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92B1 -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92B1
KR101594992B1 KR1020140177473A KR20140177473A KR101594992B1 KR 101594992 B1 KR101594992 B1 KR 101594992B1 KR 1020140177473 A KR1020140177473 A KR 1020140177473A KR 20140177473 A KR20140177473 A KR 20140177473A KR 101594992 B1 KR101594992 B1 KR 10159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mber
seat
headrest
vehicl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연
최갑승
강경균
신재민
손민정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강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강경균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36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whol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 유압챔버와, 일측이 상기 유압챔버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차량용시트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유압지지부;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유압챔버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관; 상기 유체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보조탱크; 상기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밸브;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인가될 때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를 이용하면, 차량에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차량용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고, 인가되는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완충압을 차등으로 조절함으로써 사고 종류별로 적절한 완충이 가능해지며, 시트쿠션과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의 완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Apparatus for damping sea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 시 시트에 착석한 승차원의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충격력이 인가될 때 시트를 지지하고 있는 유압기기의 내부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종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안전장치로서 시트벨트와 에어백시스템이 있다.
상기 시트벨트는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로서 승객의 착좌상태와 운전조작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복부와 흉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차량이 급정거 하거나 전방 충돌을 하였을 때 시트에 앉은 승객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에어백시스템은 자동차 충돌 시에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도록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에는 충돌 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충돌을 검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트벨트 및 에어백시스템은 주로 차량이 전방에 위치한 차량이나 구조물에 충돌하였을 때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방에 위치한 차량이 추돌을 하였을 때에는 승객을 보호하는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1996-05098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에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차량용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고, 인가되는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완충압을 차등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 유압챔버와, 일측이 상기 유압챔버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차량용시트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유압지지부;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유압챔버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관; 상기 유체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보조탱크; 상기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밸브;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인가될 때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쿠션 피스톤과,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을 지지하는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챔버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과 대응되는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과 대응되는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와 대응되는 헤드레스트 유압챔버로 구분되고,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 상기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헤드레스트 피스톤은 각각, 상기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헤드레스트 유압챔버에 장착된다.
상기 유체배출관은, 상기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시트쿠션 유체배출관과, 상기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시트백 유체배출관과, 상기 헤드레스트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으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컨트롤밸브는, 상기 시트쿠션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시트쿠션 컨트롤밸브와, 상기 시트백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시트백 컨트롤밸브와, 상기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쿠션 컨트롤밸브와 상기 시트백 컨트롤밸브와 상기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챔버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과 상기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헤드레스트 피스톤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압챔버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챔버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차량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측정값과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충격력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할 때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압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압력이 정상범위 이내로 복귀도록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폐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를 이용하면, 차량에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차량용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고, 인가되는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완충압을 차등으로 조절함으로써 사고 종류별로 적절한 완충이 가능해지며, 시트쿠션과 시트백과 헤드레스트의 완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시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용 시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하는 차량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외부로부터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차량용 시트(10)에 앉아 있는 승객으로는 인가되는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시트 측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 유압챔버(110) 및 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피스톤(112, 114, 116)을 구비하는 유압지지부(100)와, 상기 유압챔버(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유압챔버(1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관(210)과, 상기 유체배출관(210)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보조탱크(200)와, 상기 유체배출관(210)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밸브(220)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인가될 때 상기 컨트롤밸브(220)를 개방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12, 114, 116)은 일측(도 2에서는 우측)이 상기 유압챔버(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도 2에서는 좌측)이 차량용시트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는바, 상기 피스톤의 시트 지지력은 유압챔버(1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좌우된다.
즉, 유압챔버(110)의 내부 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쉽게 인입되지 아니하므로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은 차량용 시트(10)를 비교적 큰 힘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유압챔버(110)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쉽게 인입될 수 있으므로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은 차량용 시트(10)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평상시에는 상기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어 있는바,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은 차량용 시트(10)를 상당히 큰 힘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다른 차량에 의해 추돌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챔버(110)가 차량용 시트(10) 측으로 밀려들어 가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컨트롤밸브(220)를 개방시켜 유압챔버(110) 내의 유체가 유체배출관(210)을 통해 보조탱크(200)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컨트롤밸브(220)가 개방되었을 때 유압챔버(110) 내의 유체가 보조탱크(200)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탱크(200)의 내부압력은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에 비해 상당히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압챔버(110) 내의 유체가 보조탱크(200) 측으로 일부 이송되면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은 그만큼 감소되므로, 상기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차량용 시트(10)를 지지하는 힘 역시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은 차량용 시트(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압챔버(110)가 외부 충격력에 의해 차량용 시트(10) 측으로 밀려들어갈 때 상기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은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어느 정도 인입되므로, 상기 유압챔버(110)로 인가된 충격력은 그대로 차량용 시트(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인입되는 만큼 감소된 후 차량용 시트(10) 측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피스톤(112, 114, 116)들은 유압챔버(110)에 충격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압챔버(110)로 인가된 충격력이 그대로 차량용 시트(10) 측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고 일정 수준 감소하여 전달되면, 상기 차량용 시트(10)에 앉아 있던 승객의 부상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차량용 시트(10)는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로 구분되어 승객의 엉덩이와 등판과 머리를 각각 개별적으로 받히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피스톤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시트쿠션(12)을 지지하는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시트백(14)을 지지하는 시트백 피스톤(114)과,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헤드레스트(16)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피스톤(116)으로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압챔버(11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한 경우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차량용 시트(10)를 지지하는 힘은 피스톤(112, 114, 116)의 단면적에 비례하는바,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시트백 피스톤(114)과 헤드레스트 피스톤(116)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되어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를 모두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를 각각 상이한 크기의 힘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에는 승객이 시트벨트 및 에어백 등에 의해 보호를 받지만, 차량의 후방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에는 승객이 부상을 입을 우려가 높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차량의 후방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이를 완충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압챔버(110)는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상기 시트백 피스톤(114)과 상기 헤드레스트 피스톤(116)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압챔버(110)가 차량용 시트(10)의 후방에 위치되어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차량용 시트(10)의 뒷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면, 차량의 후방으로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되는바, 상기 차량용 시트(10)에 앉아 있던 승객이 부상을 입을 우려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컨트롤밸브(220) 개방은 차량에 기준치 이상의 큰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이루어져야 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차량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는, 유압챔버(110) 내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유압챔버(110) 내부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유압챔버(110)에 충격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압력센서(300)로 적용될 수도 있고, 차량의 후방 프레임 등에 장착되어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충격센서(500)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300)나 충격센서(500)가 구비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압력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충격센서(500)에 의해 측정된 충격력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였을 때 컨트롤밸브(220)를 개방시키도록 설정되어, 접촉사고 등과 같이 인가된 충격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유압챔버(110)의 내부 압력 강하가 일어나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 큰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에만 유압챔버(110)의 내부 압력 강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상기 압력센서(300)와 충격센서(500) 중 어느 하나의 센서만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유압챔버(110)에 충격이 인가될 때에도 유압챔버(110) 내부압력 강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차량의 프레임에 충격이 인가될 경우에도 유압챔버(110) 내부압력 강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압력센서(300)와 충격센서(500)가 모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쿠션(12)을 뒤로 밀거나 시트백(14)을 뒤로 젖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시트백 피스톤(114)이 유압챔버(110) 내측으로 인입되어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이 정상범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시트쿠션(12)을 뒤로 밀거나 시트백(14)을 뒤로 젖히는 등의 이유로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이 정상범위 이내로 복귀도록 컨트롤밸브(220)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시트쿠션(12)을 앞으로 당기거나 시트백(14)을 앞으로 굽힘으로 인해 시트쿠션 피스톤(112)이나 시트백 피스톤(114)이 유압챔버(110)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압챔버(110)의 내부압력이 기준범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컨트롤밸브(220)를 개방시키고 보조탱크(200) 내의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보조탱크(200) 내의 유체를 유압챔버(11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를 지지하는 각 피스톤(112, 114, 116)들이 하나의 유압챔버(110)에 장착되면, 상기 각 피스톤(112, 114, 116)에 인가되는 유압의 크기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차량용 시트(10)의 특성이나 충격 인가 위치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가 각각 상이한 크기의 힘으로 지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는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시트백 피스톤(114)과 헤드레스트 피스톤(116)이 각각 독립적으로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챔버(110)가 피스톤 개수에 맞춰 별도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챔버(110)는,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시트쿠션(12)과 대응되는 시트쿠션 유압챔버(120)와,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시트백(14)과 대응되는 시트백 유압챔버(130)와,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헤드레스트(16)와 대응되는 헤드레스트 유압챔버(140)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챔버(110)가 3개로 구분되면, 시트쿠션 피스톤(112)과 시트백 피스톤(114)과 헤드레스트 피스톤(116)에 인가되는 유압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과 헤드레스트(16)가 각각 상이한 크기의 힘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작자는, 차량용 시트(10)의 부위별 지지력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10) 완충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유압챔버(120)와 시트백 유압챔버(130)와 헤드레스트 유압챔버(140)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유체배출관(210) 역시 시트쿠션 유압챔버(120)와 보조탱크(200)를 연결하는 시트쿠션 유체배출관(211)과, 시트백 유압챔버(130)와 보조탱크(200)를 연결하는 시트백 유체배출관(212)과, 헤드레스트 유압챔버(140)와 보조탱크(200)를 연결하는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213)으로 각각 구분되어, 시트쿠션 유압챔버(120)와 시트백 유압챔버(130)와 헤드레스트 유압챔버(140)의 내부압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배출관(210)이 3개로 구분되는 경우, 컨트롤밸브(220) 역시 시트쿠션 유체배출관(211)을 개폐시키는 시트쿠션 컨트롤밸브(221)와 시트백 유체배출관(212)을 개폐시키는 시트백 컨트롤밸브(222)와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213)을 개폐시키는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223)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며, 압력센서(300) 역시 시트쿠션 유압챔버(120)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시트쿠션 압력센서(310)와, 시트백 유압챔버(130)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시트백 압력센서(320)와, 헤드레스트 유압챔버(140)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헤드레스트 압력센서(330)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시트쿠션 컨트롤밸브(221)와 상기 시트백 컨트롤밸브(222)와 상기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223)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유압챔버(110)와 유체배출관(210)과 컨트롤밸브(220)가 각각 3개로 구분 제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유압챔버(110)와 유체배출관(210)과 컨트롤밸브(2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백(14)을 지지하는 시트백 피스톤(114)이 2개 필요한 경우, 유압챔버(110)와 유체배출관(210)과 컨트롤밸브(220)는 각각 4개로 구분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챔버(110)와 유체배출관(210)과 컨트롤밸브(220)의 개수는 차량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차량용 시트 12 : 시트쿠션
14 : 시트백 16 : 헤드레스트
100 : 유압지지부 110 : 유압챔버
112 : 시트쿠션 피스톤 114 : 시트백 피스톤
116 : 헤드레스트 피스톤 120 : 시트쿠션 유압챔버
130 : 시트백 유압챔버 140 : 헤드레스트 유압챔버
200 : 보조탱크 210 : 유체배출관
211 : 시트쿠션 유체배출관 212 : 시트백 유체배출관
213 :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 220 : 컨트롤밸브
221 : 시트쿠션 컨트롤밸브 222 : 시트백 컨트롤밸브
223 :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 300 : 압력센서
310 : 시트쿠션 압력센서 320 : 시트백 압력센서
330 : 헤드레스트 압력센서 400 : 제어부
500 : 충격센서

Claims (7)

  1.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 유압챔버와, 일측이 상기 유압챔버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차량용시트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유압지지부;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유압챔버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관;
    상기 유체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보조탱크;
    상기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컨트롤밸브; 및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인가될 때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압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유압챔버의 내부압력이 정상범위 이내로 복귀도록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쿠션 피스톤과,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을 지지하는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압챔버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과 대응되는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과 대응되는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와 대응되는 헤드레스트 유압챔버로 구분되고,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 상기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헤드레스트 피스톤은 각각, 상기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헤드레스트 유압챔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관은, 상기 시트쿠션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시트쿠션 유체배출관과, 상기 시트백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시트백 유체배출관과, 상기 헤드레스트 유압챔버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결하는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으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컨트롤밸브는, 상기 시트쿠션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시트쿠션 컨트롤밸브와, 상기 시트백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시트백 컨트롤밸브와, 상기 헤드레스트 유체배출관을 개폐시키는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쿠션 컨트롤밸브와 상기 시트백 컨트롤밸브와 상기 헤드레스트 컨트롤밸브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압챔버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쿠션 피스톤과 상기 시트백 피스톤과 상기 헤드레스트 피스톤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압챔버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챔버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차량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측정값과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측정된 충격력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할 때 상기 컨트롤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7. 삭제
KR1020140177473A 2014-12-10 2014-12-10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1594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473A KR101594992B1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473A KR101594992B1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992B1 true KR101594992B1 (ko) 2016-02-17

Family

ID=5545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473A KR101594992B1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644B1 (ko) * 2017-02-17 2018-04-1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모터를 이용한 에티켓 좌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813A (ko) * 1998-12-23 2000-07-15 이계철 네트웍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KR20050053357A (ko) * 2003-12-01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승객보호용 분할형 헤드레스트
JP2008542633A (ja) * 2005-05-03 2008-11-27 ラブ,フィリップ,ダブリュー. 衝撃分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813A (ko) * 1998-12-23 2000-07-15 이계철 네트웍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KR20050053357A (ko) * 2003-12-01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승객보호용 분할형 헤드레스트
JP2008542633A (ja) * 2005-05-03 2008-11-27 ラブ,フィリップ,ダブリュー. 衝撃分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644B1 (ko) * 2017-02-17 2018-04-1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모터를 이용한 에티켓 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6777B (zh) 用于车辆的中央帘式气囊
US10556563B2 (en) Headrest airbag for vehicle
KR102478088B1 (ko) 차량의 에어백 가변제어장치
EP3640095B1 (en) Multi-frontal airbag for vehicle and airbag deployment system using the same
JP5154229B2 (ja) 安全装置
RU2661303C2 (ru) Еди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головы, торса и коленей пассажи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229133B2 (en)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including an occupant protection adjustment
US9896056B2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RU149431U1 (ru) Боковая надувная шторка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50108744A1 (en) Integrated side impact and rear occupant front impact protection bolsters
US9868414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170051824A (ko) 센터에어백 장치
US10173558B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airbag
CN103171508B (zh) 一种用于车辆翻滚时的乘员保护系统
KR101594992B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JP2004217109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KR102593520B1 (ko) 거동제어 에어백장치
KR20090027979A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230160944A (ko) 차량 시트를 구비한 차량
JPH04166452A (ja) 乗員保護装置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KR101755898B1 (ko) 시트 충격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6585B1 (ko) 충격 흡수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EP2091788B1 (en) A safety system for use in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