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67B1 -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67B1
KR101594067B1 KR1020150117330A KR20150117330A KR101594067B1 KR 101594067 B1 KR101594067 B1 KR 101594067B1 KR 1020150117330 A KR1020150117330 A KR 1020150117330A KR 20150117330 A KR20150117330 A KR 20150117330A KR 101594067 B1 KR101594067 B1 KR 10159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tribution line
foundation
underground distribution
found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주)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 filed Critical (주)대광
Priority to KR102015011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지상기기 설치용 기초대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지중 배전선로의 출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의 유입 및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의 출입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되고, 지반침하 시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내지 수평 유지 상태 등을 최초 설치 시의 상태로 쉽게 조정 및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내부 기초대 블록, 외부 기초대 블록, 블록 지지 포스트, 블록 덮개, 개스킷 부재, 나팔관 부재, 제1 물 감지센서, 제2 물 감지센서, 제어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 및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부 전선 통과공을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중성선이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성선 접속점 및 접지리드선을 매개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나선봉에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Precast pad mount structur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분야 중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용 지상기기 설치용 기초대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지중 배전선로의 출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의 유입 및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의 출입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되고, 지반침하 시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내지 수평 유지 상태 등을 최초 설치 시의 상태로 쉽게 조정 및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으로부터 송전되는 고압의 전기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된 후 소비지역으로 배전되며, 이를 위해 지상의 도로변, 공원 등에는 배전용 지상기기들로써 변압기, 수배전반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전용 지상기기들을 평탄하고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 기초대라 지칭되는 시설물이 설치되며, 이에 대해 이하의 설명에서 기초대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기초대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를 개방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그 측면에는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홀들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초대 측면의 홀들을 통해 해당 기초대의 내부로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쥐 등의 작은 동물이 기초대 내로 출입하기도 하며, 이는 기초대 내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설치와 유지 상태를 해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존의 기초대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통짜형 블록 형태이므로, 설치 장소의 자연적인 지반침하 내지 배전용 지상기기의 하중에 따른 지반침하 등에 능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하였다. 이는 기초대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가 주변의 지반침하로 인해 설치 높이 등 최초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작업자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7198호(2014.10.06.공고),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88539호(2002.09.11.공고), “지중배전선로의 기초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초대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지중 배전선로의 출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의 유입 및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의 출입은 최소화하거나 방지시킬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초대 주변에서 지반침하 현상의 발생 시 해당 기초대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내지 수평 유지 상태 등을 최초 설치 시의 상태로 쉽게 조정 및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복수의 내부 전선 통과공이 형성되며 외측 하면의 중앙에 높이 조절 및 접지를 위한 나선봉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내부 기초대 블록과,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이 수용되는 상부를 개방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벽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외부 전선 통과공이 형성되며 하면의 중앙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나선봉과 나사 결합되는 중앙 너트부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중앙 너트부를 중심으로 외곽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곽 너트부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기초대 블록과,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곽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외측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과 접하는 상단에는 확대된 지름의 머리부가 형성되는 블록 지지 포스트와,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면서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에 거치되며 그 상면에 배전용 지상기기가 설치되고 지중 배전선로의 통과를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는 블록 덮개와,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높이 상승에 따른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과 상기 블록 덮개의 하면 간 갭을 메우기 위해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을 따라 거치되는 개스킷 부재와,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부 전선 통과공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 전선 통과공을 통해 외측으로 통과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미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중 배전선로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나팔관 부재와,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측면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하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제1 물 감지센서와,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측면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물 감지센서와, 상기 제1 물 감지센서 및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1차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2차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2차 경고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3차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경고신호를 무선 송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중 배전선로를 관리하는 상황실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 및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부 전선 통과공을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중성선이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성선 접속점 및 접지리드선을 매개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나선봉에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초대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지중 배전선로의 출입 작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기초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의 유입 및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의 출입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기초대 내부에 위치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기초대 주변에서 지반침하 현상의 발생 시 해당 기초대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내지 수평 유지 상태 등을 최초 설치 시의 상태로 쉽게 조정 및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기초대 및 그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 및 작업자의 작업성이 지반침하에도 불구하고 최초 설치 시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서 내부 기초대 블록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내부 기초대 블록(10), 외부 기초대 블록(20), 블록 지지 포스트(30), 블록 덮개(40), 개스킷 부재(50), 나팔관 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기초대 블록(10)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을 구비하며, 이러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측면에는 수용공간(11)과 통하는 복수의 내부 전선 통과공(12)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외측 하면 중앙에는 높이 조절 및 접지를 위한 나선봉(13)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즉, 내부 기초대 블록(10)은 나선봉(13)을 통해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중앙 너트부(23)에 결합되어 내부 기초대 블록(10) 자체의 회전 방향 및 그에 따른 나선봉(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하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 기초대 블록(10)은 나선봉(13)과의 인서트 사출을 위해 합성수지를 소재로 형성되며, 나선봉(13)은 양호한 접지 성능을 위해 구리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기초대 블록(20)은 상부를 개방한 수용공간(21)을 구비하여 이러한 수용공간(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 기초대 블록(10)이 수용공간(21)으로 인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측벽에는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내부 전선 통과공(12)과 대응되는 복수의 외부 전선 통과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하면 중앙에는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나선봉(13)과 나사 결합되는 중앙 너트부(23)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이러한 중앙 너트부(23)를 중심으로 외곽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곽 너트부(24)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 기초대 블록(20)은 중앙 너트부(23) 및 외곽 너트부(24)와의 인서트 사출을 위해 합성수지를 소재로 형성된다.
블록 지지 포스트(30)는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외곽 너트부(24)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외측 하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블록 지지 포스트(30)는 내부 기초대 블록(10)과 접하는 상단에 확대된 지름의 머리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나선봉(13), 중앙너트부(23), 외부너트부(24), 블록지지포스트(30)는 금속재, 강화프라스틱재, 공업용프라스틱재 및 유사한 기타 합성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머리재(31)는 합성고무재 및 유사한 기타 합성재가 사용될 수 있다.
블록 덮개(40)는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수용공간(21)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면서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에 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 덮개(40)의 상면에 변압기, 수배전반 등 배전용 지상기기가 설치된다. 또한 블록 덮개(40)에는 배전용 지상기기와 지중 배전선로(100)의 연결을 위한 전선공(41)이 형성된다.
개스킷 부재(50)는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높이 상승에 따른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과 블록 덮개(40)의 하면 간 갭(gap)을 메우기 위해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을 따라 거치된다. 즉, 개스킷 부재(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최초 설치시에는 설치되지 않으며, 지반침하에 따른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등에 이상 발생 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높이 상승에 따른 외부 기초대 블록(20)과 블록 덮개(40) 간 갭을 메우기 위해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최초 설치시에는 블록 덮개(40)가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에 거치되지만, 지반침하 현상에 따른 배전용 지상기기의 높이 상승 요구에 따라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높이 상승시에는 블록 덮개(40)가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전용 지상기기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지지력 강화를 위해 외부 기초대 블록(20)에 복수의 블록 지지 포스트(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 4는 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나팔관 부재(60)는 외부 거치대 블록(20)의 외부 전선 통과공(22)에 결합되며, 이러한 나팔관 부재(60)는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내부 전선 통과공(12)을 통과하여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외부 전선 통과공(22)을 통해 외측으로 통과되는 지중 배전선로(100)의 미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중 배전선로(100)의 통과를 허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나팔관 부재(60)는 내부 기초대 블록(10) 및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내측으로부터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외측 방향으로 배전선로(100)의 통과는 허용하면서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외부로부터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내부로 토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다량의 물이 외부 기초대 블록(20) 내로 일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나팔관 부재(60)는 쥐 등의 작은 동물이 외부 기초대 블록(2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나팔관 부재(60)는 고무재, 합성고무재, 가죽재, 섬류재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 및 신축성 있도록 제작될 수 있는 기계적 구조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제1 물 감지센서(71), 제2 물 감지센서(72), 제어부(80), 무선통신모듈(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물 감지센서(71)는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내부 측면에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하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된다.
제2 물 감지센서(72)는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내부 측면에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내부 전선 통과공(12)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어부(80)는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 내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고 제1 물 감지센서(71) 및 제2 물 감지센서(72)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며, 이러한 제어부(80)는 제1 물 감지센서(71)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1차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제2 물 감지센서(72)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2차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2차 경고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물 감지센서(72)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3차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무선통신모듈(90)은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상단 내부의 다른 일 측면에 설치되고 제어부(8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경고신호를 무선 송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중 배전선로를 관리하는 상황실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물 감지센서(71,72), 제어부(80), 무선통신모듈(90)의 구성에 의해서, 지중 배전선로를 관리하는 상황실의 관리자는 무선통신모듈(9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별 외부 기초대 블록(20) 내 물의 유입 사실 및 유입된 물의 량을 단계적으로 확인하면서 해당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내부 전선 통과공(12) 및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외부 전선 통과공(22)을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100)의 중성선(110)이 외부 기초대 블록(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성선 접속점(120) 및 접지리드선(130)을 매개로 내부 기초대 블록(10)의 나선봉(13)에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는 기초대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지중 배전선로의 출입 작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기초대 내부 공간으로의 수분, 이물질, 토사 등의 유입 및 쥐와 같은 작은 동물의 출입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기초대 내부에 위치한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초대 주변에서 지반침하 현상의 발생 시 해당 기초대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의 설치 높이 내지 수평 유지 상태 등이 최초 설치 시의 상태로 쉽게 조정 및 유지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기초대 및 그에 지지된 배전용 지상기기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 및 작업자의 작업성이 지반침하에도 불구하고 최초 설치 시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내부 기초대 블록 11 : 수용공간
12 : 내부 전선 통과공 13 : 나선봉
20 : 외부 기초대 블록 21 : 수용공간
22 : 외부 전선 통과공 23 : 중앙 너트부
24 : 외곽 너트부 30 : 블록 지지 포스트
31 : 머리부 40 : 블록 덮개
41 : 전선공 50 : 개스킷 부재
60 : 나팔관 부재 71 : 제1 물 감지센서
72 : 제2 물 감지센서 80 : 제어부
90 : 무선통신모듈 100 : 지중 배전선로
110 : 중성선 120 : 중성선 접속점
130 : 접지리드선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는 복수의 내부 전선 통과공이 형성되며 외측 하면의 중앙에 높이 조절 및 접지를 위한 나선봉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내부 기초대 블록;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를 개방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벽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외부 전선 통과공이 형성되며 하면의 중앙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나선봉과 나사 결합되는 중앙 너트부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 형성되고 상기 중앙 너트부를 중심으로 외곽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곽 너트부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외부 기초대 블록;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곽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외측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과 접하는 상단에는 확대된 지름의 머리부가 형성되는 블록 지지 포스트;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면서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에 거치되며 그 상면에 배전용 지상기기가 설치되고 지중 배전선로의 통과를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는 블록 덮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높이 상승에 따른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과 상기 블록 덮개의 하면 간 갭을 메우기 위해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상단을 따라 거치되는 개스킷 부재;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부 전선 통과공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 전선 통과공을 통해 외측으로 통과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미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중 배전선로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나팔관 부재;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측면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하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제1 물 감지센서;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측면에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물 감지센서;
    상기 제1 물 감지센서 및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1차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 신호 입력 시 2차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2차 경고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물 감지센서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3차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경고신호를 무선 송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중 배전선로를 관리하는 상황실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 전선 통과공 및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외부 전선 통과공을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중성선이 상기 외부 기초대 블록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성선 접속점 및 접지리드선을 매개로 상기 내부 기초대 블록의 나선봉에 접속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KR1020150117330A 2015-08-20 2015-08-20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KR10159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30A KR101594067B1 (ko) 2015-08-20 2015-08-20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30A KR101594067B1 (ko) 2015-08-20 2015-08-20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067B1 true KR101594067B1 (ko) 2016-02-15

Family

ID=5535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30A KR101594067B1 (ko) 2015-08-20 2015-08-20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0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473B1 (ko) 2017-09-14 2018-03-12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용 배전선 설치용 배전반
KR102089522B1 (ko) 2019-05-20 2020-03-16 안정예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2243941B1 (ko)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2243944B1 (ko)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20220163171A (ko) 2021-06-02 2022-12-09 한국전력공사 접지일체형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39Y1 (ko) 2002-06-19 2002-09-11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39Y1 (ko) 2002-06-19 2002-09-11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447198B1 (ko) 2014-07-18 2014-10-06 김미희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473B1 (ko) 2017-09-14 2018-03-12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용 배전선 설치용 배전반
KR102089522B1 (ko) 2019-05-20 2020-03-16 안정예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KR102243941B1 (ko)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2243944B1 (ko) 2020-08-31 2021-04-2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20220163171A (ko) 2021-06-02 2022-12-09 한국전력공사 접지일체형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67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설치구조
US20080012720A1 (en) Current monitoring device for high voltage electric power lines
US10175273B2 (en) Method of using power grid as large antenna for geophysical imaging
KR101358056B1 (ko)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EP3545723B1 (en) Underground base station
US10444271B2 (en) Device for monitoring an electrical conductor and electrical installaton comprising such a device
US1126471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262793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ES2365779A1 (es) Sistema de medida de descargas parciales en líneas eléctricas.
KR102498490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208952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안정장치
US8373065B2 (en) Lightn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6315876B1 (en) Cathodic protection system
KR101660934B1 (ko) 토양 침식과 퇴적 측정 모듈과 이를 이용하는 토양 침식과 퇴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503564B1 (ko) 배전용 전주 접지장치
KR100920147B1 (ko) 배전용 배관파이프 지지구조
KR101482238B1 (ko)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CN205541221U (zh) 一种用于国网输电线的防破坏的装置
CN109038232A (zh) 一种用于避雷针的预埋件结构
CN106207509B (zh) 变电站接地保护装置
CN220154668U (zh) 一种自动测报雨量站
CN217585949U (zh) 一种井盖监测仪
KR20210041941A (ko) 접지매입형 지중구조물
KR101493687B1 (ko) 전력 지중 케이블 방호장치
CN218099633U (zh) 一种道路与地面积水无线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