of the bolt 51 passes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63a of the coupling block and then the nut 53. And the other end of the bolt 5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eaded groove 31 formed in the hook member 30.

상기 걸이부재(30)에는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외부 공간에 걸어두기 걸이공(33)과, 상기 볼트(51)와 결합되는 상기 나사형성홈(31)이 형성되어 있다.The hook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hook hole 33 for hanging the handle for the cooking vessel in an external space, and the screw forming groove 31 coupled with the bolt 51.

결과적으로, 상기 손잡이 헤드(100)는 상기 중간연결부재(60)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60)는 상기 체결부재(50)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재(30)와 결합된다.As a result, the handle head 10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0,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hook member 30 by the fastening member 5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7 and 8, a second embodiment of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구성중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구비된 락킹해제유닛 및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제1 실시 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handle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omitted. Since the locking release unit and the coupling moving unit provided in th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handle for the cooking vessel of the first embodim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버턴부(400)와, 손잡이 헤드(도 1의 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710)와, 상기 버턴부(400)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부(710)의 회전에 의하여 결합용 이동유닛(900)을 직선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과 접촉되어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The unlocking unit is a button portion 400 which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shaft portion 71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of Figure 1), and the button portion 400 is moved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moving unit 900 to linearly move the coupling moving unit 90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unit 710 which is rotated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상기 버턴부(400)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과 조리용기 브래킷(도 1의 1)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턴부(400)를 밀기 위한 그립(470)이 형성된 버턴 상부블럭(410)과, 상기 버턴 상부블럭(4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촉하는 버턴 하부블럭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utton unit 400 is a grip 470 for the user to push the button unit 400 with a finger in ord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90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n Figure 1). ) Is provided with a button upper block 410, and a button lower block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pper block 410 and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버턴 상부블럭(410)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턴 상부블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utton upper block 4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utton upper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버턴 하부블럭은 상기 버턴부(400)의 직선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450)와, 상기 버턴부(4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버턴 이동가이드(430)와, 제1 나사산(461)이 형성된 나사산 형성부재(460)를 포함한다.The button lower block is a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450 for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button unit 400, the button movement guide 43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400, and 1 includes a thread forming member 460 on which threads 461 are formed.

또한, 상기 나사산 형성부재(460)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피니언 기어(7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46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463)는 상기 제1 나사산(461)의 양측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read forming member 460 is formed with a first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463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pinion gear 730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Specifically, the first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463 protrude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thread 461.

상기 회전축부(71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otation shaft 7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otation sha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7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7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기어(730)의 기어이(731)는 상기 제1 나사산(461)과 대응되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power transmission part includes a pinion gear 7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part 710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part 710. Here, the gear 731 of the pinion gear 730 is rotated wh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ead (461).

한편,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은 경사돌기(911)가 형성된 상기 락킹블럭(910), 상기 락킹블럭(9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0),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0)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연장형성된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930), 그리고 탄성부재(80)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설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950)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연장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992)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obile unit 900 is the locking block 910 in which the inclined protrusion 911, the coupling mobile unit body 9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block 910, the coupling mobile unit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andong copper restriction block 930 and the elastic member 8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950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900) An installation part is formed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2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upling moving unit main body 950.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2)의 상면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730)의 기어이(731)와 대응되는 제2 나사산(99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2)의 상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피니언 기어(7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99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993)는 상기 제2 나사산(991)의 양측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A second thread 991 corresponding to the gear teeth 731 of the pinion gear 7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2. In addition, a second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993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730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2.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993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thread 991.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과 조리용기 브래킷(도 1의 1)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턴 상부블럭(410)을 전방으로 밀게되면, 상기 버턴 상부블럭(4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버턴 하부블럭이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upper block 410 forward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obile unit 90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n FIG. 1),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upper block 410 The button lower block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linearly moved.

다음으로, 상기 버턴 하부블럭의 나사산 형성부재(460)가 전방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나사산 형성부재(461)와 맞물려 있는 상기 피니언 기어(7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Next, when the thread-forming member 460 of the button lower block moves linearly forward, the pinion gear 730 meshed with the thread-forming member 46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다음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7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730)의 하부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730)와 맞물려 있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2)이 후방으로 밀려지게 되면서 상기 락킹블럭(9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도 1의 1)과의 결합이 해제된다.Next, when the pinion gear 730 is rotated, the locking member block 992 is pushed to the rea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nion gear 730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730. As the 910 is moved rearward, the coupling moving unit 900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with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n FIG.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9 and 10, a third embodiment of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구성중 상술한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구비된 락킹해제유닛(1000)은 상기 제2 실시 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vesse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omitted. Since the locking release unit 1000 provided in th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for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락킹해제유닛(1000)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버턴부(1100)와, 손잡이 헤드(도 1의 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1200)와, 상기 버턴부(1100)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부(1200)의 회전에 의하여 결합용 이동유닛(900)을 직선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00)과 접촉되어 있는 동력전달부(1130)를 포함한다.The locking release unit 1000 is a button portion 1100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a rotating shaft portion 1200 which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of FIG. 1), and the button portion 1100 )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moving unit 900 in order to linearly move the coupling moving unit 90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00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do.

여기서, 상기 락킹해제유닛(1000)은 상기 버턴부(1100)와, 상기 회전축부(1200) 및 상기 동력전달부(1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얼식 버턴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턴부(1100)와 상기 동력전달부(1130)는 하나의 회전디스크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부(1200)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중심축을 형성하게 된다.Here, the unlocking unit 1000 is provided with a dial button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tton portion 1100,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In detail, the button unit 11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one rotating disk, and the rotating shaft unit 1200 forms a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disk.

여기서, 상기 버턴부(1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손잡이 헤드(도 1의 1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동력전달부(1130)는 상기 손잡이 헤드(도 1의 100)의 내측 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버턴부(110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있다.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1100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100 of FIG.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on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head (100 of Figure 1). It is disposed and extends below the button portion 1100.

또한, 상기 버턴부(1100)의 상면 외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버턴부(11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그립(111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grip 111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100 to be gripped by the user to rotate the button unit 1100.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130)의 외측 테두리에는 동력전달 나사산(11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탄성부재 지지블럭(990)에는 상기 동력전달 나사산(1131)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99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ower transmission thread 1131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and a second memb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thread 1131 is provided on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0 of the coupling unit. The thread 991 is formed.

또한,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0)의 상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11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99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이동 제한 스토퍼(993)는 상기 제2 나사산(991)의 양측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993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0.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onal movement limiting stopper 993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thread 991.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90)과 조리용기 브래킷(도 1의 1)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턴부(1100)를 전방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상기 동력전달부(11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user rotates while pushing the button unit 1100 forward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obile unit 990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n FIG.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is also Will rotate together.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부(11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동력전달 나사산(1131)에 맞물려 있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990)이 후방으로 밀려지게 되면서 상기 락킹블럭(9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990)은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도 1의 1)과의 결합이 해제된다.Next,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0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990 which is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1113 is pushed backward so that the locking block 910 moves backward. While the coupling mobile unit 990 is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bracket (1 in Figure 1) is releas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20: 연장케이스 30: 걸이부재
40, 400, 1100: 버턴부 41: 버턴 상부블럭
43: 버턴 하부블럭 50: 체결부재
60: 중간연결부재 61: 삽입블럭
63: 결합블럭 71, 710, 1200: 회전축부
73, 730, 1130: 동력전달부 80: 탄성부재
90,900: 결합용 이동유닛 91,910: 락킹블럭
93,930: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 95,950: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
97: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 99,992,990: 탄성부재 지지블럭
100: 손잡이 헤드 110: 걸림돌기
120: 헤드본체 130: 헤드 결합부
20: extension case 30: hook member
40, 400, 1100: Button part 41: Button upper block
43: button lower block 50: fastening member
60: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61: insertion block
63: engaging block 71, 710, 1200: rotating shaft portion
73, 730, 1130: power transmission unit 80: elastic member
90,900: Mobile unit 91,910: Locking block
93,930: first Shanghai-dong limited block 95,950: coupling unit mobile unit
97: second Shanghai-dong limited block 99,992,990: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100: handle head 110: jamming
120: head body 130: head coupling portion

Claims (10)

조리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된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손잡이 헤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일단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함께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을 파지하는 락킹블럭을 갖는 결합용 이동유닛;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을 전방으로 밀고 있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락킹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게 되는 버턴부와, 상기 손잡이 헤드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버턴부가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을 직선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접촉되어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락킹블럭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상하이동 제한블럭과, 상기 탄성부재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설치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 본체에서 연장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A handle hea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of a cooking vessel bracke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ody;
A coupling moving unit having a locking block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grips the cooking vessel bracket together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hind the coupling moving unit and pushing the coupling moving unit forward; And,
Is disposed above the coupling mobile unit, and includes a locking release unit for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The locking release unit is a movement of the coupling by the button portion which the user's hand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shaft portion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portion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button portion is moved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mobile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unit,
The coupling mobile unit may include a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block, a first shanghai movable restriction block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obile unit main body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bile unit;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of the coupling unit while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턴부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과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턴부를 밀기 위한 그립이 형성된 버턴 상부블럭과,
상기 버턴 상부블럭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턴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버턴 이동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접촉하는 버턴 하부블럭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unit has a button upper block formed with a grip for the user to push the button unit with a fing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and the cooking vessel bracket;
The handle for the cooking vessel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tton, has a button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button lower block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턴 하부블럭은 상기 버턴부의 직선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헤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이동거리 제한부재와 대응되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lower block further includes a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for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button portion,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head is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corresponding to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limiting member. Handle for cooking vess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 지지블럭에서 상부로 돌출 연장형성된 제2 상하이동 제한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oving unit is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handong movement restriction block protruding upward from the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upling movemen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측부는 상기 버턴 하부블럭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측부는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에 구비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의 일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part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part, the upper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utton of the button, and the lower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is elastically provided in the coupling mobile unit. Handle for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ember support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버턴 하부블럭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대응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 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part to include a pinion gear that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part, and the button lower block further includes a thread forming member having a first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inion gear. The coupling moving unit is a handle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formed with a second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inion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유닛은 상기 버턴부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이얼식 버턴으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의 외측 테두리에는 동력전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용 이동유닛은 상기 동력전달 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unlo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dial button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tton porti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 power transmission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the coupling mobile unit is And a resilient member support block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thread.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블럭이 상기 조리용기 브래킷의 하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락킹블럭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락킹블럭의 하면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헤드에는 상기 경사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5 to 8,
When the locking blo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bracket, an inclined protrusion protruding obliquely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to reduce frictional force of the locking block, and the handle head is inserted with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rotrusion. Handle for a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외부 공간에 걸어두기 위한 걸이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헤드와 결합되는 중간연결부재;,
일단은 상기 손잡이 헤드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걸이부재에 끼워지는 연장케이스; 그리고,
상기 연장케이스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재와 상기 걸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5 to 8,
Hanging member for hanging the handle for cooking vessel in the outer space;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head while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 extension case fitted at one end to the handle head and at the other end to the hook member; And,
It is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extension case, th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nd the hook member.
KR1020110097294A 2011-09-27 2011-09-27 Handle for cooking vessel KR101130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94A KR101130244B1 (en) 2011-09-27 2011-09-27 Handle for cooking vessel
PCT/KR2012/007684 WO2013048074A2 (en) 2011-09-27 2012-09-25 Handle for cooking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94A KR101130244B1 (en) 2011-09-27 2011-09-27 Handle for cooking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244B1 true KR101130244B1 (en) 2012-03-26

Family

ID=4614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94A KR101130244B1 (en) 2011-09-27 2011-09-27 Handle for cooking vess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0244B1 (en)
WO (1) WO2013048074A2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10B1 (en)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KR101762118B1 (en) 2016-10-07 2017-07-27 박형진 Book shelf with retractable books
KR20230018606A (en) 2021-07-30 2023-02-07 배병태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72Y1 (en) * 2000-09-15 2001-03-15 주식회사남선알미늄 Pot bail of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9759U (en) * 1974-02-16 1975-09-08
KR200439045Y1 (en) * 2007-02-08 2008-03-17 김종득 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KR20110007035U (en) * 2010-01-07 2011-07-13 강보선 Cooking handle enabling attachment and separaten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72Y1 (en) * 2000-09-15 2001-03-15 주식회사남선알미늄 Pot bail of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10B1 (en)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Detachable hand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oking utensils containing the same
KR101762118B1 (en) 2016-10-07 2017-07-27 박형진 Book shelf with retractable books
KR20230018606A (en) 2021-07-30 2023-02-07 배병태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8074A2 (en) 2013-04-04
WO2013048074A3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44B1 (en) Handle for cooking vessel
KR101037656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PL2249687T3 (en) Fitting part for fastening to a boiling or frying vessel
KR101409024B1 (en) Both-hands type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JP2007197218A5 (en)
US9986861B2 (en) Glass holder for individual glasses during their use
CA2678426A1 (en) Container holder
KR20100120357A (en) Clamping style handle for kitchen vessel
JP5635197B2 (en) Detachable handle
JP2013119409A (en) Extraction pipe fixing device
CN201715161U (en) Pipe joint structure
KR200468783Y1 (en) Both sides of the handle types for pot holding devices
KR100699229B1 (en) Locking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for apartment house
JP2013122746A (en) Desktop main body
WO2011122863A2 (en) Remov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KR101202930B1 (en)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KR101549758B1 (en) Stone Pencil for Nail
KR200481231Y1 (en)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Having Height-adjustable Cup Support
JP3224876U (en) Loupe
CN217659250U (en) Pressure cooker
KR20130095916A (en) Detachable handle of cooking vessels
RU121429U1 (en) REMOVABLE HANDLE FOR KITCHEN ACCESSORIES
KR20190080231A (en) Container and holder detachably attached in interlocking method
HK1140659A1 (en) Separable coupling with improved seal between handle and saucepan
CN102415832A (en) Device for fixing a receptacle or a lid of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