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818B1 -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818B1
KR101594818B1 KR1020150136235A KR20150136235A KR101594818B1 KR 101594818 B1 KR101594818 B1 KR 101594818B1 KR 1020150136235 A KR1020150136235 A KR 1020150136235A KR 20150136235 A KR20150136235 A KR 20150136235A KR 101594818 B1 KR101594818 B1 KR 10159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underground structure
steel pipe
constr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세
김동우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성건설
김동세
김동우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성건설, 김동세, 김동우, 김동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성건설
Priority to KR102015013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지하구조물이 설치되는 작업구간의 전면에 발진기지를 구축하는 단계; b) 일면이 노출된 흙막이 벽체를 구축하면서 작업구간을 굴토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의 노출면에 지보재 및 지지롤러를 설치하는 단계; c) 외부에서 미리 제작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를 발진기지로부터 작업구간 내에 진입시키되, 지하구조물용 구조체의 전면에 위치한 지보재를 순차로 제거하면서 상기 지하구조물용 구조체를 진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PROCEED WHILE REMOVING THE SUPPORTS}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개착방식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지보재를 이용하여 상부 토사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터널이나 암거 등의 지하구조물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철도 등의 하부에 횡단공사를 통해 터널, 지하차도 등을 건설하기 위한 공법에는 개착공법과 비개착공법이 있다. 개착공법은 지표면에서 땅을 파들어간 뒤 구조물을 설치하고 흙을 다시 메우는 공법으로, 굴토 후 내부 공간에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기간 중 보행 및 차량의 운행을 통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를 점유하지 않고, 직접 측면에서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비개착공법이 다수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비개착공법에는 대표적인 예로 구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을 함체형상으로 제작한 후 이를 지중에 삽입시키는 함체공법과, 지중에 강관루프를 형성시킨 후 그 하부에 지보재 등의 가설부재를 설치한 후 구조물을 현장 타설하는 강관루프공법 또는 지중에 메사 플레이트(Messer Plate)를 압입 전진시키면서 그 하부에 지보재 등의 가설부재를 설치한 후 구조물을 현장 타설하는 메사쉴드공법과 같은 현장타설공법이 있다.
함체공법은, 콘크리트 함체를 제작한 후 이를 강선으로 견인하거나 유압잭으로 밀어 넣는 공법으로, 토공 절취량이 적어서 궤도를 수정하기 쉽고, 콘크리트 함체의 품질관리가 쉽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함체공법은, 함체를 제작하고 이를 견인 내지 추진하기 위하여 작업구간의 전면에 함체를 제작하고 추진시키기 위한 전진기지를 구축함과 더불어 작업구간의 후면에도 도달기지를 구축하고 함체를 견인시키기 위한 반력대 등의 시설을 구축해야 하나, 도심지에서는 이러한 작업기지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적용상에 한계가 있다.
현장타설공법은, 지하구조물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나 가설부재 등으로 인한 작업공간의 협소로 시공이 번잡하게 되고, 상부의 철로나 도로의 이용과 관련하여 지하구조물의 구축이 완료될 때까지 굴착부분을 지보재 등의 가설부재가 지지하고 있어 장시간 동안 연속하여 불안정 상태를 가지게 되며, 더욱이 지하수위가 높거나 연약지반으로 인한 지반 이완영역이 큰 경우에는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현장타설공법에서 지하구조물이 대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굴착면 내부에 수평, 수직의 지보재가 격자형상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이들 지보재의 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타설되는 구조물용 콘크리트에 매립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이 매립된 강재가 콘크리트와 접하는 부위는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되게 하고 외관저해 및 내구성을 떨어뜨리며, 또한 절단을 통해 제거된 지보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공사비를 대폭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KR 10-0989984 B1 KR 10-2011-0011225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도달기지를 구축할 수 없거나 기타의 이유로 인하여 지보재를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지보재로 인한 협소한 공간에서의 거푸집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상기 지보재 구축을 위한 자재들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도모시킬 수 있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a) 지하구조물이 설치되는 작업구간의 전면에 발진기지를 구축하는 단계; b) 일면이 노출된 흙막이 벽체를 구축하면서 작업구간을 굴토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의 노출면에 지보재 및 지지롤러를 설치하는 단계; c) 외부에서 미리 제작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를 발진기지로부터 작업구간 내에 진입시키되, 지하구조물용 구조체의 전면에 위치한 지보재를 순차로 제거하면서 상기 지하구조물용 구조체를 진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의 흙막이 벽체는 지중에 다수 개의 강관을 연속 설치하여 강관루프를 형성시킴으로써 구성시킬 수도 있고, 다수 개의 지지플레이트를 연속 압입하여 판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지보재는 강관루프에 볼트체결되거나 자립구조를 가지게 하여 지하구조물용 구조체의 진입시 부재의 손상없이 제거가 가능한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지보재를 설치하면서 작업공간을 모두 굴토한 후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어, 현장타설에 의한 구축방법을 이용할 때 가질 수 있는 시공의 정밀성을 확보하면서도, 반대 급부적으로 발생되는 지보재의 장기간 존치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철근 및 거푸집 작업 등이 번잡해지는 문제점,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시공기간 장기화의 문제점, 지보재의 일부가 콘크리트에 매립됨으로 발생되는 균열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뿐 아니라, 지보재를 손상 없이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성을 도모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기지 후방의 도달기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도심지의 매우 협소한 장소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여 장소적 제약이 없는 범용성의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현장타설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구축시킨 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전체적인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단면도이다.
도 3은 강관루프를 흙막이 벽체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제1실시예의 작업과정을 나타낸 종,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강관루프로부터 손상없이 지보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강관과 지보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지지플레이트를 흙막이 벽체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제2실시예의 작업과정을 나타낸 종,횡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에서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지지롤러의 설치에 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은, 앞서 설명한 함체공법과 현장타설공법을 응용하면서 이들 각각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공성 및 안정성과 경제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발진기지(S)를 구축하는 단계, b)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를 설치하는 단계, c) 지보재(200)를 제거하면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진입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구축하고자 하는 지하구조물이 완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은,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100)의 구성과 이를 지지하는 지보재(200)의 설치 및 고정방법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크게는, 지중에 다수 개의 강관(111)을 연속 설치하여 강관루프(110)를 형성시킴으로써 흙막이 벽체(100)가 구축되도록 하는 제1실시예와, 지중에 다수 개의 지지플레이트(120)를 연속 압입 설치하여 판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흙막이 벽체(100)가 구축되도록 하는 제2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의 두 실시예 중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발진기지(S)를 구축하는 단계;
지하구조물이 설치되는 작업구간(L)의 전면에는 발진기지(S)가 구축된다.
통상적인 함체공법에서는 상기한 발진기지와 함께 작업구간의 후면에 도달기지가 구축되나, 본 발명에서는 도달기지의 구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의 발진기지(S)는 작업구간(L)의 지중에 설치해야 하는 부재나 시설들을 제작 또는 준비하거나 지중 설치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향후의 단계에서 지중에 진입시킬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가 이곳에서 제작될 수 있다.
발진기지(S)의 구축방법은 통상적인 함체공법과 크게 다르지 아니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 지보재 (200) 및 지지롤러(300A) 설치하는 단계;
발진기지(S)의 구축이 완료되면 발진기지(S)로부터 작업구간(L)에 대하여 흙막이 벽체(100)를 구축하면서 굴토작업과 함께 지보재(200)와 지지롤러(300A)를 설치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진다.
ⅰ) 먼저 굴토작업 및 지보재(200) 등의 설치작업에 앞서 상부하중과 측면의 배면토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굴토하고자 하는 공간 외측의 지중에 다수 개의 강관(111)을 병렬로 연속 설치하여 강관루프(110)를 구축시킨다.
ⅱ) 강관루프(110)의 구축이 완료되면 강관루프(110)의 내측, 즉 굴토작업구간(L)의 일부를 굴토하여 강관루프(110)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강관루프(110)의 노출면에 수평빔(210)과 그 하부의 수직빔(220)으로 이루어지는 최선단의 지보재(200)를 구축한다. 상기 수직빔(220)은 수평빔(21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과 함께 강관루프(110)의 측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함께 지지하게 되며, 상기 배면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수직빔(220)들의 사이에는 횡버팀대(2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보재(200)는 강관루프(110)에 고정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향후 지보재(200)가 손상없이 강관루프(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고정되며,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관루프(110)로부터 손상없이 지보재(2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강관(111)과 지보재(200)의 결합구조에 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강관(111)에 대한 지보재(200)의 결합은 볼트체결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지하구조물용 구조체의 진입시 상기 지보재(200)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강관(111)과 지보재(200)의 볼트체결은 이들 사이에서 직접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플레이트(111a)를 매개로 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체결플레이트(111a)는 체결부위의 접점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강관(111)의 다른 부분으로 분산시켜 줌으로써 체결부위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된 지지를 지속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체결플레이트(111a)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강관(111)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도, 도 4의 (b)에서와 같이 강관(111)의 외부에서 지보재(200)에 면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강관(111)에 대한 체결플레이트(111a)의 설치 및 최선단의 지보재(200) 구축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플레이트(111a)를 매개로 하여 강관(111)과 지보재(200)의 사이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관루프(110)의 슬래브 부분에서는 수평빔(210)과 강관(111)의 사이에 볼트체결이 이루어지고, 강관루프(110)의 측벽 부분에서는 수직빔(220) 또는 횡버팀대(230)와 강관(111)의 사이에 볼트 체결이 이루어 지면서 강관루프(110)에 지보재(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작업구간(L)의 최선단에 대한 지보재(2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부분 굴토의 실시와, 굴토부분에 대한 지보재(200)의 설치 및, 지보재(200)와 강관(111)에 대한 볼트체결 등의 각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작업구간(L) 전체에 대한 지보재(200)의 설치작업을 완료시킨다.
한편 지지롤러(300A)는 지보재(200)들의 사이에서 강관루프(110)에 고정 설치되며, 그 설치작업은 각 지보재(200)의 설치작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보재(200)의 설치작업을 모두 완료시킨 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지지롤러(300A)는 후술하는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진입시 흙막이 벽체(100)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에 전달하는 응력전달체로써의 기능을 함으로써 지보재(200)의 제거로 인하여 응력전달의 단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작업구간(L)의 굴토바닥면에 대하여도 기초콘크리트(F)를 타설하고 여기에 롤러와 같은 마찰저감장치(300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지보재(200)를 제거하면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진입시키는 단계;
작업구간(L)의 전체에 대한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미리 제작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발진기지(S)로부터 작업구간(L) 내에 진입시킨다.
이때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전면에 위치한 지보재(200)는 상기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진입에 따라 순차로 제거되며, 이러한 지보재(200)의 제거는 강관(111)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줌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손상 없이 제거된 지보재(200)는 또 다른 작업장소에서 재활용되므로 강재사용을 절감시켜 경제적인 시공을 도모하게 한다.
작업구간(L)에 대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진입작업이 완료되면, 강관루프(110)와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사이를 그라우팅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구축작업을 완료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발진기지(S)를 구축하는 단계;
본 단계에서의 발진기지(S) 구축은 앞선 제1실시예와 다르지 아니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진기지(S)가 구축된 후, 다음의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를 설치하는 단계에 앞서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보강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지반보강단계는 다음 단계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흙막이 벽체(100)의 배면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임시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굴토시 토사가 쉽게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흙막이 벽체(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b) 지보재 (200) 및 지지롤러(300A) 설치하는 단계;
발진기지(S)의 구축이 완료되면 발진기지(S)로부터 작업구간(L)에 대하여 흙막이 벽체(100)를 구축하면서 굴토작업과 함께 지보재(200)와 지지롤러(300A)를 설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강관루프(110)를 구축되지 않고 판재의 형상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플레이트(120)가 사용된다.
상지 지지플레이트(120)는 굴토를 위한 선단슈의 기능을 하면서 굴토된 부분에 대하여는 벽체를 형성시켜 굴토면 외측의 토압에 대한 흙막이 벽체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의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의 설치는 상기한 지지플레이트(120)의 노출면에 설치되며 이를 위한 작업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플레이트(120)를 지중에 압입하면서 그 하부에 대한 굴토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는 지중에 대한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선단에 뾰족한 날이 구비되게 할 수 있다.
ⅱ)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대한 굴토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노출된 면에 접하도록 수평빔(210)을 설치함과 더불어 그 하부에 수직빔(220)을 설치함으로써 최선단의 지보재(200)를 구축한다.
ⅲ) 상기한 최선단의 지보재(200) 구축이 완료되면, 기설치된 상기 지보재(200)의 수평빔(210) 상면을 가이드면으로 삼아 두 번째의 지지플레이트(120)를 압입하여 선행하여 압입된 지지플레이트(120)를 밀어 전진시키면서 그 선행의 지지플레이트(120) 하부에 대한 굴토작업과, 굴토된 부분에 대한 두 번째의 지보재(200)를 설치한다. 이때 수직빔(220)들의 사이에는 횡버팀대(230)가 더 설치될 수 있음은 앞선 제1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ⅳ) 두 번째의 지보재(200) 설치가 완료되면, 선행한 지보재(200)와의 사이에 종버팀대(240)를 설치하여 상기의 지보재(200)들이 자립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보재(200)의 자립구조는 지보재(200)가 지지플레이트(120)와 체결되지 않고서도 지지플레이트(120)의 배면토압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지지플레이트(120)의 계속적인 압입을 가능하게 한다.
ⅴ) 상기한 ⅲ)과 ⅳ)의 각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작업구간(L) 전체에 대하여 흙막이 벽체(100)로써의 지지플레이트(120) 설치와 함께 지보재(200)의 설치를 완료시키고, 지보재(200)와 이에 인접한 지보재(20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120)에 지지롤러(300A)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의 지지롤러(300A)는 지지플레이트(120)의 노출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지지플레이트(12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받침대(121)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21)에 지지롤러(300A)를 설치한다.
각 강관의 내부에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높은 강성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1실시예의 강관루프(110)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120)들은 서로에 대한 일체성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바, 상기의 받침대(121)는 지지플레이트(120)들의 구조적 일체성을 향상하여 보다 안정된 흙막이 벽체(10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c) 지보재(200)를 제거하면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진입시키는 단계;
작업구간(L)의 전체에 대한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보재(200)를 순차로 제거하면서 미리 제작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발진기지(S)로부터 작업구간(L) 내에 진입 완료시키고, 지지플레이트(120)와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사이를 그라우팅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구축작업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의 실시예의 흙막이 벽체는 강관이나 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설치된 지보재를 제거하면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를 진입시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면서도 흙막이 벽체의 구성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흙막이 벽체 110; 강관루프
111; 강관 111a; 체결플레이트
120; 지지플레이트 121; 받침대
200; 지보재 210; 수평빔
220; 수직빔 230; 횡버팀대
240; 종버팀대 300A; 지지롤러
300B; 마찰저감장치 400; 지하구조물용 구조체

Claims (6)

  1. 지중에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지하구조물이 설치되는 작업구간(L)의 전면에 발진기지(S)를 구축하는 단계; b) 일면이 노출된 흙막이 벽체(100)를 구축하면서 작업구간(L)을 굴토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100)의 노출면에 지보재(200) 및 지지롤러(300A)를 설치하는 단계; c) 외부에서 미리 제작한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발진기지(S)로부터 작업구간(L) 내에 진입시키되,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의 전면에 위치한 지보재(200)를 순차로 제거하면서 상기 지하구조물용 구조체(400)를 진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b)단계에서 설치되는 지보재(200)는 흙막이 벽체(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지중에 다수 개의 강관(111)을 연속 설치하여 강관루프(110)를 형성시킴으로써 흙막이 벽체(100)가 구축되도록 하고, 강관루프(110)의 내측의 굴토작업구간(L)에 대한 부분 굴토와 지보재(200) 설치의 작업을 반복하여 작업구간(L) 전체에 대하여 지보재(200)를 설치하되, 상기 지보재(200)는 강관루프(110)에 볼트체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300A)는 지보재(200)와 인접한 지보재(200)의 사이에서 강관루프(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강관루프(110)에 대한 지보재(200)의 고정 설치는, 강관(1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체결플레이트(111a)를 설치한 후, 상기 체결플레이트(111a)를 매개로 하여 강관(111)과 지보재(200)의 사이를 볼트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지중에 다수 개의 지지플레이트(120)를 연속 압입하여 판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흙막이 벽체(100)가 구축되도록 하고, 상기의 지지플레이트(120) 압입과 그 하부의 굴토 및 지보재(200)의 설치작업을 반복하여 작업구간(L) 전체에 대하여 지보재(200)를 설치하되, 인접한 지보재(200)들 사이에는 종버팀대(240)가 설치되어 자립구조의 지보재(200)가 구축되고, 상기 지지롤러(300A)는 지보재(200)와 인접한 지보재(200)의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a)단계와 b)단계의 사이에는 구축하고자 하는 흙박이 벽체의 배면에 대하여 그라우팅하는 지반보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20150136235A 2015-09-25 2015-09-25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159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35A KR101594818B1 (ko) 2015-09-25 2015-09-25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35A KR101594818B1 (ko) 2015-09-25 2015-09-25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18B1 true KR101594818B1 (ko) 2016-02-17

Family

ID=5545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235A KR101594818B1 (ko) 2015-09-25 2015-09-25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08A (ko) * 2003-04-12 2003-05-09 허복현 지하터널의 압밀굴착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밀토류판
KR100989984B1 (ko) 2010-04-19 2010-10-2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매립식 지보재 루프식 터널 공법
KR20110011225A (ko) 2009-07-28 2011-02-08 염명호 구조물 선타설 방식을 적용한 대단면 메사터널 구축방법
KR101167276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신보 비개착식 일체형 루프 구조물 및 이 시공 공법
KR101324173B1 (ko) * 2013-07-11 2013-11-06 김동수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08A (ko) * 2003-04-12 2003-05-09 허복현 지하터널의 압밀굴착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밀토류판
KR20110011225A (ko) 2009-07-28 2011-02-08 염명호 구조물 선타설 방식을 적용한 대단면 메사터널 구축방법
KR100989984B1 (ko) 2010-04-19 2010-10-2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매립식 지보재 루프식 터널 공법
KR101167276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신보 비개착식 일체형 루프 구조물 및 이 시공 공법
KR101324173B1 (ko) * 2013-07-11 2013-11-06 김동수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705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강관연결용 방수철판의 설치방법
KR101179778B1 (ko) 비개착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07217911A (ja) 地中空洞の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工法
JP4317843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0991630B1 (ko) 함체 슬리브관 추진방식 터널 건조공법
KR100794609B1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JP2010090608A (ja) 地下空間の構築方法及び地下空間の構造
CN105421463A (zh) 一种大跨度密支撑超长深基坑纵向开挖施工方法
KR20070076553A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KR100805189B1 (ko) 벽체 구축과 굴착을 병행하는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JP2007303155A (ja) 地中空洞の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工法
KR101255515B1 (ko) 비개착 타입 터널 시공 방법
KR101479267B1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20040099586A (ko) 프론트 잭킹공법을 이용한 터널 구축방법
KR101685510B1 (ko) 지중굴진 및 배토의 연속작업이 가능한 선단굴착부를 구비한 판상구조체 비개착식 유닛구조 및 이에 의한 지중굴착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지중굴착시공방법
KR20090126131A (ko)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블록을 이용한 루프 구조체 및시공방법
KR101594818B1 (ko) 지보재 제거형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1184255B1 (ko) 무갱문 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강판구조물
JP7177233B2 (ja) コンクリート函体もしくは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構造および方法
KR100928566B1 (ko)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방법
KR101662096B1 (ko) 아치형 상부슬래브로 강관을 밀어내면서 압입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1536757B1 (ko) 강재틀 추진장치를 이용한 터널 구축공법
CN108729469B (zh) 地下结构物的施工方法
KR20090034716A (ko) 하이브리드 셀 엘리먼트 시스템에 의한 지중관입 터널구축공법
KR101879602B1 (ko)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