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499B1 -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499B1
KR101593499B1 KR1020140169740A KR20140169740A KR101593499B1 KR 101593499 B1 KR101593499 B1 KR 101593499B1 KR 1020140169740 A KR1020140169740 A KR 1020140169740A KR 20140169740 A KR20140169740 A KR 20140169740A KR 101593499 B1 KR101593499 B1 KR 10159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se
hanger
lifting
pulley
ele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Priority to KR102014016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4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the open air; in pans or tables in rooms; Drying stacks of loose material on floors which may be covered, e.g. by a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topping device can prevent a locking support from being descended even if a locking unit where a fire hose is locked and a lifting unit lifting the locking unit are physically dis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locking unit where the fire hose is locked; the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locking unit to lift the locking unit; a lifting guide guiding the lifting of the locking unit; and a safety stopping unit and a stopper installed in the locking unit and extended from the locking unit toward the lifting guide to stop the falling of the locking unit since the lock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are disconnec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 advance, an accident in a situation that the locking unit suddenly falls and prevents the apparatus from being damaged and broken to increase durability.

Description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ose drying device having a safety stop device,

본 발명은 소방호스를 걸어 널어 물기를 말리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호스가 걸려 있는 걸이부가 추락하는 경우에 이를 중간에 멈출 수 있는 안전멈춤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for hanging a fire hose and drying the fire h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for drying a fire hose having a safety stop device capable of stopping the hanging hose ≪ / RTI >

소방호스와 같은 소방장비들은 평소에 유지, 관리, 보수를 철저하게 해야만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전에 사용한 소방 장비들을 잘 건조시켜야만 한다. Fire fighting equipment, such as fire hoses, must be maintained, maintained, and repaired thoroughly before they can be used immediately in emergencies such as fire. To do this, the previously used fire fighting equipment must be well dried.

특히, 소방호스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사용 후 모두 풀어서 높은 걸이에 걸어 수직으로 늘어뜨린 후, 자연 건조 또는 열풍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한 건조 방법으로 내부 물기까지 말린다.Especially, the fire hose is long, so after unpacking, hang it up on a high hook and hang it vertically, then dry it to the inside water by drying using a device such as natural drying or hot air.

이와 같은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9301호 ; 소방호스 건조타워" 등에 개시된 바 있다.Such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s already bee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0199301, Fire Hose Drying Tower".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소방호스가 걸린 승강대가 구동모터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며, 승강대와 구동모터의 사이에는 복수의 도르래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구동모터가 로프를 감으면 승강대가 상승하고, 구동모터가 로프를 풀면 승강대가 하강하도록 동작한다. The registra- tion utility model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atform with a fire hose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by a rope, and a plurality of pulleys are installed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drive motor. Therefore,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operates so that the platform is raised when the driving motor winds the rope, and the platform is lowered when the driving motor releases the rope.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승강대의 승강 경로에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안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승강대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ncludes a safety stop device provided on a lifting and lowering path of the platform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safety sensor to stop the platform.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같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승강대를 정지시키는 방식의 안전멈춤장치는, 중량물에 속하는 승강대와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로프가 끊어지게 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하더라도 승강대를 정지시키지 못한다.However, even if the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bar and the driving motor belonging to the heavy object is broken, the safety stop device of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to stop the elevator bar, I can not stop it.

이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승강대와 구동모터의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승강대를 정지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추락 시 발생하는 충돌 충격에 의하여 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만일 이때 장치 아래쪽에서 작업자가 승강대를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 또는 소방호스를 곧게 펴는 작업 등을 하고 있는 경우라면 인명피해로까지 연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drive motor is broken, the new model registration machine can not stop the platform, so that the device may be damaged due to a collision impact generated during the fall. In addition, if the worker lifts or lowers the platform from the bottom of the apparatus or straightens the fire hose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 person's injury.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9301호(2000. 07. 31.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99301 (registered on July 31, 2000)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호스가 걸리는 걸이부와 걸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의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진다 하더라도 걸이부의 하강을 중간에 멈출 수 있도록 한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top device capable of stopping the fall of the hanger portion in the middle even if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hanger portion to which the fire hose is hooked and the lifting /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소방호스가 걸리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걸이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 상기 걸이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승강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동판을 구비하는 안전멈춤부; 및 상기 제동판과 충돌하여 걸이부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ok portion to which a fire hose is hooke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unit; A lifting guid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ook portion; A safety stopper protruding toward the elevation guid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ger and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broken; And a stopper which collides with the brake plate to stop the lowering of the hook portion.

이때 상기 걸이부는, 상기 소방호스가 걸리는 걸이대; 승강와이어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는 도르래; 및 상기 걸이대에 결합되어 상기 도르래를 지지하되,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르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ger part is hooked to the fire hose. A pulley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portion by a lifting wire; And a pulley support coupled to the hanger and supporting the pulley, wherein the pulley support has elongated hol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안전멈춤부는, 상기 도르래의 위치에 따라 장력이 변동되는 견인와이어; 상기 걸이대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판; 일단부에는 상기 제동판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견인와이어가 연결되는 이송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afety stop includes a pulling wire whose tension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ulley; A support plate installed on the hanger and having a through hole; A transfer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rak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ction wire;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brake plate.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는 상기 걸이부 쪽으로 돌출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판에는 상기 돌출 형성된 레일의 형상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vation guide may include a rail protruding toward the hanger portion, and the baffle plate may be formed with an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ded rail.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소방호스를 거는 걸이부와 걸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의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진다 하더라도 걸이부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걸이부가 돌발 낙하되는 상황에서도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하충격에 의한 장치의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anger portion hanging the fire hose from falling down even if the physical connection to the hanger opening portion for lifting the hanger portion is broke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human casualties even in the situation, but also to prevent the breakage or damage of the apparatus due to the falling impact,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도 1은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안전멈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걸이부의 상승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걸이부의 안전멈춤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afety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part of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op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anger portion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afety stopping operation of the hanger portion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례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실시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afety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part of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100)는 승강가이드(110), 걸이부(130), 승강구동부(150) 및 안전멈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100 having a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vation guide 110, a hanger 130, an elevation driving unit 150, and a safety stop 170).

승강가이드(110)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을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지지하는 가로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on guide 11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s 111 that are erected from a bottom surface of a place where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100 having a safety stop device is installed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11, And a transverse frame 113 for supporting the transverse frame 113 in a stable manner.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의 내측에는 레일(115)이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례의 레일(115)은 “∧”형태로 세로프레임(1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나, 필요에 따라 레일의 형상은 변경할 수 있다.
A rail 115 is provided inside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11, respectively. Although the rail 115 of this embodiment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111 in the shape of "?&Quot;, the shape of the rail can be changed if necessary.

걸이부(130)는 승강가이드(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승강구동부(150)는 걸이부(130)를 승강와이어(151)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다. The hook portion 130 is disposed inside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elevation driving portion 150 can lift the hook portion 130 by the elevation wire 151. [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구동부(150)는 걸이부(130)의 승강에 사용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승강에 필요한 토크가 확보되도록 하는 감속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승강와이어(151)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롤러(미도시)와, 걸이부(130)와 구동모터(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와이어(151)의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러(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구동부(150)의 상세한 구성은 이미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elevation driving unit 15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providing power to be use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anger 130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A winding roller (not shown) in which the lifting wire 151 is wound or unwound by driving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 winding roller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rollers (not shown) arranged to form a path of the lifting wire 151 and the like. Sinc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150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걸이부(130)는 소방호스(10)가 걸리는 것으로, 걸이대(131), 가이드롤러(133), 도르래(135) 및 도르래 지지대(1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ger 130 may include a hanger 131, a guide roller 133, a pulley 135, and a pulley support 137, to which the fire hose 10 is attached.

걸이대(131)는 상, 하부가로대(131a, 131b)와 한 쌍의 세로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 하부가로대(131a, 131b)와 한 쌍의 세로대(131c)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The hanger 131 may include upper and lower crosspieces 131a and 131b and a pair of vertical legs 131c. The upper and lower barriers 131a and 131b and the pair of vertical bars 131c form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상부가로대(131a)에는 소방호스(10)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132)가 설치된다. 걸이(132)는 소방호스(10)가 바람, 진동 등에 의해 걸이(13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가로대(131a)로부터 돌출되고 단부가 상측을 향해 절곡되는 후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hook 132 for hooking the fire hose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crossbar 131a.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132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ok protruded from the upper cross bar 131a and bent at the end toward the upper side in order to prevent the fire hose 1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hook 132 by wind, Do.

승강가이드(110)를 향하는 걸이대(131)의 상, 하부 양측면에는 가이드롤러(133)가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33)는 레일(115)에 구름 접촉되어 걸이대(131)가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롤러(133)는 레일(115)에 접촉하는 면의 형상을 레일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롤러(133)의 접촉면 형상도 이에 맞추어 변경 실시할 수 있다.
Guide rollers 133 are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ok 131 facing the elevation guide 110. The guide roller 133 is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rails 115 so that the hanger 131 is smoothly and stably lifted and lowered. As shown in FIG. 2, the guide roller 13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of "V" so that the shape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rail 115 corresponds to the "∧" shape of the rail, The contact surface shape of the guide roller 133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is.

한편, 도르래(135)는 걸이대(131)의 내측인 상, 하부가로대(131a, 131b)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르래(135)는 하우징(136)의 내부에 설치된다. 하우징(136)은 승강와이어(151)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양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승강와이어(151)는 상부가로대(131a)를 관통하여 승강구동부(150)로 연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ulley 135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131a and 131b, which are the inner sides of the hanger 131. The pulley 135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36. The housing 136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faces are opened so as to facilitate the entry and exit of the lifting wire 151. At this time, the lifting and lowering wire 151 may be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50 through the upper rail 131a.

하우징(136)에는 도르래(135)의 회전축(135a)이 설치되며, 도르래(135)는 회전축(135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36)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136a)가 돌출 형성된다. 도 2에는 가이드돌기(136a)가 회전축(135a)을 중심으로 상하에 한 쌍이 배치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으며, 회전축(135a)의 주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 개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축(135a) 자체를 길게 연장하여 가이드돌기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rotation shaft 135a of the pulley 135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36 and the pulley 135 is freely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shaft 135a. A guide protrusion 136a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36. [ 2,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36a are vertically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135a.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follow such a configuration, and one or two or more of the guide projections 136a may be provided around the rotary shaft 135a A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and in some cases, the rotation shaft 135a itself may be elongated to serve as a guide projection.

도르래 지지대(137)는 한 쌍의 세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세로판은 하우징(136)을 사이에 두고 상, 하부가로대(131a, 131b)의 전, 후면에 각각 체결된다. 이러한 도르래 지지대(137)에는 상하방향의 장공(13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공(137a)에는 하우징(13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36a)가 관통 삽입된다. The pulley support 137 may be formed of a pair of vertical plates. The pair of vertical plates are fasten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131a and 131b with the housing 136 interposed therebetween. A longitudinal protrusion 137a is formed in the pulley support 137 and a guide protrusion 136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36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37a.

따라서 도르래(135)는 승강와이어(151)의 장력에 따라 장공(137a)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한다. 즉 승강구동부(150)가 승강와이어(151)를 감는 동작을 시행 중이거나 걸이부(130)가 승강장치의 중간 또는 최상단에 정지하여 있는 경우에는, 승강와이어(151)에 장력이 걸리므로 도르래(135)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36)이 장공(137a)을 따라 상승한다. 반대로 승강와이어(151)가 끊어지거나 걸이부(130)가 승강장치의 최하단에 내려와 있는 경우에는 승강와이어(151)에 걸리는 장력이 소멸, 또는 약해지므로 하우징(136)은 자중에 의하여 장공(137a)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Therefore, the pulley 135 moves up or down along the slot 137a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of the lifting wire 151. [ That is, when the lifting drive unit 150 is performing the operation of winding the lifting wire 151 or when the lifting unit 130 is stopped at the middle or uppermost stage of the lifting device, a tension is applied to the lifting wire 151, Is raised, so that the housing 136 rises along the slot 137a. On the contrary, when the lifting wire 151 is broken or the hook 130 is lower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lift device, the tension applied to the lifting wire 151 is lost or weakened. .

안전멈춤부(170)는 비상시 걸이부(130)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걸이부(130)에 설치된다.The safety stopper 170 stops the falling of the hook 130 in an emergency and is provided on the hook 130. [

도 3은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안전멈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top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멈춤부(170)는 견인와이어(171), 이송바(173), 지지판(175), 제동판(177), 탄성체(179) 및 스토퍼(181)(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safety stop 170 includes a traction wire 171, a transfer bar 173, a support plate 175, a brake plate 177, an elastic body 179, and a stopper 181 2).

견인와이어(171)는 두 줄로 형성하여 각각의 상단부를 하우징(136)의 하부에 결합하고, 하부가로대(131b)를 관통시킨 후, 하부가로대(131b)의 밑면 내측에 마련되는 방향전환롤러(171a)에 감아서 그 말단들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11)을 향하도록 방향 전환시킨 후, 상기 말단들을 한 쌍의 이송바(173)의 일단에 각각 연결시킨다.
The traction wire 171 is formed in two rows and each upp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36. The lower end of the traverse wire 171 passes through the lower cross bar 131b, And the ends thereof are turned so as to face a pair of vertical frames 111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n the ends are connected to one ends of the pair of transport bars 173, respectively.

이송바(173)는 하부가로대(131b)의 밑면 내측에 배치된다. 이송바(173)는 지지판(175)을 관통하되 승강가이드(110)의 세로프레임(111)을 향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바(173)의 세로프레임(111)을 향하는 단부에는 제동판(177)이 고정 결합된다.
The transfer bar 173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face of the lower cross bar 131b. The conveying bar 173 passes through the support plate 175 and is installed to reciprocate toward the vertical frame 111 of the elevation guide 110. At the end of the transfer bar 173 facing the vertical frame 111, a breaking plate 177 is fixedly coupled.

지지판(175)도 하부가로대(131b)의 밑면 내측에 배치된다. 지지판(175)에는 이송바(173)가 관통하는 관통홀(175a)이 형성된다. 지지판(175)은 이 관통홀(175a)에 의해 이송바(173)를 지지하면서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upport plate 175 is also dispos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rossbar 131b. The support plate 175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75a through which the feed bar 173 passes. The support plate 175 serves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transport bar 173 by the through holes 175a.

하부가로대(131b)의 밑면 내측의 세로프레임(111) 쪽 끝 부분에는 제동판(177)의 상, 하부면을 지지하여 제동판(177)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177b)이 설치된다. 가이드슬롯(177b)의 단면 형상은 제동판(177)의 단면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동판(177)이 삽입되어 진퇴가 가능하도록 양 단면이 개방된 중공 형태를 갖는다.
A guide slot 177b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ke plate 177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rake plate 177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vertical frame 111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rossbar 131b.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slot 177b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ake plate 177, and has a hollow shape with both end faces opened so that the brake plate 177 can be inserted and retracted as shown in FIG.

이송바(173)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동판(177)은 충격하중에 강한 강도를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슬롯(177b)의 중공부에 삽입 설치된다. The breaking plate 177 fix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bar 173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trength strong against the impact load and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guide slot 177b.

본 실시례에서는 세로프레임(111)을 향하는 제동판(177)의 일단이 레일(115)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레일(115)의 “∧”형태 돌기에 대응되는 “∨”형태의 간섭방지홈(177a)이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M“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간섭방지홈의 형상은 레일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자가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ail 115, one end of the braking plate 177 facing the vertical frame 111 is provided with a " (177a)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fore, the whole is formed into an " M " shape having a pair of projections. The shape of the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can be changed by the designer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rail.

탄성체(179)는 지지판(175)과 제동판(177)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체(179)는 지지판(175)으로부터 제동판(177)을 탄성 지지하되, 제동판(177)을 세로프레임(111) 쪽으로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세로프레임(111)을 향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이송바(173)의 외경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이 탄성체(179)로 사용된다.
The elastic body 179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75 and the braking plate 177. The elastic body 179 i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reaking plate 177 from the holding plate 175 and to exert a force to push the breaking plate 177 toward the vertical frame 111. In this embodiment, a compression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body 179 so as to surrou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transfer bar 173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toward the vertical frame 111.

스토퍼(181)는 세로프레임(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181)는 세로프레임(111)의 “∧”형 레일(115)의 양옆 깊은 골부분에 한 쌍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위치에 설치하는 이유는 가이드롤러(133)가 상하로 이동할 때 스토퍼(181)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topper 181 is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frame 11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stoppers 181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 -shaped rail 115 of the vertical frame 111. The reason for providing such a position is to prevent the guide roller 133 from being caught by the stopper 181 when moving up and down.

스토퍼(181)의 역할은, 가이드슬롯(177b)으로부터 세로프레임(111) 쪽으로 제동판(177)이 돌출된 상태로 걸이부(130)가 하강하는 경우에, “M”자형의 제동판(177)의 돌출부들이 걸려서 걸이부(13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opper 181 serves as a stopper of the M-shaped braking plate 177 when the hooking portion 130 descends in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plate 177 protrudes from the guide slot 177b toward the vertical frame 111 So that the hook 130 can not descend any more.

스토퍼(181)의 설치 높이는 작업자의 키보다 높게 하는 것이 안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치 지면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여러 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은 걸이부(130) 추락시 상부에 위치한 스토퍼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그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들이 차례로 걸이부의 추락을 제동할 수 있게 하므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for the height of the stopper 181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perator for safet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t a position of at least 2 m or more from the position ground,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installed at several places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In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stopp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130 is damaged by the impact, the stoppers positioned below the stopper can brak down the hook sequentially, thereby enhancing safety.

스토퍼(181)의 상부에는 제동판(177)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의 완충부재(181a)가 설치될 수 있다.
Above the stopper 181, a buffer member 181a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order to mitigate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brake plate 177.

상술한 바와 같은 견인와이어(171), 이송바(173), 지지판(175), 제동판(177), 탄성체(179) 및 스토퍼(181)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에 각각 적용될 수 있도록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ction wire 171, the conveying bar 173, the support plate 175, the shingling plate 177, the elastic body 179 and the stopper 181 a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applied to a pair of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

이하,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걸이부의 상승 작용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ynergistic action of the hanger portion of the fire hose dry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작업자가 걸이(132)에 소방호스를 걸고 걸이부(13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승강구동부(150)를 작동시키면, 승강구동부(150)는 승강와이어(151)를 상부로 당기게 되므로 승강와이어(151)에는 장력이 발생한다.
When the worker operates the elevation driving unit 150 to raise the hanging part 130 by hooking the fire hose to the hanging part 132, the elevation driving part 150 pulls the elevation wire 151 upward, A tension is generated.

이 장력에 의해 도르래(135)가 상방으로 상승하면, 도르래와 회전축(135a)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136)도 상승하게 된다.When the pulley 135 is lifted upward by this tension, the housing 136 coupled to the pulley and the rotary shaft 135a also rises.

이렇게 하우징(136)이 상승하면 하우징(136)의 하부에 결합 되어 있는 견인와이어(171)가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장력이 발생하고, 결국 이 장력은 이송바(173)를 이송장치 중앙부 쪽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이송바(17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지지판(175)과 제동판(177)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179)는 이송바(173)가 이송장치 중앙부 쪽으로 끌려오는 힘에 반발하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When the housing 136 is lifted up, the pulling wire 17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36 is pulled upward and tension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tension acts on the force of pulling the feed bar 173 toward the center of the feeder . Of course,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179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75 and the baffle plate 177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bar 173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orce of the transfer bar 173 repulsing against the force that is pulled toward the center of the transfer device Occurs.

이때 하우징(136)이 상승할수록 견인와이어(171)에 걸리는 장력도 점점 증가하게 되는데, 견인와이어(171)의 장력이 탄성체(179)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탄성체(179)가 압축되면서 이송바(173)가 당겨지고, 이송바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M“자형 제동판(177)의 돌출부는 가이드슬롯(177b) 내부로 수납된다.
When the tensile force of the pulling wire 171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79, the elastic body 179 is compressed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79 is transmitted to the feed bar 173,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 M " -shaped wobble plate 177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bar is housed in the guide slot 177b.

이 상태에서 하우징(136)이 계속 상승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외측면의 가이드돌기(136a)가 장공(137a)을 따라 상승하여 장공(137a)의 상단에 접하게 되며, 결국 걸이부(130) 전체가 상승하기 시작된다. 4, the guide protrusion 136a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rises along the slot 137a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lot 137a, 130) begins to rise.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M“자형 제동판(177)의 돌출부는 가이드슬롯(177b) 내측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세로프레임(111)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81)에 걸리지 않는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 M " -shaped wing plate 177 is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slot 177b, so that it is not caught by the stopper 181 formed inside the vertical frame 111. [

그리고 가이드롤러(133)는 레일(115)과 구름접촉을 하여 걸이부(130)의 상승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guide roller 133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ail 115, so that the hook 130 is smoothly and stably raised.

이후, 건조장치 상부의 설정된 위치에 걸이부(130)가 도달하면, 자연건조 또는 열풍기 같은 별도의 보조장치에 의해 소방호스(10)를 건조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hanger 130 reach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rying apparatus, the fire hose 10 is dried by a separate auxiliary device such as natural drying or hot air.

한편,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운용 중에는 의도하지 않은 돌발 상황, 예를 들어 승강와이어(151)가 파손되어 승강구동부(150)와 걸이부(130)의 물리적인 연결 상태가 끊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Meanwhile, during operation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having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intentional unexpected situations, for example, the lifting wire 151 is damag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fting drive part 150 and the hanger 130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state is disconnected.

도 5는 이러한 상황에서 본 실시례에 따른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걸이부의 안전멈춤동작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이하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5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 safety stopping operation of the hanger portion of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such a situa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승강구동부(150)와 걸이부(130)의 연결 상태가 물리적으로 끊기는 상황이 발생되면, 승강와이어(151)의 장력은 소멸한다.Whe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lifting drive unit 150 and the hooking unit 130 is physically disconnected, the tension of the lifting wire 151 is lost.

승강와이어(151)의 장력이 소멸하면, 하우징(136)은 장공(137a)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견인와이어(171)의 장력도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체(179)에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동판(177)을 세로프레임(111) 쪽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M“자형 제동판(177)의 돌출부는 가이드슬롯(177b) 외부로 돌출되어 “∨”형 간섭방지홈(177a)에 “∧”형 레일(115)이 삽입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When the tension of the lifting wire 151 disappears, the housing 136 descends along the elongated hole 137a, so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pulling wire 171 also disappears. Therefore, since the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elastic body 179, the breaking plate 177 is pushed toward the vertical frame 111. The protrusion of the "M" -shaped wobble plate 177 protrudes out of the guide slot 177b so that the "∧" -shaped rail 115 is inserted in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77a.

이러한 상태로 걸이부(130)가 추락하면 “M“자형 제동판(177)의 돌출부가 스토퍼(181)와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이부(130)의 낙하가 저지된다.When the hook portion 130 falls in this state,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 M " -shaped wing plate 177 collides with the stopper 181, thereby preventing the hook portion 130 from falling down.

이때 스토퍼(181)가 세로프레임(111) 상에 소정 높이 차로 여러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면 상부에 위치한 스토퍼(181)가 걸이부(300)의 제동판(177)과 충돌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걸이부(300)의 운동에너지는 일정 부분 흡수하게 되므로, 그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들은 보다 안전하게 걸이부(300)의 추락을 제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stopper 181 is installed at several places on the vertical frame 111 at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even if the stopper 18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s damaged by the collision impact with the braking plate 177 of the hooking unit 300, The kinetic energy of the stopper 300 is absorbed to a certain extent, so that the stopper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300 can brak down the hook 300 more safely.

이때 스토퍼(181) 상부에 완충부재(181a)를 결합시켜 놓으면, 제동판(177)과 스토퍼(181)의 충돌에 의한 충격하중을 좀 더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buffer member 181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181, the impact load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buffer plate 177 and the stopper 181 can be more efficiently mitigated.

이후 작업자는 승강구동부(150)와 걸이부(130)의 물리적인 연결 상태가 끊긴 부위를 연결하거나 새로운 승강와이어(151)로 교체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safely carry out a work of connecting a part where the lifting drive part 150 and the hook part 130 are physically disconnected or replacing the lifting drive part 150 with a new lifting wire 151.

따라서 본 실시례에 따른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걸이부가 돌발 낙하하는 상황에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fire hose dr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to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hanging part abruptly falls, and also can prevent the breakage and damage of the apparatus and improve durability It is effectiv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소방호스 100 : 소방호스 건조장치
110 : 승강가이드 111 : 세로프레임
113 : 가로프레임 115 : 레일
117 : 완충부재 130 : 걸이부
131 : 걸이대 132 : 걸이
133 : 가이드롤러 135 : 도르래
136 : 하우징 137 : 도르래 지지대
137a : 장공 150 : 승강구동부
151 : 승강와이어 170 : 안전멈춤부
171 : 견인와이어 173 : 이송바
175 : 지지판 177 : 제동판
179 : 탄성체 181 : 스토퍼
10: Fire hose 100: Fire hose drying device
110: elevation guide 111: vertical frame
113: Horizontal frame 115: Rail
117: buffer member 130: hook portion
131: Hook 132: Hook
133: guide roller 135: pulley
136: housing 137: pulley support
137a: long hole 150:
151: lifting wire 170: safety stop
171: Traction wire 173: Feed bar
175: Support plate 177:
179: elastic body 181: stopper

Claims (4)

소방호스가 걸리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걸이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30)와 상기 승강구동부(150)의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승강가이드(110)를 향해 돌출되는 제동판(177)을 구비하는 안전멈춤부(170); 및
상기 제동판(177)과 충돌하여 걸이부(13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81);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소방호스가 걸리는 걸이대(131);와
승강와이어(151)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부(150)와 연결되는 도르래(135);와
상기 도르래(135)가 내부에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136a)가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36);과
상하방향의 장공(1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36)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걸이대(131)에 결합되는 도르래 지지대(137);를 포함하되,
상기 도르래 지지대(137)의 장공(137a)에는 상기 하우징(13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36a)가 관통 삽입되어있어, 상기 도르래(135)가 상기 장공(137a)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A fire hos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hanger portion to which a fire hose is attached, an elevation driving portion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hanger portion, and an elevation guide for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hanger portion,

A safety stopper 170 having a breaking plate 177 protruding toward the elevation guide 110 when the hook 130 is disconnected from the elevation driving unit 150; And
And a stopper 181 which collides with the brake plate 177 to stop the lowering of the hook 130,

The hooking part (130)
A hanger 131 to which the fire hose is attached;
A pulley 135 connected to the elevation driving unit 150 by a lifting wire 151;
A housing 136 in which the pulley 135 is installed and a guide protrusion 136a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And a pulley support 137 formed with an elongated slot 137a and coupled to the hanger 131 with the housing 136 interposed therebetween,
A guide protrusion 136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36 is inserted through the slot 137a of the pulley support 137 so that the pulley 135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lot 137a Wherein the safety stop device is adapted to be actuat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멈춤부(170)는,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136)에 결합되어, 상기 도르래(135)의 위치에 따라 장력이 변동되는 견인와이어(171);
상기 걸이대(131)에 설치되며 관통홀(175a)이 형성된 지지판(175);
일단부에는 상기 제동판(177)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말단이 연결되는 이송바(173);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1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stop (170)
A traction wire 171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housing 136 and whose tension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ulley 135;
A support plate 175 installed on the hanger 131 and having a through hole 175a;
A transfer bar 173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ffle plate 177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traction wire;
And an elastic body (179)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brake plung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110)는 상기 걸이부(130) 쪽으로 돌출 형성된 레일(115)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판(177)에는 상기 돌출 형성된 레일(115)의 형상에 대응하는 간섭방지홈(17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on guide 110 includes a rail 115 protruded toward the hanger 130,
Wherein an anti-interference groove (177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ded rail (115) is formed on the brake plate (177).
KR1020140169740A 2014-12-01 2014-12-01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KR101593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40A KR101593499B1 (en) 2014-12-01 2014-12-01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40A KR101593499B1 (en) 2014-12-01 2014-12-01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499B1 true KR101593499B1 (en) 2016-02-12

Family

ID=5535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40A KR101593499B1 (en) 2014-12-01 2014-12-01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4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369B1 (en) 2017-03-16 2017-07-1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re Hose Storage Device for Indoor Fire Hydrant
KR101839208B1 (en) * 2016-05-20 2018-03-15 이석우 Safety braking apparatus of fire hose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0630A2 (en) * 1988-09-20 1990-03-28 Augat Inc. High density backplane connector
KR100199301B1 (en) 1997-04-09 1999-06-15 김병규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2010202323A (en) * 2009-03-03 2010-09-16 Koshihara:Kk Safety device of lift for construction
KR101462646B1 (en) * 2013-05-07 2014-11-20 정갑성 Apparatus for drying fire ho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0630A2 (en) * 1988-09-20 1990-03-28 Augat Inc. High density backplane connector
KR100199301B1 (en) 1997-04-09 1999-06-15 김병규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2010202323A (en) * 2009-03-03 2010-09-16 Koshihara:Kk Safety device of lift for construction
KR101462646B1 (en) * 2013-05-07 2014-11-20 정갑성 Apparatus for drying fire ho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208B1 (en) * 2016-05-20 2018-03-15 이석우 Safety braking apparatus of fire hose dryer
KR101755369B1 (en) 2017-03-16 2017-07-1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re Hose Storage Device for Indoor Fire Hyd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4295B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safety arrangement
CN202346537U (en) Car, anti-falling device for car and elevator equipment using car
KR200461068Y1 (en) Device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tage establishment
CN108689270A (en) A kind of emergent arrester of cabin elevator
CN104555648A (en) Pop-out fall protector of lifting unit
CN107879218B (en) Elevator fall protection device
KR101593499B1 (en)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CN107055261A (en) A kind of wind-power tower vertical lift device
KR101646497B1 (en) Lifting device for rescue of human
BRPI0704158B1 (en) elevator installation
KR20140022484A (en) An apparatus for falling prenent of elevator
CN106629345A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vertical lift device of the wind tower drum
ES2694854T3 (en) Method to move an elevator car
CN204198193U (en) Elevator
CN201043113Y (en) Anti-break rope elevator
EP3483108B1 (en) Elevator safety gear trigger
KR20160064527A (en) Emergency multi-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US311783A (en) Elevator
CN210944387U (en) Anti-falling safe straight elevator
CN204111104U (en) A kind of elevator anti-fall device
KR100646813B1 (en)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CN209721294U (en) A kind of buffering anti-falling cage
CN109052102B (en) Emergency safety braking device for elevator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101217618B1 (en)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