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230B1 -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230B1
KR101595230B1 KR1020090071041A KR20090071041A KR101595230B1 KR 101595230 B1 KR101595230 B1 KR 101595230B1 KR 1020090071041 A KR1020090071041 A KR 1020090071041A KR 20090071041 A KR20090071041 A KR 20090071041A KR 101595230 B1 KR101595230 B1 KR 10159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ub
water flow
water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3061A (en
Inventor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230B1/en
Priority to US12/847,560 priority patent/US8601836B2/en
Publication of KR2011001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의 측면 입구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기 때문에, 필터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tub is alternately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part. Therefore, since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passes through the lint filter and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세탁기, 탑로드, 제어, 방법, 린트 필터 Washing machine, top load, control, method, lint filter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ethod,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린트 필터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을 최대화시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filtering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flowing into a lint filter.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포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는 리프레셔 등 포에 물리적 작용 및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포를 처리하는 각종장치를 통칭한다. Generally,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that removes contaminants from clothes, bedding,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am") by using water, a detergent, and a mechanical action, A washing machine that combines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 function, and a refresher that prevents allergy caused by spraying heated steam by spraying the laundr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various apparatuses.

또한, 상기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세탁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와,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 이 이루어지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a laundry inlet / outlet ho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binet and washing is performed by a rotating water flow generated when the washing tub is rotated, And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washing is performed by a drop of a can.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포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외조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A conventional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cabinet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a bas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 outer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outer tank, and a water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outer tank, wherein the water supply device comprises: .

그러나, 종래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에 포함된 실밥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이물질 등에 의한 포의 재오염 등이 발생되거나, 다량의 이물질에 의해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aundry processing apparatuses can not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seam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repelled by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nd the drainage is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한편, 최근에는 세탁조의 내벽면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 필터를 장착하고 있으나, 상기 린트 필터내로 세탁수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필터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 lint filter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has been moun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ub. However, if the inflow of washing water into the lint filter is not smooth, the filtering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린트 필터내로 세탁수의 유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inflow amount of washing water into a lint filter.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켜 포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탁수류 형성단계와, 상기 세탁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시켜,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장착된 린트 필터의 측면 입구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링수류 형성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a washing tub in one direction to circulate washing wat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wash laundry,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side wall of the washing tub, and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ide inlet of the lint filter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본 발명에 있어서, 펄세이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포가 풀리도록 하는 포풀림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forging step for alternately rotating the pulsator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cause the pulley to unwi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와 포풀림단계, 필터링수류 형성단계가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forging step,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may be sequentially repe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가 제 1설정횟수 반복된 이후, 상기 포풀림단계와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가 제 2설정횟수동안 차례로 반복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is repeated 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orging step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may be repeated in order for a second set number of tim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에서 세탁조의 회전속도는,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에서 세탁조의 회전속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peed of the washing tub i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rotating speed of the washing tub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는, 상기 세탁조를 기설정된 회전속도로 설정시간동안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may rotate the washing tub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for a preset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는, 상기 세탁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세탁조의 회전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may set the rotating speed of the washing tub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shing tub.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의 측면 입구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기 때문에, 필터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tub is alternately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part. Therefore, since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passes through the lint filter and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hing machine') as an embodimen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결합된 레그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1 and 2,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leg assembly 1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1. As shown in FIG.

상기 케이스(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기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 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5)를 포함한다. The cabinet 2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which are opened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The top cover 3 cover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2 on the open bottom.

상기 캐비닛(2)내에는 물이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6)와, 상기 세탁조(6)를 구동시키는 모터(8) 등 의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외조(4)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20)가 배치된다. The cabinet 2 is provided with an outer tub 4 in which water is received, a washing tub 6 disposed inside the tub 4 to receive the laundry, a motor 8 for driving the tub 6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outer tank 4 and a drainage assembly 20 for draining water in the outer tank 4 after the washing or dewatering is completed.

또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탑 커버(3)에 설치되어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공급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를 상기 세탁조(6)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The case 1 further includes a detergent supply unit 30 installed in the top cover 3 for temporarily storing detergent.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is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into the washing tub 6 together with water to be supplied.

상기 탑커버(3)에는 포를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포 출입홀(3a)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 출입홀(3a)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4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는 프레임부(40a)와, 상기 프레임부(40a)에 끼워진 글래스부(40b)를 포함한다.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bag entrance / exit hole 3a so that the bag can be inserted or removed.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doo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tch-and-insert hole 3a. At least a part of the door 40 may be made of glass so that the inside of the door 40 can be seen. That is, the door 40 includes a frame portion 40a and a glass portion 40b sandwiched between the frame portion 40a.

또한,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7)이 장착된다.A display panel 7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op cover 3 for inputting an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의 서스펜션(15)에 의해 매달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15)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조(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tub 4 is dispos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 to b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suspensions 15. One end of the suspension 1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2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ank 4. [

상기 세탁조(6)의 저면에는 상기 외조(4)에 수용된 물의 회전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9)가 설치된다. 상기 펄세이터(9)는 상기 세탁조(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상기 세탁조(6)와 펄세이터(9)가 함께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펄세이터(9)가 상기 세탁조(6)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별도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A pulsator 9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ub 6 to form a rotating water flow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tub 4. As shown in FIG. The pulsator 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shing tub 6 so that the washing tub 6 and the pulsator 9 can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motor 8 rotates and the pulsator 9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shing tub 6 so as to rotate separately when the motor 8 rotates.

상기 세탁조(6)의 상측에는 포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세탁조(6)가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12)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서(12)는 내부에 소금물 등의 액체가 충진된 액체 밸런서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ub 6, a balancer 12 is provided to prevent the washing tub 6 from being unbalanced by the inclination of the tub. The balancer 12 may be a liquid balancer filled with a liquid such as salt water.

상기 외조(4)의 상측에는 포의 이탈이나 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터브 커버(14)가 설치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ank (4), a tub cover (14)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cloth and the scattering of water is provided.

상기 터브 커버(14)는 상기 외조(4)와 세탁조(6)사이의 공간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The tub cover 14 is installed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 4 and the washing tub 6.

상기 세탁조(6)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조(6)의 측벽을 통과한 세탁수는, 상기 외조(4)와 세탁조(6)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터브 커버(14)측으로 상승한 후, 상기 터브 커버(14)에 부딪힌 후 상기 세탁조(6)내로 유입된다.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washing tub 6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ub 6 ascends toward the tub cover 14 along the space between the tub 4 and the washing tub 6 And then flows into the washing tub 6 after hitting the tub cover 14.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세탁기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11)와,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12)와, 상기 급수 밸브(12)와 상기 세제공급부(3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12)와 급수 호스(13)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includes an external hos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faucet to the washing machine, a water supply valve 12 connected to the external hose 11 to intermittently supply water, 12) and the water supply hose (13) connecting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The water supply valve (12) and the water supply hose (13) form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유로상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호스(13)와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박스 하우징(31)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세제박스(32)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상기 세제박스(32)의 상면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한다.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channel.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ncludes a detergent box housing 3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 13, a detergent box 32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31)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to spray water.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은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 형성된 세제박스 설치부에 설치된다.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is installed in a detergent box moun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cover 3.

상기 세제박스(32)는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물의 공급시 물과 함께 세제가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detergent box 32 is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so that a user can take it out of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to inject detergent. The detergent box 32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is opened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together with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26)에 연결된 제 1배수 호스(21)와, 물을 펌핑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하우징(24)과,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 2배수호스(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내에는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내재된다. The drainage assembly 20 includes a drainage pump housing 24 including a first drainage hose 21 connected to a drainage hole 26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tank 4 and a drainage pump for pumping water, And a second drain hose (25) connected to the pump housing (24) to drain the water pumped by the drain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A drain motor for driving the drain pump is housed in the drain pump housing 24.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와 상기 베이스(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age assembly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tank 4 and the base 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린트 필터의 전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3 is a front view of a lin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조(6)에는 세탁시 포로부터 실밥이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 필터(60)가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washing tub 6 is equipped with a lint filter 6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such as seams and lint from laundry.

상기 린트 필터(60)는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 하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린트 필터(60)는 한 개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lint filter (60)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6). Here,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the lint filters 6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린트 필터(6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lint filter 60 has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린트 필터(60)는 프론트 바디(61)과,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바디(미도시)와, 상기 프론트 바디(61)와 리어 바디(미도시)사이에 배치되는 메쉬(Mesh)(미도시)를 포함한다.The lint filter 60 includes a front body 61, a rear body (not show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61, and a rear body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front body 61 and the rear body And a mesh (not shown).

상기 린트 필터(60)는 상기 세탁조(6)의 회전시 상기 세탁조(6)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수가 측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측면에 측면 입구부(8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 입구부(80)는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좌,우측면부(61a)(61b)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측면 입구부(80)는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좌,우측면에서 각각 형성된 유입홀이다. 상기 유입홀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3개의 유입홀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The lint filter 60 has a side inlet 80 formed at a side thereof so that the washing water circul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shing tub 6 is introduced laterally when the washing tub 6 rotates. The side entrance portions 8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61a and 61b of the front body 61, respectively. The side inlet portion 80 is an inlet hol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body 61, respectively. The inflow holes may be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nd three inflow holes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 inflow hole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전면부에는 이물질이 걸러진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6)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홀(61c)이다.An outlet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filtered by foreign substances to the washing tub 6 is formed in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body 61. The outlet portion i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61c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61.

상기 측면 입구부(80)에는 상기 필터(60)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60)의 외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70)가 설치된다. A check valve 70 is installed in the side inlet part 80 to prevent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60 from flowing back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60.

상기 측면 입구부(80)에는 복수개의 체크 밸브(70)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 의 체크 밸브(70)는 상기 측면 입구부(80)의 유입홀 개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기 프론트 바디(61)의 좌,우측면에 각각 3개씩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check valves (70) are installed in the side inlet portion (80). The plurality of check valves 7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inlet holes of the side inlet portion 80. Therefore, three check valves 7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body 61, respectively.

즉,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 1,2,3체크 밸브(71)(72)(73)을 포함한다. That is, the check valve 7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check valves 71, 72, and 73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2,3체크밸브(71)(72)(73)는 상기 세탁조(6)의 수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세탁조(6)의 수위가 상기 제 2체크 밸브(72)보다 낮으면, 상기 제 3체크 밸브(73)만이 개방된다. 상기 세탁조(6)의 수위가 상기 제 2체크 밸브(72)보다 높으면, 상기 제 1,2,3체크 밸브(71)(72)(73)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check valves 71, 72, and 73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t least partia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washing tub 6. 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tub 6 is lower than the second check valve 72, only the third check valve 73 is opened. If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tub 6 is higher than the second check valve 72, the first, second and third check valves 71, 72 and 73 may be all opened.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기 측면 입구부(80)에서 측방향, 즉, 상기 린트 필터(6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개폐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기 측면 입구부(8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린트 필터(60)의 내측방향으로만 열리도록 설치된다.The check valve 70 is install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laterally in the side inlet portion 80, tha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t filter 60. The check valve 70 is installed to open only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lint filter 60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side inlet portion 80.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 밸브(70)는 상기 측면 입구부(8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젖혀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크 밸브(7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70)의 상,하단은 상기 측면 입구부(8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The check valve 70 has a rectangular panel shape having a long length and a small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heck valve 7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side inlet part 80. That is, the check valve 7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or the lik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heck valve 7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inlet portion 8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린트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lint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상기 세탁기의 작동시, 상기 모터(8)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탁조(6)와 상기 펄세이터(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세탁조(6) 내부에는 상기 세탁조(6)의 원주방향으로 흐르는 회전수류가 형성된다. When at least one of the washing tub 6 and the pulsator 9 rotates due to the driving of the motor 8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tub 6, A rotating water stream flow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수류의 수압이 상기 체크 밸브(70)를 상기 필터(60)의 내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체크 밸브(70)가 상기 필터(60)의 내측으로 열리게 된다.The water pressure of the rotating water flow pushes the check valve 70 to the inside of the filter 60 so that the check valve 70 opens to the inside of the filter 60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회전 수류가 상기 필터(60)의 측면 입구부(80)를 통해 상기 필터(6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메쉬부(6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배출홀(61c)를 통해 상기 세탁조(6)로 배출된다. Therefore, the rotating water flow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60 through the side inlet portion 80 of the filter 60. The introduced washing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mesh part 62 and then discharged to the washing tub 6 through the discharge hole 61c.

한편, 상기 모터(8)의 정지나 세탁 행정의 종료, 또는 배수 행정시, 상기 필터(60)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약해지거나 없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stopping the motor 8, terminating the washing cycle, or discharging the water,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60 weakens or disappears.

상기 체크 밸브(7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필터(60)내에 잔류된 세탁수나 이물질이 상기 측면 입구부(80)를 통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check valve 7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prevent washing water o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60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side inlet portion 8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고, 포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포량에 따라 일정 수위 만큼 급수된다. (S1)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and after it detects the amount of water, it is watered at a certain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etected amount. (S1)

급수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만 고속 회전시켜, 후술하는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류 형성단계를 수행한다.(S2)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o form a washing water flow,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rotating the washing tub 6 in either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 high speed.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펄세이터(9)가 함께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세탁조(6)만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pulsator 9 may rotate together, and the washing tub 6 may be rotated.

상기 세탁조(6)가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면, 상기 세탁조(6)내의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조(6)의 통공을 통해 상기 세탁조(6)의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빠져나간 세탁수는 상기 세탁조(6)와 상기 외조(4)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터브 커버(14)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터브 커버(14)에 부딪힌 후 상기 세탁조(6)의 내부로 투입되는 수류를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의 상측으로 상승시킨 후 하강시키는 수류를 세탁수류, 순환수류, 또는 알파수류라고도 한다. 세탁수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켜 포의 세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washing tub 6 rotates at a high speed in one direction,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ub 6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tub 6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washing tub 6 by the centrifugal force. The washing water that has escaped rise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6 and the outer tub 4 and flows toward the tub cover 14 and then hits the tub cover 14, Thereby forming a water flow into the inside. That is, the water flow that raises the washing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ub 6 and then descends the washing water as described above is also referred to as washing water, circulating water, or alpha water. The washing water can be efficiently circulated by circulating the wash wa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6)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는 것을 기설정된 설정횟수(N1)동안 반복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횟수(N1)은 4회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S3)The controller repeatedly rotates the washing tub 6 at a high speed in one direction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N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t number of times N1 is four, for example. (S3)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세이터(9)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포가 풀리도록 하는 포풀림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포풀림 단계에서는 상기 펄세이터(9)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교대로 회전시킨다.(S4)The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pulsator 9 in both directions to perform the unwrapping step. In the forging step, the pulsator 9 is rotated alternately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S4)

상기 포풀림 단계에서는 상기 펄세이터(9)를 설정횟수 또는 설정시간동안 양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unwinding step, the pulsator 9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 set time.

상기 포풀림 단계 이후에는, 상기 세탁조(6)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수가 상기 린트 필터(60)로 잘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링 수류를 형성하는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를 수행한다.(S5)After the unwrapping step, a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is performed to rotate the washing tub 6 in both directions to form a filtering water flow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flow well into the lint filter 60. (S5)

상기 세탁조(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상기 린트 필터(60)는 좌,우측면부에 측면 입구부(80)가 형성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하게 되면, 상기 측면 입구부(80)를 통해 보다 잘 유입될 수 있다.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상기 린트 필터(60)의 측면 입구부(8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터링되어, 필터링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washing tub 6 is alternately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6. Since the lint filter 60 has the side inlet portions 80 a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thereof,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6, Can be introduced.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de inlet portion 80 of the lint filter 60 so that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can be filtered and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에서 상기 세탁조(6)의 회전속도는 상기 세탁수류 형성 단계에서 상기 세탁조(6)의 회전속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에서는 세탁수가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6)를 비교적 고속 회전시킨다. 반면,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에서는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린트 필터(60)의 측면 입구부(80)로 유입되면 되므로,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일때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6 may be set to be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6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washing water needs to be circu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shing tub 6 is rotated at a relatively high speed. On the other hand, i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ide inlet portion 80 of the lint filter 60 while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wall of the washing tub 6, It is preferable to rotate at a low speed.

또한,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에서 상기 세탁조(6)의 회전속도는 상기 세탁조(6)의 수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조(6)의 회전속도는 상기 세탁조(6)의 수위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tub 6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shing tub 6. That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6 may be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tub 6.

또한,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는 설정횟수 또는 설정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설정시간(t1)동안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시간(t1)은 60초로 설정할 수 있다. (S6)Also,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can be performed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a set time, and is performed for a set time t1. For example, the set time t1 may be set to 60 seconds. (S6)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세이터(9)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포풀림단계를 재수행한다.(S7)Thereafter, the controller re-executes the unwinding step for rotating the pulsator 9 in both directions (S7)

이후, 상기 세탁조(6)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를 설정시간(t2)동안 재수행한다.(S8,S9)Thereafter,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for rotating the washing tub 6 in both directions is performed again for the set time t2. (S8, S9)

상기와 같이,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와 포풀림단계, 필터링수류 형성단계를 순착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 1회 수행시, 상기 포풀림단계와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를 각 2회씩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forging step,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forging step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are performed twice .

즉, 세탁수류 형성단계, 포풀림단계, 필터링수류형성단계, 포풀림단계, 필터링수류형성단계 순으로 실시하는 바, 이와 같은 과정을 설정횟수(N2)동안 반복 수행할 수 있다.(S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횟수(N2)는 2회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at is,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washing water forming step, the deburring step,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the deburring step,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and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for the set number of times N2. In the embodiment, the set number of times N2 is two, for example.

도 5는 여러 가지 실험 모델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한 후, 세탁수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양을 측정 비교한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comparing and measuring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washing water after performing a washing stroke according to various experimental models.

실험 1은 린트 필터의 하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하면 입구부가 형성되고, 하면 입구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모델이고, 실험 2는 린트 필터의 하면에 세탁수 가 유입되는 하면 입구부가 형성되고 체크밸브가 구비되지 않은 모델이다. 실험 3은 린트 필터의 좌,우측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측면 입구부가 형성되고, 측면 입구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모델이며, 실험 4는 실험 3과 동일한 모델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Experiment 1 is a model in which a lower inlet portion for introducing wash wat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t filter, and a check valve is provided on the lower inlet portion in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a lower entrance portion for introducing wash wat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t filter, Is not provided. Experiment 3 is a model in which a side inlet portion into which wash water flows into left and right sides of a lint filter and a check valve is provided in a side inlet portion. Experiment 4 is the same model as Experiment 3, Method is appli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 필터의 측면에 측면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입구부로 세탁수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필터링 수류를 형성한 실험 4의 경우, 세탁수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양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shown in FIG. 5, in Experiment 4, in which the side inlet portion wa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nt filter and the filtering water flow was formed to facilitate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side inlet portion,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린트 필터(60)의 측면에 측면 입구부(80)를 형성하고, 상기 세탁조(6)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린트 필터(60)의 측면 입구부(8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상기 린트 필터(60)를 통과하게 되므로, 필터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ide inlet 8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nt filter 60 and the washing water is flow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6 by rotating the washing tub 6 in both directions, , The greater the amount of wash water is passed through the lint filter 60, so that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의 측면 입구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세탁수가 린트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기 때문에, 필터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tub is alternately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part. Therefore, since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passes through the lint filter and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the filte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린트 필터의 전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3 is a front view of a lin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여러 가지 실험 모델에 따라 세탁 행정을 수행한 후, 세탁수에 남아있는 이물질의 양을 측정 비교한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comparing and measuring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washing water after performing a washing stroke according to various experimental models.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60: 린트 필터 70: 체크밸브60: Lint filter 70: Check valve

80: 측면 입구부80: Side inlet portion

Claims (7)

세탁조의 내측벽 하부에 장착되고, 좌우 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들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패널 형상의 탄성재질인 체크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린트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tub,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shing tub, the discharge holes being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lint filter in which a check valve, which is an elastic material of a long rectangular panel shape, is installed, 상기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알파수류를 형성시키는 세탁수류 형성단계;A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the washing tub in one direction to form alpha water flow; 펄세이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포가 풀리도록 하는 포풀림 단계; 및A pulping step for alternately rotating the pulsator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cause the pulley to unwind; And 상기 세탁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시켜, 세탁수가 상기 린트 필터의 상기 유입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필터링수류 형성단계를 포함하고,And a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of alternately rotating the washing tub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o flow wash wat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to allow wash water to flow into the inflow hole of the lint filter, (a)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가 제 1설정횟수(N1) 반복되어 수행되고, (a)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is performed by repeating a first set number of times (N1) (b) 그 이후 상기 포풀림단계가 수행되고, (b) thereafter the forging step is performed, (c) 그 이후 상기 필터링수류 형성단계가 제 1설정시간(t2) 동안 수행되고, (c) Thereafter,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is performed for a first set time t2, (d) 그 이후 상기 포풀림단계가 재수행되고, (d) thereafter, the forging step is performed again, (e) 그 이후 상기 필터링수류 형성단계가 제 2설정시간(t2) 동안 재수행되고,(e) Thereafter,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is performed again for the second set time t2,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는, The steps (a) through (e) 순차적으로 제 2설정횟수(N2) 반복 수행되고,The second set number of times N2 is successively repeated, 상기 필터링 수류 형성단계에서 세탁조의 회전속도는,In the filtering water flow forming step, 상기 세탁수류 형성단계에서의 세탁조의 회전속도 이하이며 상기 세탁조의 수위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tub through the washing tub, and the laundry washing tub is rotated at a speed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in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설정횟수(N1)는 4회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Wherein the first set number of times (N1) is four time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설정시간(t2)은 60초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first set time (t2) is 60 second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2설정횟수(N2)는 2회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second set number of times (N2) is two time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설정횟수(N1)는 4회이고,The first set number of times N1 is four times, 상기 제 1설정시간(t2)은 60초이고,The first set time t2 is 60 seconds, 상기 제 2설정횟수(N2)는 2회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second set number of times (N2) is two tim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71041A 2009-07-31 2009-07-31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95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41A KR101595230B1 (en) 2009-07-31 2009-07-31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2/847,560 US8601836B2 (en) 2009-07-31 2010-07-30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41A KR101595230B1 (en) 2009-07-31 2009-07-31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61A KR20110013061A (en) 2011-02-09
KR101595230B1 true KR101595230B1 (en) 2016-02-18

Family

ID=4377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041A KR101595230B1 (en) 2009-07-31 2009-07-31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2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66B1 (en) * 2016-08-08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22717B1 (en) * 2016-11-23 202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198A (en) * 1999-05-31 2000-12-05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KR100741808B1 (en) * 2001-01-10 2007-07-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control method for fetching the washed laundry
KR100771908B1 (en) * 2001-01-31 2007-11-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washing control method for a 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999B1 (en) * 1999-08-30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198A (en) * 1999-05-31 2000-12-05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KR100741808B1 (en) * 2001-01-10 2007-07-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control method for fetching the washed laundry
KR100771908B1 (en) * 2001-01-31 2007-11-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washing control method for a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61A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493B2 (en) Washing machine
KR10161280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US8601836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83533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KR101716192B1 (en) Washing machine
US8978423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09918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95230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727910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60123598A (en) Washing machine
KR20110013060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620445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533498B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575598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824985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248745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10013059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675729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7794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864277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236194B1 (en) Washing machine
KR102560454B1 (en) Washing Machine
KR20110063065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070090636A (en) Drum tpye washing machine
KR200358901Y1 (en) Drum front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