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172B1 -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172B1
KR101596172B1 KR1020147000147A KR20147000147A KR101596172B1 KR 101596172 B1 KR101596172 B1 KR 101596172B1 KR 1020147000147 A KR1020147000147 A KR 1020147000147A KR 20147000147 A KR20147000147 A KR 20147000147A KR 101596172 B1 KR101596172 B1 KR 10159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type
communication channel
communic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863A (ko
Inventor
로버트 제이. 월시
샤일레쉬 라티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액세서리(106)와 복수의 디바이스들(102, 104)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들이 개시된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112)을 통해,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124)을 식별하는 정보를 액세서리(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124) 상에서 액세서리와 접속을 더 확립할 수 있다. 접속의 확립 시에, 디바이스(102)는 제1 통신 채널(112)을 통해, 제2 통신 채널(124) 상의 접속을 식별하는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106)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112, 124) 상에서 동일한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TECHNIQUES FOR FACILITATING INTEROPERATION BETWEEN AN ACCESSORY AND MULTIPLE DEVICE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액세서리들과 상호동작(interoperate)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액세서리와 인터액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비디오 및 정지 이미지 파일들과 같은 미디어 자산들을 관리하거나 및/또는 재생할 수 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의 애플 인크로부터 가용한 iPod®, iPhoneTM, 및 iPadTM와 같은 일부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관리 및 재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서비스들의 예들은 캘린더(calendar), 연락처들(contacts) 및 노트들과 같은 개인 데이터의 저장; 인터넷 액세스; 모바일 전화 및 화상회의;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딩하고 운용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커넥터들 또는 포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커넥터 또는 포트는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로부터 전달하기 위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호스트 컴퓨터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또는 동일한) 커넥터 또는 포트는 예를 들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미디어 자산들을 재생하거나 프리젠팅하기 위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액세서리 디바이스(여기에서는 액세서리로 지칭됨)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타입들의 액세서리들은 (1) 복수의 통신 채널들을 통해 하나의 단일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고, (2) 복수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들을 각각 분리된 통신 채널을 통해 동시에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타입의 종래 차량 헤드 유닛은 유선(wired) 통신 채널(예를 들면, 30핀 직렬(30 pin serial), USB, 등)을 통해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접속하기 위한 물리적 커넥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채널(예를 들면, 블루투스)을 통해 동일하거나 상이한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 포트도 포함한다.
하나의 액세서리가 잠재적으로 하나 또는 수 개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들과 동시에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상황들에서, 액세서리는 상기 기재된 시나리오 (1) 및 (2)를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헤드 유닛(car head unit)의 예에서, 차량 헤드 유닛이 양쪽 유선 및 무선 통신 채널들 모두에서 접속들을 검출하는 경우에, 차량 헤드 유닛은 접속이 동일한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디바이스들로 유도되어 있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것은 액세서리가 예상치 못하거나 에러가 나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들을 제공한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액세서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액세서리와 접속을 더 확립할 수 있다. 접속의 확립 시에, 디바이스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을 식별하는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동일한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추가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의 차단(closure) 시에, 디바이스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지를 액세서리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는 디바이스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통지들도 수신하지 않고서도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2개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에게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성 및 장점들의 추가적인 이해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들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세서리와 상호동작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와 상호동작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들의 흐름도들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일부 실시예들이 이들 세부사항들의 일부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들을 제공한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액세서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액세서리와 접속을 더 확립할 수 있다. 접속의 확립 시에, 디바이스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을 식별하는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동일한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추가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의 차단 시에, 디바이스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지를 액세서리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는 디바이스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통지들도 수신하지 않고서도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2개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에게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단순화된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적어도 2개의 휴대용 미디어 디바이스들(PMDs, 102 및 104) 및 액세서리(106)를 포함할 수 있다. PMD들(102, 104)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정지 이미지 파일들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자산들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핸드헬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PMD들(102 및 104)은 iPod®, iPhoneTM, 또는 iPadTM(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의 애플 인크로부터 가용함)일 수 있다. PMD들(102 및 104)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108 및 110)과 같은 사용자 입력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PMD들(102 및 104)은 또한 스크롤 휠, 버튼들, 키보드들, 트랙볼들, 터치패드들, 마이크로폰들, 스피커들, 등과 같은 임의의 개수의 다른 사용자 입력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PMD들(102 및 104)은 미디어 자산들의 관리 및 재생, 모바일 전화 및 인터넷 액세스(예를 들면, Wi-Fi와 같은 무선 접속들, 및/또는 EDGE, 3G 또는 LTE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들을 통함), 및 사용자에 의해 PMD들(102 및 104) 상에 인스톨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실행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들(102 및 104)은 액세서리(106)와 같은 액세서리와의 상호동작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액세서리(106)는 PMD들(102 및 104)과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에서, 액세서리(106)는 차량 헤드 유닛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르게는, 액세서리(106)는 스피커 독크,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컴퓨팅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106)는 복수의 통신 채널들을 통해 단일 PMD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106)는 PMD(102)의 무선 포트/안테나(120)와 액세서리(106)의 무선 포트/안테나(122) 사이의 무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채널(118)뿐만 아니라, PMD(102)의 미디어 디바이스 커넥터(114)와 액세서리(106)의 액세서리 커넥터(116) 사이의 유선(예를 들면, 30핀 직렬, USB, 등)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106)는 각각이 분리된 통신 채널을 통해, 복수의 PMD들과 동시에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서리(106) 및 PMD(102)가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액세서리(106)는 PMD(104)의 무선 포트/안테나(126)와 액세서리(106)의 무선 포트/안테나(122) 사이의 무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채널(124)을 통해 PMD(104)와 동시에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단지 2개의 PMD들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액세서리(106)는 임의의 개수의 PMD들과 동시에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액세서리(106)와 같은 액세서리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복수의 통신 채널들을 통해 단일 PMD(예를 들면, PMD(102))와 접속되어 있는지, 또는 복수의 PMD들(예를 들면, PMD(102) 및 (104))과 동시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이것은, 일부 상황들에서, 액세서리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서리(106)가 처음에 유선 통신 채널(112) 상에서 PMD(102)와 접속을 확립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접속은 PMD(102)가, 액세서리(106)로부터 제어 신호들(예를 들면, 통화 답변, 플레이, 중지, 빨리감기, 등)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출력 디바이스(128))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액세서리(106)에 송신하도록 허용하는 제어 경로(예를 들면, iPod 액세서리 프로토콜(iAP)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106)가 무선 통신 채널들(118 또는 124) 상에서 PMD(102 또는 104) 중 어느 하나와 각각 블루투스 핸즈프리 프로파일(HFP:Hands-Free Profile)을 확립할 수 있다(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한 접속과 동시에)고 가정하자. 그러한 접속들은 PMD들(102 또는 104)로부터의 인커밍 전화 통화들을 핸들링할 수 있게 한다. 블루투스 접속이 무선 통신 채널(118) 상에서 PMD(102)와 확립된다면, 인커밍 통화가 채널(118)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액세서리(106)가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로부터 "통화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서리(106)의 엔드 사용자가, PMD(102)에 의해 제공된 커스터마이징된 UI를 이용하여 통화에 답변(또는 거절)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블루투스 접속이 무선 통신 채널(124) 상에서 PMD(104)와 확립된다면,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수신된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지 PMD(102)에만(PMD(104)라기보다는) 적용될 것이므로, 인커밍 통화가 채널(124)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액세서리(106)가 그 자신의 "통화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액세서리(106)는 통신 채널(118) 상에서 확립되는 블루투스 접속 대 통신 채널(124) 상에서 확립되는 블루투스 접속을 구별할 수 없으므로, 액세서리(106)는 어떤 조치(course of action)를 취해야 하는지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없다(따라서, 잘못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접속이 무선 통신 채널(124) 상에서 확립되고(그럼으로써 액세서리(106)를 PMD(104)에 접속함) 인커밍 통화가 접속 상에서 검출된다면, 액세서리는 그 통화가 PMD(102)로부터 발원했다고 잘못 추정하고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로부터 "통화 답변" UI를 요구/대기할 수 있다(PMD(104)에 대해 통화를 핸들링하기 위한 그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기 보다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PMD(102)가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예를 들면, 무선 통신 채널(118)) 상에서 액세서리(106)와 접속할 때마다 액세서리(106)에게 통지하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예를 들면,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액세서리(106) 및 PMD(102)가 정보를 교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이슈(및 다른 이슈들)를 어드레싱한다. 예를 들면, 유선 통신 채널(112) 상에서 PMD(102)와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액세서리(106)는 액세서리(106)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PMD(102, 채널(112)을 통함)에게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정보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리스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는 무선 통신 채널(118)과 연관된다. 그리고나서, PMD(102)는 무선 통신 채널(118) 상에서 액세서리(106)와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할 때마다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통지를 액세서리(106)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서리(106)는 통신 채널들(112 및 118)이 동일한 디바이스(PMD(102))로 유도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PMD(102)와 상호동작하는 방법에 관해 정보에 근거한 결정들(informed decisions)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102)가 후속적으로 무선 통신 채널(118) 상에서 블루투스 접속을 차단한다면, PMD(102)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액세서리(106)에게, 접속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액세서리(106)는 무선 통신 채널(118) 상에서 PMD(102)에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PMD(104)(PMD(102)라기보다는)가 액세서리(106)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채널(124) 상에서)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106)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로부터 어떠한 통지도 수신하지 못할 것이다. 이들 상황들에서, 액세서리(106)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한 통지의 부재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들(112 및 124) 상에서 2개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에게 각각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들과 상호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PMD(102) 및/또는 액세서리(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처리에 관련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이하의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시스템(100)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통신 채널들(112 및 118)이 유선 및 무선 채널들로서 각각 기재되어 있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양쪽 모두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PMD들 및 액세서리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변동들, 변형들 및 대안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2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적어도 2개의 PMD들(202 및 204) 및 액세서리(2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시스템(200)은 도 1의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MD(202)는 PMD(102)를 구현할 수 있고, PMD(204)는 PMD(104)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206)는 액세서리(106)를 구현할 수 있다.
PMD들(202 및 204)은 각각 프로세서(208, 216),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10, 218), 저장 디바이스(212, 220), 및 액세서리 I/O(입력/출력) 인터페이스(214, 2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208 및 216)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들(208 및 216)은 ARM 아키텍쳐(ARM 리미티드에 의해 설계된 RISC 아키텍쳐)를 이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들(208 및 216)은 PMD들(202 및 204)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각각 수행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들(208 및 216)은 미디어 자산들을 선택하고 플레이하거나,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에 저장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208 및 216)은 또한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을 통해 액세서리들(예를 들면, 액세서리(206))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10 및 218)은 사용자가 PMD들(202 및 204)과 인터액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은 스크롤 휠들, 버튼들, 키보드들, 트랙볼들, 마이크로폰들, 스피커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210 또는 218)를 동작시켜 PMD(202 또는 204)의 기능을 인보크시킨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210 또는 218)를 통해 PMD(202 또는 204)로부터의 출력을 뷰잉하거나 청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임의의 다른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제거불가능(nonremovabl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와 같은 제거불가능 저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과 같은 제거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PMD들(202 및 204)에 의해 이용되는 임의의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오디오, 비디오, 정지 이미지들, 등과 같은 미디어 자산들,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예를 들면, 자산 이름, 아티스트, 제목, 장르, 플레이리스트들,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또한 사용자의 연락처들(이름들, 주소들, 전화 번호들, 등)에 관한 정보; 스케줄링된 약속들 및 이벤트들; 노트들; 및/또는 다른 개인 정보와 같이, 미디어 자산들 이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들(212 및 220)은 비디오 게임 프로그램들, 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들, 미디어 자산들을 플레이하거나 및/또는 미디어 자산 데이터베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등과 같이, 프로세서들(208 및 216)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은 PMD들(202, 204)과 액세서리(206) 사이에서 다양한 신호들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신호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은 각각 iPod®, iPhoneTM, 및 iPadTM상에 이용되는 30-핀 직렬 커넥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은 각각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은 각각 PMD들(202, 204)과 액세서리(206) 사이의 복수의 동시 접속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D(202)는 통신 채널들(224 및 226)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접속할 수 있고, PMD(204)는 통신 채널(228)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접속할 수 있다. 단지 3개의 채널들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PMD들(202, 204)과 액세서리(206) 사이에 임의의 개수의 통신 채널들이 지원될 수 있다.
액세서리(206)는 컨트롤러(230), PMD I/O 인터페이스(232), 및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3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230)는 액세서리(2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또한 PMD I/O 인터페이스(232)를 통해 PMD들(202 및 204)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34)은 사용자가 액세서리(206)와 인터액팅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그러한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은 스크롤 휠들, 버튼들, 키보드들, 트랙볼들, 마이크로폰들, 스피커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234)를 통해 액세서리(206)에 라우팅되는 PMD들(202, 204)로부터의 출력을 뷰잉하거나 및/또는 청취할 수 있다.
PMD I/O 인터페이스(232)는 액세서리(206)와 PMD들(202, 204) 사이에서 다양한 신호들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신호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PMD I/O 인터페이스(232)는 iPod®, iPhoneTM 및 iPadTM 상에 이용되는 30-핀 직렬 커넥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PMD I/O 인터페이스(232)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MD I/O 인터페이스(232) 및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222)은 액세서리(206) 및 PMD들(202, 204)이 "접속된" 또는 "분리된"상태들에서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206) 및 PMD(202/204)는 PMD I/O 인터페이스(232)와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214/222) 사이의 접속이 확립될 때마다(예를 들면, 통신 채널(224/226/228)을 통함) 접속된다. 반대로, 액세서리(206) 및 PMD(202/204)는 접속이 차단될 때마다 분리된다. 접속은 물리적 부착(예를 들면, 액세서리(206) 및 PMD(202/204)의 각각의 메이팅 커넥터들 사이에서)에 의해, 케이블과 같은 간접 접속에 의해, 또는 무선 접속의 확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분리는 물리적 이탈에 의해, 케이블을 분리함으로써, 액세서리(206) 또는 PMD(202/204)를 전력 다운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무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30 핀 직렬, USB, 파이어와이어(FireWire), 또는 범용 비동기형 수신기/송신기("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와 같은 유선 접속들, 및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등과 같은 무선 접속들을 포함하여, PMD I/O 인터페이스(232)와 액세서리 I/O 인터페이스들(214 및 222) 사이의 다양한 접속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접속들이 액세서리(206)와 PMD들(202 및 204) 사이에서 동시에 확립될 수 있다(예를 들면, 통신 채널들(224, 226 및 228)을 통함).
시스템(200)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닌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PMD들(202, 204) 및 액세서리(206)는 각각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다른 성능들을 구비하거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변동들, 변형들 및 대안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PMD들(202, 204) 및 액세서리(206)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들(commands) 및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토콜의 예는 애플 인크에 의해 개발된 iPod® 액세서리 프로토콜(iAP:iPod® Accessory Protocol)이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프로토콜은 PMD(202/204)와 액세서리(206) 사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들에 대한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토콜은 헤더 및 선택적 페이로드를 가지는 패킷 내에서 각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으로 지정할 수 있다. 헤더는 시작 인디케이터, 패킷의 길이, 및 수신자에 의해 처리되는 명령과 같은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명령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관된 데이터의 양은 상이한 명령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고, 일부 명령들은 가변-길이 페이로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프로토콜은 다수의 "링고들(lingoes)"을 정의할 수 있고, 여기에서 "링고"는 일반적으로 관련된 명령들의 그룹을 지칭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명령은 명령이 속하는 링고를 식별하는 제1 바이트, 및 링고 내의 특정 명령을 식별하는 제2 바이트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다른 명령 구조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모든 액세서리들, 또는 액세서리가 접속될 수 있는 모든 PMD들이 프로토콜내에 정의된 모든 링고 또는 특정 링고(예를 들면, 상이한 디바이스들은 주어진 링고의 상이한 버전들을 이용할 수 있다)의 모든 명령을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프로토콜은 PMD(202/204)와 액세서리(206) 사이의 일부 코어 통신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링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링고는, 각각이 어느(존재한다면) 다른 링고들을 지원하는지 및 각각이 접속된 동안에 다른 디바이스들의 어느 성능들을 이용하려고 할 지를 포함하여, PMD(202/204) 및 액세서리(206)가 그 자신을 서로에게 식별할 수 있게 하고 그들 각각의 성능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링고는 또한 PMD(202/204)가 액세서리(206)의 의도된 아이덴터티 및 성능들을 검증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인증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 반대로).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서리(206, 또는 PMD(202/204))는 인증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 일부 명령들 또는 링고들을 인보크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프로토콜은 PMD와, 다양한 상이한 클래스들의 액세서리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데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링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액세서리 링고들의 예들은 RF 튜너 링고, 원격 제어 링고, 확장된 인터페이스 링고,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설명된 일반적인 링고는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서리(206)와 복수의 PMD들(예를 들면, 202 및 204)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의 일부일 수 있는 명령들은 이하의 도 3-7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설명된 프로토콜 및 연관된 링고들/명령들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명령들 중 일부는 다른 명령들 또는 명령들의 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링고들 및/또는 명령들 중 일부는 특정 PMD들 또는 액세서리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변동들, 변형들, 및 대안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구문들 "명령을 전송하기" 및 "명령을 수신하기"는 명령들의 임의의 교환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용어 "명령"이 종종 저-레벨 원자 트랜잭션(low-level atomic transaction)에 이용될 수 있지만, 이는 또한 복수의 저-레벨 명령들을 포함하는 하이-레벨 동작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예를 들면, 도 2의 액세서리(206))와 복수의 PMD들(예를 들면, 도 2의 PMD들(202 및 204))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PMD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액세서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PMD는 또한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접속의 확립 시에, PMD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신 채널을 식별하는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지에 기초하여,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동일한 PMD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액세서리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PMD로부터 어떠한 통지도 수신하지 않고서도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을 검출한다면, 액세서리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2개의 상이한 PMD들에게 각각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접속하는 경우에 PMD(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300)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스(300)의 일부들은 액세서리(206)와의 정상 동작에 참여하기 이전에 초기화 시퀀스의 일부로서 PMD(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PMD(202)에 의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스(300)는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블록 302에서, PMD(202)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 상에서 액세서리(206)와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채널 타입은 유선 채널 타입(예를 들면, 30 핀 직렬, USB, 등), 또는 무선(예를 들면, 와이파이, 적외선, 무선 주파수, 등) 채널 타입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채널 타입은 iAP와 같은 액세서리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PMD(202)와 액세서리(206) 사이에서 제어 신호들을 패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 304에서, PMD(202)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로부터 액세서리 성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MD(202)는 액세서리(206)가 그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채널 타입은 블록 302에 대해 설명된 제1 채널 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채널 타입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채널 타입일 수 있다.
블록 304에서 수신되는 성능 정보가 액세서리(206)가 그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나타내는 경우에, PMD(202)는, PMD(202)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블록 306).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PMD(202)가 액세서리(206)로부터 블루투스 접속들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etAccStatusNotification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PMD(202)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308).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통신 채널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AccessoryStatusNotifica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 타입이 블루투스인 실시예들에서, 블록 308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는 특히, 액세서리(206)와의 블루투스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가용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태 정보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고유하게 식별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정보(예를 들면, 이름들, 식별자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308에서 상태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PMD(202)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202)가 제2 타입의 임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와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때에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제2 채널 타입의 접속 또는 분리가 있을 때마다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식별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비트마스크)를 가지는 SetEventNotifica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명령은 제2 타입의 채널들에 관한 접속/분리 통지들을 수신하도록 PMD(202)에 등록하기 원할 때 액세서리(206)에 의해 전송된다.
블록들 302 내지 310에 후속하여, PMD(202) 및 액세서리(206)는 액세서리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호동작할 수 있다. 일부 포인트에서, PMD(202)가 여전히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PMD(202)는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액세서리(206)와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블록 312). 예를 들면, 이것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블루투스 HFP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을 확립하는 때에, PMD(202)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314).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제2 채널 타입(예를 들면, 블루투스)을 식별하는 파라미터,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을 식별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및 "접속"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것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는 iPodNotification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206)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PMD(즉, PMD(202))가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양쪽 모두를 통해 액세서리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프로세스(300)에 후속하여 PMD(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4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300)와 같이, 프로세스(400)는 PMD(202)에 의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스(300)는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블록 402에서, PMD(202)는 블록 312에서 확립된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PMD(202)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404).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분리" 이벤트("접속" 이벤트라기 보다는)가 발생했다는 것을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블록 314에서 전송된 것과 동일한 iPodNotification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06)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PMD(202)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단 제2 통지가 전송되었다면, PMD(202)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 상에서 액세서리(206)로의 접속들/분리들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통지를 액세서리(206)에 적절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1 통신 채널이 분리될 때까지, 또는 PMD(202)가 전력 오프되거나 서스펜딩된/슬리프 상태에 놓여질 때까지 무한정 계속될 수 있다.
프로세스들(300 및 400)은 예시적이고 변동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202)는 AccessoryStatusNotification 명령이 블록 310에서 수신될 때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이미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PMD(202)는 블록 310 직후에 블록 314의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기재된 단계들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고, 단계들의 순서는 가변될 수 있으며, 단계들은 변형되고, 조합되며,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변동들, 변형들 및 대안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PMD(202)와 접속할 때 액세서리(2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500)의 흐름도이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도 3의 프로세스(300)가 PMD(202)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 프로세스(500)는 액세서리(2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스(500)는 PMD(202)와의 정상 동작에 참여하기 이전에 초기화 시퀀스의 일부로서 액세서리(2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액세서리(206)에 의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스(500)는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블록 502에서, 액세서리(206)는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 상에서 PMD(202)와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채널 타입은 유선 채널 타입(예를 들면, 30 핀 직렬, USB, 등), 또는 무선(예를 들면, 와이파이, 적외선, 무선 주파수, 등) 채널 타입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채널 타입은 iAP와 같은 액세서리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액세서리(206)와 PMD(202) 사이에서 제어 신호들을 패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 504에서, 액세서리(206)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 성능 정보를 PMD(2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서리(206)는, 액세서리(206)가 그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채널 타입은 블록 502에 대해 설명된 제1 채널 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채널 타입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채널 타입일 수 있다.
액세서리(206)가 그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액세서리(206)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PMD(202)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506).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블록 306에 대해 설명된 SetAccStatusNotifica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액세서리(206)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요구되는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508).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블록 308에 대해 설명된 AccessoryStatusNotification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 타입이 블루투스인 실시예들에서, 블록 308에서 전송된 상태 정보는 특히, 액세서리(206)와 블루투스 접속을 확립하는데 가용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태 정보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고유하게 식별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정보(예를 들면, 이름들, 식별자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508에서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액세서리(206)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202)가 제2 타입의 임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와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블록 310에 대해 설명된 SetEventNotification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명령은, 제2 타입의 채널들에 관한 접속/분리 통지들을 수신하도록 PMD(202)에 등록하기 원하는 경우에 액세서리(206)에 의해 전송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프로세스(500)에 후속되어 액세서리(2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들(600 및 700)의 흐름도들이다. 특히, 프로세스(600)는 액세서리(206)와 PMD(202) 사이에서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고, 프로세스(700)는 액세서리(206)와, PMD(202)와 상이한 PMD(예를 들면, PMD(204)) 사이에서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와 같이, 프로세스들(600 및 700)은 액세서리(206)에 의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서, 프로세스들(600 및 700)은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에 대해, 액세서리(206)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206)와 PMD(202) 사이에서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 602). 하나의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도 3의 블록 314에 대해 설명된 iPodNotification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604에서, 액세서리(206)는 통지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PMD(즉, PMD(202))가 양쪽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모두를 통해 액세서리와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액세서리(206)는 PMD와의 그 상호동작에 관한 지능적인 결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예로 리턴하면, 액세서리(106)는 양쪽 유선 통신 채널(112) 및 무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채널(118) 모두를 통해 단일 PMD(PMD(102))와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프로세스(600)를 이용함). 따라서, 인커밍 호가 채널(118)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액세서리(106)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로부터 적절한 "통화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수신할 수 있고, 그 UI를 출력 디바이스(128) 상에 프리젠팅할 수 있다.
다르게는, 프로세스(700)에 대해, 액세서리(206)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PMD(202)로부터 어떠한 통지도 수신하지 않고서도,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블록 702). 예를 들면, 접속은 202와는 상이한 PMD(예를 들면, PMD(204))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액세서리(206)는 제1 및 제2 통신 채널들 상에서 2개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202 및 20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2개의 디바이스들과의 그 상호동작에 관한 지능적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블록 704). 예를 들면, 도 1의 예로 리턴하면, 액세서리(106)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채널(124)을 통해 상이한 PMD(PMD(104))와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프로세스(700)를 이용함). 따라서, 인커밍 호가 채널(124)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액세서리(106)는 (유선 통신 채널(112)을 통해 PMD(102)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수신하기보다는) PMD(104)에 대해 호를 핸들링하기 위한 그 자신의 "통화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할 수 있다.
프로세스들(500, 600 및 700)은 예시적이고 변동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600)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206)는 제2 통신 채널 상의 접속이 차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통지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액세서리(206)는 PMD(202)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더 이상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인 것으로 기재된 단계들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고, 단계들의 순서가 가변될 수 있으며, 단계들은 변형되고, 조합되며,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변동들, 변형들 및 대안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다수의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MD 및/또는 액세서리의 회로들, 프로세서들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은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구현에 따라 그러한 구성이 특정 컴포넌트들의 설계, 셋업, 상호접속, 및/또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과, 다시 한 번 구현에 따라, 구성된 컴포넌트가 상이한 동작을 위해 재구성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는 적합한 실행가능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고, 전용 로직 회로는 로직 게이트들 및 다른 회로 소자들을 적합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또한,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은 특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참조하고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고 하드웨어로 구현된 것으로서 기재된 특정 동작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일부 또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인코딩될 수 있고, 적합한 매체는 자기 디스크(하드 디스크를 포함함) 또는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DVD(디지털 다용도 디스크)와 같은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로 인코딩된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양립가능한 디바이스로 패키징될 수 있거나 다른 디바이스들과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코드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토콜들에 부합하는 유선, 광학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인코딩되어 송신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예를 들면 인터넷 다운로드를 통한 배포를 허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주 내의 모든 변형들 및 등가물들을 커버하려는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5)

  1. 액세서리와 상호동작(interoperate)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 -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채널들 중 하나임 -; 및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상기 접속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지는 상기 제2 타입을 또한 식별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지는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식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차단하는(closing) 단계; 및
    상기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상기 접속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액세서리가 제공할 수 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2 타입의 임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서리와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은 유선 통신 채널 타입이고, 상기 제2 타입은 무선 통신 채널 타입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 타입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법.
  9. 디바이스와 상호동작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타입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디바이스가 제2 타입의 임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액세서리와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채널은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된 상기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통신 채널들 중 하나인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단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모두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접속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통지들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타입의 제2 통신 채널 상에서 접속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각각 2개의 상이한 디바이스들과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액세서리가 제공할 수 있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타입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타입과 별개의 제2 타입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서리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기 액세서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리스트를 이용하고 - 상기 접속은 상기 액세서리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액세서리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확립됨 -,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에, 상기 접속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통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은 유선 인터페이스 타입이고, 상기 제2 타입은 무선 인터페이스 타입인 전자 디바이스.
  17. 액세서리로서,
    제1 타입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1 타입과 별개의 제2 타입의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 및
    제어 컴포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리스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임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하거나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액세서리가 통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표시를 송신하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액세서리와의 접속을 확립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서리.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은 유선 인터페이스 타입이고, 상기 제2 타입은 무선 인터페이스 타입인 액세서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차량 헤드 유닛인 액세서리.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47000147A 2011-06-06 2012-05-30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 KR101596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54,122 2011-06-06
US13/154,122 US20120309289A1 (en) 2011-06-06 2011-06-06 Techniques for facilitating interoperation between an accessory and multiple devices
PCT/US2012/040014 WO2012170254A1 (en) 2011-06-06 2012-05-30 Techniques for facilitating interoperation between an accessory and multip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863A KR20140019863A (ko) 2014-02-17
KR101596172B1 true KR101596172B1 (ko) 2016-02-19

Family

ID=4621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147A KR101596172B1 (ko) 2011-06-06 2012-05-30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309289A1 (ko)
EP (1) EP2719156B1 (ko)
JP (1) JP5766875B2 (ko)
KR (1) KR101596172B1 (ko)
CN (1) CN103597805B (ko)
AU (1) AU2012268684A1 (ko)
TW (1) TWI561989B (ko)
WO (1) WO20121702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9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2240A1 (en) 2012-01-31 2013-08-01 Peter M. Munsell Buffer system for a gas turbine engine
KR20140079537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들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US9021563B2 (en) * 2013-01-02 2015-04-28 Htc Corporation Accessory interface system
US9141944B2 (en) * 2013-01-24 2015-09-22 Google Inc. Synchronization of alarms between devices
US9344185B2 (en) * 2013-03-27 2016-05-17 BBPO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iring of bluetooth devices
US9730268B2 (en) 2013-06-07 2017-08-08 Apple Inc. Communication between host and accessory devices using accessory protocols via wireless transport
US10782799B2 (en) * 2014-05-13 2020-09-22 Lenovo (Singapore) Pte. Ltd. Smart pen pairing and connection
CN108200215A (zh) * 2014-11-11 2018-06-22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多媒体分享方法
KR102383636B1 (ko) * 2015-08-17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블루투스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
US10084498B2 (en) * 2015-09-16 2018-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figurable communications module with replaceable network access device
US10123333B2 (en) * 2015-11-24 2018-11-06 Bose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identification
DE102015226643A1 (de) 2015-12-23 2017-06-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en,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m Herstellen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einem Informationssystem eines Fahrzeugs und einem Mobilgerät
EP3476109B1 (en) 2016-06-24 2020-07-1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Wireless audio source switching
EP3439274B1 (en) * 2017-08-04 2021-11-10 Nokia Technologies Oy Event notification
CN111918250B (zh) * 2019-05-09 2023-03-21 阿尔卑斯通信器件技术(上海)有限公司 蓝牙通信器以及蓝牙通信方法
WO2021007718A1 (zh) * 2019-07-12 2021-01-2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蓝牙设备类型识别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6184A1 (en) 2000-04-05 2001-10-11 Widescience Ab Mobile computer which is connected to several connection units
US20100159948A1 (en) 2008-12-19 2010-06-24 Taproot Systems, Inc. Adaptive Networking For Power Saving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829B1 (en) * 1999-02-23 2005-02-22 Microsoft Corp. Method and mechanism for providing computer programs with computer system events
FR2829336A1 (fr) * 2001-09-04 2003-03-07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s de communication pouvant dialoguer sans fil et procedes d'association des dits dispositifs
ATE387793T1 (de) * 2003-11-10 2008-03-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system für die datenübertragung zwischen einem client und einem server, wobei der client eine von mehreren physikalischen verbindungen auswählt
TWI231131B (en) * 2004-01-08 2005-04-11 Via Tech Inc Method and system of completing bluetooth for the pairing procedure by wired interface
EP1635508A1 (en) * 2004-09-08 2006-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cure pai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JP4895346B2 (ja) * 2004-11-19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US7913297B2 (en) * 2006-08-30 2011-03-22 Apple Inc.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ired medium
JP4833152B2 (ja) * 2007-05-30 2011-12-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端末、情報処理端末及び通信方法
US8254993B2 (en) * 2009-03-06 2012-08-28 Apple Inc. Remote messag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8554924B2 (en) * 2009-03-16 2013-10-08 Apple Inc. Connection to multiple accessories with multiple accessory-specific protocols
US8630592B2 (en) * 2009-04-14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 wireless connection
US8818274B2 (en) * 2009-07-17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nterfacing between a master device and object device
US8509694B2 (en) * 2010-08-31 2013-08-13 Apple Inc. Techniqu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media device and an accessory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6184A1 (en) 2000-04-05 2001-10-11 Widescience Ab Mobile computer which is connected to several connection units
US20100159948A1 (en) 2008-12-19 2010-06-24 Taproot Systems, Inc. Adaptive Networking For Power Sav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9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9289A1 (en) 2012-12-06
TWI561989B (en) 2016-12-11
JP5766875B2 (ja) 2015-08-19
EP2719156B1 (en) 2019-01-23
TW201303597A (zh) 2013-01-16
WO2012170254A1 (en) 2012-12-13
AU2012268684A1 (en) 2013-12-19
CN103597805B (zh) 2015-11-25
JP2014525157A (ja) 2014-09-25
CN103597805A (zh) 2014-02-19
KR20140019863A (ko) 2014-02-17
EP2719156A1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172B1 (ko) 액세서리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
US8966138B2 (en)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n accessory using multiple-endpoint identification
US8509694B2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media device and an accessory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US9712659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KR101787185B1 (ko) 액세서리와 공조하는 애플리케이션 개시
US8760265B2 (en) Remote control signal learning and processing by a host device and accessory
US8850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US8086781B2 (en) Serial pass-through device
JP463509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機器登録方法
EP26740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WO2007125711A1 (ja) 携帯無線機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7504988A (ja) イヤホンインタフェースアダプタデバイスの接続切替方法及び端末
AU2015252154A1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interoperation between an accessory and multiple devices
KR101973457B1 (ko) 전자 장치에서 출력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