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065A -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065A
KR20110063065A KR1020090120002A KR20090120002A KR20110063065A KR 20110063065 A KR20110063065 A KR 20110063065A KR 1020090120002 A KR1020090120002 A KR 1020090120002A KR 20090120002 A KR20090120002 A KR 20090120002A KR 20110063065 A KR20110063065 A KR 2011006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ing
housing
washing water
fil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065A/en
Publication of KR2011006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0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PURPOSE: A laundry processor is provided to make the more amount of washing water rapidly flowed into the side of a filter body. CONSTITUTION: A washing tub is arranged in the inside of a case to rotate thereon. A lint filter filters a foreign material in washing water. The lint filter includes a filter body and a filter housing(140). In order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fter filtering through the front side, the filter body is formed. The filter housing surrounds the filter body. In order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the filter housing guides the washing water. A flow path guide(160) guides the washing water upward which flows in through the lower-surface inlet portion(150) of the filter housing toward the side inlet portion of the filter body.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Laundry treatment machine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링 효율을 향상되어 세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filtering efficiency to ensure laundry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포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는 리프레셔 등 포에 물리적 작용 및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포를 처리하는 각종장치를 통칭한다. Generally, a laundry treatment machine uses water, detergents, and mechanical action to remove dirt from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 and dry hot air and mechanical action heated by a heater. By applying physical and chemical effects to the fabric, such as a dryer for drying wet fabrics, a dry washing machine that combines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and a refresher that sprays heated steam to the laundry to prevent allergy from the fabrics. Collectively, the various devices for processing.

또한, 상기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세탁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와,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has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a cloth entry hole through which a cloth is introduced and exit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washing is performed by a rotational flow generated when the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 cloth entry hol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drum is rotated. The washing machine may be classified into a drum washing machine in which washing is performed by a drop of cloth.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포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외조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The conventional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has a cabinet having an exterior and an open top surface, a bas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an outer tub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ter, and disposed inside the tub and A driving device including a washing tank to be washed, a motor disposed under the washing tank to rotate the washing tank,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outer tank, and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outer tank. .

종래의 세탁기에는 세탁조에 세탁수내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 필터가 장착된다. 상기 린트 필터는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탁조의 상측에 걸리기도 하고, 세탁조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기도 한다.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are equipped with a lint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The lint filter may have a bag shape and may be caught on an upper side of the washing tub or may be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상기와 같은 세탁기의 린트 필터는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에 한계가 있어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키기가 어려우며, 착탈이 까다로워 청소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The lint filter of the washing machine has a limitation in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machine, so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filtering efficiency,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lint filter.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린트 필터를 갖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lint filter capable of smoothly introducing a larger amount of washing water and filtering more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면을 통해 포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배치되어, 세탁수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린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필터는, 측면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내부에서 필터링된 후 전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형성된 필터 바디와, 상기 필터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로부터 하면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formed to enter and exit the bag through the upper surface, a washing tank rotatably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case, and a lint filter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 water; The lint filter includes a filter body formed to surround the filter body and the filter body form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surface after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ide is filtered, and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washing tank is It may include a filter housing for guiding to enter the side of the filter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하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하면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u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필터 바디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바디 측면 입구부를 향해 상향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using may include a flow path guide for guid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surface inlet of the housing upward toward the body side inlet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로부터 상기 필터 바디의 좌,우측면을 향해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guide may include a guide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from the lower surface inlet por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 경사부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rrespond to the guid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using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by a fasten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body may be fitted to the filter hou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수의 상승 수류를 안내하도록 순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순환 유로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tion passag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so as to guide the flow of washing wate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ub, and the lint filter may be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린트 필터는, 필터 바디와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세탁수가 필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향 안내되어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필터링된 후,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세탁조내의 세탁수가 필터 하우징의 하면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세탁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필터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lint filter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body and a filter housing, and after washing water flows in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the lint filter is guided upward in the filter housing and introduced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and filtered.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Since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flows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the washing water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 addition, since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flows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can flow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quickly, so that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shing machine") as an embodiment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 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결합된 레그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1 and 2,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forming an appearance and a leg assembly 1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1.

상기 케이스(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기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 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5)를 포함한다. The case 1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ormed to be open, a cabinet 2 forming a side surface of a washing machine, a top cover 3 installed to cover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and the cabinet ( It includes a base (5) installed on the open lower surface of 2).

상기 캐비닛(2)내에는 물이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6)와, 상기 세탁조(6)를 구동시키는 모터(8) 등의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외조(4)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20)가 배치된다. In the cabinet 2, an outer tub 4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washing tub 6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 4 and containing laundry, a motor 8 for driving the washing tub 6, and the like. And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outer tub 4, and a drainage assembly 20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outer tub 4 after washing or dehydration is completed.

또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탑 커버(3)에 설치되어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공급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를 상기 세탁조(6)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ase 1 further includes a detergent supply unit 30 installed in the top cover 3 to temporarily store detergent.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is formed to supply a detergent into the washing tank 6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상기 탑커버(3)에는 포를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포 출입홀(3a)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 출입홀(3a)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4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는 프레임부(40a)와, 상기 프레임부(40a)에 끼워진 글래스부(40b)를 포함한다.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cloth entrance hole 3a to put or take out the cloth. The top cover 3 is provided with a door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un access hole (3a). The door 40 may be made of at least a portion of glass (glass) so that the interior can be seen. That is, the door 40 includes a frame portion 40a and a glass portion 40b fitted to the frame portion 40a.

또한,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7)이 장착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op cover 3 is equipped with a display panel 7 for inputt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의 서스펜션(15)에 의해 매달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15)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조(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tub 4 is arranged to be suspended by a plurality of suspensions 15 on the inner top of the cabinet 2. One end of the suspension 15 may be coupled to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 4.

상기 세탁조(6)의 저면에는 상기 외조(4)에 수용된 물의 회전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9)가 설치된다. 상기 펄세이터(9)는 상기 세탁조(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상기 세탁조(6)와 펄세이터(9)가 함께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펄세이터(9)가 상기 세탁조(6)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별도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A pulsator 9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6 to form a rotational flow of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tub 4. The pulsator 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shing tank 6, so that the washing tank 6 and the pulsator 9 may rotate together when the motor 8 rotates, and the pulsator 9 may be rotated together. )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shing tank 6,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separately dur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8).

상기 세탁조(6)의 상측에는 포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세탁조(6)가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12)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서(12)는 내부에 소금물 등의 액체가 충진된 액체 밸런서가 사용될 수 있다.A balancer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ank 6 to prevent the washing tank 6 from losing balance due to the deflection of cloth. The balancer 12 may be a liquid balancer filled with a liquid such as brine.

상기 외조(4)의 상측에는 포의 이탈이나 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터브 커버(14)가 설치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ub 4, a tub cover 14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loth and scattering of water is provided.

상기 터브 커버(14)는 상기 외조(4)와 세탁조(6)사이의 공간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The tub cover 14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 4 and the washing tub 6.

상기 세탁조(6)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조(6)의 측벽을 통과한 세탁수는, 상기 외조(4)와 세탁조(6)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터브 커버(14)측으로 상승한 후, 상기 터브 커버(14)에 부딪힌 후 상기 세탁조(6)내로 유입된다.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washing tub 6,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washing tub 6 by centrifugal force rises toward the tub cover 14 alo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 4 and the washing tub 6; After hitting the tub cover 14, it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6.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세탁기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11)와,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단속하 는 급수 밸브(12)와, 상기 급수 밸브(12)와 상기 세제공급부(3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12)와 급수 호스(13)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includes an external hos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faucet, etc. to the washing machine, a water supply valve 12 connected to the external hose 11 to regulate water supply, and the water supply valve. 12 and a water supply hose 13 connecting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The water supply valve 12 and the water supply hose 13 form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유로상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호스(13)와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박스 하우징(31)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세제박스(32)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상기 세제박스(32)의 상면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한다.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s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detergent supply unit 30 includes a detergent box housing 31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upply hose 13, a detergent box 32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and the detergent box housing ( It is fixed to 31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includes a detergent box cover for spraying water.

상기 세제박스(32)는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물의 공급시 물과 함께 세제가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detergent box 32 is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so that a user can take it out of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to inject detergent. The detergent box 32 may be coupled 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so as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may be opened, and deterge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box housing 31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etergent box 32 when water is supplied.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26)에 연결된 제 1배수 호스(21)와, 물을 펌핑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하우징(24)과,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 2배수호스(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내에는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내재된다. The drainage assembly 20 includes a first drain hose 21 connected to a drain hole 26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tub 4, a drain pump housing 24 including a drain pump for pumping water, and the drainage. And a second drain hose 25 connected to the pump housing 24 to drain the water pumped by the drain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A drain motor for driving the drain pump is embedded in the drain pump housing 24.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와 상기 베이스(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age assembly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tub 4 and the base 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린트 필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린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t filter shown in FIG. 3, FIG. 5 is a rear view of the filter housing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

상기 린트 필터(100)는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면에 맞대어져 직접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세탁조(6)에서 상기 린트 필터(10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세탁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 등과 같은 별도의 공간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여기서는, 상기 린트 필터(100)는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lint filter 1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6, and may be formed in the washing tank 6 so as to accommodate the lint filter 100, and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circulates. It can also be inserted into a separate space. Hereinafter, the lint filter 100 is described as being fastened and fixed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fter being sea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ub 6.

상기 린트 필터(100)는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린트 필터(100)는 한 개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개가 상기 세탁조(6)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lint filter 100 may be installed under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6). Here, one lint filter 1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but a plurality of lint filters 10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shing tank 6.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린트 필터(100)는 필터 바디(101)와, 상기 필터 바디(101)를 지지하고 상기 세탁조(6)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필터 하우징(140)과, 상기 필터 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필터 커버(130)를 포함한다. 3 to 6, the lint filter 100 includes a filter body 101, a filter housing 140 that supports the filter body 101 and is fix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washing tub 6. It includes a filter cover 130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101.

상기 필터 바디(10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 바디(101)의 좌,우측면에는 세탁수가 측방향으로 유입되도록 바디 측면 입구부(112)(124)가 형성된다. The filter body 101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ody side inlets 112 and 124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101 such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laterally.

상기 필터 바디(101)는 하측에 배치되어 세탁수내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하부 필터(110)와, 상측에 형성된 상부필터 장착홀(111)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채집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필터(120)를 포함한다. The filter body 101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to be coupled to the lower filter 11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 water, and the upper filter for forming a space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filter mounting hole 111 formed at the upper side. 120.

상기 바디 측면 입구부(112)(124)는 상기 하부 필터(110)의 좌,우측면에는 형성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140)내의 세탁수가 측면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하부 측면 입구부(112)와, 상기 상부 필터(1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세탁수가 측면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 측면 입구부(124)를 포함한다.The body side inlets 112 and 124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ilter 110, and the lower side inlet 112 to allow the washing water in the filter housing 140 to flow through the side. It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filter 120 includes an upper side inlet 124 to allow the wash water to flow through the side.

상기 하부 필터(110)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 필터(110)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하부 전면 토출부(114)가 형성된다.A lower front discharge part 114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ilter 110 to discharge the wash water filtered with foreign matter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filter 110.

상기 하부 측면 입구부(112)는 상기 하부 필터(110)의 좌,우측면에서 각각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홀이다.The lower side inlet portion 112 is form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ilter 110, and i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부 전면 토출부(114)는 상기 하부 필터(110)의 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홀이다. 상기 하부 전면 토출부(114)는 하부필터 메쉬(Mesh)(118)가 장착된다. The lower front discharge part 114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ront of the lower filter 110, a plurality of holes ar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lower front discharge part 114 is equipped with a lower filter mesh (118).

상기 상부 필터(120)는 상기 상부 필터 장착홀(111)에 장착된다. The upper filter 120 is mounted to the upper filter mounting hole 111.

상기 상부 필터(120)는 상기 하부 필터(110)의 상측에 상기 하부 필터(1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상부 필터(120)와 하부 필터(110)사이에는 상기 세탁조(6)의 고속 회전에 의해 세탁수가 상승 수류를 형성할 때, 상기 하부 필터(110)내에 있던 세탁수가 상기 상부 필터(120)내로 유입되도록 연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The upper filter 120 is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filter 110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bove the lower filter 110. That is, when the washing water forms an upward flow of water by the high speed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6 between the upper filter 120 and the lower filter 110, the washing water in the lower filter 110 is the upper filter 120. Communication portion (not shown) is formed to flow into the).

상기 세탁조(6)의 회전에 의한 상승수류('알파수류'라고도 칭함.)발생시 상 기 하부 필터(110)내의 세탁수가 상기 연통부(122)를 통해 상기 상부 필터(120)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rising water flow (also referred to as 'alpha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6, the washing water in the lower filter 110 may flow into the upper filt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ng portion 122. .

상기 상부 필터(120)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부(122)로 유입된 세탁수내의 이물질이 채집되도록 채집공간을 형성된다.A collection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filter 12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on unit 122.

상기 상부 필터(120)의 전면에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상부 전면 토출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전면 토출부(125)는 상기 상부 필터(120)의 전면에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홀이다. 상기 상부 전면 토출부(125)에는 상부필터 메쉬(126)이 배치된다.An upper front discharge part 125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120. The upper front discharge part 125 is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lter 120. An upper filter mesh 126 is disposed on the upper front discharge part 125.

상기 필터 커버(130)는 상기 상부 필터(120)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 커버(130)는 상기 상부 필터(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 cover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filter 120. The filter cover 130 may have a 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filter 120.

상기 필터 커버(130)의 상,하단에는 각각 후크(132)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바디(101)에 형성된 후크홀(104)에 후크 결합된다. 상기 필터 커버(130)가 상기 필터 바디(101)에 후크 결합되면서, 상기 필터 바디(101)의 상측 전면에 배치된 상기 상부 필터(120)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Hooks 13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cover 130, respectively, and are hooked to the hook holes 104 formed in the filter body 101. As the filter cover 130 is hooked to the filter body 101, the upper filter 120 dispos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1 may be fixed together.

상기 필터 커버(130)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 필터(120)에서 토출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필터커버 토출홀(136)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커버 토출홀(136)은 각각 원형이고,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lter cover discharge holes 136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over 130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upper filter 120. The filter cover discharge holes 136 may each have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filter cover discharge holes 136 may be disposed radially.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40)은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상기 필터 바디(101)가 안착되도록 안착홀(142)이 형성된다.4 and 6, the filter housing 140 is formed in a frame shape, and a mounting hole 142 is formed in the filter body 101 to be seated therein.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 커버(130)의 후크(132)가 걸림되도록 후크 걸림부(148)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ok locking portion 148 may be formed on the filter housing 140 to hook the hook 132 of the filter cover 130.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 바디(101)의 하단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미도시)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홀(미도시)가 형성된다.A coupling hole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140 so that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body 101 is fit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40)은 하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lter housing 140 has a lower surface inlet portion 150 formed therein for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은 한 개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는 복수의 리브(150a)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lower surface inlet portion 150 of the housing may consist of a single hole or may comprise a plurality of holes. Here, the housing lower surface inlet portion 150 is described a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le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ribs 150a.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에는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 밸브(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nlet 150 may be equipped with a check valve (not shown)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incoming washing water.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배면에는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바디 측면 입구부(112)(124)를 향해 상향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160)를 포함한다.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40 includes a flow guide 160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surface inlet portion 150 toward the body side inlet portions 112 and 124 upward.

상기 유로 가이드(160)는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w guide 160 may have a rib shape protruding toward the rear.

상기 유로 가이드(160)는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에서 연장되어 세탁수를 상향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161)와, 상기 수직부(161)에서 상기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62)와, 상기 경사부(16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필터 바디(101)의 좌,우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부(163)을 포함한다.The flow guide 160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inlet 150 of the housing and vertically 161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0 to guide the washing water upward. An inclined portion 162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arallel portion 163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clined portion 162 to be parallel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101.

또한, 상기 유로 가이드(160)는 상기 안착홀(143)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안착홀 리브(164)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low path guide 160 further includes a mounting hole rib 164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hole 143.

상기 안착홀 리브(164)에는 상기 하부 측면 입구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향 안내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는 하부 리브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측면 입구부(12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향 안내되는 세탁수를 상기 상부 측면 입구부(124)로 안내하는 상부 리브홀(154)가 형성된다.The seating hole ribs 16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side inlet portion 112, and a lower rib hole 152 is formed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guided upward, and corresponds to the upper side inlet portion 124. An upper rib hole 154 is formed to guide the washing water that is formed and guided upward to the upper side inlet 124.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배면에는 상기 유로 가이드(160)에 의해 세탁수가 상향 안내되는 유로(166)가 형성된다.The back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40 is formed with a flow path 166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guided upward by the flow path guide 160.

상기 실시예서는, 상기 린트 필터(100)는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면에 맞대어져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탁조(6)에서 상기 린트 필터(10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세탁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 등과 같은 별도의 공간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nt filter 100 is limit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6 to be directly fastened. However, the lint filter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lint filter (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erted in a separate space, such as a circulation passage for forming the 100 and the wash water circula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상기 세탁기의 작동시, 상기 모터(8)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탁조(6)와 상기 펄세이터(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조(6)의 내측벽을 타고 상승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when at least one of the washing tank 6 and the pulsator 9 is rotated due to the driving of the motor 8, the washing machine 6 rises on the inner wall of the ?? A stream of water can be formed.

상기 세탁수류의 수압이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에 설치된 체크 밸브 를 밀어,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housing lower surface inlet 150 by pushing the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housing lower surface inlet 150.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유로 가이드(160)가 형성하는 유로(166)를 따라 상향 안내된다.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0 is guided upward along the flow path 166 formed by the flow path guide 160.

상기 유로(166)를 통해 상향 안내되는 세탁수 중 일부는 상기 제 1리브홀(15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필터(110)의 하부 측면 입구부(112)를 통해 상기 하부 필터(110)내로 유입된다.Some of the washing water guided upward through the flow path 166 passes through the first rib hole 152 and flows into the lower filter 110 through the lower side inlet portion 112 of the lower filter 110. do.

또한, 상기 유로(166)를 통해 상향 안내되는 세탁수 중 나머지는 상기 제 2리브홀(154)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필터(120)의 상부 측면 입구부(124)를 통해 상기 상부 필터(120)내로 유입된다. In addition, the rest of the washing water guided upward through the flow path 166 passes through the second rib hole 154 and the upper filter 120 through the upper side inlet portion 124 of the upper filter 120. Flows into.

상기 세탁조(6)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6)내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세탁조(6)의 내측벽으로 밀착된 후, 상기 세탁조(6)의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150)를 통해 상기 필터 하우징(140)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유로(166)를 따라 상측으로 흐르는 것이 용이하다. When the washing tub 6 rotates at a high speed,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ub 6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6 by centrifugal force, and then rises above the washing tub 6.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14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0 may easily flow upward along the flow path 166.

또한, 상기 하부 필터(110)내의 세탁수도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상부 필터(120)측으로 상승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 water in the lower filter 110 may be moved upwardly toward the upper filt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하부 필터(110)와 상부 필터(120)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각 내부에서 필터링 된 후 상기 하부 전면 토출부(114)와 필터 커버 토출홀(136)을 통해 상기 세탁조(6)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lower filter 110 and the upper filter 120 is filtered inside each of the washing tanks 6 through the lower front discharge part 114 and the filter cover discharge hole 136. Can be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린트 필터는, 필터 바디와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세탁수가 필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향 안내되어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필터링된 후,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세탁조내의 세탁수가 필터 하우징의 하면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세탁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필터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lint filter of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body and a filter housing, and after washing water flows in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the lint filter is guided upward in the filter housing and introduced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and filtered.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Since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flows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the washing water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 addition, since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flows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can flow in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quickly, so that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린트 필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린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t filter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다.FIG. 5 is a rear view of the filter housing shown in FIG. 3. FIG.

도 6은 도 3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6: 세탁조 100: 린트 필터6: washing tank 100: lint filter

101: 필터 바디 110: 하부 필터101: filter body 110: lower filter

120: 상부 필터 130: 필터 커버120: upper filter 130: filter cover

140: 필터 하우징 160: 유로 가이드140: filter housing 160: euro guide

Claims (8)

상면을 통해 포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케이스와;A case formed to enter and exit the fabric through the upper surfac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세탁조와;A washing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case;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배치되어, 세탁수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린트 필터를 포함하고,A lint filter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washing water; 상기 린트 필터는, 측면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내부에서 필터링된 후 전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형성된 필터 바디와,The lint filter may include a filter body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ide after filtering the inside; 상기 필터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로부터 하면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nd a filter housing configured to surround the filter body and guide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washing tank to the side of the filt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터 하우징은,The filter housing, 하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하면 입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Laundry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inlet housing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lower surface.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필터 하우징은,The filter housing,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필터 바디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바디 측면 입구부를 향해 상향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는 세탁 물 처리기기. And a flow path guid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the body side inlet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유로 가이드는,The flow guide is 상기 하우징 하면 입구부로부터 상기 필터 바디의 좌,우측면을 향해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경사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And a guide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body from the lower surface inlet of the ho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필터 바디의 하면은,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상기 가이드 경사부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Laundry treatment devic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rrespond to the guide incline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And the filter housing is fastened and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by a fastening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필터 바디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filter body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fitted to the filter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세탁조의 내측벽에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수의 상승 수류를 안내하도록 순환 유로가 형성되고,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is formed with a circulation flow path to guide the flow of washing wate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상기 린트 필터는 상기 순환 유로내에 설치된 세탁물 처리기기.And the lint filter is dispos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KR1020090120002A 2009-12-04 2009-12-04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630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02A KR20110063065A (en) 2009-12-04 2009-12-04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02A KR20110063065A (en) 2009-12-04 2009-12-04 Laundry treatment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065A true KR20110063065A (en) 2011-06-10

Family

ID=4439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02A KR20110063065A (en) 2009-12-04 2009-12-04 Laundry treatmen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0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0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09918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339969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716192B1 (en) Washing machine
US8601836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201400189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TWI633225B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20110086421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727910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13060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620445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95230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13059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63065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824985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675729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293230B1 (en) Drum tpye washing machine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20100095932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00105198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560454B1 (en) Washing Machine
KR101864277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299508B1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10063064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