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92B1 -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92B1
KR101592992B1 KR1020090067372A KR20090067372A KR101592992B1 KR 101592992 B1 KR101592992 B1 KR 101592992B1 KR 1020090067372 A KR1020090067372 A KR 1020090067372A KR 20090067372 A KR20090067372 A KR 20090067372A KR 101592992 B1 KR101592992 B1 KR 10159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ter
floating
pattern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9922A (en
Inventor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9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2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터의 패턴에 따라 포의 부유 여부를 판단하고, 부유 포에 적합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의 부유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비산이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attern of the motor, judges whether the cloth is floating according to the detected pattern of the mot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suitable for the floating cloth to improve the washing and rins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cattering and overflow phenomenon of water generated by floating of the can.

세탁기, 탑로드, 제어, 모터, 부유, 베개 Washing machine, top load, control, motor, floating, pillow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의 부유에 의한 물의 비산 및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하고, 세탁 및 헹굼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scattering and overflow of water caused by floating of a cloth, and further improving washing and rins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로 구분된다. Generally,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that removes contaminants from clothes, bedding,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am") by using water, a detergent, and a mechanical action, A dryer for drying a wet cloth by using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combined with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 function.

또한, 상기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와,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a swinging and entering ho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binet and washing is performed by a rotating water stream generated when the inner tub is rotated, And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washing is performed by a drop of a can.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포 출입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포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장치와, 상기 외조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외조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급수장치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A conventional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cabinet hav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 top cover coupled to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having a take-in / out hole,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take-in / An outer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ter; an inner tub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 and washing the inner tub; a motor devic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tub to rotate the inner tub;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outer tank, and a water drain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outer tank. The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detergent supply devic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detergent together with water.

상기 내조의 내부 하면에는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상기 내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A pulsator forming a water stream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tub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내조와 펄세이터가 일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탁,헹굼,탈수 행정 등이 각각 수행된다.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ashing, rinsing, dewatering, etc. are performed while the inner tank and the pulsator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내조와 펄세이터가 고속 회전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통공을 통해 상기 내조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후, 상기 내조와 외조 사이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한 후, 상측에서 상기 내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수류(이하,'알파수류'라 칭함.)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상기 내조의 통공을 통과할 때, 포는 상기 내조의 내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내조의 상측에서 투입되는 알파 수류가 상기 내조내의 포를 투과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포로부터 오염물질이 분리된다.When the inner tank and the pulsator rotate at a high speed, the washing 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ank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inner tank by the centrifugal force, then flows upwar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ank and the outer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lpha water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inner tub, the inner tub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Further, the alpha water inj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ank permeates the inner tank, and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from the captive while repeating this process.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베개 등과 같이 부피가 커서 상기 내조를 가득 채우거나 상기 내조내에서 부유하는 포들이 투입될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유한 포들이 급수유로를 막게 되어, 급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조의 상측에서 투입되는 알파 수류가 부유한 포들에 부딪혀 사방으로 튀거나 상기 외조 밖으로 넘치는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세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does not detect such a large volume as a pillow or the like when the inner tank is filled up or the bags floating in the inner tank are inser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ating water is block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water supply is not properly perform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flow phenomenon that the alpha water inj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ank hits the floating pellets,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wash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등과 같은 포의 부유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비산이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scattering and overflow of water generated by floating of a can, such as a pillow.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내조에 포를 투입한 후,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모터패턴 감지단계와, 감지된 모터의 패턴을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투입된 포의 부유 여부를 판단하는 포 판단단계와, 포가 부유상태라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부유 포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pattern sensing step of sensing a pattern of a motor by driving a motor after a cloth is inserted into an inner tank; comparing a pattern of the sensed motor with a pre- And an operation step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suspended particle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 패턴 감지단계는 내조와 펄세이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하는 펄스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pattern sensing step may detect the number of pulses vary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inner rotor and the pulsat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 판단단계에서는 감지된 모터의 패턴을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부유 포가 베개라고 판단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ciding step, the detected pattern of the motor is compared with the pre-stored pattern to determine that the floating cap is a pillow.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유 포 모드는 상기 모터의 최고 회전속도가 포가 부유상태가 아닌 경우의 최고 회전속도보다 낮도록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mode is controlled such that the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lower than the maximum rotation speed when the carriage is not in the floating stat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유 포 모드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가 상기 내조내의 포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내벽면에 압착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조내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벽면을 통과한 후 외조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내조의 상측으로 분사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미만이도록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ing mode is such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otation speed at the time when the bag in the inner tank starts to be pres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ank by the centrifugal force, Is controlled to be less than the rotational speed at the time of rising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ub after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and starting to be injected upward of the inner tub.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유 포 모드는 상기 내조의 수위가 포가 부유상태가 아닌 경우의 최고 수위보다 높도록 급수 어셈블리를 제어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ation mode controls the water supply assembly such that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tank is high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en the float is not floatin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유 포 모드는 상기 내조의 상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한 급수를 차단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mode blows water through the spray nozzle provided above the inner tank.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가 부유상태라고 판단되면, 그에 따른 경고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warning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유 포가 베개라고 판단되면, 베개를 내조안에 수평방향으로 투입하라는 경고를 외부에 표시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ating cap is a pillow, a warning is given to the outside to insert the pil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ner tank.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고, 감 지된 모터의 패턴에 따라 포의 부유 여부를 판단하고, 부유 포에 적합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의 부유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비산이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attern of the motor, judge whether the cloth is floating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motor, control the operation suitable for the floating cloth, and improve the washing and rins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cattering and overflow phenomenon of water generated by floating of the ca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hing machine') as an embodimen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포 모드의 원심투과세탁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And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결합된 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leg assem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1.

상기 케이스(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기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 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5)를 포함한다. The cabinet 2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which are opened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The top cover 3 cover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2 on the open bottom.

상기 캐비닛(2)내에는 물이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6)와, 상기 내조(6)를 구동시키는 모터(8) 등의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외조(4)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20)가 배치된다. The cabinet 2 includes an outer tub 4 in which water is received, an inner tub 6 disposed inside the tub 4 to receive laundry, a motor 8 for driving the inner tub 6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outer tank 4 and a drainage assembly 20 for draining water in the outer tank 4 after the washing or dewatering is completed.

또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탑 커버(3)에 설치되어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공급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10)와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를 상기 내조(6)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The case 1 further includes a detergent supply unit 30 installed in the top cover 3 for temporarily storing detergent.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1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into the inner tank 6 together with water to be supplied.

상기 탑커버(3)에는 포를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포 출입홀(3a)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 출입홀(3a)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는 프레임부(40a)와, 상기 프레임부(40a)에 끼워진 글래스부(40b)를 포함한다.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bag entrance / exit hole 3a so that the bag can be inserted or removed.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door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y / exit hole 3a. At least a part of the door 40 may be made of glass so that the inside of the door 40 can be seen. That is, the door 40 includes a frame portion 40a and a glass portion 40b sandwiched between the frame portion 40a.

또한,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7)이 장착된다. A display panel 7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op cover 3 for inputting an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의 서스펜션(15)에 의해 매달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15)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조(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tub 4 is dispos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 to b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suspensions 15. One end of the suspension 1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2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ank 4. [

상기 내조(6)의 저면에는 상기 외조(4)에 수용된 물의 회전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9)가 설치된다. A pulsator (9)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6) to form a rotating water flow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tank (4).

상기 펄세이터(9)는 상기 내조(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내조(6)와 펄세이터(9)가 함께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펄세이터(9)가 상기 내조(6)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시 별도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ulsator 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tub 6 so that the inner tub 6 and the pulsator 9 can rotate together when the motor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form the inner tank 6 and rotate separately when the motor is rotated.

상기 내조(6)의 상측에는 포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내조(6)가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12)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서(12)는 내부에 소금물 등 의 액체가 충진된 액체 밸런서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ank 6, there is provided a balancer 12 for preventing the inner tank 6 from being out of balanc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can. The balancer 12 may be a liquid balancer filled with a liquid such as salt water.

상기 외조(4)의 상측에는 포의 이탈이나 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외조 커버(14)가 설치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ank (4), an outer tank cover (14)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ag and the scattering of water.

상기 급수 어셈블리(10)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세탁기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11)와,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12)와, 상기 급수 밸브(12)와 상기 세제공급부(3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12)와 급수 호스(13)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10 includes an outer hos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faucet or the like to the washing machine, a water supply valve 12 connected to the outer hose 11 to intermittently supply water, And a water supply hose 13 connecting the water supply valve 12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 The water supply valve (12) and the water supply hose (13) form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유로상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호스(13)와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박스 하우징(31)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세제박스(32)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상기 세제박스(32)의 상면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한다.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channel.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ncludes a detergent box housing 3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 13, a detergent box 32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31)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to spray water.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은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 형성된 세제박스 설치부에 설치된다.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is installed in a detergent box moun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cover 3.

상기 세제박스(32)는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물의 공급시 물과 함께 세제가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detergent box 32 is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so that a user can take it out of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for inputting detergent. The detergent box 32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is opened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together with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의 하부에 연결된 제 1배수 호스(21)와, 상기 제 1배수 호스(21)상에 설치되어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22)와, 물을 펌핑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하우징(24)과,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 2배수호스(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내에는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내재된다. The drainage assembly 20 includes a first drainage hose 2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tank 4, a drain valve 22 provided on the first drainage hose 21 to block drainage of water, And a second drain hose (24) connected to the drain pump housing (24) and draining water pumped by the drain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The drain pump housing 25). A drain motor for driving the drain pump is housed in the drain pump housing 24.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와 상기 베이스(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age assembly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tank 4 and the base 5.

또한, 상기 급수 어셈블리(10)는 상기 급수 유로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내조(6)내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 노즐(40)은 상기 탑 커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세제공급부(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10 further includes an injection nozzle 40 for injec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hannel into the inner tank 6. [ The spray nozzle 40 may be installed in the top cover or may be installed in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탁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7)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7a)와,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b)와, 상기 입력부(7a)를 통해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8)와 급수 어셈블리(10), 배수 어셈블리(20), 표시부(7b)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더 포함한다.4,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n input unit 7a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7 and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display unit 7b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8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10, the drainage assembly 20 and the display unit 7b when the oper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7a .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모터(8)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5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압 감지부(51)에서 감지된 전압의 변동을 전송받고, 그에 따라 포량이나 포의 종류를 판단하여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voltage sensing unit 51 for sensing a variation of a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8.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variation of the voltage sensed by the voltage sensing unit 51,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a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50)는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급수되기 이전 상태에서 건포의 양을 감지하고(S11), 일정 수위만큼 급수한다(S12). 그리고, 급수 이후 상태인 습포를 감지한다.(S13)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the control unit 50 performs a step of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S10). The amount of the dry cloth is sensed before the water supply (S11) ). Then, it detects the state of the state after the water supply (S13)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8)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내조(6)와 펄세이터(9)를 일정 시간동안 좌우로 번갈아가며 회전시키면서, 상기 모터(8)의 패턴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8)의 패턴으로 상기 모터(8)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수를 감지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In order to detect the amount of the waste, the power of the motor 8 is applied, and the pattern of the motor 8 is sensed by alternately turning the inner tank 6 and the pulsator 9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motor 8 is detected by the pattern of the motor 8, and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상기 모터(8)의 오프시, 상기 모터(8)의 여력에 의해 상기 모터(8)에서 펄스가 발생된다. 이 때, 발생되는 펄스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 펄스의 개수에 따라 포량을 감지하게 된다. 펄스의 개수에 따라 포량이 결정되되, 포량은 미리 입력된 테이블로부터 산출된다. 포량이 많을수록 회전속도가 느려져 적은 수의 펄스를 발생시키고, 포량이 적을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져 많은 수의 펄스 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펄스의 수에 따라 포량을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motor 8 is turned off, a pulse is generated in the motor 8 by the availability of the motor 8.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generated puls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ses having a set value or more. The quant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ses, and the quantity is calculated from a table previously input. The larger the amount of pulses, the slower the rotation speed and the fewer pulses are generated. The smaller the amount of pulses, the faster the rotation speed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pul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judge the amount of the dischar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ses.

한편, 상기 내조(6)내에 투입된 포가 물에 뜨는 부유상태일 경우, 상기 펄세이터(9)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펄세이터(9)가 헛돌 경우, 회전속도가 빨라져 많은 수의 펄스 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g inserted in the inner tank 6 is floating in the water, the pulsator 9 is idle. When the pulsator 9 is idle, the rotational speed is increased, and a large number of pulses are generated.

따라서, 부유하는 포의 경우, 일반 포의 투입시 감지되는 모터의 패턴과 다른 패턴이 감지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loating cloth,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motor detected when the general cloth is put in can be detected.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포량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터(8)의 구동시 감지된 모터(8)의 패턴을 일반 포의 투입시 감지되는 모터의 패턴과 비교하여, 포의 부유 여부를 판단하는 부유 판단단계를 수행한다.(S20) 일반 포의 투입시 모터의 패턴은 미리 저장된다. The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pattern of the motor 8 sensed when the motor 8 is driven in the sweep amount sensing step with the pattern of the motor sensed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normal sweep, (S20). The pattern of the motor is stored in advance when the general gun is charged.

상기 부유 판단단계에서는 감지된 모터의 패턴이 기 저장된 모터의 패턴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포가 부유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포가 부유하는 경우는 포가 솜을 포함하는 경우이며, 베개나 이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저장된 모터의 패턴을 세분화하여, 감지된 모터의 패턴을 복수의 상기 기 저장된 모터의 패턴과 비교하여, 포가 베개인지 또는 베개 이외의 종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e float determination step, if the detected motor pattern is out of a certain range from the previously stored motor patter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When the bag is floated, it includes a bagasse, and may include a pillow or a bed shee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 of the motor is a pillow or a type other than a pillow by subdividing the previously stored motor pattern and comparing the detected motor pattern with a plurality of patterns of the previously stored motor.

상기 부유 판단단계에서, 포가 부유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표시부(7b)를 통해 외부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S30) 상기 표시부는 문자나 숫자,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the control unit 50 may display a warning through the display unit 7b. (S30)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warning with at least one of a letter, a number, and a sound.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표시부(7b)를 통해, 부유 포가 베개일 경우, 베개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투입하라는 경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베개를 눕혀서 투입할 경우에 베개를 수직으로 세워서 투입하는 경우보다 내조의 상부에 빈공간을 확보하기가 유리하다. 내조의 상부에 공간이 확보될 경우, 급수시 물이 튀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The control unit 50 may display a warning message that the pillow is to be laid horizontally when the floating pillow is a pillow through the display unit 7b.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an empty space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ub when the pillow is laid down and the pillow is vertically installed. If space is secured on top of the inner tank, water splashing is reduced during water supply.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표시부(7b)를 통해 경고를 표시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부유 포 모드를 설정하고(S40), 그에 따라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수행한다. (S50)The controller 50 displays a warning through the display unit 7b, sets a floating mode after a predetermined time (S40), and performs washing and rinsing according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S5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부유 포 모드에서는 상기 모터(8)의 최고 회전속도를 부유 포가 아닌 일반 포의 투입시의 최고 회전속도보다 낮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8 to be lower than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at the time of input of the regular cloth, not the floating cloth, in the floating mode.

일반포의 투입시,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상기 모터(8)를 일정 속도까지 가속하여, 상기 내조(6)내의 포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6)의 내벽면에 압착되고, 상기 내조(6)내의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6)의 벽면을 통과한 후, 외조(4)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터브 커버(14)에 부딪힌 후, 상기 내조(6)의 상측으로 분사되는 원심투과세탁모드를 수행한다. The motor 8 is accelerated to a predetermined speed so that the cloth in the inner tank 6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ank 6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washing,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ub 1 passes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6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ris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ub 4 to hit the tub cover 14, Thereby performing the centrifugal permeation washing mode.

반면, 포가 부유 상태일 경우, 세탁수가 상기 내조(6)의 상측에서 포를 향해 분사될 경우, 분사된 세탁수가 포에 부딪혀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undry is in a floating state,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ank 6 toward the laundry, the sprayed washing water is scattered to the laundry.

따라서, 포가 부유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내조(6)내의 세탁수가 상기 외조(4)의 벽면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내조의 상측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 water in the inner tank 6 is rais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tank 4 so as not to be sprayed upward of the inner tank.

따라서, 상기 모터(8)의 회전속도를 상기 원심투과세탁모드의 수행시의 회전 속도보다 낮게 제어한다.Therefo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8 is controlled to be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entrifugal permeation washing mode.

즉, 상기 모터(8)의 회전속도가 상기 내조(6)내의 포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6)의 내벽면에 압착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이상이고, 상기 내조(6)내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6)의 벽면을 통과한 후 외조(4)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내조(6)의 상측으로 분사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미만이도록 제어한다.That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8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at the time when the hopper 6 in the inner tank 6 begins to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ank 6 by the centrifugal force, So as to be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at the time of starting to be sprayed upward from the inner tank 6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ank 4 after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tank 6. [

상기와 같이, 상기 모터(8)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는 상기 내조(6)의 내벽면에 압착되되, 세탁수는 상기 내조(6)와 외조(4)의 내벽면 사이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3,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8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cloth is compres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6,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tub 6 4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또한, 상기 부유 포 모드에서는,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한 급수를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40)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상기 포에 부딪혀 비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In addition, in the floating spray mode, water supply through the spray nozzle (40) is blocked. Accordingly, the phenomenon that the washing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40 is scattered by colliding with the can is prevented.

또한, 상기 부유 포 모드에서는 상기 내조(6)의 수위가 포가 부유 상태가 아닌 경우의 최고 수위보다 높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한다. 즉, 부유 상태의 포가 잠기 정도로 급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loating mode, the water supply valve is controlled such that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tank 6 is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when the tank is not in the floating stat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water in the floating state is submerged enough.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모터의 패턴에 따라 포의 부유 여부를 판단하고, 부유 포에 적합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의 부유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비산이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attern of the motor, judges whether the cloth is floating according to the detected pattern of the mot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suitable for the floating cloth to improve the washing and rins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cattering and overflow phenomenon of water generated by floating of th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포 모드의 원심투과세탁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entrifugal permeable washing of a floating foam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4: 외조 6: 내조4: outer tub 6: inner tub

8: 모터 9: 펄세이터8: Motor 9: pulsator

14: 터브 커버 50: 제어부14: a tub cover 50:

Claims (9)

내조에 포가 투입된 후 급수되기 이전에,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건포 감지단계와;A rainy sensing step of sensing a pattern of the motor by driving the motor befor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tank before the water is supplied; 급수 이후에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습포 감지단계와;Detecting a pattern of the motor by driving the motor after water supply; 감지된 모터의 패턴이 기 저장된 패턴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포가 부유 상태라고 판단하는 포 판단단계와;A deciding step of deciding that the carriage is in a floating state when the detected pattern of the motor deviates from the pre-stored pattern; 포가 부유상태라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부유 포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suspended particle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내조에 포가 투입된 후 급수되기 이전에,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건포 감지단계와;A rainy sensing step of sensing a pattern of the motor by driving the motor befor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tank before the water is supplied; 급수 이후에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습포 감지단계와;Detecting a pattern of the motor by driving the motor after water supply; 감지된 모터의 패턴을 세분화된 복수의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포가 베개인지 판단하는 포 판단단계와;Comparing the sensed motor pattern with a plurality of pre-stored patterns to determine whether the can is a pillow; 포가 베개라고 판단되면, 부유 포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riage is a pillow, performing the floating mod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건포 감지단계 및 상기 습포 감지단계에서,In the rabbit sensing step and the dampening sensing step,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의 오프시, 상기 모터의 여력에 의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패턴을 감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detecting a pattern of the motor by turning on a pulsator by a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detecting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motor due to the availability of the motor when the motor is off.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포 모드는,In the floating mode, 상기 모터의 최고 회전속도가 포가 부유상태가 아닌 경우의 최고 회전속도보다 낮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And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lower than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when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not in the floating st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포 모드는,In the floating mode,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가 상기 내조내의 포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내벽면에 압착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이상이고,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at the time when the bag in the inner tank starts to be pres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ank by the centrifugal force, 상기 내조내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벽면을 통과한 후 외조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내조의 상측으로 분사되기 시작한 시점의 회전속도 미만이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So that the wash water in the inner tub is controlled to be lower than a rotation speed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wash water in the inner tub starts to rise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tub after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 by centrifugal force and starts to be sprayed upwar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포 모드는,In the floating mode, 상기 내조의 수위가 포가 부유상태가 아닌 경우의 최고 수위보다 높도록 급수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ssembly such that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tank is high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is not in the floating st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유 포 모드는,In the floating mode, 상기 내조의 상측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한 급수를 차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nd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jet nozzle provided above the inner tank is cut off.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포가 부유상태라고 판단되면, 그에 따른 경고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Further comprising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warning to the outsi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g is in a floating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부유 포가 베개라고 판단되면, 베개를 내조안에 수평방향으로 투입하라는 경고를 외부에 표시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nd when the floating cap is judged to be a pillow, displays a warning to the outside that the pillow should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inner tank.
KR1020090067372A 2009-07-23 2009-07-23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92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372A KR101592992B1 (en) 2009-07-23 2009-07-23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372A KR101592992B1 (en) 2009-07-23 2009-07-23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22A KR20110009922A (en) 2011-01-31
KR101592992B1 true KR101592992B1 (en) 2016-02-11

Family

ID=4361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372A KR101592992B1 (en) 2009-07-23 2009-07-23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9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291A (en) * 1996-11-22 1998-06-09 Toshiba Corp Washing machine
KR100739548B1 (en) * 2003-01-20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floating laundr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22A (en)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336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196769B2 (en) Washing machine
KR101597527B1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60094722A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in drum tpye washing machine
KR1016619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in washing machine
KR101521175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71528A (en) Washing machine
KR20180072336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8368661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10593A (en) Control method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192343B1 (en) Control method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00050056A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10387716B (en) Drainage method for household appliance
KR101592992B1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53081A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JP2013123555A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533498B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595230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43266B1 (en)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KR101037153B1 (en) Washing machine
KR20070064002A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680034B1 (en) Washing method
JP2006075478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10053080A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JP4007244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