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63B1 -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63B1
KR101594463B1 KR1020150024890A KR20150024890A KR101594463B1 KR 101594463 B1 KR101594463 B1 KR 101594463B1 KR 1020150024890 A KR1020150024890 A KR 1020150024890A KR 20150024890 A KR20150024890 A KR 20150024890A KR 101594463 B1 KR101594463 B1 KR 10159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mixer
coupling
mounting
cradl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Priority to KR102015002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일측부에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의 내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외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안착홈의 내측 후방부에 다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 중 상부에 위치한 제1결합홈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전방 타측부에 핸드믹서기로부터 회전날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와 핸드믹서기로부터 분리된 회전날이 수용되게 하는 수용수단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수단에 결합되어 몸체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에 결합되어 핸드믹서기를 거치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부의 안착홈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내측 하단부에 세척된 핸드믹서기에서 떨어지는 물을 안착부의 결합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하단부에 안착부의 결합공에 수용되어 거치부를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후단부에 안착부의 제1결합홈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다수의 제2결합돌기가 연장형성되며상기 제2결합돌기 중 상부에 위치한 제2결합돌기의 하단부에 안착부의 제1결합홈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수용되어 거치부를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부 내측에 핸드믹서기의 손잡이 하단부가 안착되어 핸드믹서기가 거치부에 거치되도록 안착돌기가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Cradle of hand mixer case}
본 발명은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을 분쇄 또는 혼합할 수 있는 핸드믹서기를 사용한 이후 안전하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며,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착시켜 핸드믹서기를 사용중 잠깐동안 미사용시 간편하게 핸드믹서기를 거치시키는 간이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주방이나 일반 식당 등에서 곡물이나 음식물 및 과일ㆍ채소류를 분쇄하거나 혼합하는 수단으로 핸드믹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핸드믹서기는 간편한 사용 및 효율성에 의해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핸드믹서기는 다양한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혼합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a) 내부에 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2b) 및 샤프트(2b)의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날(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핸드믹서기(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와 연결된 샤프트(2b)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2b)와 연결된 회전날(4)이 회전을 하면서 음식물을 분쇄 또는 혼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믹서기(2)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쉽고 간편하게 분쇄 또는 혼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쉽고 간편하게 분쇄 또는 혼합할 수 있는 핸드믹서기(2)는 사용후 청결하고 안전하게 보관한 후 재사용을 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핸드믹서기(2)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보관수단이 없어 컵이나 용기 등에 보관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드믹서기(2)의 회전날(4)로 인하여 사용자가 다치거나, 물로 세척한 상태에서 물이 다 마르지 않은 상태로 컵이나 용기에 넣어 보관하게 됨으로써, 핸드믹서기(2)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용기 또는 컵에 떨어져 바닥에 고이게 되어 세균 증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3578호 (2004.02.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음식물을 분쇄 또는 혼합할 수 있는 핸드믹서기를 사용한 이후 안전하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며,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착시켜 핸드믹서기를 사용중 잠깐동안 미사용시 간편하게 핸드믹서기를 거치시키는 간이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일측부에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의 내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외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안착홈의 내측 후방부에 다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 중 상부에 위치한 제1결합홈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전방 타측부에 핸드믹서기로부터 회전날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와 핸드믹서기로부터 분리된 회전날이 수용되게 하는 수용수단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수단에 결합되어 몸체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에 결합되어 핸드믹서기를 거치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부의 안착홈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내측 하단부에 세척된 핸드믹서기에서 떨어지는 물을 안착부의 결합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하단부에 안착부의 결합공에 수용되어 거치부를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후단부에 안착부의 제1결합홈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다수의 제2결합돌기가 연장형성되며상기 제2결합돌기 중 상부에 위치한 제2결합돌기의 하단부에 안착부의 제1결합홈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수용되어 거치부를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부 내측에 핸드믹서기의 손잡이 하단부가 안착되어 핸드믹서기가 거치부에 거치되도록 안착돌기가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는 사용한 핸드믹서기를 물로 청결하게 세척한 후 수직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척한 핸드믹서기로 부터 떨어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을 형성하여 물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착시켜 핸드믹서기를 사용중 잠깐동안 미사용시 간편하게 핸드믹서기를 거치시키는 간이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핸드믹서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나내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삼각형,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수단(11)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부에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21)이 형성되며, 안착홈(21)의 내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외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안착홈(21)의 내측 후방부에 다수의 제1결합홈(23)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23) 중 상부에 위치한 제1결합홈(23)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홈(24)이 형성되는 안착부(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부에 핸드믹서기(2)로부터 회전날(4)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6)와 핸드믹서기(2)로부터 분리된 회전날(4)이 수용되게 하는 수용수단(3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수단(11)에 결합되어 몸체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0)으로 이루어진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에 결합되어 핸드믹서기(2)를 거치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거치대(100)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거치부(101), 배출공(102), 제1고정돌기(103), 제2결합돌기(104), 제2고정돌기(105), 안착돌기(106)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부(101)는 상기 안착부(20)에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부(20)의 안착홈(21)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01)의 내측 하단부에 세척된 핸드믹서기(2)에서 떨어지는 물을 안착부(20)의 결합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0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핸드믹서기(2)에서 떨어지는 물이 배출공(102)으로 안내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거치부(101) 하단부가 반원구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공(102)의 하단부에 안착부(20)의 결합공(22)에 수용되어 거치부(101)를 안착부(2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돌기(103)가 연장형성되고, 거치부(101)의 후단부에 안착부(20)의 제1결합홈(23)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다수의 제2결합돌기(104)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돌기(104) 중 상부에 위치한 제2결합돌기(104)의 하단부에 안착부(20)의 제1결합홈(23)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24)에 수용되어 거치부(101)를 안착부(2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돌기(105)가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01)의 상부 내측에 핸드믹서기(2)의 손잡이(2a) 하단부가 안착되어 핸드믹서기(2)가 거치부(101)에 거치되도록 안착돌기(106)가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에 결합되는 거치대(100)로 인해 사용한 핸드믹서기(2)를 물로 청결하게 세척한 후 수직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척한 핸드믹서기(2)로 부터 떨어지는 물이 완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는 핸드믹서기의 보관함으로부터 탈부착을 쉽게 할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며, 핸드믹서기(2)를 사용중 잠깐동안 미사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으로부터 탈착시킨 거치대(100)에 핸드믹서기(2)를 거치시킬 수 있는 간이 거치대로 싱크대 상부 수평면에 올려놓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00)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것 이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를 간이 거치대로 사용시 싱크대 상부 수평면에 물기로 인해 미끄림이 발생되어 핸드믹서기(2)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없으므로 거치대(100)의 제2결합돌기(104)의 끝단부에 밀림방지패드(2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의 제2결합돌기(104)의 끝단부에 끼움공(300)이 더 형성되고, 끼움공(300)에 탈부착이 용이한 흡착판(400)을 더 설치하여 간이 거치대로 사용시 싱크대 또는 조리테이블의 상부면에 흡착판(400)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엌의 벽면에 수직되게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00)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로 형성하여도 무관하다.
100 : 거치대 101 : 거치부
102 : 배출공 103 : 제1고정돌기
104 : 제2결합돌기 105 : 제2고정돌기
106 : 안착돌기

Claims (5)

  1.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수단(11)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부에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안착홈(21)이 형성되며, 안착홈(21)의 내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외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안착홈(21)의 내측 후방부에 다수의 제1결합홈(23)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23) 중 상부에 위치한 제1결합홈(23)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홈(24)이 형성되는 안착부(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부에 핸드믹서기(2)로부터 회전날(4)을 분리시키는 분리부재(6)와 핸드믹서기(2)로부터 분리된 회전날(4)이 수용되게 하는 수용수단(3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수단(11)에 결합되어 몸체(10)의 전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0)으로 이루어진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에 결합되어 핸드믹서기(2)를 거치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상기 안착부(20)에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부(20)의 안착홈(21)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거치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1)의 내측 하단부에 세척된 핸드믹서기(2)에서 떨어지는 물을 안착부(20)의 결합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0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02)의 하단부에 안착부(20)의 결합공(22)에 수용되어 거치부(101)를 안착부(2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돌기(103)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1)의 후단부에 안착부(20)의 제1결합홈(23)과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다수의 제2결합돌기(104)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돌기(104) 중 상부에 위치한 제2결합돌기(104)의 하단부에 안착부(20)의 제1결합홈(23)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24)에 수용되어 거치부(101)를 안착부(2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돌기(105)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1)의 상부 내측에 핸드믹서기(2)의 손잡이(2a) 하단부가 안착되어 핸드믹서기(2)가 거치부(101)에 거치되도록 안착돌기(106)가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부(101) 하단부가 반원구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제2결합돌기(104)의 끝단부에 밀림방지패드(20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제2결합돌기(104)의 끝단부로부터 끼움공(300)이 더 형성되고, 끼움공(300)에 탈부착이 용이한 흡착판(40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KR1020150024890A 2015-02-23 2015-02-23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KR10159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90A KR101594463B1 (ko) 2015-02-23 2015-02-23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90A KR101594463B1 (ko) 2015-02-23 2015-02-23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63B1 true KR101594463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890A KR101594463B1 (ko) 2015-02-23 2015-02-23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578Y1 (ko) 2003-11-21 2004-03-02 (주)부원글로벌 핸드믹서기용 거치대
JP2005052513A (ja) * 2003-08-07 2005-03-03 Kai R & D Center Co Ltd ハンドミキサーのスタンド
KR20060126881A (ko) * 2006-11-21 2006-12-11 (주)동영하이테크 핸드 믹서기용 거치대
KR20090012906U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봉적 다용도 수납함
KR20110002721U (ko) * 2009-09-11 2011-03-17 이순 핸드 블랜더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513A (ja) * 2003-08-07 2005-03-03 Kai R & D Center Co Ltd ハンドミキサーのスタンド
KR200343578Y1 (ko) 2003-11-21 2004-03-02 (주)부원글로벌 핸드믹서기용 거치대
KR20060126881A (ko) * 2006-11-21 2006-12-11 (주)동영하이테크 핸드 믹서기용 거치대
KR20090012906U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봉적 다용도 수납함
KR20110002721U (ko) * 2009-09-11 2011-03-17 이순 핸드 블랜더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6707A1 (en) Blender with removable spindle and monitored reservoir
US9510704B2 (en) Garlic peeler
US8469586B2 (en) Device with swivel mounting feature for processing food
US20170332843A1 (en) Chopping accessory, chopping unit and domestic appliance for chopping
WO2018191960A1 (zh) 一种多功能食物处理器
US9033269B2 (en) Linear path food processor
BR112017024036B1 (pt) Aparelho processador de alimentos
TWM258697U (en) Drink bottle with integrated mixing blades
US9867503B2 (en) Chopping system
CN107752802B (zh) 研磨器
KR101594463B1 (ko) 핸드믹서기용 보관함의 거치대
KR200458563Y1 (ko) 핸드 블랜더용 거치대
US10524618B1 (en) Blender with vertically movable blades
CN108042014B (zh) 一种便于清洗的搅拌杯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KR101653545B1 (ko) 핸드믹서기용 보관함
KR101762668B1 (ko) 자외선 살균 케이스를 가지는 주방용 전동기구
KR101667870B1 (ko) 수동 믹서기
CN205697114U (zh) 一种搅拌杯
CN211961839U (zh) 用于处理食物的家用器具
CN205697357U (zh) 一种搅拌机
US10405701B2 (en) Apparatus for making mixed beverages
CN202341838U (zh) 一种便携式搅拌机
KR20070101010A (ko) 믹서기용 스탠드
CN204844266U (zh) 一种多功能切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