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618B1 -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 Google Patents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618B1
KR101217618B1 KR1020120084165A KR20120084165A KR101217618B1 KR 101217618 B1 KR101217618 B1 KR 101217618B1 KR 1020120084165 A KR1020120084165 A KR 1020120084165A KR 20120084165 A KR20120084165 A KR 20120084165A KR 101217618 B1 KR101217618 B1 KR 10121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eat belt
driving unit
electric win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규현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림에스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에스엠(주) filed Critical 대림에스엠(주)
Priority to KR102012008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6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Abstract

PURPOSE: A safety belt device is provided to make the overall experience safe for a wearer when wearing a belt. CONSTITUTION: A safety belt device comprises a pair of supporting stands(100) set up with a guide rail having a top and bottom which are faced each other; a lifting unit(200) where both ends move accordingly to the guide rail; a first driving unit(300) which lifts primarily by towing the safety belt of a person until sensing the criteria`s weight; a second driving unit(400) which lifts secondarily by towing the lifting unit until the set-up height senses the criteria`s weight from the first driving unit; a controller which lifts the second driving unit in case the sensing signal from the criteria`s weight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Description

안전벨트 체험장치{SAFETY BELT EXPERIENCE DEVICE}Seat belt experience device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본 발명은 안전벨트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험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1차로 인양하고, 기설정된 기준중량이 감지되는 경우, 체험자를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체험자의 인체가 안전벨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체험자를 초속1m-2m속도로 급속 상승시켜 하강의 느낌을 들게할 수 있고, 안전벨트의 종류에 따라(전체식, 상체식 허리벨트)요추에 느껴지는 압박강도가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안전한 전체식 벨트 착용을 유도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lift a seat belt worn by a first person first, and when a predetermined reference weight is sensed, by lifting the experience person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ground, the human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at belt,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can rapidly rise at a speed of 1m-2m per second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ground to feel the descent,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seat belt (whole, upper body waist be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experience device that can induce a different experience, inducing the most secure overall belt wearing.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 현장에서는 다양한 위험 요소가 도사리고 있어 각별한 주위를 요한다.In general, there are a variety of risk factors at the construction site, which requires special attention.

특히, 건물 등의 난간 등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추락하거나, 건물의 난간이나 거푸집 등이 붕괴에 의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In particular, when working on a railing of a building or the like, it is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due to carelessness of an operator or falling of a railing or form of a building by a collapse.

종래에는, 건축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사용되고, 작업자들에 대한 안전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Conventionally, safety belts are used to prevent the fall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safety training for workers is periodically performed, but they still fall down from high places while working without wearing the seat belt. Accidents occur frequently.

때문에, 종래에는 안전 교육용 가설 구조물을 제작하여, 작업자가 실제로 추락하는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작업 부주위로 인한 추락 사고의 위험성을 실제로 접해보도록 하여 안전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by constructing a safety education construction structure, allowing the worker to experience the situation that actually fall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earing the seat belt, to actually encounter the risk of falling accidents due to the work around the safety education To increase the effect.

그러나, 종래의 안전 교육용 가설 구조물은 실제 추락 상황을 체험하는 과정에서도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가설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afety education temporary structure h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even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actual fall situation, it was not efficient because it takes a lot of cost to manufacture the temporary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체험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1차로 인양하고, 기설정된 기준중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체험자를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체험자의 인체가 안전벨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체험자를 초속1m-2m속도로 급속 상승시켜 하강의 느낌을 들게할 수 있고, 안전벨트의 종류에 따라(전체식, 상체식 허리벨트)요추에 느껴지는 압박강도가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안전한 전체식 벨트 착용을 유도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lift the seat belt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by operating the first drive unit, and to operate the second drive unit only when a predetermined reference weight is sensed to raise the experienced person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en the human body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at belt, the experienced person can rapidly rise at a speed of 1m-2m per second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ground, and can feel the desc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eatbelt (full type, upper body type) Waist Belt) The compression strength felt at the lumbar spine enables a different experience, providing a seat belt experience device that can induce the safest overall belt wearing.

또한, 안전벨트가 견인될 때 체험자의 인체와 안전벨트 간의 충격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견인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impact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eat belt of the experienced person when the seat belt is towed, to provide a seat belt experience device that does not cause severe pain during towing.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는, 상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체험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견인하여 기준중량이 감지될 때까지 1차로 상승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에서 상기 기준중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를 견인하여 설정높이까지 2차로 상승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기준중량이 기설정되며, 상기 제1구동부로부터 상기 기준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구동부를 상승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upports that are each installed so as to have a length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top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uide rail having a length up and down on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and the pair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supports of the lifting, the both ends are moved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lifting portion, and installed on the lifting portion, tow the seat belt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until the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1 A first driving unit which is lifted by a vehicle, and a second dr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s, and when the first driving unit senses the reference weight, pulls the lifting unit and raises it to a set height secondly; The reference weight of the driving unit is preset, and when the reference weigh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unit, the controller for raising the second driving unit .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일정 높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스토퍼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부의 양단을 일정 높이에서 걸림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ir of supports ar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stoppers protrude inwardly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stopper is supported by both ends of the lifting portion at a certain height to prevent the lifting portion is lowered below a certain heigh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승강부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견인되어 승강하는 제1승강대 및, 상기 제1승강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제1구동부가 설치되는 제2승강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elevating un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he first elevating platform is pulled up and lif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and is connec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platform, both ends of the I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so as to be slidable, and provided with a second lifting platform on which the first driving un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제1승강대의 하단에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 또는 상기 유압 실린더는 하단의 로드가 상기 제2승강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2승간대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form is provided with any one of an air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the air cylinder or the hydraulic cylinder is a rod of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the first platform and the second It is desirable to variably adjust the spacing of the intertidal zone.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2승강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전동윈치와, 상기 제1전동윈치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1전동윈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1전동윈치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및 풀림되며, 길이방향이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에 각각 롤링 지지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지지롤러에 롤링 지지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설치되며, 체험자가 착용한 상기 안전벨트에 연결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lectric winch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a first support roll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electric winch, and a seco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electric winch. A first wire having a support roller and one 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winch, wound and unrolled, and a first wir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roll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roller and the second support roller, respectively, and rolling on the support roller.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hook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ire to be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seat belt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는 제2전동윈치와, 상기 제2전동윈치에 길이방향 상단이 연결되어 권취 및 풀림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대에 연결되는 제2후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driv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electric winch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winc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wound and unwound,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wire.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hook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platform.

또한,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2승강대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guide roller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form and the second platform.

한편,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거리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을 중지시켜 상기 승강부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to the ground, the controller stops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e unit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the height of the lifting unit a certain height It can be located at

본 발명은 기설정된 기준중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체험자를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체험자의 인체가 안전벨트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체험자를 초속1m-2m속도로 급속 상승시켜 하강의 느낌을 들게할 수 있고, 안전벨트의 종류에 따라(전체식, 상체식 허리벨트)요추에 느껴지는 압박강도가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안전한 전체식 벨트 착용을 유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econd drive unit only when a predetermined reference weight is sensed, thereby elevating the experienced person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human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at belt. Rapidly rise at a speed of 1m-2m per second to feel the feeling of descent,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seatbelt (whole, upper body waist belt), the pressure strength felt by the lumbar spine can be different, so the safest whole Has an effect that can induce wearing a belt.

그리고, 체험자의 인체와 안전벨트 간의 충격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견인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impact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eat belt of the experienced person, to provide a seat belt experience device that does not cause severe pain during towing.

또한, 스토퍼를 이용해 승강부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체험자가 낙하 충격으로 인해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portion from falling below a certain height by using the stopper, and has an effect that the experienced person is not injured by the drop impa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의 제어부와,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 간의 연결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에서 제1전동윈치의 구동에 의해, 제1와이어에 연결된 후크가 안전벨트를 기준중량이 감지될 때까지 견인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에서 제2전동윈치의 구동에 의해 제2와이어에 연결된 후크가 승강부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unit, a first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of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connected to the first wire towing the seat belt until the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electric winch in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by the drive of the second electric winch in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lift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는 한 쌍의 지지대(100)와, 승강부(200)와, 제1구동부(300)와, 제2구동부(400) 및, 제어기(5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the support 100, the lifting unit 200, the first driving unit 300, the second driving unit 400 And a controller 500.

먼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상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설치된다.First, the pair of supports 100 are installed so as to have a length up and down in the state that the top is connected to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상단에는 후술 될 제2구동부(400)를 설치하기 위한 수평바(110)가 설치된다.To this end, a horizontal bar 110 for installing the second driv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ir of the support (100).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120)이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00 are provided with guide rails 120 having a length up and down on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120)은, 후술 될 승강부(20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Each of the guide rails 120 serves to guide the lift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에는 일정 높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스토퍼(13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toppers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pair of supports 100.

상기 스토퍼(130)는, 승강부(200)의 양단을 일정 높이에서 걸림 지지하여, 승강부(200)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opper 130 supports both ends of the lifting unit 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the lifting unit 200 from descending below a predetermined height.

예를 들어, 후술 될 제2구동부(400)의 제2와이어(420)와 승강부(200)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승강부(200)에 매달린 체험자(1)가 바닥으로 떨어져 낙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wire 420 and the elevating unit 200 of the second driv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broken, the experienced person 1 hanging on the elevating unit 200 falls to the floor and falls. There is concern.

승강부(200)는,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200)의 양단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The lifting unit 200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100 so as to lift up and down, and both ends of the lifting unit 200 slide along the respective guide rails 120.

여기서, 상기 승강부(200)는 제1승강대(210) 및, 제2승강대(220)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lifting unit 200 may be provided as a first lifting platform 210 and a second lifting platform 220.

먼저, 상기 제1승강대(210)는 양단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1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구동부(400)에 의해 견인되어 승강된다.First, both ends of the first lifting platform 21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120, and are lifted and lif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400.

그리고, 상기 제1승강대(210)의 하단에는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를 연결하기 위한 에어 실린더(230) 또는 유압 실린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cylinder 230 or a hydraulic cylinder for connecting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latform 210.

상기 에어 실린더(230) 또는 유압 실린더는, 하단의 로드가 제2승강대(2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 간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air cylinder 230 or the hydraulic cylinder, the lower ro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220,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이와 다르게, 상기 제1승강대(210)의 하단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권취 및 풀림이 가능한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driving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lifting platform 210, and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not shown) capable of winding and unwinding may be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즉, 상기 구동모터의 권취 또는 풀림 동작에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may be adjusted in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상기 제2승강대(220)는, 제1승강대(21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고, 양단이 가이드 레일(1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lifting platform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of the first lifting platform 210, both ends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20.

그리고, 상기 제2승강대(220)의 상단에는 체험자(1)가 착용한 안전벨트(2)를 1차로 견인하기 위한 제1구동부(3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first driving part 30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ing platform 220 to primarily pull the seat belt 2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1.

이와 같은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의 양단에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1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2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guide rollers 240 slid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guide rails 120 may be provided.

제1구동부(300)는, 제2승강대(2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체험자(1)가 착용한 안전벨트(2)를 견인하여 기준중량이 감지될 때까지 1차로 상승시킨다.The first driv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ing platform 220, and pulls the seat belt 2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1 to the primary until the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300)는 제1전동윈치(310)와, 제1지지롤러(311)와, 제2지지롤러(320)와, 제1와이어(330) 및, 제1후크(340)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ing unit 300 is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the first support roller 311, the second support roller 320, the first wire 330 and the first hook 340 It may be provided as).

먼저, 상기 제1전동윈치(310)는 제2승강대(2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제1와이어(330)를 권취 또는 풀림 시킨다.First,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220, winding or unwinding the first wire 330 to be described below.

이를 위해, 상기 제1전동윈치(310)의 내부에는 제1와이어(330)를 권취 및 풀림 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n electric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to wind and unwind the first wire 330.

제1지지롤러(311)는, 제1전동윈치(310)의 상단에 설치되며, 후술 될 제1와이어(330)의 길이방향을 하부에서 롤링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roller 311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and supports the first wire 3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rolled from the bottom.

제2지지롤러(320)는, 제1전동윈치(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와이어(330)의 길이방향을 하부에서 롤링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roller 3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to support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first wire 330 in the lower portion.

상기 제1와이어(330)는, 제1전동윈치(310)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및 풀림되며, 상기 제1와이어(330)의 타단이 제2지지롤러(320)에 롤링 지지된다.The first wire 330 is one end of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winding and unwind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330 is roll-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roller (320).

제1후크(340)는, 제2지지롤러(320)에 롤링 지지되는 제1와이어(330)의 일단에 설치되어 체험자(1)가 착용한 안전벨트(2)에 연결된다.The first hook 34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wire 330 that is roll-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roller 320 and is connected to the seat belt 2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1.

이와 같이, 제1구동부(300)는 제1후크(340)에 체험자(1)의 안전벨트(2) 걸림 방식으로 연결한 후, 제1전동윈치(310)를 구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iv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ok 340 by the locking belt 2 of the experienced person 1, and then drives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이때, 제1전동윈치(310)에 제1와이어(330)가 권취됨과 동시에 제1후크(340)에 연결된 안전벨트(2)가 상부로 견인된다.At this time, the first wire 330 is wound around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and the seat belt 2 connected to the first hook 340 is pulled upward.

그리고, 제1전동윈치(310)로 전해지는 부하가 후술 될 제어기(500)에 기설정된 기준중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1전동윈치(310)의 견인동작이 중지되고, 이하 설명된 제2구동부(400)가 동작한다.When the load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reaches the reference weight preset in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towing operation of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is stopped, and the second operation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The driving unit 400 operates.

제2구동부(400)는, 한 쌍의 지지대(100) 상단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300)의 제1전동윈치(310)에서 기준중량을 감지하는 경우에 동작한다.The second driv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s 100 and operates when the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by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of the first driving unit 300.

즉, 상기 제2구동부(400)는 전술한 제1승강대(210)를 상부로 견인하여 설정높이까지 2차로 상승시킨다.That is, the second driving unit 400 pulls the first lifting platform 210 above and raises it to the set height secondly.

이를 위해, 상기 제2구동부(400)는 제2전동윈치(410)와, 제2와이어(420) 및, 제2후크(430)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driving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 winch 410, a second wire 420, and a second hook 430.

먼저, 상기 제2전동윈치(410)는 한 쌍의 지지대(100) 상단에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제2와이어(420)를 권취 또는 풀림 시킨다.First, the second electric winch 4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100, to wind or unwind the second wire 420 to be described below.

제2와이어(420)는, 제2전동윈치(410)에 길이방향 상단이 연결되어 상방으로 권취되거나 하방으로 풀림된다.The second wire 420 has a longitudinal upp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winch 410 and is wound up or unwinded downward.

제2후크(430)는, 제2와이어(420)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에 위치되는 제1승강대(210)에 연결된다.The second hook 4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ire 42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 platform 210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여기서, 전술한 제1승강대(210)의 상단에는 상기 제2후크(430)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hook 211 for connecting the second hook 43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lifting platform 210.

제어기(500)는, 제1전동윈치(310)에 감지하는 기준중량이 기설정되며, 상기 제1전동윈치(310)로부터 상기 기준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전술한 제2구동부(400)의 제2전동윈치(410)를 구동시킨다.When the reference weight detected by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is preset, and the reference weigh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the controller 500 includes the second driver 400 described above. To drive the second electric winch (410).

그리고, 상기 제어기(500)에는 작업자 또는 체험자(1)가 전술한 각 장치들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0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witch 510 for the operator or the experienced person 1 to turn on or operate the powers of the aforementioned devices.

또한, 상기 제어기(500)에는 전술한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가 상승 위치된 위치를 유지시킨 후,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기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00 maintains the position where the above-described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are raised, and then descends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The waiting time for doing so may be preset.

한편, 전술한 제2승강대(220)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lower sensor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platform 2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거리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을 중지시켜, 승강부(200)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ler may stop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to position the lift unit 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이하, 도 3과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먼저, 안전벨트(2)를 착용한 체험자(1)가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로 들어간 후, 제1후크(340)를 안전벨트(2)에 연결한다.First, the experienced person 1 wearing the seat belt 2 enters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100, and then connects the first hook 340 to the seat belt 2.

그리고, 제어부(500)의 조작 스위치(510)를 이용해 전원 온(ON) 및 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우, 제1전동윈치(310)의 구동에 의해 제1와이어(330)가 권취됨과 동시에 제1후크(340)가 상승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device is driven using the operation switch 510 of the controller 500, the first wire 330 is wound and the first hook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340 is raised.

이때, 상기 제1후크(340)에 연결된 안전벨트(2)는 일정 높이까지 견인이 이루어지며, 안전벨트(2)의 하단이 체험자(1)의 인체에 걸릴 때 일정 부하가 제1전동윈치(310)로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seat belt 2 connected to the first hook 340 is towed to a certain height, when the lower end of the seat belt 2 is caught by the human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1) the first electric winch ( 310).

다음으로, 상기 제1전동윈치(310)에 기준중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동윈치(310)의 기준중량 감지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된다.Next, when the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by the first electric winch 310, the reference weight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ic winch 3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의 구동제어에 의해 제2전동윈치(410)가 구동되고, 상기 제2전동윈치(410)의 구동에 의해 제2와이어(420)가 권취됨과 동시에 제2후크(430)가 상승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ic winch 410 is driven by the driv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and the second wire 420 is woun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electric winch 41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hook 430 is used. ) Rises.

이때, 상기 제2후크(430)에 연결된 제1승강대(210)와 에어 실린더(230)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승강대(210)와 연결된 제2승강대(220)가 함께 상승 위치되고, 체험자(1)는 제1후크(340)에 걸린 상태로 일정 높이에 매달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latform 210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43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connected to the first platform 210 by the air cylinder 230 or the hydraulic cylinder is raised together, the experienced person (1) is suspen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first hook 340.

최종적으로, 기설정된 시간이 카운팅된 후,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Finall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is counted,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may descend to the original position.

이때, 감지센서(600)의 거리 감지를 통해 제1승강대(210)와 제2승강대(220)는 지면과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정지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platform 210 and the second platform 220 is stopp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sensing the distance of the sensor 60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체험자(1)의 인체가 안전벨트(2)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면과 이격된 위치로 체험자(1)를 초속1m-2m속도로 급속 상승시켜 하강의 느낌을 들게할 수 있고, 안전벨트(2)의 종류에 따라(전체식, 상체식 허리벨트)요추에 느껴지는 압박강도가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안전한 전체식 벨트 착용을 유도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of the experiencer 1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at belt 2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rapidly rise the experiencer 1 at a speed of 1m-2m per second to feel the desc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at belt (2) (whole, upper body waist belt), the compressive strength felt by the lumbar spine can be experienced, leading to the safest overall belt wearing.

그리고, 체험자(1)의 인체와 안전벨트(2) 간의 충격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견인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impact between the human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1 and the seat belt 2, so that the pain during the traction can not be severely generated.

또한, 스토퍼(130)를 이용해 승강부(200)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체험자(1)가 낙하 충격으로 인해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unit 200 from falling below a certain height by using the stopper 130,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1 may not be injured by the drop impac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체험자 2: 안전벨트
100: 지지대 110: 수평바
120: 가이드 레일 130: 스토퍼
200: 승강부 210: 제1승강대
211: 걸림구 220: 제2승강대
230: 에어 실린더 240: 가이드 롤러
300: 제1구동부 310: 제1전동윈치
311: 제1지지롤러 320: 제2지지롤러
330: 제1와이어 340: 제1후크
400: 제2구동부 410: 제2전동윈치
420: 제2와이어 430: 제2후크
500: 제어기 510: 조작 스위치
600: 감지센서
1: Experiencer 2: Seat belt
100: support 110: horizontal bar
120: guide rail 130: stopper
200: elevator 210: first platform
211: latch 220: second platform
230: air cylinder 240: guide roller
300: first driving unit 310: first electric winch
311: first support roller 320: second support roller
330: first wire 340: first hook
400: second drive unit 410: second electric winch
420: second wire 430: second hook
500: controller 510: operation switch
600: detection sensor

Claims (8)

상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내측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체험자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견인하여 기준중량이 감지될 때까지 1차로 상승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에서 상기 기준중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를 견인하여 설정높이까지 2차로 상승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의 기준중량이 기설정되며, 상기 제1구동부로부터 상기 기준중량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구동부를 상승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A pair of support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have a length vertically in a state where the top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guide rail having a vertical length is installed on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lifting unit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to move up and down, both ends of which are slide-moved along the guide rails;
A first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lifting part and firstly pulling the seat belt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until a reference weight is detecte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s and configured to pull the lift unit to the second height to a set height when the first driving unit senses the reference weight;
And a controller that raises the second driving part when the reference weight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riving part and the reference weight of the first driving part is pre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일정 높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스토퍼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부의 양단을 일정 높이에서 걸림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upports,
One or more stoppers protrude inwardly at a certain height,
The stopper is,
A seat belt experienc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of the elev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the elevating portion from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견인되어 승강하는 제1승강대 및,
상기 제1승강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제1구동부가 설치되는 제2승강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unit,
First and second ends of which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s, the first platform being pulled up and down by the second driving unit;
The seat belt experienc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of the first platform, both ends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the upper seat is provided with a second platform for the first drive unit is installe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대의 하단에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 또는 상기 유압 실린더는,
하단의 로드가 상기 제2승강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2승간대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t the bottom of the first platform,
Equipped with either an air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The air cylinder or the hydraulic cylinder,
The lower end of the ro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the experience of the seat bel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first platform and the second platform varia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2승강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전동윈치와,
상기 제1전동윈치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1전동윈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1전동윈치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및 풀림되며, 길이방향이 상기 제1지지롤러와 상기 제2지지롤러에 각각 롤링 지지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지지롤러에 롤링 지지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설치되며, 체험자가 착용한 상기 안전벨트에 연결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riving unit,
A first electric winch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form;
A first support roll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electric winch,
A second support roll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electric winch,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 winch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ound and unwinded, the first wire being roll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supporting roller and the second supporting roller, respectively;
Safety belt experienc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ok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wire that is supported by the rolling support roller, and connected to the seat belt worn by the experienced pers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는 제2전동윈치와,
상기 제2전동윈치에 길이방향 상단이 연결되어 권취 및 풀림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대에 연결되는 제2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electric winch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support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winc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wound and unwound;
The seat belt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ok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first platfor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2승강대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form and the second platform,
Safety belt experienc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거리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을 중지시켜 상기 승강부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unit,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ground,
The controller,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the seat belt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to position the lifting portion at a certain height.
KR1020120084165A 2012-07-31 2012-07-31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KR101217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65A KR101217618B1 (en) 2012-07-31 2012-07-31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65A KR101217618B1 (en) 2012-07-31 2012-07-31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618B1 true KR101217618B1 (en) 2013-01-02

Family

ID=4784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165A KR101217618B1 (en) 2012-07-31 2012-07-31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6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93U (en) * 2015-07-20 2017-02-01 정용일 Movable safety simula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56Y1 (en) 2004-11-17 2005-02-07 한국산업안전공단 Drop Experiencing Apparatus
KR100918858B1 (en) 2008-02-20 2009-09-28 (주)영우산업 An apparatus for having experience of a safety belt
KR200455057Y1 (en)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for construction site
KR20110128457A (en) * 2010-05-24 2011-11-30 김진갑 The child stewed and obstinate experie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56Y1 (en) 2004-11-17 2005-02-07 한국산업안전공단 Drop Experiencing Apparatus
KR100918858B1 (en) 2008-02-20 2009-09-28 (주)영우산업 An apparatus for having experience of a safety belt
KR200455057Y1 (en) 2010-04-22 2011-08-12 (주)청아아이앤시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for construction site
KR20110128457A (en) * 2010-05-24 2011-11-30 김진갑 The child stewed and obstinate experienc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93U (en) * 2015-07-20 2017-02-01 정용일 Movable safety simulation apparatus
KR200484855Y1 (en) * 2015-07-20 2017-11-02 정용일 Movable safety simul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7738B (en) For the falling-prevention protecting device of platform
KR101197832B1 (en) Lifting auxiliary
JP5833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imbing assistance
US9868616B2 (en) Double-deck elevator
CN105358468B (en) The extension in vertical shaft region
CN107879218B (en) Elevator fall protection device
CN105366524B (en) A kind of liftable interlock and its control method of stopping in emergency of handrail elevator
CN104803265A (en) Elevator safety device
KR101217618B1 (en) Safety belt experience device
CN106865393A (en) A kind of intelligent elevator of safety and energy-saving
CN107055261A (en) A kind of wind-power tower vertical lift device
CN206969936U (en) Home lif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CN106629345A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vertical lift device of the wind tower drum
CN107522075A (en) A kind of automatic opening-closing for construction elevator door
CN207312898U (en) A kind of automatic opening-closing for construction elevator door
KR20140022484A (en) An apparatus for falling prenent of elevator
KR101593499B1 (en) Drying apparatus for fire hose with safety blocking equipment
CN205328400U (en) Elevator and lift fall and personnel weigh down well accident emergency rescue system
CN207144452U (en) A kind of gasbag-type hanging basket
CN206767401U (en) A kind of intelligent elevator of safety and energy-saving
CN109678027A (en) A kind of anti-falling safe elevator
CN102976183A (en) Construction lift for building under construction
CN104150304B (en) Lifting height limiter
CN203158962U (en) Anti-falling system of construction elevator
CN203064928U (en) Anti-falling system of constructio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