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528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528A
KR20120071528A KR1020100133107A KR20100133107A KR20120071528A KR 20120071528 A KR20120071528 A KR 20120071528A KR 1020100133107 A KR1020100133107 A KR 1020100133107A KR 20100133107 A KR20100133107 A KR 20100133107A KR 20120071528 A KR20120071528 A KR 20120071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tub
wash water
washing machin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528A/en
Priority to US13/313,390 priority patent/US20120159716A1/en
Priority to CN2011104484594A priority patent/CN102560977A/en
Publication of KR2012007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PURPOS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moothly draining washing water to outside is provided to generate bubbles inside the washing water for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CONSTITUTION: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moothly draining washing water comprises the following: a pump(150) including a pump case and a motor; the pump case including a first pump inlet located on the higher position than an outlet pipe; the motor combined to one end of the pump case, for supplying power for pumping washing water inflowing through the first pump inlet; and a bubble generator(180) generating bubbles inside the pumped washing water.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터브 및 회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구조 및 세탁기의 터브 및 회전조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tub and the rotat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and the rotat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to the outside.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A washing machine is a machine for washing clothes using electric power, and typically includes a tub for storing wash water, a rotating tub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pulsator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ub, and a rotating tub. And a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sator.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When the rotating tub and the pulsator are rotated by the motor in the state in which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are put into the rotating tub, the pulsator stirs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rotating tub with the washing water to remove the stain on the laundry.

일반적으로 전자동세탁기의 경우, 세탁행정 초기에 세탁조에 분말세제를 공급하거나 액체세제(린스)등을 세제함 용기에 보관 후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등 세탁조건에 따라 세탁조 내부로 자동 투입하고, 투입된 세제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물에 분해되거나 녹게 되는데, 이 때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즉, 전자동세탁기는 펄세이터의 회전력 만으로 세제를 분해시키거나 녹여야 하므로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 세탁품질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supply powder detergent to the washing tank at the beginning of the washing process or liquid detergent (rinse), etc. and store it in a container, and then automatically put it into the washing tank according to washing conditions such as washing stroke or rinsing stroke, and put the detergent into Decomposes or dissolves in water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which takes some time. That is,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has to decompose or dissolve the detergent on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sator, thereby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and improving washing qua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 wat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수를 원활하게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moothly draining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을 가지는 유로케이스;와, 상기 유출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펌프유입구를 가지는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main body; a tub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an inflow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ub and an outflow pipe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flows out. A flow path case; coupled to one end of the pump case and a pump case having a first pump inlet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outlet pipe, to provide power for pumping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pump inlet; A pump having a motor; and a bubble generating unit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유로케이스는,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case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in the tub is discharged.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유입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유입방지리브는 상기 유출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 outflow pip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and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may protrude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펌프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펌프유입구는 상기 제1펌프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cas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mp inle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 and the second pump inle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pump inlet.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펌프유입구는 상기 이물유입방지턱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case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inflow bumps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 the tub, the second pump inlet may be formed in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bumps.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mp case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pump inlet.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은 상기 펌프케이스의 중심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버블발생부로 펌핑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ng wall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ump case, and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pump inlet may flow into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and be pumped to the bubble generator.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와,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버블발생부로 안내하는 펌프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유출구는 상기 모터결합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결합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pump case includes a motor coupling part to which a motor for providing power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pump inlet is coupled, and a pump outlet for guiding the pumped washing water to the bubble generat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tor coupling portion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tor coupling portion.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로 또는 상기 제2펌프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그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The pump case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pump channel or the second pump channe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tor coupling par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은 상기 제2수용부에 남아있는 세탁수를 제거하기 위한 잔수제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may further include a residual water removal hole for removing the wash water remaining in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제2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흐르는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may supply air to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flows, a second flow path having a relatively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flow path, and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It may include an air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 또는 상기 유출관 중 어느 한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ipe flows to either the discharge pipe or the outlet pipe.

상기 유출관과 상기 제1펌프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호스와, 상기 펌프유출구와 상기 제1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hose for connecting the outlet pipe and the first pump inlet, and a second connection hose for connecting the pump outlet and the first flow path.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유로케이스;와, 상기 유출관보다 상기 터브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1펌프유로를 가지는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펌프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를 가지는 버블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ub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the inflow communicated with the tub so that the wash water in the tub flows in A flow passage including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and the washing pipe introduc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and an outflow pipe for chang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A pump including a pump case having a first pump passage disposed closer to the tub and a mo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case to pump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ump passage; and by the pump And a bubble generator having an air inlet for supplying air to the pumped wash water.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하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1펌프유로보다 상부에 마련되는 제2펌프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mp cas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mp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lower end of the tub and provided above the first pump passage.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mp case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ump passage.

이물유입방지벽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의 내측에 남아있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잔수제거홀이 마련될 수 있다.Residual water removal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so that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lows to the discharge pipe.

상기 유출관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유출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유입방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flow pip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흐르는 세탁수유로와, 상기 세탁수유로를 흐르는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탁수유로유로와 연통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washing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pump flows, and an ai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water channel to supply air to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channel.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의 배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배출관을 폐쇄하여 상기 세탁수가 상기 펌프로 이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탁수의 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관을 개방하여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a tub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a pump disposed under the tub, by the pump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tub; And, into the tub Determining whether drainage of the supplied wash water is necessary;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to control the wash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pump whe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rises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If it is determined that drainage is necessary to open the discharge pipe to control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브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세탁성능이 향상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tub.

또한, 세탁수가 신속하게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된다.In addition, the wash water is quickly drained out of the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터브와 유로케이스와, 펌프와, 버블발생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3은 도 1의 터브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도 2에서 유로케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펌프케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버블발생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세탁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세탁수가 배수되는 경우의 세탁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1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 the flow path case, the pump, and the bubble generator in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tub of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low path case i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pump case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i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wash water in the case of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 water.
8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wash water when the wash water is dra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tub 2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rotation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20. The tank 30 and the drive device 40 is disposed below the tub 20 to rotate the rotary tub (30).

본체(1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4)가 형성된 커버(15)가 마련되며, 커버(15)에는 세탁물 투입구(14)를 개폐하는 도어(16)가 마련된다.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ver 15 formed with a laundry inlet 14 to inject laundry in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tub 30, the cover 15 i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inlet 14 (16) is provided.

터브(20)의 외측에는 터브(20)를 본체(10)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현가장치(21)가 연결되고, 터브(20)의 상단에는 터브(20)를 덮는 환형의 터브 커버(70)가 결합된다.Suspension device 21 for suspending and supporting the tub 20 to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tub 20, the top of the tub 20, the annular tub cover 70 covering the tub 20 Is combined.

회전조(30)는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통공(31)을 구비한다.The rotating tub 3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회전조(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35)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pulsator 3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tub 30, and the pulsator 35 serves to stir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rotating tub 30 together with the wash water.

구동장치(40)는 회전조(30)와 펄세이터(35)를 회전시키는 클러치(41)와, 클러치(4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하며, 구동모터(43)는 풀리 및 벨트로 클러치(41)와 연결되어 회전조(30)와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driving device 40 includes a clutch 41 for rotating the rotating tub 30 and the pulsator 35 and a driving motor 43 for driving the clutch 41. The driving motor 43 includes a pulley and The belt 41 is connected to the clutch 41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tub 30 and the pulsator 35.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50)가 설치된다. 급수장치(5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53)와, 이 급수밸브(53)와 세제공급장치(60)를 연결하는 급수관(51)을 포함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2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device 50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ub (20). The water supply device 50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53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nd a water supply pipe 51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valve 53 an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60.

급수관(51)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1)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연결된다.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1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60.

세제공급장치(60)는 커버(15)의 내부에 마련되는 케이스(61)와, 케이스(6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세제가 수납되는 세제용기(63)를 포함한다. 케이스(61)의 저면에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5)가 형성된다. The detergent supply device 60 includes a case 61 provided inside the cover 15 and a detergent container 63 detachably mounted to the case 61 and storing each detergent. The bottom of the case 61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65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 which the detergent is dissolved.

급수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1 is supplied into the tub 2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60.

도 2는 도 1에서 터브와 유로케이스와, 펌프와, 버블발생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터브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유로케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펌프케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서 버블발생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 the flow path case, the pump, and the bubble generator in FIG. 1, and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tub of FIG. 1, viewed from the bottom, and FIG. 4 is FIG. I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low case,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pump case in Figure 2,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in FIG.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세탁기(1)의 외부로 배수되거나 다시 터브(20) 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로케이스(120)와, 상기 유로케이스(120)를 지난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150)와, 펌프(150)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180)가 결합된다.2 to 6,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20 and the flow path case 120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20 to drain out of the washing machine 1 or flow into the tub 20 again; , The pump 150 for pumping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case 120, and the bubble generator 180 for supplying air to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150 generates a bubble.

유로케이스(120)는 터브(20)와 연결되는 유입관(122)과, 유입관(122)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펌프(150)로 안내하는 유출관(124)과, 유입관(122)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6)을 구비한다.The flow path case 120 includes an inlet pipe 122 connected to the tub 20, an outlet pipe 124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122 to the pump 150, and an inlet pipe 122. 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126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유입관(122)은 터브(20)의 하측 일단과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유로케이스(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flow pipe 122 is coup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tub 20 to allow the wash water in the tub 20 to flow into the flow path case 120.

유입관(122)을 통해 유로케이스(12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분기부(128)를 거쳐 유출관(124) 또는 배출관(126)으로 흐르게 된다.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case 120 through the inflow pipe 122 flows to the outflow pipe 124 or the discharge pipe 126 through the branch 128.

유출관(124)은 유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여 펌프(150) 쪽으로 안내한다. 유출관(124)은 세탁수에 포함될 수 있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유입방지리브(132)를 포함한다. 이물유입방지리브(132)는 유출관(124)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유출관(124)의 지름의 1/2에 정도의 길이로 돌출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이물유입방지리브(132)는 유출관(124)을 지나는 세탁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세탁수에 포함될 수 있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이물유입방지리브(132)는 유출관(124)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므로 세탁수를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수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이물유입방지리브(132)에 의해 걸러지지 않고 배출관(126)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Outflow pipe 124 i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wash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22 to guide the pump 150. The outlet pipe 124 includes at least on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such as lint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wash water.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124 to a length of about 1/2 of the diameter of the outflow pipe 124 and is dispos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132 provided as described above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without affect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flow pipe 124.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pipe 124, so that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drained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wash water are not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The discharge pipe 126 may be naturally discharged.

배출관(126)은 유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한다. The discharge pipe 126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22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배출관(126)에는 밸브(134)가 더 마련된다. 터브(20)내의 세탁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배출관(126)이 개방되면 세탁수가 유출관(124)으로 흐르지 못하고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된다. 밸브(134)는 세탁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배출관(126)을 폐쇄함으로써 세탁수가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discharge pipe 126 is further provided with a valve 134. When the discharge pipe 126 is open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ash water in the tub 20, the wash water does not flow to the outflow pipe 124 and is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The valve 134 closes the discharge pipe 126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ash water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펌프(150)는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펌프케이스(152)와 펌프케이스(152)의 일단에 연결되어 펌프케이스(152) 내부의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4)를 구비한다.The pump 1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mp case 152 and the pump case 152 which forms a flow path for washing water, and provides a motor 154 that provides power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pump case 152. Equipped.

펌프케이스(152)는 유출관(124)을 지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펌프유입구(161)와, 터브(20)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2펌프유입구(162)와, 제1펌프유입구(161)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유입방지벽(164)과, 이물유입방지벽(164)에 의해 구획되는 제1수용부(171) 및 제2수용부(172)와, 펌프케이스(152)와 모터(154)를 결합시키기 위한 모터결합부(174)와, 모터결합부(174)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펌프유출구(176)를 구비한다.The pump case 152 has a first pump inlet 161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ipe 124 flows, a second pump inlet 162 communicating with a lower end of the tub 20, and a first pump inlet 161.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164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partition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A motor coupling part 174 for coupling the pump case 152 and the motor 154 and a pump outlet 176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coupling part 174 are provided.

제1펌프유입구(161)는 유출관(124)을 지난 세탁수가 펌프케이스(15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세탁수를 안내하는 구성으로 유출관(124)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1펌프유입구(161)는 유출관(124)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원활하게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The first pump inlet 161 is configured to guide the wash water so that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ipe 124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mp case 152. The first pump inlet 161 is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pipe 124. . The first pump inlet 161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pipe 124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펌프유입구(162)는 터브(20)의 하단과 펌프케이스(152)가 연통될 수 있도록 펌프케이스(152)의 상부에 마련되어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직접 펌프케이스(15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펌프유입구(162)는 제1펌프유입구(161)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세탁수를 배수하는 과정에서 제2펌프유입구(162)를 통해 펌프케이스(152)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세탁수는 펌프케이스(152)의 내부의 세탁수를 가압하여 제1펌프유입구(161)를 통해 원활하게 유로케이스(120)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pump inlet 162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case 15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ub 20 and the pump case 15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wash water in the tub 20 directly flows into the pump case 152. To be possible. The second pump inlet 162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pump inlet 161. The washing water flowing directly into the pump case 152 through the second pump inlet 162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washing water pressurizes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pump case 152 to open the first pump inlet 161.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flow through the case (120).

한편 제1펌프유입구(161) 및 제2펌프유입구(162)는 세탁수가 펌프케이스(15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각각 제1펌프유로(161a) 및 제2펌프유로(162a)로 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ump inlet 161 and the second pump inlet 162 respectively form a flow path for washing water to flow into the pump case 152, respectively. )Can be seen as.

제2펌프유입구(162)를 통해 펌프케이스(152)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은 이물유입방지턱(163)에 의해 걸러진다. 이물유입방지턱(163)은 펌프케이스(152)의 상부에서 터브(20)의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며, 제2펌프유입구(162)는 이물유입방지턱(163)의 내측에 형성된다.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included in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pump case 152 through the second pump inlet 162 are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jaw 163.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jaw 163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case 152 to the inside of the tub 20, and the second pump inlet 162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jaw 163.

이물유입방지벽(164)은 대략 펌프케이스(152)의 중심부에 그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펌프유입구(161)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모터(154)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미도시)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브(20) 내의 세탁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1차적으로 유출관(124)에 마련되는 이물유입방지리브(132)에 의해 걸러지고, 이물유입방지리브(132)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은 2차적으로 이물유입방지벽(164)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16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hollow inside the center of the pump case 152,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pump inlet 161 is connected to the motor 154. To prevent flow into the rotating impeller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 the tub 20 is first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provided in the outflow pipe 124, and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Foreign matter that is not supported is secondarily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펌프케이스(152) 내부의 제1수용부(171) 및 제2수용부(172)는 이물유입방지벽(164)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in the pump case 152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제1수용부(171)는 이물유입방지벽(164)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2수용부(172)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펌프유입구(161) 또는 제2펌프유입구(162)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수용하여 제2수용부(17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is a space formed out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and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and includes a first pump inlet 161 or a second pump inlet (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162 is gui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72.

제2수용부(172)는 이물유입방지벽(164)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그 일단은 제1수용부(171)와 연통되고 타단은 모터결합부(174)와 연통되어, 제1수용부(171)로 유입된 세탁수를 모터결합부(17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one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otor coupling part 174.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unit 171 is guided to be introduced into the motor coupling unit 174.

이물유입방지벽(164)의 하부에는 제2수용부(172)와 연통되는 잔수제거홀(173)이 마련된다. 잔수제거홀(173)은 세탁수를 배수한 뒤에도 제2수용부(172)에 남을 수 있는 잔수(殘水)를 제1펌프유입구(161)로 안내하여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A residual water removal hole 17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is provided below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Residual water removal hole 173 guides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to the first pump inlet 161 after draining the wash water so that it can be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do.

모터결합부(174)는 펌프케이스(152)의 일단에 마련되며, 모터결합부(174)에는 제2수용부(172)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4)가 결합된다. 모터(154)의 회전축에는 임펠러(미도시)가 결합되어 회전하며 임펠러는 모터결합부(174)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버블발생부(18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motor coupling part 17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ump case 152, and the motor coupling part 174 includes a motor 154 that provides power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Combined. An impell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54, and the impeller provides a transfer power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motor coupling part 174 can be transferred to the bubble generator 180.

모터결합부(174)의 외주면에는 펌프유출구(176)가 모터결합부(174)와 연통되게 마련되어 펌핑된 세탁수를 버블발생부(180)로 안내한다.A pump outlet 176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coupling part 174 to communicate with the motor coupling part 174 to guide the pumped wash water to the bubble generator 180.

버블발생부(180)는 세탁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세탁수유로(184)와 세탁수유로(184)를 흐르는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190)를 구비한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includes a washing water flow passage 184 that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nd an air inlet 190 that supplies air to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flow passage 184.

세탁수유로(184)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버블발생부(18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유로(181)와 제2유로(182)를 포함한다.The washing water channel 184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and includes a first channel 181 and a second channel 182.

제1유로(181)는 버블발생부(180)의 내부에서 소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며, 제2유로(182)는 제1유로(181)와 연통되며, 제1유로(181)의 지름(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D2)을 가지고 버블발생부(180)의 내부에서 소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channel 181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bubble generator 180, and the second channel 18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hannel 181 and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channel 181. It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D2) compared to the) is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제1유로(181)와 제2유로(182) 사이에는 지름감소부(183)가 마련되어, 세탁수가 제1유로(181)에서 제2유로(18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받는 이동저항을 줄이게 된다.A diameter reducing unit 18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ow passage 181 and the second flow passage 182 to reduce the transfer resistance received in the process of washing water moving from the first flow passage 181 to the second flow passage 182. .

공기유입구(190)는 버블발생부(180)의 외주면으로부터 버블발생부(18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유로(182)와 연통된다.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공기유입구(190)의 지름은 제2유로(182)의 지름(D2) 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입구(190)의 일단에는 공기유입호스(192)가 결합되며 공기유입호스(19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커버(70)에 결합되어 터브커버(70) 내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9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inlet 190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hannel 182. In order to smoothly flow the air, the diameter of the air inlet 19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channel 182. An air inlet hose 19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 inlet 190, and the air inlet hose 192 is coupled to the tub cover 70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air inside the tub cover 70 is air inlet. (190) to be introduced.

제1유로(181)를 흐르는 세탁수가 제1유로(181) 보다 지름이 작은 제2유로(182)로 유입되면, 제2유로(182)로 유입된 세탁수의 속도는 제1유로(181)를 흐를 때보다 빨라지게 되고, 속도가 빨라진 만큼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181 flows into the second passage 18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assage 181, the speed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passage 182 is the first passage 181. It will be faster than when it flows, and the pressure will decrease as the speed increases.

이 때, 제2유로(182) 구간에서 압력이 감소한 만큼 제2유로(182) 구간과 순버블발생부(180)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압력차에 의해 버블발생부(180)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90)를 통해 제2유로(182)로 유입되어 세탁수에 섞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assage 182 section and the outside of the forward bubble generating unit 180 is generated as the pressure decreases in the second passage 182 section,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is cau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passage 182 through the air inlet 190 and mixed with the wash water.

이와 같은 현상을 벤츄리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유체가 서로 다른 지금 또는 단면적을 가진 유로를 지날 때, 유체의 속도는 지금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고, 압력은 증가한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되는 효과이다.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Venturi effect, which means that when a fluid passes through different currents or flow path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e velocity of the fluid increases in proportion to its square, and the pressure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increased velocity. Effect.

이와 같이 버블발생부(180)의 내부를 서로 지름이 다른 유로로 구성하고, 공기유입구(190)를 추가하는 구조를 통해,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버블(Bubble: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such, the insides of the bubble generator 180 may be configured to have flow path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air inlet 190 may be added to supply air to the wash water, thereby generating bubbles (bubble). have.

버블발생부(180)의 일단은 터브(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제2유로(182)는 터브(20)의 하단과 연통되므로 제2유로(182)를 지난 세탁수는 상기와 같이 버블을 포함한 상태로 터브(20) 내로 유입된다.One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8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 20, the second passage 18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tub 20, the wash water past the second passage 182 is bubbled as described above It is introduced into the tub 20 in a state including.

유출관(124)과 제1펌프유입구(161)는 제1연결호스(142)로 연결될 수 있고, 펌프유출구(176)와 제1유로(181)는 제2연결호스(144)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호스(142)와 제2연결호스(144)는 세탁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1연결호스(142) 및 제2연결호스(144)는 합성고무 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외부 충격이나 내부 진동에 의해 터브(20)에 부딪히더라도 훼손되지 않고 세탁수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outlet pipe 124 and the first pump inlet 16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se 142, and the pump outlet 176 and the first channel 18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se 144. . The first connection hose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se 144 prevent leakage of water in the process of washing water. Since the first connection hose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se 144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the first connection hose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se 144 are stably transported to the wash water without being damaged even when they are hit by the tub 20 by external impact or internal vibration. Can be.

이하에서는 세탁수에 버블이 발생되거나 세탁수가 배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wash water or the wash water is drained.

도 7은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세탁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세탁수가 배수되는 경우의 세탁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wash water when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wash water,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wash water when the wash water is drain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 내의 세탁수는 유입관(122)을 통해 유로케이스(12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배출관(126)에 설치되는 밸브(134)는 유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되지 않도록 배출관(126)을 폐쇄한다. 유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유출관(124)을 지나면서 유출관(124)에 마련되는 이물유입방지리브(132)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이 걸러진 상태로 제1연결호스(142) 및 제1펌프유입구(161)를 통해 펌프케이스(152)로 유입된다.As shown in FIG. 7, the wash water in the tub 20 is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case 120 through the inflow pipe 122. At this time, the valve 134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26 closes the discharge pipe 126 so that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22 is not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ipe 122 passes through the outflow pipe 124 and the first connection hose in the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first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rib 132 provided in the outflow pipe 124. It is introduced into the pump case 152 through the 142 and the first pump inlet 161.

펌프케이스(152)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1수용부(171)를 지나면서 이물유입방지벽(164)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이 걸러지며, 제2수용부(172)를 통해 모터결합부(174)로 유입된다. 한편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는 제2펌프유입구(162)를 통해서 유로케이스(120)를 거지치 않고 직접 펌프케이스(152)의 제1수용부(171)로 유입되어 유로케이스(120)를 거쳐 제1수용부(171)로 유입된 세탁수와 합류하여 제2수용부(172)를 통해 모터결합부(174)로 유입될 수도 있다. 모터결합부(174)로 유입된 세탁수는 임펠러에 의해 펌프유출구(176)를 거쳐 버블발생부(180)로 이송된다.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pump case 152 is secondarily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164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receiving part 171, and is coupled to the motor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art 172. Flows into section 174. Meanwhile, the wash water inside the tub 20 flows directly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of the pump case 152 through the second pump inlet 162 without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flow case 120. After join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71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tor coupling part 174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motor coupling part 174 is transferred to the bubble generator 180 through the pump outlet 176 by the impeller.

버블발생부(180)로 이송된 세탁수는 제1유로(181) 및 제2유로(182)를 지나면서 버블을 포함한 상태로 다시 터브(20) 내부로 분사된다. The wash water transferred to the bubble generator 180 is sprayed back into the tub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181 and the second passage 182 and including the bubbl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를 세탁기(1)의 외부로 배수할 경우,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는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되거나, 제2펌프유입구(162)를 통해 배수된다. 이 때 밸브(134)는 유입관(122)을 거친 세탁수가 배출관(126)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출관(126)을 개방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20 is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or drained through the second pump inlet 162. do. At this time, the valve 134 opens the discharge pipe 126 so that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122 can be drai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펌프케이스(15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펌프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펌프케이스(150) 내부의 세탁수가 제1펌프유입구(161)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한다. 제1펌프유입구(161)로 유입된 세탁수는 중력의 영향에 의해 제1펌프유입구(161)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유출관(124)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pump inlet 162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case 150 applies pressure to allow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pump case 150 to flow toward the first pump inlet 161.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pump inlet 161 may flow smoothly to the outlet pipe 124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pump inlet 161 by the effect of gravity.

유출관(124)을 지난 세탁수는 배출관(126)을 통해 세탁기(1)의 외부로 배수된다.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pipe 124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6.

한편 세탁수를 배수한 뒤에도 제2수용부(172)에 남을 수 있는 잔수(殘水)는 잔수제거홀(173)에 의해 제1펌프유입구(161) 및 배출관(126)을 통해 세탁기(1)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72 after draining the washing water is washed by the first pump inlet 161 and the discharge pipe 126 by the residual water removing hole 173. This can be drained out.

1 : 세탁기 20 : 터브
30 : 회전조 40 : 구동장치
50 : 급수장치 60 : 세제공급장치
70 : 터브커버 120 : 유로케이스
124 : 유출관 126 : 배출관
132 : 이물유입방지리브 150 : 펌프
152 : 펌프케이스 154 : 모터
161 : 제1펌프유입구 162 : 제2펌프유입구
164 : 이물유입방지벽 180 : 버블발생부
181 : 제1유로 182 : 제2유로
184 : 세탁수유로 190 : 공기유로
192 : 공기유입호스
1: washing machine 20: tub
30: rotating tank 40: driving device
50: water supply device 60: detergent supply device
70: tub cover 120: euro case
124: outlet pipe 126: discharge pipe
132: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150: pump
152: pump case 154: motor
161: first pump inlet 162: second pump inlet
164: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180: bubble generating part
181: first euro 182: second euro
184: wash flow path 190: air flow path
192: air inlet hose

Claims (20)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을 가지는 유로케이스;와,
상기 유출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펌프유입구를 가지는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Tub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A flow path case having an inflow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and an outflow pip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ipe flows out;
A pump case having a first pump inlet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outlet pipe and a motor coupled to one end of the pump case to provide power for pumping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pump inlet; Pump;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Where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케이스는,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uro cas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유입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유입방지리브는 상기 유출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et pip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s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펌프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펌프유입구는 상기 제1펌프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mp case further includes a second pump inlet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tub,
And the second pump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pump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펌프유입구는 상기 이물유입방지턱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case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jaw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 the tub,
The second pump inlet is 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oreign matter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mp cas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pump inl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은 상기 펌프케이스의 중심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버블발생부로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ump cas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pump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ng wall is pumped 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펌프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결합부와,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버블발생부로 안내하는 펌프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유출구는 상기 모터결합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결합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mp case,
A motor coupling part to which a motor providing power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pump inlet is coupled;
A pump outlet for guiding pumped wash water to the bubble generator,
The pump outle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tor coupling portion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motor coupl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로 또는 상기 제2펌프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그 일단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모터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pump case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pump channel or the second pump channe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tor coupling part.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wal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은 상기 제2수용부에 남아있는 세탁수를 제거하기 위한 잔수제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wall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residual water removal hole for removing the wash water remaining in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제2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흐르는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bble generator,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flows in;
A second passage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passage,
And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to supply air to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 또는 상기 유출관 중 어느 한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valve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ipe flows to either the discharge pipe or the outlet pi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과 상기 제1펌프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호스와,
상기 펌프유출구와 상기 제1유로를 연결하는 제2연결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outlet pipe and the first pump inlet,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necting hose connecting the pump outlet and the first flow path.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세탁수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터브의 바닥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유로케이스;와,
상기 유출관보다 상기 터브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1펌프유로를 가지는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펌프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펌핑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를 가지는 버블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main body;
Tub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the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so that the wash water in the tub and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inlet pipe A flow path case including an outlet pip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ub by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ash water; and
A pump including a pump case having a first pump passage disposed closer to the tub than the outlet pipe, and a mo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mp case to pump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ump passage; ,
A bubble generator having an air inlet for supplying air to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Where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washing machi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하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1펌프유로보다 상부에 마련되는 제2펌프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pump cas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tub,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second pump flow path provided above the first pump flow pat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상기 제1펌프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유입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pump cas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ump passage.
제16항에 있어서,
이물유입방지벽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물유입방지벽의 내측에 남아있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잔수제거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6,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water removal hol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so that the wash water remaining insid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wall flows to the discharge pi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유출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물유입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outflow pip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rib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ipe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흐르는 세탁수유로와,
상기 세탁수유로를 흐르는 세탁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탁수유로유로와 연통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bubble generator,
A washing wat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pump flows;
And an air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wash water flow passage to supply air to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sh water passage.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의 배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배출관을 폐쇄하여 상기 세탁수가 상기 펌프로 이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탁수의 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관을 개방하여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Bubb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bubbles in the main body, the tub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the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the pump disposed below the tub, and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pump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Sensing the level of the wash wate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wash water into the tub;
Determining whether drainage of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tub is necessar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rises above a certain height, the discharge pipe is closed to control the washing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pum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is necessary, the discharge pipe is opened to open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KR1020100133107A 2010-12-23 2010-12-23 Washing machine KR2012007152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07A KR20120071528A (en) 2010-12-23 2010-12-23 Washing machine
US13/313,390 US20120159716A1 (en) 2010-12-23 2011-12-07 Washing machine
CN2011104484594A CN102560977A (en) 2010-12-23 2011-12-22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07A KR20120071528A (en) 2010-12-23 2010-12-23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28A true KR20120071528A (en) 2012-07-03

Family

ID=4631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07A KR20120071528A (en) 2010-12-23 2010-12-23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59716A1 (en)
KR (1) KR20120071528A (en)
CN (1) CN10256097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04B1 (en) 2015-09-17 2017-03-16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669B1 (en) 2013-12-23 2016-08-3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pparatus for generating bubbl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1568209B1 (en)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omprising mirco bubble generating unit
US20150275415A1 (en) * 2014-03-28 2015-10-01 Kristinn G. Drewry Pulsed hydraulic clothes washer
DE112016000314B4 (en) * 2015-01-12 2023-04-2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0011941B2 (en) * 2016-03-15 2018-07-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 bulk dispense reservoir
JP6251425B1 (en) * 2016-09-09 2017-12-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Washing machine
KR20180034155A (en)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KR20180034153A (en)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KR102397435B1 (en)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102397442B1 (en)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102397439B1 (en)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CN107059329B (en) * 2017-05-03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Foam generato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KR102502662B1 (en) * 2018-03-28 2023-02-2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JP2021010452A (en) * 2019-07-04 2021-02-0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Vertical type washing machine
CN112575508A (en) * 2020-11-26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oam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18189Z2 (en) * 1988-11-23 1992-04-08 Zanussi A Spa Industrie DISHWASHER MACHINE WITH SELF-CLEANING REDIRCULATION FILTER.
JP3046487B2 (en) * 1994-03-14 2000-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Dehydration washing machine
US6219871B1 (en) * 1997-04-14 2001-04-24 Max B. Frederick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flexible container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and minimize space occupancy
WO2005010267A1 (en) * 2003-07-25 2005-02-03 Lg Electronics Inc. Semi-dry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the ventilating struct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KR100561731B1 (en) * 2003-10-23 2006-03-20 홍종수 Washing machine
KR101287532B1 (en) * 2007-04-11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279033B1 (en) * 2007-09-11 201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JP5193588B2 (en) * 2007-12-26 2013-05-08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Washing machine
KR20100106037A (en) * 2009-03-23 2010-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thereof
US8418510B2 (en) * 2009-04-15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04B1 (en) 2015-09-17 2017-03-16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9716A1 (en) 2012-06-28
CN102560977A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1528A (en) Washing machine
US10988887B2 (en) Washing machine
KR102431999B1 (en) Washing machine
KR20120053579A (en) Detergent feed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350317B1 (en) Washing machine
JP2008113982A5 (en)
KR20120040793A (en) Washing machine
JP6075065B2 (en) Washing machine
KR20090006659A (en) Washing machine
KR20090111603A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9370A (en) Washing machine
MX2014001838A (en) "laundry machine having lower reservoir and washing processes for a laundry machine".
WO2013035277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10043636A (en) Washing device
WO2017064830A1 (en) Washing machine
JP2012029710A (en) Washing machine
JP5686614B2 (en) Washing machine
KR100634799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0830447B1 (en) structure of injecting additive in Washing machine
JP2018143525A (en) Washing machine
JP6135977B2 (en) Washing machine
KR101165013B1 (en) Detergent dissolving metho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114329B1 (en) Washing machine
JP6004336B2 (en) Washing machine
JP6135978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