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40B1 -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 Google Patents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40B1
KR101594040B1 KR1020147005740A KR20147005740A KR101594040B1 KR 101594040 B1 KR101594040 B1 KR 101594040B1 KR 1020147005740 A KR1020147005740 A KR 1020147005740A KR 20147005740 A KR20147005740 A KR 20147005740A KR 101594040 B1 KR101594040 B1 KR 10159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k
resources
transmission
backoff value
data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386A (ko
Inventor
알란 바르비에리
비카스 제인
무루가난담 자야바란
타오 루오
사이키란 누두라파티
팡 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UE가 간섭-없는 그리고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 모두에 대한 RI들을 보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 내의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는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보고된 RI보다 더 높을 것이다. 그러나, eNB는 UE에 의해 보고된 RI에만 기초하는 것 대신 UE가 유지(sustain)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전송 레이트 및 RI를 선택한다.

Description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ENHANCED DOWNLINK RATE ADAPTATION FOR LTE HETEROGENEOUS NETWORK BASE STATIONS}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LTE 이종 네트워크 eNB(evolved Node B)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 예컨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제 3 세대(3G) 모바일 폰 기술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서 정의된 RAN(radio access network)이다. 다중-액세스 네트워크 포맷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및 SC-FDMA(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에 전송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송신기들로부터의 전송들로 인해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전송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전송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 상에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커뮤니티들 내에 배치되면서, 간섭 및 혼잡 네트워크들의 가능성들이 커진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커지는 요구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들을 통해서 사용자 경험을 진보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 및 개발은 UMTS 기술들을 계속 진보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통신 서브프레임들이 간섭-제한된(interference-limited) 서브프레임들과 간섭-없는(interference-free) 서브프레임들로 나뉘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다운링크 전송들을 위한 레이트 적응에 관한 것이다. UE들은 두 가지 타입 모두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들을 보고한다. 일반적으로,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는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보고된 RI보다 더 높을 것이다. 그러나, 이웃 셀이 오직 부분적으로 로딩되는 경우, UE는 보고된 RI에 의해 지원되는 것보다 더 높은 전송 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UE에 의해 보고되는 RI에만 기초하는 것 대신, UE가 유지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eNB가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를 결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UE로부터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한다. 방법은 UE로부터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한다. 방법은 전송 랭크를 선택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택된 전송 랭크는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하다. 방법은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랭크 표시 및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하는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는 UE로부터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UE로부터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전송 랭크를 선택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 선택된 전송 랭크는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랭크 표시 및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레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갖는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UE로부터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UE로부터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전송 랭크를 선택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코드 ― 선택된 전송 랭크는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 및 제 2 랭크 표시 및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UE로부터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한다. 프로세서는 UE로부터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송 랭크를 선택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고 ― 선택된 전송 랭크는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제 2 랭크 표시 및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파티셔닝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eNB 및 UE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레이트 적응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상태 머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보고된 랭크 Φ(SINR) 및 가상 랭크 Ψ(SINR) 곡선의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인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보고된 랭크 Φ(SINR) 및 가상 랭크 Ψ(SINR) 곡선의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 및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다수의 백업 루프들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원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행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만을 표현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상세항목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상세항목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통신 산업 협회(TIA)의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기술은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CDMA2000® 기술은 전자 산업 연합(EIA) 및 TIA로부터의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A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 기술들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분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더욱 새로운 릴리즈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위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기법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 또는 LTE-A(함께 "LTE/-A"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됨)에 대해 하기에 설명되며,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A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LTE-A 네트워크일 수 있는,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eNB들(evolved node Bs)(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eNB의 이러한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하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된 UE들에 의한 무제한(unrestricted)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것이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된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홈)을 커버할 것이며, 무제한 액세스 외에,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내의 UE들,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이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이다. 그리고, eN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이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2, 3,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한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eNB, UE 등)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또다른 UE, 또다른 eNB 등)에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이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전송들을 중계하는 UE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110r)은 eN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 있고, 여기서, 중계국(110r)은 2개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eNB(110a) 및 UE(120r))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eNB(110a) 및 UE(120r)) 사이의 중계기로서 작용한다. 중계국은 또한 중계 eNB, 중계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eN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전송들은 시간상으로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eN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전송들은 시간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일 세트의 eNB들에 커플링하여 이들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132)을 통해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10)은 또한 서로, 예를 들어, 무선 백홀(134) 또는 유선 백홀(136)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반에 걸쳐 분산되며, 각각의 UE는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폰, 개인 디지털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또한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양방향 실선 화살표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인 서빙 eNB와 UE 사이의 원하는 전송들을 나타낸다. 양방향 파선 화살표는 UE와 eNB 사이의 간섭 전송들을 나타낸다.
LTE/-A는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SC-FDM)을 활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K)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며,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송신된다. 인접하는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공간(spacing)은 고정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전체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츠(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 MHz를 커버할 수 있고,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LTE/-A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다운링크에 대한 전송 타임라인은 라디오 프레임들의 단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미리결정된 지속기간(예를 들어, 10 밀리초(ms))을 가질 수 있으며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볼 기간들, 예를 들어, 정상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해 7개의 심볼 기간들을(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확장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해 6개의 심볼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2L개의 심볼 기간들에는 0 내지 2L-1개의 인덱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에서 N개의 서브캐리어들(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다.
LTE/-A에서, eNB는 eNB의 각각의 셀에 대해 1차 동기화 신호(PSS) 및 2차 동기화 신호(SSS)를 송신할 수 있다.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주기적 프리픽스를 갖는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0 및 5 각각에서의, 심볼 기간들 6 및 5에서 각각 송신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에서의 심볼 기간들 0 내지 3에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송신할 수 있다. PBCH는 특정 시스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송신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대해 사용되는 심볼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고, 여기서, M은 1, 2 또는 3과 동일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변화할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4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M=3이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M개 심볼 기간들에서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송신할 수 있다. PDCCH 및 PHICH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처음 3개의 심볼 기간들에 포함된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PDCCH는 UE들에 대한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스케쥴링된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섹션, 즉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PHICH 및 PDCCH를 송신하는 것에 더하여, LTE-A는 또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부분들에서도 이들 제어-지향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예를 들어, R-PDCCH(Relay-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R-PHICH(Relay-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를 활용하는 이러한 새로운 제어 설계들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추후 심볼 기간들에 포함된다. R-PDCCH는 반이중(half-duplex) 중계 동작의 상황에서 원래 개발된 데이터 영역을 활용하는 새로운 타입의 제어 채널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몇몇 제어 심볼들을 점유하는 레거시 PDCCH 및 PHICH와는 달리, R-PDCCH 및 R-PHICH는 원래 데이터 영역으로서 지정된 자원 엘리먼트(RE)들에 매핑된다. 새로운 제어 채널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FDM과 TDM의 결합의 형태일 수 있다.
eNB는 eNB에 의해 사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 MHz에서 PSS, SSS 및 PBCH를 송신할 수 있다. eNB는, PCFICH 및 phich가 송신되는 각각의 심볼 기간의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이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 부분들에 있는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 부분들에 있는 특정 UE들에 PDSCH를 송신할 수 있다. eN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를 모든 UE들에 송신할 수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PDCCH를 특정 UE들에 송신할 수 있고, 또한, 특정 UE들에 대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PDSCH를 송신할 수 있다.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은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고, 실수값 또는 복소수 값일 수 있는 하나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기준 신호에 대해 사용되지 않는 자원 엘리먼트들은 자원 엘리먼트 그룹(REG)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REG는 하나의 심볼 기간 내에 4개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심볼 기간 0에서 주파수에 걸쳐 대략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는, 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PHICH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성가능한 심볼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확산될 수 있는 3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에 대한 3개의 REG들은 모두 심볼 기간 0에 속할 수 있거나, 또는 심볼 기간들 0, 1 및 2에서 확산될 수 있다. PDCCH는, 처음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이용가능한 REG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9, 18, 32 또는 6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REG들의 특정 결합들만이 PDCCH에 대해 허용될 수 있다.
UE는 PHICH 및 PCFICH에 대해 사용된 특정 REG들을 알 수 있다. UE는 PDCCH에 대한 REG들의 상이한 결합들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할 결합들의 수는 통상적으로 PDCCH에 대한 허용된 결합들의 수보다 더 작다. eNB는 UE가 탐색할 결합들 중 임의의 결합에서 UE에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eN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eNB들 중 하나는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B는 수신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잡음비(SNR)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0)는 eNB들(110)의 다양한 세트(즉,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중계기들)를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한다. 무선 네트워크(100)가 자신의 스펙트럼 커버리지에 대해 이러한 상이한 eNB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이종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 eNB들(110a-c)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제공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주의 깊게 계획되어 배치된다. 매크로 eNB들(110a-c)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5W-40W)을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예를 들어, 100 mW - 2 W)에서 전송하는 피코 eNB(110x) 및 중계국(110r)은, 매크로 eNB들(110a-c)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커버리지 홀들을 제거하고 핫 스폿들 내의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계획되지 않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와는 통상적으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펨토 eNB들(110y-z)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관리자(들)에 의해 허가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잠재적 액세스 포인트로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eNB(110)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액티브(active)이고 공지된 eNB로서, 무선 네트워크(100)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통합되어, 자원 조정 및 간섭 관리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펨토 eNB들(110y-z)은 통상적으로 또한 매크로 eNB들(110a-c)보다 상당히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 mW - 2 W)에서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에서, UE들이 피코 eNB(110x) 또는 펨토 eNB들(110y-z)과 같은 더 낮은 전력이 공급된 eNB들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게 하기 위해, 매크로 eNB들(110a-c)과 같은 더 높은 전력이 공급된 eNB들로부터 전송된 더 강한 다운링크 신호들의 존재 시에, 더 낮은 전력이 공급된 eNB들(110x-z)은 매크로 eNB들(110a-c) 중 우세하게 간섭하는 eNB들과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간섭 조정에 관여한다. 간섭 조정을 위한 많은 상이한 기법들은 간섭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간 간섭 조정(ICIC)은 공동-채널 배치에서 셀들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ICIC 메커니즘은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이다.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은 서브프레임들을 특정 eNB들에 할당한다. 제 1 eNB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이웃 eNB들은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eNB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은 감소된다. 서브프레임 할당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들 모두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은 3개 클래스들의 서브프레임들: 보호된/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U개 서브프레임들), 금지된/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N개의 서브프레임들), 및 공통의/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C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할당될 수 있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제 1 eNB에 의한 배타적 사용을 위해 제 1 eNB에 할당된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이웃 eNB들로부터의 간섭이 없음에 기초하여 "클린(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 있다. 금지된 서브프레임들은 이웃 eNB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이고, 제 1 eNB는 금지된 서브프레임들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 예를 들어, 제 1 eNB의 금지된 서브프레임은 제 2 간섭 eNB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eNB는 제 1 eNB의 보호된 서브프레임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일한 eNB이다. 공통의 서브프레임들은 다수의 eNB들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통의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다른 eNB들로부터의 간섭의 가능성으로 인해 "언클린(unclean)" 서브프레임들로 지칭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주기마다 정적으로 할당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직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이 정적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주기가 8 밀리초인 경우, 하나의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8 밀리초 내내 eNB에 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적응형 자원 파티셔닝 정보(ARPI)는 비-정적으로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이 동적으로 할당되도록 허용한다. 보호된, 금지된, 또는 공통의 서브프레임들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각각, AU, AN, AC 서브프레임들). 동적 할당들은, 예를 들어, 매 100밀리초 또는 그 미만마다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들은 상이한 전력 클래스들의 eNB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클래스가 감소하는 순서로,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e들로서 3개의 전력 클래스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이 공동-채널 배치될 때, 매크로 eNB(공격자 eNB)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는 피코 eNB 및 펨토 eNB(희생자 eNB들)의 PSD보다 더 클 수 있어서, 피코 eNB 및 펨토 eNB와 대량의 간섭을 생성한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은 피코 eNB들 및 펨토 eNB들과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보호된 서브프레임은 공격자 eNB 상의 금지된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도록 희생자 eNB에 대해 스케쥴링될 수 있다.
도 3은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파티셔닝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블록들의 제 1 로우는 펨토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예시하고, 블록들의 제 2 로우는 매크로 eNB에 대한 서브프레임 할당들을 예시한다. eNB들 각각은 정적 보호된 서브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정적 보호된 서브프레임 동안 다른 eNB는 정적 금지된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예를 들어, 펨토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0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eNB는 서브프레임 7에서 금지된 서브프레임(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7에서 보호된 서브프레임(U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서브프레임들(1-6)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AU), 금지된 서브프레임들(AN), 및 공통의 서브프레임들(AC) 중 어느 하나로서 동적으로 할당된다. 서브프레임들 5 및 6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공통의 서브프레임들(AC) 동안, 펨토 eNB 및 매크로 eNB 모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호된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U/AU 서브프레임들)은, 공격자 eNB들이 전송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에, 감소된 간섭 및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다. 금지된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N/AN 서브프레임들)은, 희생자 eNB들이 낮은 간섭 레벨들을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어떠한 데이터 전송도 갖지 않는다. 공통의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C/AC 서브프레임들)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웃 eNB들의 수에 의존하는 채널 품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웃 eNB들이 공통의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공통의 서브프레임들의 채널 품질은 보호된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공통의 서브프레임들 상의 채널 품질은 또한 공격자 eNB들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 확장된 경계 영역(EBA) UE들에 대해 더 낮을 수 있다. EBA UE는 제 1 eNB에 속할 수 있지만 또한 제 2 eNB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펨토 eNB 커버리지의 범위 한계(limit) 근처에 있는 매크로 eNB와 통신하는 UE는 EBA UE이다.
도 4는,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B(110) 및 UE(120)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한된 관련 시나리오에 대해, eNB(110)는 도 1의 매크로 eNB(110c)일 수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 있다. eNB(110)는 또한 일부 다른 타입의 기지국일 수 있다. eNB(110)에는 안테나들(434a 내지 434t)이 장착될 수 있고, UE(120)에는 안테나들(452a 내지 452r)이 장착될 수 있다.
eNB(110)에서, 전송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소스(4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 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매핑)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4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430)는, 적용가능한 경우,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변조기(MOD)들(432a 내지 432t)에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432)는 (예를 들어, OFDM 등에 대한) 개별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4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432a 내지 4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각각 안테나들(434a 내지 434t)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452a 내지 452r)은, eNB(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DEMOD)들(454a 내지 4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454)는 개별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454)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입력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456)는 모든 복조기들(454a 내지 454r)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한 경우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20)에 대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460)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4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120)에서, 전송 프로세서(464)는 데이터 소스(462)로부터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480)로부터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4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 프로세서(4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TX MIMO 프로세서(4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예를 들어, SC-FDM 등에 대한) 복조기들(454a 내지 454r)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그리고 eNB(110)에 전송될 수 있다. eNB(110)에서,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4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4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한 경우 MIMO 검출기(436)에 의해 검출되고, 그리고 수신 프로세서(4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UE(120)에 의해 송신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4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439)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4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440 및 480)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440) 및/또는 eNB(110)에서의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480) 및/또는 UE(120)에서의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또한 도 6, 도 8,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3에 예시된 기능 블록들의 실행, 및/또는 본원에 기술된 기법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442 및 482)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쥴러(4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들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들에서, 다운링크 전송들을 위한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라디오 채널 조건들의 이점을 취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은, 전송의 변조 순서 및 코드 레이트를 포함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UE의 PDSCH 전송에 적용될 수 있는 전송 블록(TB) 카운트를 적응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적응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HARQ 종료 성공 레이트를 만족시키기 위해 라디오 채널 조건들에 기초한다.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절차들은, 보고된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 표시자(RI), 및 PDSCH 전송들의 HARQ 전송 상태(ACK/NACK)와 같은, UE로부터의 입력들을 이용한다.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절차들은 또한 UE의 도플러 상태(일반적으로, 업링크 전송들에 기초하여 eNB에서 추론됨) 및 UE의 다운링크 전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LTE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보호된/금지된 서브프레임들, U, N, AU, AN)과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공통의 서브프레임들, C, AC)로 나뉘어진 다운링크 프레임들에 있어서, LTE eNB들은 2개의 독립적 레이트 적응 루프들(하나는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루프이고, 하나는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루프임)을 동작시킨다. 각각의 루프는 다운링크 레이트를 적절한 MCS 및 TB 카운트에 적응시키기 위해 특정 서브프레임 타입에 대응하는 UE 입력들(예를 들어, CQI, RI, HARQ 전송 상태) 및 조건들(예를 들어, 도플러 상태 및 다운링크 전송 모드)을 사용한다.
HetNet 환경에서 충돌하는 기준 신호들(RS)을 갖는 이웃 셀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의 존재 시에,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UE에 의해 보고된 랭크는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보고된 랭크 미만일 수 있다. 그러나, 이웃 셀이 오직 부분적으로 로딩되는 경우, 간섭-없는 보고된 랭크가 또한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서 활용된다면, UE는 원하는 PDSCH 디코드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UE로 하여금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자신의 수신된 쓰루풋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레이트 적응 블록은 또한 MCS 및 TB 카운트를 더 잘 추정하기 위해 간섭-없는 레이트 적응 블록에 대해 이용가능한 입력들을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되는 레이트 적응 시스템(5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UE(500)는 간섭-없는 및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 모두의 다양한 채널 품질 메트릭들을 측정한다. UE(500)는 간섭-없는 채널 품질 보고 모듈(503) 및 간섭-제한된 채널 보고 모듈(504)을 통해 eNB(501)에 채널 품질 메트릭들의 세트들 모두를 보고한다. UE(500)는 또한 eNB(501)에 HARQ 상태를 보고한다. eNB(501)에서, 콘텍스트 모듈(506)은 2개의 독립적인 레이트 적응 블록들(507 및 508)을 포함한다. 레이트 적응 블록들(507 및 508)은 UE(500)로부터 전송된 채널 품질 메트릭들 및 HARQ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PDSCH 스케쥴링 블록(505)에서의 MCS 및 TB 카운트를 설정한다. 다운링크 PDSCH 스케쥴링 블록(505)은, UE(500)가 자신의 업링크 전송 특성들을 스케쥴링 및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간섭-없는 및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 둘 다에 대한 PDSCH를 UE(500)의 PDSCH 디코딩 모듈(502)에 전송한다.
eNB(501)는 초기 랭크 값으로서 간섭-제한된 채널 품질을 사용한다. eNB(501)는 이후, 랭크가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증가될 수 있는 최대값으로서의 UE-보고된 간섭-없는 랭크를 사용하여 경험되는 다양한 채널 조건들(예를 들어, HARQ, SINR, CQI 등)에 기초하여 랭크를 증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들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eNB(501)는 UE(500)에 의해 보고된 간섭-제한된 랭크 표시자를 무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상태 머신(6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각각의 UE에 대한 스케쥴러의 랭크 선택 부분은, (1) 상태(602): 마지막 보고된 RI_ilimited=1, AC 서브프레임들 상의 스케쥴링 RI는 1과 동일함; (2) 상태(603): 마지막 보고된 RI_ilimited=2, AC 서브프레임들 상의 스케쥴링 RI는 2와 동일함; 및 (3) 상태(604): 마지막 보고된 RI_ilimited=1이지만, AC 서브프레임들 상의 스케쥴링 RI는 2와 동일함의 상태들을 갖는 3-상태 머신으로서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상태들(602 및 603)이 베이스라인 보고된 랭크 상태들(600)인 반면, 상태(604)는 UE-보고된 RI에 대해 eNB 스케쥴러가 상이한 결정을 취하는 시나리오를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가상 랭크 상태들(601)이다.
도 6의 상태 머신(60)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상태 머신의 단지 일 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태 머신(60)은, 오직 2개의 가능한 전송 계층들이 이용가능한 시나리오에 구체적으로 한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임의의 개수의 이용가능한 전송 계층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안테나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eNB는 8개까지의 전송 계층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상태 머신(60)은 8 RI까지를 수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상태들을 포함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개수의 안테나들, 이용가능한 전송 계층들, 또는 상태 머신(60)에 대해 비교가능한 상태 머신에서의 상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보고된 랭크로부터 간섭-제한된 랭크를 증가시킬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할 시에, 다양한 채널 조건들이 랭크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의 적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NB가 MCS를 조절하는 것 대신 랭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는 측정가능한 트랜지션 포인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설계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설계 파라미터들 사이의 관계는 일 세트의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제 1 곡선인 Φ는 선택된 채널 조건(예를 들어, SINR, CQI 등)과 보고된 랭크의 MCS 레벨 사이의 관계로서 이러한 스펙트럼 효율을 나타낸다. 선택된 채널 조건은 eNB 스케쥴러가 주어진 UE에 대해 가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INR이 선택될 때, SINR은 주어진 UE에 대해 eNB의 스케쥴러가 가정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폐쇄-루프 CQI 백오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eNB에서 적용되는 정정들과 함께 보고된 CQI의 결합이다.
제 2 곡선인 Ψ는 가상 랭크 또는 보고된 랭크와는 상이한 eNB에 의해 할당된 랭크의 MCS 레벨과 선택된 채널 조건 사이의 관계로서 스펙트럼 효율을 나타낸다. 이들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인 Φ 및 Ψ는 이산 값들로 양자화되고, 적절한 랭크 할당들을 분석할 때 eNB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태 머신(60)의 예시의 동작에서, 초기에 상태(602)는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마지막으로 보고된 RI가 1일 때 eNB에 의해 스케쥴링된다. 상태(602)는 eNB가 UE와의 자신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기 이전에 랭크 1 상태에 대응한다.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의 다음 UE 보고된 RI가 2로 변경될 때, eNB 스케쥴러는 다운링크 레이트의 상태를 상태(603)로 변경한다. 이러한 트랜지션은 새로운 RI의 UE 보고에 기초한다.
상태 602에서 다시 시작하여,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의 UE 보고된 RI가 2이고 SINR(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이 설계 파라미터 γin보다 더 큰 경우, eNB 스케쥴러는, 가상 랭크 상태(601) 내의 상태(604)로 스위칭할 것이다. 설계 파라미터 γin은, 랭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eNB에 표시하는 보고된 랭크 스펙트럼 효율 커브인 Φ(SINR) 내에서의 선택된 채널 조건의 값(예를 들어, 도 6에 사용된 바와 같은 SINR)을 나타낸다.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2의 RI를 보고하는 UE에 기초하는 상태(603)로의 트랜지션과는 달리, 상태(604)로의 트랜지션은 γin보다 더 큰 측정된 임계를 달성하는 UE의 SINR에 기초한다.
상태(604)로부터,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의 다음 UE-보고된 RI가 1인 경우, 또는 SINR이 설계 파라미터 γout 미만인 경우, eNB 스케쥴러는 보고된 랭크 상태들(600) 내의 상태(602)로 스위칭할 것이다. 설계 파라미터 γout은 랭크를 감소시키도록 eNB에 표시하는 가상 랭크 스펙트럼 효율 곡선 Ψ(SINR) 내의 선택된 채널 조건의 값을 나타낸다.
현재 상태가 상태(604)일 때,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의 다음 UE-보고된 RI가 2인 경우, 스케쥴러는 보고된 랭크 상태들(600)의 상태(603)로 변경한다.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 양상들에서, 마지막 UE-보고된 RI가 2이지만, eNB 스케쥴러가 가상 랭크 상태들(601)의 상태(605)에서 RI를 1로 감소시키는 제 4 상태(605)가 정의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표 1은 각각의 상태에서 상태 머신(60)(도 6) 및 스케쥴러 행동의 항목들을 구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의사-코드 표현이다. γin, γout, 및 γhist가
Figure 112014020788071-pct00001
인 설계 파라미터들을 (dB 단위로) 표현하며, SINR은 (dB 표현을 사용하여, 현재 루프 값과 마지막 UE-보고된 CQI를 결합시킴으로써 eNB 스케쥴러에 의해 획득된) 사후-외부-루프(post-outer-loop) SINR을 dB 단위로 표현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예에서, eNB는 랭크들과는 무관하게 단일 백오프 루프를 유지한다. 또한, Φ(SINR) 및 Ψ(SINR) 곡선들에 대한 2개의 룩업 테이블들은, 각각, 스케쥴링 랭크가 UE-보고된 랭크와 동일할 때, 또는 미스매치될 때, 사후-루프 SINR의 함수로서 스케쥴링 MCS를 리턴시킨다. Φ(SINR)가 베이스라인 스케쥴러에 대해 변경되지 않는 반면, Ψ(SINR)가 오프라인 계산들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는 새로운 룩업 테이블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Ψ(SINR)<Φ(SINR)이 모든 SINR 값들에 대해 예상된다. 예로서, 스펙트럼 효율이 주어진 MCS의 (채널 사용 당 비트들 단위로) η(MCS)로 표기되는 경우, 가장 간단한 선택은 가능한 많이
Figure 112014020788071-pct00002
를 보장하는 것이다(MCS들의 양자화로 인해 모든 SINR들에 대해 동일함이 달성될 수는 없을 것 같다).
Figure 112014020788071-pct00003
도 7은 보고된 랭크 Φ(SINR)(700) 및 가상 랭크 Ψ(SINR)(701)의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을 예시하는 그래프(70)이다. 곡선의 x-축(702)은 MCS 설정들을 나타내는 반면, y-축(703)은 SINR을 나타낸다. 포인트(704)에서, eNB 스케쥴러는 SINR에서 스펙트럼 효율 Φ(SINR)(700) 곡선의 최대 MCS의 포화점인 γhist에 도달한다. 그러나, 최대 MCS 및 γhist에서 가상 랭크 Ψ(SINR)(701) 곡선으로의 스위칭 대신,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이 관련 룩업 테이블들에서의 양자화된 단계들을 가지기 때문에, 스펙트럼 효율은 γin에서 포인트(705)로 계속 증가할 것이고 그 이후에 eNB 스케쥴러가 γout에서 엔트리 양자화 포인트(706)에서의 가상 랭크 Ψ(SINR)(701) 곡선으로 스위칭할 것이다. 가상 랭크(SINR)(701) 곡선상에서 2로 설정된 가상 랭크의 경우, 스펙트럼 효율은 예를 들어, 포인트(707)에서, 최대 MCS를 넘어서 그리고 SINR, γin을 넘어서 계속 증가할 수 있다.
그래프(70)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의 RI로부터 2의 RI로 또는 2의 RI로부터 1의 RI로 간섭-제한된 랭크를 스위칭하기 이전에, UE-보고된 랭크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의 MCS(MCS_ilimited)는 eNB 스케쥴러가 현재 사용 중인 특정 스펙트럼 효율 곡선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태 머신(60)(도 6)의 구현예를 사용하는 레이트 적응 시스템(50)(도 5)의 예시의 동작에서, CQI_ifree = 14, RI_ifree = 2, CQI_ilimited = 8 및 RI_ilimited = 1이라고 가정한다. RI_ilimited는 1에서 유지되고, HARQ 종료 성공 레이트가 원하는 레이트보다 더 양호하면, 계산된 MCS_ilimited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MCS_ilimited가 자신의 포화점(즉, 최대 허용된 값)에 도달할 때,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레이트 적응 블록은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의 동일한 랭크 표시자, 예를 들어, RI_ifree ( = 2)를 사용하는 것으로 트랜지션하고, 이에 의해 쓰루풋을 추가로 증가시키도록 스케쥴링될 수 있는 TB 카운트 추정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RI 트랜지션 포인트에서, 계산된 MCS_ilimited는 서빙된 쓰루풋에서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재조절될 수 있다. MCS_ilimited는 이후 원하는 HARQ 성공 레이트를 타겟으로 하도록 다시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RI를 스위칭하기 이전에 HARQ 성공 레이트의 측정에 기초한 MCS의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는 백오프 루프로 지칭된다.
RI_ilimited의 1에서 2로의 eNB-개시 트랜지션 이후에, HARQ 종료 성공 레이트가 원하는 레이트 미만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경우, MCS_ilimited는 이후 RI_ilimited = 2를 유지하는 동안 먼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MCS_ilimited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HARQ 성공 레이트가 여전히 만족될 수 없는 경우, RI_ilimited는 UE 보고된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일부 원하는 임계에서 1로 트랜지션될 수 있다.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 레벨들 사이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다운링크 전송들의 성능 및 조건들을 모니터링하는 백오프 루프가 사용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800)에서, eNB 스케쥴러는 RI_ilimited = 1에서 동작하고 있고, MCS 레벨이 상한값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한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블록(801)에서, 스케쥴러는 1에서 RI_ilimited를 유지한다. 그러나, MCS 상한에 도달된 경우, 블록(802)에서,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2로 스위칭한다. HARQ 성공 레이트가 자신의 타겟 레벨에서 유지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블록(803)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유지된다면, 블록(804)에서, eNB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2에서 유지한다. 그렇지 않고,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레벨에 있지 않은 경우, 블록(805)에서, MCS 레벨이 변경된다. MCS 레벨에 대한 변경은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값보다 더 높은지 또는 더 낮은지의 여부에 의존할 것이다. 블록(806)에서, MCS가 하한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도달했다면, 블록(807)에서, eNB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다시 1로 스위칭한다. 그렇지 않고, MCS가 자신의 하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03)에서, HARQ 성공 레이트의 재-체크를 계속한다. 이러한 절차들의 세트를 따름으로써, eNB는 그 UE에 관련된 성능 및 조건들에 따라 자신의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들을 적응시키고,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RI가 UE가 보고했던 것 이외의 어떤 것이도록 선택될 때 계속되는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가상 랭크 표시자로의 스위칭 이후 다운링크 성능이 악화되는 경우, eNB는 보고된 값으로 다시 스위칭할 수 있다.
간섭 공간적 특성들에 따라, RI_ilimited가 1에서 2로 또는 2에서 1로 스위칭할 때, 급격한 성능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예시의 목적들로, UE는 매우 지향성인 간섭, 예를 들어, 랭크 1을 갖는 자신의 고유한 UE들을 서빙하고 있는 하나의 단일 이웃 eNB로부터 주로 오는 간섭을 경험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고려되는 UE가 또한 단일 스트림을 통해 서빙되는 경우, UE에서의 수신 프로세싱은 신호 및 간섭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따라서, UE는, 심지어 공간 프로세싱을 고려하지 않는 평균 캐리어-대-간섭비(C/I)가 낮은 경우라도, 수신 프로세싱 이후 큰 신호-대-간섭비를 경험할 수 있다. 서빙 eNB 및 간섭 eNB로부터의 복잡한 페이딩 채널 매트릭스들뿐만 아니라 UE 수신 프로세싱 및 CRS 간섭 소거의 효과에 따라, 우세한 간섭 신호는 고려된 시나리오에서 UE에 의해 거의 완전히 소거될 수 있다. 그러나, UE가 안테나들의 수와 같거나 그보다 더 많은 다수의 스트림들을 통해 서빙되고, 그리고/또는 UE가 풀-랭크(전방향성) 간섭을 겪는 경우, UE에서의 간섭 억제의 효과는, 신호 및 간섭을 직교화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으므로 극적으로 감소한다.
위의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RI_ilimited가 전술된 eNB 백오프 루프로 인해 1에서 2로 트랜지션할 때, MCS가 쓰루풋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조절되었더라도, 블록 에러 레이트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eNB의 CQI 백오프 루프가 이러한 이슈를 다루도록 변경되지 않은 경우, 핑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핑퐁 효과에서는, RI_ilimited의 스케쥴링이 MCS과 함께 1과 2 사이에서 계속 왔다갔다 스위칭되며, 타겟 HARQ 성공 레이트가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간섭 신호가 풀-랭크인 경우(즉, 모든 공간 차원들이 균일하게 유사함 - 예를 들어, 다수의 비교가능한 간섭 신호들이 코히어런트하지 않게(non-coherently) 오버랩할 때), UE에서의 공간적 간섭 억제는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으며, RI_ilimited=1과 RI_ilimited=2 사이의 블록 에러 레이트(BLER) 성능의 불연속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LTE CQI/RI 보고 방식에 있어서, 그리고 UE가 CRS 충돌의 경우 최적의 RI를 평가하는 방식에 기초하면, eNB는 간섭의 공간적 특성들을 반드시 인지하고 있지는 않을 수 있으며, 제안된 백오프 루프는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 특성들과는 무관하게 강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인 양상에서, 보고된 RI에 대한 MCS 상한(γin)은 RI 값들 사이에서 앞뒤로 스위칭하는 것 간의 윈도우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상 RI에 대한 MCS 하한(γout)과는 명백히 상이한 SINR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핑퐁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인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양상에서, 핑퐁 효과는, eNB가 UE에 의해 보고되는 랭크보다는 더 높은 랭크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스위칭하는 프로브 신호들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블록(900)에서, 프로브는 eNB 스케쥴러가 RI_ilimited를 2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할 때 시작한다. eNB는, RI_ilimited = 1에서 달성된 레벨에 매치하는 쓰루풋을 달성하기 위해, 블록(901)에서 MCS 설정들을 변경한다. 블록 에러 레이트(BLER)는 블록(902)에서 분석된다. 블록(903)에서, 평균 BLER이 타겟 레벨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된다. 더 크지 않은 경우, 블록(904)에서, eNB 스케쥴러는 MCS 레벨이 다음에 RI_ilimited = 1에서 자신의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RI_ilimited를 2로 스위칭하도록 설정된다. 평균 BLER이 타겟 값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경우, 블록(905)에서, MCS가 다음에 RI_ilimited = 1에서 자신의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1에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 프로브가 완료되고 RI_ilimited가 다시 1에서의 정상 동작으로 스위칭된 이후, eNB 스케쥴러는 MCS 레벨이 다음에 자신의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RI_ilimited를 2로 스위칭하지 않을 것이다. BLER 분석은 조건들이 이러한 스위치를 지원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낸다. 906에서, 스케쥴러는 프로브를 중단하고 RI_ilimited를 1로 리턴시킨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보고된 랭크 Φ(SINR) 및 가상 랭크 ψ(SINR) 곡선 및 다수의 백업 루프들의 스펙트럼 효율 곡선들을 예시하는 그래프(1000)이다. UE-보고된 RI를 사용하여 스케쥴링될 때 다운링크 전송들의 성능은 가상 RI를 사용할 때와는 훨씬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설명된 양상은 다수의 백오프 루프들을 각각의 상태에 대해 하나씩 사용한다. eNB가 UE-보고된 RI를 사용하여 스케쥴링하고 있을 때, UE-보고된 RI 상태(BO1)와 관련된 백오프 루프는 HARQ 성공 레이트를 추정하기 위해 ACK/NACK 비트들을 사용하다. 유사하게, eNB가 가상 RI를 사용하여 스케쥴링하고 있을 때, 가상 RI 백오프 루프(BO2)는 BO2에 대한 HARQ 성공 레이트를 추정하기 위해 가상 RI에서 동작할 때 ACK/NACK 비트들을 사용한다. 2개의 루프들인 BO1 및 BO2는 2개의 상태들 사이의 불연속성으로 인해 완전히 상이한 값으로 수렴할 수 있다. 어느 상태를 선택할지를 결정할 때, eNB는 어느 상태가 더 높은 서빙 쓰루풋을 초래할지 결정하기 위해 2개의 루프들인 BO1 및 BO2를 비교할 것이다.
UE-보고된 RI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동안, eNB는 UE로부터 보고된 CQI1을 수신한다. 백오프 루프 BO1은 큰 양의 값(예를 들어, +10 dB, +12 dB 등)으로 도 10에 반영된다. 보고된 랭크Φ(SINR) 곡선에 대한 사후-외부-루프는 보고된 CQIl + BO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보고된 RI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동안, 사후-외부-루프는, 보고된 CQI가 상한 γin 보다 훨씬 더 적었더라도, 스펙트럼 효율을 상한 γin에 둔다. eNB는 백오프 루프 BO1을 유지하기 위해 보고된 RI에서 동작하는 동안 ACK/NACK 비트들을 사용한다. BO1의 사이즈는 보고된 RI에서의 동작들의 일반적인 신뢰성을 반영한다.
가상 RI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동안, eNB는 UE로부터 보고된 CQI2를 수신한다. 가상 랭크 백오프 루프 BO2는 더 작은 음의 값(예를 들어, -5 dB, -10 dB 등)으로서 도 10에 반영된다. 가상 랭크 Ψ(SINR)에 대한 사후-외부-루프는, 이후, 보고된 CQI2 + BO2이다. 그러나, BO2가 음의 값이므로, 사후-외부-루프는, 보고된 CQI2보다 더 낮은 하한 γout을 초래한다. 가상 랭크 백오프 루프의 낮은 값인 BO2는 또한 가상 랭크를 통해 동작들의 더 낮은 신뢰성을 반영한다.
많은 실제 시나리오들에서,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증가된 RI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로, UE-보고된 RI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쁜 성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대안적인 양상들에서, 백오프 루프는, 심각하게 저하된 성능을 갖는 상당한 시간 길이를 경험하지 않고 eNB가 UE-보고된 RI로 신속하게 리턴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eNB가 UE-보고된 RI 또는 가상 RI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전송들을 스케쥴링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루프 사이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1100)에서, eNB는 RI_ilimited = 1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기 시작한다. 블록(1101)에서,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값 미만인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그 미만이 아닌 경우, eNB는 블록(1101)에서 HARQ 성공 레이트를 계속 체크한다.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레벨 미만인 경우, 블록(1102)에서, MCS는 제 1 스텝 사이즈에서 증가한다. 블록(1103)에서, MCS가 자신의 최대 레벨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도달하지 않은 경우, eNB는 블록(1101)에서 HARQ 성공 레이트들을 계속 모니터링한다. 최대 레벨에 도달된 경우, 블록(1104)에서, eNB는 RI_ilimited를 2로 스위칭한다. eNB는 HARQ 성공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고, 블록(1105)에서,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값보다 더 큰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수행한다. 만약 더 크지 않은 경우, 블록(1106)에서, eNB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2에서 유지한다. HARQ 성공 레이트가 타겟 값보다 더 큰 경우, 블록(1107)에서, 스케쥴은 제 2 스텝 사이즈에서 MCS를 감소시킬 것이며, 여기서, 제 2 스텝 사이즈는 제 1 스텝 사이즈보다 더 크다. 블록(1108)에서, MCS가 가상 랭크 선택들에 대한 자신의 최소 레벨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도달하지 않은 경우, eNB는 블록(1105)에서 HARQ 성공 레이트들을 계속 모니터링한다. MCS가 자신의 최소 레벨에 도달한 경우, 블록(1109)에서, 스케쥴러는 RI_ilimited를 다시 1로 스위칭하고, 프로세스는 블록(1100)에서 시작하여 반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eNB 스케쥴러가 UE에 의해 보고되지 않은 RI를 선택할 때, 더 큰 제 2 스텝 사이즈는 eNB가 더욱 신속하게 더욱 적절한 RI 레벨로 리턴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추가적인 실제 시나리오들에서, 적응형인, 가변 백오프 루프 범위를 수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1200)에서, 백오프 루프 범위에 대한 조절들은 극심한 간섭 조건들을 수용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버스티(bursty) 이웃 eNB로부터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기간들은 높은 간섭의 기간들에 선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에서, eNB 스케쥴러는 상대적으로 짧은 백오프 루프 범위를 유지할 것이며, 따라서, eNB는 간섭 eNB의 침묵(quiet) 기간들 동안 가상 RI 레벨들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전송들의 기간들이 스케쥴링되었을 때 UE-보고된 RI 레벨들로 신속하게 리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우 느린 듀티 사이클을 갖고, 따라서, 간섭 패턴들을 변경하는 것이 느린 간섭 송신기로부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서, eNB 스케쥴러는 백오프 루프 범위를 길게 할 수 있다.
블록(1201)에서, eNB에 의해 백오프 루프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이벤트는, UE로부터 연속적인 NACK들의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 또는 대안적으로 HARQ 보고들의 마지막 수 동안 특정 수의 NACK들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링 이벤트의 검출 시에, eNB는 블록(1202)에서, 전송 조건들의 더 넓은 범위를 수용할 수 있는 특정 중립 범위로 백오프 루프를 설정할 것이다. 따라서, eNB는 경험되고 있는 현재 전송 조건들을 다루도록 자신의 백오프 루프 범위를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이지만, 루프 범위가 자신의 확장된 상태들 중 하나에 있는 동안 일부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eNB는 루프 범위를 더욱 보편적으로 수용하는 사이즈로 즉시 리셋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된 예시의 블록들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1300)에서, eNB 스케쥴러는 작은 범위를 갖는 백오프 루프를 시작한다. 블록(1301)에서, 백오프 루프가 자신의 최대 범위에 빈번하게 도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루프가 자신의 최대 범위에 빈번하게 도달하는 경우, 블록(1302)에서, eNB는 루프 범위를 증분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블록(1301)에서의 최대 주파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한다. 루프가 자신의 최대 범위에 빈번하게 도달하지 않는 경우, 블록(1303)에서, eNB 스케쥴러는 현재 루프 범위를 유지한다. 블록(1304)에서, 백오프 루프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블록(1304)의 백오프 루프 트리거링 이벤트는 블록(1201)(도 12)의 트리거링 이벤트와 유사할 수 있다. 만약 유사하다면, eNB 스케쥴러는 블록(1300)에서 더 작은 범위로 백오프 루프 범위를 리셋시키고, 프로세스를 재시작한다. 어떠한 트리거링 이벤트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블록(1305)에서, 루프가 자신의 최소 루프 한계에 빈번하게 도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빈번하게 도달한다면, 블록(1306)에서, eNB는 루프 범위를 증분적으로 감소시킨다. 루프 범위를 감소시킨 이후, eNB는 블록(1301)에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계속할 것이다. 루프 최소값이 빈번하게 도달되지 않는 경우,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eNB는 블록(1303)에서 현재 루프 범위를 유지하고, 이후 블록(1304)에서 임의의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적응형 프로세스는 eNB로 하여금 우세한 전송 조건들에 따라 루프 범위를 조절하도록 허용하지만, 또한 일부 미리 정의된 트리거링 이벤트가 검출되면 베이스 범위로의 신속한 리턴을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110)는 UE로부터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기준 자원들을 지칭함 ―, 상기 UE로부터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기준 자원들을 지칭함 ―, 전송 랭크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상기 제 2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들), 제어기/프로세서(440), 메모리(442), 스케쥴러(444), 수신 프로세서(438), MIMO 검출기(436), 복조기들(432a-t), 및 안테나들(434a-t)일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및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도 6, 도 8,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3에서의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논리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원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원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PS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에 의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운반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전술한 것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포괄적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42)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UE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전송 랭크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상기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제한된(interference-limited)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없는(interference-free)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2 랭크 표시인,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각각 복수의 랭크 표시자 값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의 상기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의 한계(limit)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는 상이한 또다른(another) 랭크 표시와 관련된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를 재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 내의 상기 또다른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는,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에 따라 선택될 때 제 1 양에 따라 수행되고,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가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에 따라 선택될 때 제 2 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양은 상기 제 1 양보다 더 큰, 무선 통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의 양은 상기 검출된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1 백오프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2 백오프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백오프 값과 상기 제 2 백오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 중 어느 것이 더 높은 서빙 쓰루풋(higher served throughput)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랭크의 선택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랭크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 동안 달성되는 쓰루풋에 매치하도록 상기 전송 레이트를 변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블록 에러 레이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블록 에러 레이트가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한 전송을 위한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랭크 표시자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스위칭하도록 스케쥴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랭크를 다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전송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백오프 값을 생성하는 단계;
    간섭 조건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을 조절하는 단계;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값을 중립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백오프 값 범위를 갖는 백오프 값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백오프 값 범위는 초기에 작은 데시벨 범위로 설정됨 ― ;
    모니터링된 에러 레이트들이 미리결정된 주파수보다 더 큰 상기 백오프 값 범위의 한계를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한계 교차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 범위를 변형하는 단계;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값을 상기 작은 데시벨 범위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evolved Node B)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UE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전송 랭크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상기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2 랭크 표시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각각 복수의 랭크 표시자 값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에러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의 상기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의 한계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는 상이한 또다른 랭크 표시와 관련된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를 재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 내의 상기 또다른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1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2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백오프 값과 상기 제 2 백오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 중 어느 것이 더 높은 서빙 쓰루풋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랭크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전송 랭크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 동안 달성되는 쓰루풋에 매치하도록 상기 전송 레이트를 변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블록 에러 레이트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블록 에러 레이트가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가능한,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한 전송을 위한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랭크 표시자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스위칭하도록 스케쥴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송 랭크를 다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간섭 조건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가능한, 상기 백오프 값을 중립 범위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22. 제 13 항에 있어서,
    백오프 값 범위를 갖는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백오프 값 범위는 초기에 작은 데시벨 범위로 설정됨 ― ;
    모니터링된 에러 레이트들이 미리결정된 주파수보다 더 큰 상기 백오프 값 범위의 한계를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한계 교차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 범위를 변형하기 위한 수단;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가능한, 상기 백오프 값을 상기 작은 데시벨 범위로 재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23.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UE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전송 랭크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상기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삭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2 랭크 표시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각각 복수의 랭크 표시자 값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에러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의 상기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의 한계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는 상이한 또다른 랭크 표시와 관련된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를 재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 내의 상기 또다른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1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2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제 1 백오프 값과 상기 제 2 백오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 중 어느 것이 더 높은 서빙 쓰루풋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랭크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전송 랭크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 동안 달성되는 쓰루풋에 매치하도록 상기 전송 레이트를 변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블록 에러 레이트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블록 에러 레이트가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한 전송을 위한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랭크 표시자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스위칭하도록 스케쥴러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전송 랭크를 다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로 스위칭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전송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간섭 조건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가능한, 상기 백오프 값을 중립 범위로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23 항에 있어서,
    백오프 값 범위를 갖는 백오프 값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백오프 값 범위는 초기에 작은 데시벨 범위로 설정됨 ― ;
    모니터링된 에러 레이트들이 미리결정된 주파수보다 더 큰 상기 백오프 값 범위의 한계를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한계 교차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 범위를 변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가능한, 상기 백오프 값을 상기 작은 데시벨 범위로 재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evolved Node B)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1 랭크 표시를 수신하고 ― 상기 제 1 랭크 표시는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UE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 보고에서 제 2 랭크 표시를 수신하고 ― 상기 제 2 랭크 표시는 제 2 세트의 자원들에 대응함 ― ;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전송 랭크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에 대해 상기 UE에 의해 유지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고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1 랭크 표시와는 상이함 ― ;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 및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에 기초한 제 2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고, 상기 제 2 세트의 자원들은 간섭-없는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34. 삭제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는 상기 제 2 랭크 표시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랭크 표시 및 상기 제 2 랭크 표시 각각은 복수의 랭크 표시자 값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에러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의 상기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전송 레이트 범위의 한계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는 상이한 또다른 랭크 표시와 관련된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를 재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또다른 전송 레이트 범위 내의 상기 또다른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1 백오프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제 2 백오프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백오프 값과 상기 제 2 백오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 중 어느 것이 더 높은 서빙 쓰루풋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랭크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 랭크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상기 UE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 동안 달성되는 쓰루풋에 매치하도록 상기 전송 레이트를 변형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전송된 상기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블록 에러 레이트를 분석하고;
    상기 블록 에러 레이트가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레이트가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를 사용한 전송을 위한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랭크 표시자를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와는 상이한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로 스위칭하도록 스케쥴러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 랭크를 다시 상기 제 1 랭크 표시자로 스위칭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4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전송 랭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세트의 자원들 상에서 전송된 상기 전송 데이터 패킷들과 관련된 에러 레이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백오프 값을 생성하고;
    간섭 조건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을 조절하고; 그리고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값을 중립 범위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42.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백오프 값 범위를 갖는 백오프 값을 생성하고 ― 상기 백오프 값 범위는 초기에 작은 데시벨 범위로 설정됨 ― ;
    모니터링된 에러 레이트들이 미리결정된 주파수보다 더 큰 상기 백오프 값 범위의 한계를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한계 교차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백오프 값 범위를 변형하고; 그리고
    백오프 값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값을 상기 작은 데시벨 범위로 재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eNB.
KR1020147005740A 2011-08-03 2011-08-04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KR10159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97,412 US9750030B2 (en) 2011-08-03 2011-08-03 Enhanced downlink rate adaptation for LTE heterogeneous network base stations
US13/197,412 2011-08-03
PCT/US2011/046627 WO2013019243A1 (en) 2011-08-03 2011-08-04 Enhanced downlink rate adaptation for lte heterogeneous network base st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386A KR20140051386A (ko) 2014-04-30
KR101594040B1 true KR101594040B1 (ko) 2016-02-15

Family

ID=4454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740A KR101594040B1 (ko) 2011-08-03 2011-08-04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50030B2 (ko)
EP (1) EP2740305B1 (ko)
JP (1) JP5755811B2 (ko)
KR (1) KR101594040B1 (ko)
CN (1) CN103858499B (ko)
IN (1) IN2014CN00558A (ko)
WO (1) WO2013019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1338B2 (en) * 2012-06-05 2016-01-19 Apple Inc. Link adaptation resumption based on CQI offset
US10153811B2 (en) * 2012-06-14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munication-layer maxim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50036610A1 (en) * 2012-08-28 2015-0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4126517A1 (en) 2013-02-18 2014-08-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tting node and method for rank determination
WO2014175800A1 (en) * 2013-04-26 2014-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efficiency node for increased data throughput in wireless networks
JP6331263B2 (ja) * 2013-05-16 2018-05-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2017175B1 (ko) 2013-07-12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밴드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4640211B (zh) * 2013-11-08 2019-06-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KR102157286B1 (ko) 2013-12-27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753633B (zh) * 2013-12-31 2019-06-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高阶编码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10171271B2 (en) 2014-09-16 2019-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information for cancell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US10171146B2 (en) * 2015-02-16 2019-01-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MO rank reduction to improve downlink throughput
US10075187B2 (en) *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CS/PMI/RI selection and coding/interleaving mechanism for bursty interference and puncturing handling
CN104734812B (zh) * 2015-03-18 2017-12-26 京信通信系统(广州)有限公司 一种确定调制编码方式的方法和设备
US10264566B2 (en) 2016-07-22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ntrol channel for DL sub-band scheduling
US10469298B2 (en) * 2017-05-12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reference signal dens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74422B2 (en) * 2017-06-30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Rate control adaptation
US10856300B2 (en) * 2017-10-17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Per-TTI rank control within transmission opportunity for downlink comp
CN111435858B (zh) * 2019-01-11 2022-08-02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侧设备及其进行干扰抑制的方法
US10880775B2 (en) 2019-05-14 2020-12-29 L3Harris Technologies, Inc. Closed-loop transmission rate control
EP3823390A1 (en) * 2019-11-13 2021-05-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acket scheduler
WO2022116069A1 (en) * 2020-12-03 2022-06-09 Mavenir Networks, Inc. Rank filtering and graceful rank switching in base station
WO2024005816A1 (en) * 2022-06-30 2024-01-04 Rakuten Mobi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rate adaptation in 5g
CN116505993B (zh) * 2023-06-25 2023-10-24 极芯通讯技术(南京)有限公司 秩指示的自适应调整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6549A2 (en) * 2009-03-04 2010-09-23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Pilot aid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systems
US20110009148A1 (en) * 2008-03-22 2011-01-13 Kotecha Jayesh H Channel Rank Update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543B1 (en) 1996-10-29 2002-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environment
US6931256B2 (en) * 2000-02-01 2005-08-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permitting communication of burst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2185398A (ja) * 2000-12-18 2002-06-28 Sony Corp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37457A1 (en) * 2001-03-23 2002-09-26 Nivens Dennis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plink power control
GB2410152B (en) 2004-01-15 2006-03-22 Toshiba Kk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daptive modulatio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receiving apparatus
CN101835283B (zh) 2004-06-29 2012-07-11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
JP4737553B2 (ja) * 2004-10-20 2011-08-0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8842693B2 (en) * 2005-05-31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Rank step-down for MIMO SCW design employing HARQ
US8331342B2 (en) * 2006-04-28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single user and multi-user MIMO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812391B1 (ko) * 2006-11-02 2008-03-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핸드 오버를 위한 네이버 리스트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8295189B2 (en) 2007-05-11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Interference detection
US8948093B2 (en) 2007-10-02 2015-02-03 Apple Inc. Rank adaptation for an open loop multi-antenna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10056161A1 (en) 2008-11-12 2010-05-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k adaptation systems and methods
EP2230786A1 (en) 2009-03-16 2010-09-22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quality feedback signal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1715939B1 (ko) 2009-06-18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JP2011004212A (ja) 2009-06-19 2011-01-06 Sharp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750205B2 (en) 2009-08-07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rank CQI feedback for cellular networks
US9014080B2 (en) 2009-10-30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8109B2 (en) 2009-11-08 2015-0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and a method and a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a PDS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9148A1 (en) * 2008-03-22 2011-01-13 Kotecha Jayesh H Channel Rank Update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WO2010106549A2 (en) * 2009-03-04 2010-09-23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Pilot aid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Meeting #65, R1-111596, 2011.05.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8499A (zh) 2014-06-11
WO2013019243A1 (en) 2013-02-07
EP2740305B1 (en) 2016-11-09
US9750030B2 (en) 2017-08-29
JP2014522183A (ja) 2014-08-28
JP5755811B2 (ja) 2015-07-29
US20130033989A1 (en) 2013-02-07
IN2014CN00558A (ko) 2015-04-03
CN103858499B (zh) 2018-02-09
EP2740305A1 (en) 2014-06-11
KR20140051386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40B1 (ko) Lte 이종 네트워크 기지국들에 대한 향상된 다운링크 레이트 적응
EP2777188B1 (en) Incremen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capability and signaling
US9496974B2 (en) Physical layer signaling to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18758C2 (ru) Расчет отклика о состоянии канала в система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давления помех общего опорного сигнала
KR101565369B1 (ko) 사용자 장비(UE)와 진화형 노드 B(eNodeB) 간 상실된 자원 할당 동기의 완화
EP2817996B1 (en) Mitigating cross-device interference
EP2572540B1 (en) Uplink power control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JP7442451B2 (ja) 高信頼性のための変調およびコーディング方式ならびにチャネル品質インジケータ
KR101668068B1 (ko) 이질적인 네트워크들에 대한 이벌브드 노드 b 채널 품질 표시자(cqi)프로세싱
EP30638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link adaptation for interference-canceling receivers
KR20140142237A (ko) Lte에서의 강화된 제어 채널 동작을 위한 전송 블록 크기 제한
KR20150104645A (ko) 공동-채널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참조 신호 간섭 상쇄와 자원 엘리먼트 펑처링 간의 동적 스위칭
KR20130076880A (ko)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채널 특성들의 리포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