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890B1 -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890B1
KR101592890B1 KR1020140129410A KR20140129410A KR101592890B1 KR 101592890 B1 KR101592890 B1 KR 101592890B1 KR 1020140129410 A KR1020140129410 A KR 1020140129410A KR 20140129410 A KR20140129410 A KR 20140129410A KR 101592890 B1 KR101592890 B1 KR 101592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plate
resonator
deform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찬
지재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01P7/088Tunabl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2Bends; Corners; Twi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01P7/086Coplanar waveguide resonators

Landscapes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110);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11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21); 및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21) 주위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튜너블 공진기에 따르면, 형상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를 유연한 특성의 공진기에 장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공진기를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Tunable Resona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기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공진기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진기(resonator)는 안테나, 듀플렉서(duplexer), 필터와 같은 무선통신장치의 동조 회로 등에서 이용된다. 공진은 L(인덕터) 및 C(캐패시터)를 이용하는 전기적 공진과, 캐비티(cavity)와 같은 특정의 구조를
이용하는 구조적 공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캐비티(cavity) 내에서 공진이 발생하는 구조적 공진의 경우에는 공진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해서는 캐비티의 크기 및 모양을 변형하거나, 캐비티 내부에 유전체 또는 자성체를 채워넣는 방법으로 공진 주파수를 튜닝할 수 있다.
도 1에는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공진기는 캐비티(1), 발진기(2), 동조 나사(3), 금속(4)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동조 나사(3)를 통해 동조 나사(3) 아래의 금속(4)과 발진기(2) 간의 높이(H)를 조절함으로써, 발진기(2)의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파수 가변 범위에 한계가 있게 되며, 동조 나사(3)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나사산이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1494호 (2013년 11월 1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변형이 가능한 특정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유연한 특성의 전가기기의 기반 부품이 될 수 있고, 목표로 하는 상대적으로 저주파수와 고주파수의 공진주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한 튜너블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판상형 공진기의 일측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 주위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은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평면상 정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네 개의 변에 각각 장착되는 평면상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은 서로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고,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톱니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몸체부; 및
상기 판상형 몸체부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끝단부는 판상형 공진기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재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방향 정렬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된 판상형 몸체부; 및
상기 판상형 몸체부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판상형 몸체부는,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의 끝단부는 판상형 공진기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재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변형부재는 선형 부재이고,
판상형 몸체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상형 몸체부에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튜너블 공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너블 공진기에 따르면, 형상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를 유연한 특성의 공진기에 장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공진기를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튜너블 공진기에 따르면,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가지는 형상변형부가 유연한 특성의 공진기에 장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공진기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공진기의 안정적인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고, 공진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튜너블 공진기에 따르면, 특정 각도 또는 특정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를 유연한 특성의 공진기에 장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공진기를 특정 각도 또는 특정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주파수를 정확히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기반 부품으로 활용될 수 있고, 종래의 경화된 전자기기와는 달리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 A'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는, 판상형 공진기(110) 및 형상변형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공진기(110)는, 형상변형부(120)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판상형 공진기(1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20)의 변형 동작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형상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120)를 유연한 특성의 판상형 공진기(110)에 장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120)의 변형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를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면에 전극 회로(10)가 인쇄된 판상형 공진기(110)는, 전극 회로(10)의 양측 거리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만일, 전극 회로(10)의 거리에 변화를 가하면 이에 따라서 공진 주파수도 변경된다. 따라서, 상부면에 전극 회로(10)가 인쇄된 판상형 공진기(110)에 변형을 가할 경우, 전극 회로(10)의 양측 거리 역시 변경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공진 주파수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전극 회로(10)가 인쇄된 판상형 공진기(110)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판상형 공진기(110)에 특정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전극 회로(10)의 양측 거리를 변경시키고, 결과적으로, 판상형 공진기(110)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110)에 변형을 가할 수 있도록, 판상형 공진기(110)에 인접하여 형상변형부(120)를 장착하였다.
형상변형부(1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A - A'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3에 도시된 형상변형부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2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부(120)는, 메인프레임(121) 및 보조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정사각형 형상이고,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 중앙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사다리꼴 형상이고, 메인프레임(121)의 네 개의 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21)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메인프레임(121)과 보조프레임(122)은 서로 힌지구조(130)에 의해 결속되어, 보조프레임(122)의 절곡 동작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21)과 보조프레임(122)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톱니(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톱니(123) 구조는, 보조프레임(122)의 절곡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22)의 소정 각도로 절곡될 경우, 톱니(123) 구조에 의해 메인프레임(121)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멈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보조프레임(122)의 절곡 각도를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122)의 절곡 각도를 또 다시 변경시킬 경우, 보조프레임(122)을 가압하여 절곡시킨 후, 메인프레임(121)에 의해 특정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에 따르면, 특정 각도 또는 특정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120)를 유연한 특성의 판상형 공진기(110)에 장착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부(120)의 변형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를 특정 각도 또는 특정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주파수를 정확히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21) 및 보조프레임(122)은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22)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에 따르면,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가지는 형상변형부(120)가 유연한 특성의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판상형 공진기(110)의 안정적인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고, 튜너블 공진기(1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는, 판상형 공진기(110) 및 형상변형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공진기(110)는, 형상변형부(120')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판상형 공진기(1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20')의 변형 동작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변형부(120')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몸체부(125); 및 판상형 몸체부(125)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부재(12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변형부재(126)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도 12에는 도 10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0 및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부(120')는, 형상변형부재(126)를 판상형 몸체부(125)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재(126)에 전기를 인가하거나 차단함에 따라 형상변형부(120')의 절곡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형상변형부재(126)을 형상기억합금으로 채택할 경우, 전기 인가에 따라 절곡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형상변형부(120')의 절곡 각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변형부재(126)를 5도, 10도, 15도, 20도 및 25도 각도로 절곡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채택할 경우, 원하는 절곡 각도에 해당하는 형상기억합금에만 전기를 인하여 형상변형부재(126)를 원하는 절곡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절곡 각도는 하나의 예시에 지날 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형상변형부재(126)를 다양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절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반경에서부터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절곡되는 형상기억합금을 채택하여 형상변형부재에 적용할 경우, 형상변형부(120')의 변형 형태를 곡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부(120')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20')는, 외력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판상형 공진기(110)의 안정적인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고, 튜너블 공진기(1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는 도 14에 도시된 튜너블 공진기가 형상변형부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는, 판상형 공진기(110) 및 형상변형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공진기(110)는, 형상변형부(120'')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판상형 공진기(1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20'')의 변형 동작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몸체부(127) 및 형상변형부재(12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몸체부(127)는,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일방향 정렬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128)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형상변형부재(126)는 판상형 몸체부(127)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형상변형부재(126)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부재(126)는 선형 부재이고, 판상형 몸체부(127)에 형성된 절곡부(128)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상형 몸체부(127)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이 가능한 형상변형부(120'')를 유연한 특성의 판상형 공진기(110)에 장착함으로써, 형상변형부(120'')의 변형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를 변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특정 범위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획득할 수 있는 튜너블 공진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부(120'')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변형부(120'')는, 외력에 의해 판상형 공진기(1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판상형 공진기(110)의 안정적인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고, 튜너블 공진기(1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튜너블 공진기(100, 100', 100'')는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기반 부품으로 활용될 수 있고, 종래의 경화된 전자기기와는 달리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한 전자기기(2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100', 100'': 튜너블 공진기
110: 판상형 공진기
120, 120', 120'': 형상변형부
121: 메인프레임
122: 보조프레임
123: 톱니
124: 보조프레임의 끝단부
124': 형상변형부의 끝단부
124'': 형상변형부의 끝단부
125: 판상형 몸체부
126: 형상변형부재
127: 판상형 몸체부
128: 절곡부
130: 힌지구조
200: 전자기기

Claims (17)

  1.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110);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11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120)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21); 및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21) 주위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1) 및 보조프레임(122)은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1)은 평면상 정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보조프레임(122)은 메인프레임(121)의 네 개의 변에 각각 장착되는 평면상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1)과 보조프레임(122)은 서로 힌지구조(130)에 의해 결속되고,
    메인프레임(121)과 보조프레임(122)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톱니(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22)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7.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110);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11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120')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몸체부(125); 및
    상기 판상형 몸체부(125)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부재(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재(126)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1.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공진기(110); 및
    상기 판상형 공진기(1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형상이 변형되어 판상형 공진기(11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변형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변형부(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방향 정렬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128)가 형성된 판상형 몸체부(127); 및
    상기 판상형 몸체부(127)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부착되고, 전기 인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부재(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1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판상형 몸체부(127)는, 소정 크기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120'')의 끝단부(124'')는 판상형 공진기(110)의 끝단부를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재(126)는 전기 인가에 의해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재(126)는 선형 부재이고,
    판상형 몸체부(127)에 형성된 절곡부(128)의 형성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상형 몸체부(12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블 공진기.
  17.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튜너블 공진기(100, 100', 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200).
KR1020140129410A 2014-09-26 2014-09-26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592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10A KR101592890B1 (ko) 2014-09-26 2014-09-26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10A KR101592890B1 (ko) 2014-09-26 2014-09-26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890B1 true KR101592890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10A KR101592890B1 (ko) 2014-09-26 2014-09-26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20A (ja) * 2002-03-11 2003-09-19 Kobayashi Kirokushi Co Ltd Rfidタグ
JP2009033727A (ja) * 2007-06-22 2009-02-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KR101331494B1 (ko) 2007-11-16 201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너블 rf 공진기
US20140234995A1 (en) * 2013-02-18 2014-08-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of forming flexible and tunable semiconductor photonic circui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20A (ja) * 2002-03-11 2003-09-19 Kobayashi Kirokushi Co Ltd Rfidタグ
JP2009033727A (ja) * 2007-06-22 2009-02-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KR101331494B1 (ko) 2007-11-16 201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너블 rf 공진기
US20140234995A1 (en) * 2013-02-18 2014-08-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of forming flexible and tunable semiconductor photonic circui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ing Li외 8인, "Mechanically tunable terahertz metamaterials", Applied Physics Letters, 2013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7101B (zh) 集成储能电路的电子设备壳体
US10090572B1 (en)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a hollow box with a resonance element disposed therein and a depression with dot peen structures therein
US9184479B2 (en) Multi mode filter for realizing wide band using capacitive coupling / inductive coupling and capable of tuning coupling value
CN107994304B (zh) 多模介质滤波器及其调试方法
EP2672567A1 (en) Antenna device
US9812780B2 (en) Techniques of tuning an antenna by weak coupling of a variable impedance component
US10320050B2 (en) Multi-mode resonator
EP2629370A2 (en) Slot antenna having broad bandwidth and high radiation efficiency
WO2012147355A1 (ja) 携帯無線機
CN106159395A (zh) 腔体滤波器、双工器和射频拉远设备
US20050093748A1 (en) Antenna device having miniaturized radiating conductor plate
KR101592890B1 (ko) 튜너블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EP2884579B1 (en) Dielectric filter
JP2005159843A (ja) 円偏波型アンテナ装置
US9923262B2 (en) Mobile device
US20180090804A1 (en) Resonator and filter
JP6287031B2 (ja) 誘電体共振部品
US9660329B2 (en) Directional antenna
JP2007174131A (ja) ヘリカルアンテナ
JP2004247783A (ja)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EP2755278A1 (en) Antenna device
KR101656577B1 (ko) 주파수 선택 공진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KR101711952B1 (ko)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94541A1 (ja) 共振器及びフィルタ
JP4938865B2 (ja) 広帯域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