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97B1 -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997B1
KR101591997B1 KR1020150142826A KR20150142826A KR101591997B1 KR 101591997 B1 KR101591997 B1 KR 101591997B1 KR 1020150142826 A KR1020150142826 A KR 1020150142826A KR 20150142826 A KR20150142826 A KR 20150142826A KR 101591997 B1 KR101591997 B1 KR 10159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mage
information
modul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미도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15014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Abstract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은 전지와 조명등 단자가 접속이 원활하도록 접속 불량을 방지하고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을 부여한 좌표수집장치가 GPS 좌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건물의 최상층에 안정되게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건물 외곽의 절곡 지점마다 개별 설치되어서 건물의 실제 외곽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수치지도의 정보 갱신을 진행할 수 있어 수치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Based on Revision for the Each Frame of Photographing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처리 시스템 기술 분야 중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와 조명등 단자가 접속이 원활하도록 접속 불량을 방지하고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을 부여한 좌표수집장치가 GPS 좌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건물의 최상층에 안정되게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건물 외곽의 절곡 지점마다 개별 설치되어서 건물의 실제 외곽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수치지도의 정보 갱신을 진행할 수 있어 수치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화 작업을 위한 해당 지면의 영상이미지 수집과, 수집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이미지를 도화하는 작업과, 도화이미지에 설정된 기준점에 GPS 좌표를 맞춰 좌표 정보를 합성하는 작업이 순차 진행된다.
그런데, 영상이미지는 통상적으로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되므로, 원격지에 대한 영상이미지는 광학적으로 그 변형이 불가피하다.
결국, 일정한 격자형상의 GPS 좌표를 상기 영상이미지에 그대로 적용하면, 영상이미지의 가장자리 지점과 GPS 좌표 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편,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된 도화이미지는 도심지의 건물이나 각종 인공구조물(이하, "건물"이라함)을 영상이미지의 해당 인공구조물의 형상 및 모습을 따라 다각형상의 개략적인 모습으로 도시되었다. 즉, 상기 광학적인 한계가 드러난 영상이미지 내 인공구조물의 형상 및 모습에 따라 도시된 다각형상의 모습 및 크기는 실제와 상이하므로, 도로 등의 주변시설과 비교해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수치지도가 GPS 좌표를 근거로 사용자의 현위치 또는 특정 건물의 위치를 단순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되면서, 건물의 사실감 표현이 요구되지 않아,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GPS 좌표의 실제 지점과, 수치지도에 표시된 상기 GPS 좌표의 해당 지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건물이미지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수치지도 이용에 큰 혼란과 불편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즉, 사용자 자신이 위치한 보도 지점의 GPS 좌표가 수치지도상에서 특정 건물이미지 내인 것으로 표기된다면, 사용자는 현위치에 대한 혼동을 일으킬 수밖에 없고, 결국 수치지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건물의 형상과 그 위치도 수치지도의 기준점인 GPS 좌표에 맞게 도시됨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도심지는 수많은 무선 신호들이 범람하고 다양한 신호들 간의 상호 간섭이 빈번하면서 통상적인 GPS 측정기와 위성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측정환경에서 일시적인 GPS 측정은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했고, 이렇게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수정 및 보완된 수치지도는 종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582호(2009.08.28.)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의 경우는 장시간 사용시 전지와 단자간의 접촉 불량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조명등을 통한 점등이 불가능하여 경고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좌표수집장치의 4개의 지지대의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 측정 작업성이 떨어지고 측정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15582호(등록일: 2009년 08월 28일), 발명의 명칭: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와 조명등 단자의 접속이 원활하도록 접속 불량을 방지하고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을 부여한 좌표수집장치가 GPS 좌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건물의 최상층에 안정되게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건물 외곽의 절곡 지점마다 개별 설치되어서 건물의 실제 외곽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수치지도의 정보 갱신을 진행할 수 있어 수치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은 인공구조물의 GPS 좌표가 포함된 수치정보를 저장하는 수치정보DB(11); 지면과 인공구조물의 건물이미지(22)가 도화된 도화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정보DB(12); 수치정보DB(11)와 도화이미지정보DB(12)에서 각각 검색된 수치정보와 해당 도화이미지를 합성 처리해서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영상처리모듈(13); 영상처리모듈(13)로부터 전송된 수치지도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입출력모듈(14); 인공구조물의 일 지점에 기계적으로 설치되어서 당해 일 지점의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집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좌표수집장치(100); 좌표수집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수집 정보 중 다수의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산정해 평균치를 확인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에서 확인된 GPS 좌표에 대한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의 점유 여부를 확인해서 당해 건물이미지(23)가 상기 GPS 좌표를 점유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건물이미지(23)의 이미지 크기를 축소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 및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에서 확인한 상기 일 지점의 GPS 좌표 평균치를 수치지도(20)에 표기되는 좌표(21)를 기준으로 확인하고, 당해 인공구조물의 건물이미지(22, 23)의 일 지점을 상기 평균치에 맞게 수정해 도화이미지정보DB(12)를 갱신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정보갱신모듈(16)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표수집장치(100)는 인공구조물 옥상의 펜스(F) 내측 절곡 지점에 끼워져 맞물리는 제1지지대(111a); 제1지지대(111a)와 마주하는 펜스(F)의 각 외면에 맞물리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1)과, 하우징(1111)의 외면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펜스(F)의 외면과 접하는 압력판(1112)과, 유체(L)가 충진되고 압력판(1112)의 이동으로 압력을 받아 유체(L)의 상방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우징(1111)에 내설되는 실린더(1113)와, 실린더(1113)의 내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1114)과, 피스톤(1114)에 고정되어서 하우징(1111) 내에 상하로 이동하는 전지(1115)와, 하우징(1111)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고 전지(1115)와의 탈착으로 통전 여부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등하는 경고등(1116)을 구비하는 제2,3지지대(111b, 111c); 펜스(F)의 외측 절곡 지점에서 제1지지대(111a)와 대각으로 대향하게 맞물리는 제4지지대(111d)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111)의 일측면에는 고정브라켓(120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200)의 상면에는 전동력을 제공하는 제어모듈(1300)이 고정되며, 상기 제어모듈(130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펼쳐지는 다단연결대(1400)가 상기 하우징(1111)의 측면에 수평하게 상기 하우징(1111)을 관통하여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다단연결대(1400)의 단부에는 내부에 공기챔버(15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챔버(1510)에 연통되는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기공급유로(153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가 내부에 공기를 상방으로 연장된 3개의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과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이 연통되는 세정부(1500)가 고정되며, 상기 다단연결대(1400)는 상기 제어모듈(1300)의 전동력으로 회전되는 중공상의 1차축(1401); 상기 1차축(1401)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1차축(1401)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1차축너트부(1410)와 치합되는 2차축나사부(1408)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2차축(1402); 상기 2차축(1402)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2차축(1402)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2차축너트부(1411)와 치합되는 3차축나사부(1409)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3차축(1403)으로 구성되고, 상기 3차축(1403)의 상단내주면에는 중량물을 연결하거나 또는 4차축의 4차축나사부와 치합되는 3차축너트부(1412)가 형성되고, 상기 2차축(1402)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1차축(1401)의 상단 내주면 및 상기 3차축(1403)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2차축(1402)의 상단 내주면을 연결하는 2차축슬리브(1406) 및 3차축슬리브(1407)가 구비되어, 상기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이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휨 변형이 보완되도록 하되, 상기 2차축슬리브(1406)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1414)가 형성되어 상기 2차축(1402)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1413)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2차축슬리브(23)가 상기 1차축(1401) 내부에서 상기 2차축(1402)을 지탱하며, 상기 3차축슬리브(1407)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1416)가 형성되어 상기 3차축(140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141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3차축슬리브(1407)가 상기 2차축(1402) 내부에서 상기 3차축(1403)을 지탱하도록 하며, 상기 세정부(1500)는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와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수의 세정브러쉬(1527, 1528, 1529, 1537)가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1500)가 전후진할 때 상기 경고등(1116)에 형성되어 연결된 단자인 +동접점(1116a)과 -동접점(1116b) 및 상기 전지(1115)에 형성되어 연결된 단자인 +전지단자(1115a)와 -전지단자(1115b) 사이에서 상기 +동접점(1116a)과 -동접점(1116b) 및 상기 +전지단자(1115a)와 -전지단자(1115b)의 표면을 스윕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좌표수집장치가 GPS 좌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건물의 최상층에 안정되게 설치되어서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건물 외곽의 절곡 지점마다 개별 설치되어서 건물의 실제외곽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수치지도의 정보 갱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수치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지와 조명등 단자가 접속이 원활하여 접속 불량이 없고, 유지 보수시에도 교체가 용이하며, 휘도가 높아 원거리까지 경고신호 방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좌표수집장치의 지지대의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이 추가하여 측정 작업성을 높이고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작된 수치지도의 도화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수집장치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수집장치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측정부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에 의해 갱신된 도화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3지지대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수집장치의 다른 설치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연결대 및 세정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연결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영상처리시스템은 좌표수집장치가 장시간 사용시 전지와 단자간의 접촉 불량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조명등을 통한 점등이 불가능하여 경고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를 발생하며, 좌표수집장치의 지지대의 수평 유지와 동 억제 기능이 결여되어 측정오차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은 전지와 조명등 단자가 접속이 원활하도록 접속 불량을 방지하고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 기능을 부여한 좌표수집장치가 GPS 좌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건물의 최상층에 안정되게 설치되어서 해당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건물 외곽의 절곡 지점마다 개별 설치되어서 건물의 실제외곽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수치지도의 정보 갱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수치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은 건물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규모 및 위치된 GPS 좌표 등의 각종 수치정보를 저장하는 수치정보DB(1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지면의 형상과 모습 및 인공구조물의 외형이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정보DB(12)와, 수치정보DB(11) 및 도화이미지정보DB(12)의 저장 정보를 합성 처리해서 이미지 영상의 수치지도를 완성하는 영상처리모듈(13)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 정보의 입력 및 편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처리모듈(13)에서 완성된 수치지도를 출력하는 입출력모듈(14)과, 입출력모듈(14)로 입력되는 수집 정보를 처리하는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과, 건물이미지(22, 23) 간의 간섭 여부를 확인해서 이를 수정 처리하는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과,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 및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에서 처리된 수집 정보에 따라 수치정보DB(11) 및 도화이미지정보DB(12)의 저장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모듈(16)을 포함하고, 아울러 현장에서 건물의 외곽이 점유하는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측정 및 수집하는 좌표수집장치(10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모듈(14)을 통해 출력되는 수치지도(20)는 좌표(21)를 기준으로 해서 도화이미지가 합성 적용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입출력모듈(14)에서 출력되는 수치지도(20)를 통해 특정 지점에 대한 GPS 좌표를 확인할 수 있고, 다각형으로 표현된 건물이미지(22)를 통해 실제 지형과 수치지도(20)를 맞춰 비교할 수 있다.
건물이미지(22)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당해 건물이미지(22)의 외곽인 'a' 지점은 좌표(21)와 비교해 그 정확도가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은 'a' 지점에 대한 정확한 GPS 좌표를 측정하기 위해, 다수의 좌표수집장치(100)를 당해 건물이미지(22)의 실제 건물의 외곽에 설치한다. 여기서 '외곽'이란 건물의 절곡된 모서리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도 2의 'a' 지점에 상응하는 실제 건물의 일 지점이 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는 건물의 옥상 외곽(절곡된 모서리부분; 이하 생략)에 긴밀하게 안착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20)와, 고정부(120)에 고정되고 당해 지점의 GPS 좌표를 측정하는 측정부(130)를 포함하고,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의 측정부(130) 및 입출력모듈(14)에 탈부착되면서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GPS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전달 매개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건물의 옥상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펜스(F)의 절곡 지점에 안착되는 것으로, 펜스(F)의 내,외면에 각각 맞물려 밀착되는 4개의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와,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가 4각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일체로 연결하는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는 펜스(F)의 상면을 덮듯이 안착돼 고정되되, 제1지지대(111a)는 펜스(F)의 내측 절곡 지점에 끼워져 맞물리고, 제2,3지지대(111b, 111c)는 제1지지대(111a)와 마주하는 펜스(F)의 각 외면에 맞물리며, 제4지지대(111d)는 펜스(F)의 외측 절곡 지점에서 제1지지대(111a)와 대각으로 대향하게 맞물린다.
그리고,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는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가 서로 결속되도록 연결하면서 펜스(F)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부(110)의 낙하를 방지한다.
계속해서, 펜스(F)의 외면에 맞물리는 제2,3지지대(111b, 111c)는 펜스(F)로부터 받는 압력을 확인해서 일정 이상 압력이 발생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2,3지지대(111b, 111c)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1)에 펜스(F)의 외면과 접하면서 압력을 받는 압력판(1112)이 구비되고, 하우징(1111)의 상단에는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제2,3지지대(111b, 111c)가 접할 경우 이를 통지하는 경고등(1116)이 설치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펜스(F)의 상면은 그 폭이 건물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가 다양한 건물에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는 안테나 구조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관(1121, 1121')과, 고정관(1121, 112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관(1122, 1122')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사용자는 지지부(110)를 건물의 펜스(F)에 안착시킨 후 펜스(F)의 폭에 맞춰 이동관(1122, 1122')을 이동시켜서,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가 펜스(F)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는 각각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 중 하나의 길이를 조정하면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도 그 길이 조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스(F)의 폭에 따라 지지부(110)의 형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2연결대(112a, 112b)는 스크류 구조로 구성되면서, 사용자는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의 길이조정을 정밀하면서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관(1121)의 중공에 삽입되는 이동관(1122)은 둘레면에 나사산(1122a)이 형성되고, 고정관(1121)에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동관(1122)의 나사산(1122a)과 맞물리는 나사산(1123a)이 내면에 형성되는 핸들(1123)이 더 포함된다.
즉, 사용자는 고정관(11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핸들(1123)을 회전시켜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관(1122)의 이동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1,2연결대(112a, 112b)에 평행하는 제3,4연결대(112c, 112d)의 길이 또한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변화에 따라 더불어 변하면서, 사용자는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조정만을 통해 지지부(110) 전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제1,2연결대(112a, 112b)는 사용자가 조작이 용이하도록 되어야 하므로, 펜스(F)의 내측 절곡 지점에 맞물린 제1지지대(111a)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핸들(1123)이 설치되는 고정관(1121)이 제1지지대(111a)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이동관(1122, 1122')의 말단에는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와 연결되는 링커(11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는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관(1121, 1121')과 링커(1124, 1124')는 힌지(1117)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가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절곡 각도를 갖는 펜스(F)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는 안정되면서도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10)는 밀착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밀착부재(113)는 펜스(F)의 외측 절곡 지점과 맞물리는 제4지지대(111d)에 설치되어서, 펜스(F)와의 긴밀한 접촉은 물론 고정부(120)의 이동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밀착부재(113)는 완충성 및 마찰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부(120)는 측정부(130)를 고정하는 것으로, 펜스(F)의 외측 절곡 지점에 맞물리는 제4지지대(111d)에 고정되어서,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이를 위한 고정부(120)는 제4지지대(111d)와 나란한 형상으로 입설되는 몸체(121)와, 몸체(121)의 일면 상,하단에 각각 인출형성되어서 제4지지대(111d)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결속편(122)과, 몸체(121)의 타면에 돌출형성되고 측정부(130)의 출입을 위한 구멍(123a)이 형성되는 결속고리(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속고리(123)는 측정부(130)의 회동가능한 고정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부가 설명은 측정부(13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참고로, 고정부(120)는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결속편(122)과 제4지지대(111d)의 회동중심을 고정하는 축대(124)가 지지부(110)와 고정부(120)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고정부(120)는 제4지지대(111d)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4연결대(112c, 112d)의 회동 각에 상관없이 항시 제3,4연결대(112c, 112d)의 외각 중심에 위치하도록 교정하는 교정기(127)를 더 포함한다.
교정기(127)는 결속편(122)의 말단에 고정되어서 제3,4연결대(112c, 112d)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축대(1271)와, 중심축대(127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3,4연결대(112c, 112d)와 각각 마주하는 제1,2회동편(1272, 1273)과, 양단이 각각 제1,2회동편(1272, 1273)과 제3,4연결대(112c, 112d)에 연결되어서 제1,2회동편(1272, 1273)과 제3,4연결대(112c, 112d)를 상호 탄발하는 탄발체(1274, 1274')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3,4연결대(112c, 112d)에 연결되는 탄발체(1274, 1274')의 안정된 고정을 위해 제3,4연결대(112c, 112d)는 각각 고정체(1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1126)는 탄발체(1274, 1274')가 접하는 일면이 오목한 걸림면(1126a)이 형성되어서, 탄발체(1274, 1274')가 발하는 탄발력에 상관없이 탄발체(1274, 1274')를 안정하게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결국, 펜스(F)의 절곡 각에 따라 제1,2,3,4연결대(112a 내지 112d)의 상호 연결각을 조정하더라도, 교정기(127)는 탄발체(1274, 1274')에 의해 제3,4연결대(112c, 112d)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고, 교정기(127)와 연결된 결
속편(122) 및 몸체(121) 또한 교정기(127)의 현 위치를 따라 이동하므로, 고정부(120)가 지지하는 측정부(130)는 항시 펜스(F)의 외각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배치는 정밀한 GPS 좌표 수집에 유리하므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고).
측정부(130)는 본체(131)와, 본체(131)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결속고리(123)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반구 형상의 결속대(132)와, 결속대(132)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안테나(133)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측정부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측정부(130)는 비교적 자중이 큰 본체(131)가 최하단에 위치하고, 결속대(132)는 하방으로 인출된 연결바아(132a)를 매개로 본체(131)와 이격하게 고정되면서 고정부(120)의 결속고리(123)에 맞물린다.
이때, 반구 형상의 결속대(132)는 저면인 곡면부분이 결속고리(123)의 상면에 안착되고 본체(131)의 자중으로 지지되면서, 결속고리(123)와의 긴밀한 결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연결바아(132a)는 결속고리(123)의 구멍(123a)으로 출입 가능한 폭을 이루므로, 사용자는 결속고리(123)와 측정부(13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결국, 측정부(130)는 고정부(120)의 배치모습에 상관없이 결속대(132)의 상면으로 인출된 안테나(133)가 연직방향의 동일선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체(131)는 상기 데이터 수신을 위한 GPS감지모듈(131a)과, GPS감지모듈(131a)에서 수신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131b)을 내장하고, 저장부(140)의 접속을 위한 USB접속구(131c)를 포함한다. 물론, USB접속구(131c)는 RAM(131b)과 연결될 것이다.
GPS감지모듈(131a)은 위성에서 보내온 신호를 처리해서 현 위치에 대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으로, 안테나(133)와 통신하며, 네비게이션 및 각종 항법 장치 등에 적용되는 관용장비이다.
RAM(131b)은 GPS감지모듈(131a)에서 처리 및 전송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는 비교적 장시간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측정하므로, RAM(131b)은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처리 및 전송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면서 이를 관리할 것이다.
저장부(140)는 RAM(131b)에 기록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받아 입출력모듈(14)에 전달하는 매개로, 상기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42)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체(131)에 구비된 USB접속구(131c)와의 전기적/기계적인 연결을 위한 USB커넥터(14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USB커넥터(141)와 USB접속구(131c)를 매개로 저장부(140)가 측정부(130)에 연결되면, RAM(131b)에 기록된 데이터는 저장부(140)로 전달되면서 RAM(131b)에서는 삭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에 의해 갱신된 도화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저장부(140)는 입출력모듈(14)에 연결되고, 저장모듈(142)에 저장된 GPS 좌표 관련 데이터는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로 전달된다.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은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일 지점(a)에서 감지된 다수의 GPS 좌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서 평균치를 산정한 후, 해당 지점(a)에 대한 GPS 좌표를 확정한다.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은 프레임 단위로 분리 관리되는 건물이미지(22', 23')가 수정을 통해 변형될 경우, 이웃하는 유사영상물인 다른 건물이미지(22', 23')도 이에 상응해 형상 또는 그 위치를 수정처리하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건물이미지(22')가 확장 변형되면서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와 간섭될 경우, 해당 건물이미지(23')를 수정처리해서 외관상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의 수정처리 정도는 기존 건물이미지(22, 23; 도 2 참조) 간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축소 또는 팽창하거나, 당해 건물이미지(22')의 축소 또는 팽창 비율에 맞춰 축소 또는 팽창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당해 건물이미지(22')의 수정으로 전술한 간섭 현상이 발생할 경우엔,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 또한 정확한 GPS 좌표에 근거해 도시된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를 이용해 해당 건물이미지(23')의 GPS 좌표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수치지도(20)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정보갱신모듈(16)은 이렇게 확정된 GPS 좌표를 수치지도(20)에 적용된 좌표(21)를 기준으로 재확인한 후, 상기 지점(a)의 표기를 조정해서 새로운 지점(a')으로 수정한다. 아울러, 정보갱신모듈(16)은 새로운 지점(a')의 해당 건물이미지(22, 도 2 참조)와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에서 처리된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를 수정처리해서 새로운 건물이미지(22', 23')로 갱신한다.
결국, 수치지도(20)의 건물이미지는 그 외곽이 정확한 GPS 좌표로서 도화 처리되므로, 사용자는 수치지도(20)에 도화된 건물이미지를 확인해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20)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3지지대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연결대(112a, 112b)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정된다. 이는 펜스(F)의 폭에 맞춰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2,3,4지지대(111a 내지 111d)와 펜스(F) 간의 결속 정도는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조정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2 연결대(112a, 112b)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너무 길게 하면 좌표수집장치(100)가 풍력 및 기타 다양한 외력에 의해 설치위치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고, 그 길이를 상대적으로 너무 짧게 하면 좌표수집장치(100)의 지지부(110)가 훼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수집장치(100)는 제2,3지지대(111b, 111c)가 자신이 받는 외력을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서, 사용자가 좌표수집장치(100)의 고정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3지지대(111b, 111c)는 각각, 제2,3지지대(111b, 111c)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1)과, 하우징(1111)의 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압력판(1112)과, 하우징(1111)에 내설되고 유체(L)가 충진되며 압력판(1112)의 압력을 받아 내압이 조정되는 실린더(1113)와, 실린더(1113)의 내압 변화에 따라 하우징(1111)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이동하는 피스톤(1114)과, 피스톤(1114)에 고정되어 피스톤(1114)의 이동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전지(1115)와, 하우징(1111)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하는 전지(1115)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탈착되는 경고등(1116)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사용자에 의한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 조정으로 제2,3지지대(111b, 111c)가 펜스(F)의 외면과 접하면, 압력판(1112)은 줄어드는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실린더(1113)에 충진된 유체(L)에 압력을 가하고, 유체(L)는 상기 압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그 압력을 피스톤(1114)에 전달하며, 피스톤(1114)은 상기 압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전지(1115)를 상방 이동시킨다. 이때, 압력판(1112)이 충분한 압력을 받지 않는다면 전지(1115)는 경고등(1116)까지 이동하지 못한 채 정지되고, 압력판(1112)이 충분한 압력을 받아 전지(1115)가 경고등(1116)까지 이동하면 경고등(1116)은 전지(1115)와 통전하면서 점등될 것이다.
사용자는 경고등(1116)의 점등을 확인하고, 제1,2연결대(112a, 112b)의 길이조정 작업을 중단할 것이다.
물론, 압력판(1112)이 받는 압력이 해제되면, 전지(1115)의 자중에 의해 피스톤(1114)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유체(L)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압력판(1112)은 방사형으로 수평 확장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전지와 조명등 단자 간의 접촉상태를 증대시켜 점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1115)에 형성되는 단자와, 경고등(1116)에 형성된 단자를 주기적으로 세척, 건조시켜 접점시 항상 양호한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전지는 2차 전지로서 화학반응에 의해 석출물이 생기게 되며, 특히 접점을 이루는 단자의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산화에 의해 표면이 부식되거나 이물질이 끼면서 통전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항상 정확한 접점을 이뤄 통전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데 주된 촛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11)의 일측면에는 고정브라켓(1200)이 고정된다.
고정브라켓(1200)의 상면에는 다단연결대(1400)에 전동력을 제공하는 제어모듈(1300)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1300)의 상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하는 공기펌프(1210)가 설치되어 고정된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연결대(1400) 및 이에 결합된 세정부(1500)는 수평 방향으로 하우징(1111)을 관통하여 내부로 노출된다.
다단연결대(1400)의 단부에는 세정부(1500)가 고정되고, 다단연결대(1400)가 수평 방향으로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펼쳐져 세정부(1500)를 경고등(1116)과 전지(1115)의 공간 사이에 전후진하게 한다.
세정부(1500)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경고등(1116)과 전지(1115)의 공간 상에서 충분히 유동할 수 있다.
세정부(1500)는 내부에 공기챔버(1510)가 형성되고, 공기챔버(1510)에 연통되는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기공급유로(1538)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는 내부에 공기를 상방으로 연장된 3개의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과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이 연통되어 있다.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와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은 세정부(1500)의 상면 및 하면을 향해 연통되게 형성된다.
세정부(1500)는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와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수의 세정브러쉬(1527, 1528, 1529, 1537)가 설치된다.
세정브러쉬(1527, 1528, 1529, 1537)는 세정부(1500)가 전후진할 때 +동접점(1116a), -동접점(1116b) 및 +전지단자(1115a), -전지단자(1115b) 사이에서 이들 표면을 스윕하여 세척하게 된다.
세정브러쉬(1527, 1528, 1529, 1537)가 세척할 때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와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을 통해 공기가 고압 분사됨으로써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동접점(1116a), -동접점(1116b) 및 +전지단자(1115a), -전지단자(1115b)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시 통전불량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1300)의 상면에는 공기펌프(1210)가 설치되고, 공기펌프(1280)의 배출단에는 플렉시블관(1211)이 연결된다.
플렉시블관(1211)은 하우징(1111)을 관통하여 세정부(15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챔버(1510)와 연통되어 공기를 공기챔버(1510) 상에 충전시키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동접점(1116a) 및 +전지단자(1115a)와, -동접점(1116b) 및 -전지단자(1115b)가 각각 별도로 구비된 세정부(1500)에 의해 주기적으로 세척되기 때문에 통전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한다.
이때, 주기적인 세척은 제어모듈(1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와 접점의 표면 이물 고착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으므로 통전 불량에 의한 점등 불량의 문제를 방지하므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단 연결대(1400)는 제어모듈(1300)의 전동력으로 회전되고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중공상의 1차축(1401), 중공상의 2차축(1402) 및 중공상의 3차축(1403)으로 구성된다.
1차축(1401)은 내부에 2차축(1402)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 내주면에는 2차축(1402)의 외주면에 형성된 2차축나사부(1408)와 치합되는 1차축너트부(1410)가 형성된다.
2차축(1402)은 내부에 3차축(1403)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 내주면에는 3차축(1403)의 외주면에 형성된 3차축나사부(1409)와 치합되는 2차축너트부(1411)가 형성된다. 또한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의 하부에는 보강슬리브가 마련되어 휨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강된다.
2차축(1402)은 하부 외주연에 중공상의 2차축슬리브(1406)가 끼워지는데, 2차축(1402)의 하단 외주면에는 외향걸림턱(1413)이 형성되고 2차축슬리브(1406)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향걸림턱(1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2차축슬리브(1406)의 내부에는 2차축(1402)의 하단을 받치는 2차축스프링(1405)이 구비된다.
또한, 3차축(1403)은 하부 외주연에 중공상의 3차축슬리브(1407)가 끼워지는데, 3차축(1403)의 하단 외주면에는 외향걸림턱(1415)이 형성되고 3차축슬리브(1407)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향걸림턱(1416)이 형성된다.
3차축슬리브(1407)의 내부에는 3차축(1403)의 하단을 받치는 3차축스프링(1404)이 구비된다. 3차축(1403)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3차축너트부(14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다단 연결대(1400)는 1차축(1401),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이 겹쳐지면 높이가 낮아진 상태로 된다. 1차축(1401)에 수동 또는 전동의 회전력을 가하면 1차축(1401)은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된다. 3차축(1403)은 세정부(1500)와 연결하기 위한 수평바(1212)와 연결되어 있다.
2차축(1402)은 1차축(1401)과 함께 제자리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리드스크류의 원리대로 2차축너트부(1411)가 회전되는 동안 3차축나사부(1409)가 직선 운동을 하면서 3차축(1403)을 이동시켜 세정부(150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2차축너트부(1411)는 1차축너트부(1410) 보다 직경이 작고, 3차축나사부(1409)와의 회전 마찰력이 1차축너트부(1410) 및 2차축나사부(1408)와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1차축(1401)이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1차축너트부(1410)와 치합된 2차축(1402)으로 전달되고, 2차축(1402)은 1차축(1401)과 함께 회전되면서 2차축너트부(1411)와 치합된 3차축(1403)을 상승시킨다.
도 14에서와 같이, 3차축(1403)이 최대한 상승되면 3차축(1403)의 하단에 구비된 3차축슬리브(1407)의 내향걸림턱(1416)이 2차축(1402) 상단의 2차축너트부(1411) 밑면에 닿으면서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2차축(1402)은 회전 정지된다.
이때부터 2차축(1402)과 3차축(1403)은 하나의 기둥처럼 세정부(1500)에 회전 정지 상태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1차축(1401)이 회전되면 리드스크류의 원리대로 1차축너트부(1410)가 회전되는 동안 2차축나사부(1408)는 직선 운동을 하면서 2차축(1402)및 이와 연결된 3차축(1403)을 이동시켜 세정부(1500)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2차축슬리브(1406)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걸림턱(1414)이 1차축(1401) 상단의 1차축너트부(1410)에 닿으면 1차축(1401)의 회전이 정지되고 세정부(1500)가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된다.
2차축(1402)이 이동되면 2차축(1402)의 하부에 형성된 2차축슬리브(1406)가 1차축(1401)의 내부로 연장되므로 휨 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3차축(1403)은 3차축슬리브(1407)가 2차축(1402)의 내부로 연장되어 휨 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완되므로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이 길게 돌출되더라도 내구성에 지장이 없다. 또한 1차축(1401)이 세정부(1500)을 이동시킬 때의 역방향으로 회전 되어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이 상승될 때의 역순으로 하강되면 각 슬리브(1406)(1407)에 마련된 2차축스프링(1405) 및 3차축스프링(1404)이 압축되면서 해당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의 이동 거리가 제한하므로 과도한 이동으로 인하여 나사부의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1)은 전지(1115)의 하부면에 하우징(1111)의 수평 유지와 진동 억제를 위해 받침장치(1600)가 형성되며, 받침장치(1600)의 하부면에 피스톤(1114)이 결합된다.
받침장치(1600)는 하우징(1111)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며 내부로 소정의 유체(L)가 저장되고 상면으로 관통홀(1614)이 관통 구비된 저장용기(1621)와, 이의 내부로 실장되어 유체(L)의 수위면을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1623)와, 실린더(1623)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저장용기(1621) 상면의 관통홀(16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중공파이프(1616)와, 이러한 제1 중공파이프(1616)의 말단으로부터 동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제2 중공파이프(1611)와, 이들 상호 연통된 제1 및 제2 중공파이프(1616, 1611)의 내부로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615)과, 제2 중공파이프(1611)의 상 끝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전지(1115)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버퍼플레이트(1601)를 포함한다.
저장용기(1621)의 상면에 관통된 관통홀(1614)의 주변을 따라 소정 높이의 환형 가이드플렌지(Guide Flange: 1613)가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중공파이프(1616, 1611)의 승강이 올바른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유격있게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실린더(1623)의 외경을 따라 복수개의 환형오링(O-ring)( 1622)을 구성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실린더(1623)는 제1 중공파이프(1616)가 직립되어 저장용기(1621)의 관통홀(1614)을 통과하고, 이의 내부로 길이 방향에 따른 중공(16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중공파이프(1616)의 외주면에는 제2 중공파이프(1611)가 동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결합된다.
제2 중공파이프(1611) 중에서 제1 중공파이프(1616)와 결합되는 부분을 일단(1620)과, 그 반대편을 타단(1610)이라 한다.
제2 중공파이프(1611)의 일단(1620)의 내경이 제1 중공파이프(1616)의 외경보다 커서 제1 중공파이프(1616)을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고, 반대로 제2 중공파이프(1611)의 일단(1620)의 외경이 제1 중공파이프(1616)의 내경보다 작아서 제1 중공파이프(1616)의 내부로 수용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중공파이프(1616, 1611) 각각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중공파이프(1611)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612)이 관통되어 있다. 제1 중공파이프(1616)와 제2 중공파이프(1611) 간은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에 의해 이들 서로의 중공(1617, 1612)은 연통된다.
서로 연통된 중공(1617, 1612) 내에는 코일스프링(1615)이 개재되어 일정 정도의 탄성을 유지한 채 제1 및 제2 중공파이프(1616, 1611)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수치정보DB 12: 도화이미지정보DB
13: 영상처리모듈 14: 입출력모듈
15: 수집데이터 처리모듈 16: 정보갱신모듈
17: 간섭이미지 보완모듈 100: 좌표수집장치
1111: 하우징 1200: 고정브라켓
1300: 제어모듈 1400: 다단연결대
1500: 세정부 1600: 받침장치

Claims (1)

  1. 인공구조물의 GPS 좌표가 포함된 수치정보를 저장하는 수치정보DB(11); 지면과 인공구조물의 건물이미지(22)가 도화된 도화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정보DB(12); 수치정보DB(11)와 도화이미지정보DB(12)에서 각각 검색된 수치정보와 해당 도화이미지를 합성 처리해서 수치지도로 영상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영상처리모듈(13); 영상처리모듈(13)로부터 전송된 수치지도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입출력모듈(14); 인공구조물의 일 지점에 기계적으로 설치되어서 당해 일 지점의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집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좌표수집장치(100); 좌표수집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수집 정보 중 다수의 GPS 좌표 관련 데이터를 산정해 평균치를 확인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에서 확인된 GPS 좌표에 대한 이웃하는 건물이미지(23)의 점유 여부를 확인해서 당해 건물이미지(23)가 상기 GPS 좌표를 점유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건물이미지(23)의 이미지 크기를 축소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간섭이미지 보완모듈(17); 및 수집데이터 처리모듈(15)에서 확인한 상기 일 지점의 GPS 좌표 평균치를 수치지도(20)에 표기되는 좌표(21)를 기준으로 확인하고, 당해 인공구조물의 건물이미지(22, 23)의 일 지점을 상기 평균치에 맞게 수정해 도화이미지정보DB(12)를 갱신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컴퓨터에 설치되는 정보갱신모듈(16)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표수집장치(100)는 인공구조물 옥상의 펜스(F) 내측 절곡 지점에 끼워져 맞물리는 제1지지대(111a); 제1지지대(111a)와 마주하는 펜스(F)의 각 외면에 맞물리며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1)과, 하우징(1111)의 외면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펜스(F)의 외면과 접하는 압력판(1112)과, 유체(L)가 충진되고 압력판(1112)의 이동으로 압력을 받아 유체(L)의 상방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우징(1111)에 내설되는 실린더(1113)와, 실린더(1113)의 내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1114)과, 피스톤(1114)에 고정되어서 하우징(1111) 내에 상하로 이동하는 전지(1115)와, 하우징(1111)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고 전지(1115)와의 탈착으로 통전 여부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등하는 경고등(1116)을 구비하는 제2,3지지대(111b, 111c); 펜스(F)의 외측 절곡 지점에서 제1지지대(111a)와 대각으로 대향하게 맞물리는 제4지지대(111d)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111)의 일측면에는 고정브라켓(120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200)의 상면에는 전동력을 제공하는 제어모듈(1300)이 고정되며, 상기 제어모듈(130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펼쳐지는 다단연결대(1400)가 상기 하우징(1111)의 측면에 수평하게 상기 하우징(1111)을 관통하여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다단연결대(1400)의 단부에는 내부에 공기챔버(15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챔버(1510)에 연통되는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기공급유로(153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분배챔버(1520)와 제2 공기분배챔버(1530)가 내부 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연장된 3개의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과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이 연통되는 세정부(1500)가 고정되며,
    상기 다단연결대(1400)는 상기 제어모듈(1300)의 전동력으로 회전되는 중공상의 1차축(1401); 상기 1차축(1401)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1차축(1401)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1차축너트부(1410)와 치합되는 2차축나사부(1408)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2차축(1402); 상기 2차축(1402)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2차축(1402)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2차축너트부(1411)와 치합되는 3차축나사부(1409)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3차축(1403)으로 구성되고, 상기 3차축(1403)의 상단내주면에는 중량물을 연결하거나 또는 4차축의 4차축나사부와 치합되는 3차축너트부(1412)가 형성되고, 상기 2차축(1402)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1차축(1401)의 상단 내주면 및 상기 3차축(1403)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2차축(1402)의 상단 내주면을 연결하는 2차축슬리브(1406) 및 3차축슬리브(1407)가 구비되어, 상기 2차축(1402) 및 3차축(1403)이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휨 변형이 보완되도록 하되, 상기 2차축슬리브(1406)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1414)가 형성되어 상기 2차축(1402)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1413)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2차축슬리브(1406)가 상기 1차축(1401) 내부에서 상기 2차축(1402)을 지탱하며, 상기 3차축슬리브(1407)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1416)가 형성되어 상기 3차축(140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141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3차축슬리브(1407)가 상기 2차축(1402) 내부에서 상기 3차축(1403)을 지탱하도록 하며,
    상기 세정부(1500)는 상방분사노즐(1521, 1522, 1523, 1531, 1532, 1533)과 하방분사노즐(1524, 1525, 1526, 1534, 1535, 1536)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수의 세정브러쉬(1527, 1528, 1529, 1537)가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1500)가 전후진할 때 상기 경고등(1116)에 형성되어 연결된 단자인 +동접점(1116a)과 -동접점(1116b) 및 상기 전지(1115)에 형성되어 연결된 단자인 +전지단자(1115a)와 -전지단자(1115b) 사이에서 상기 +동접점(1116a)과 -동접점(1116b) 및 상기 +전지단자(1115a)와 -전지단자(1115b)의 표면을 스윕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50142826A 2015-10-13 2015-10-13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59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26A KR101591997B1 (ko) 2015-10-13 2015-10-13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26A KR101591997B1 (ko) 2015-10-13 2015-10-13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97B1 true KR101591997B1 (ko) 2016-02-18

Family

ID=5545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826A KR101591997B1 (ko) 2015-10-13 2015-10-13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7B1 (ko) * 2020-02-24 2020-08-21 대원항업 주식회사 영상이미지 정보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82B1 (ko) 2009-05-19 2009-09-07 (유)대산이앤씨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KR101467880B1 (ko) * 2014-07-18 2014-12-03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초로 한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82B1 (ko) 2009-05-19 2009-09-07 (유)대산이앤씨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KR101467880B1 (ko) * 2014-07-18 2014-12-03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초로 한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7B1 (ko) * 2020-02-24 2020-08-21 대원항업 주식회사 영상이미지 정보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582B1 (ko)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US10499715B2 (en) Intelligent outdoor umbrella
KR100921502B1 (ko)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US8677642B2 (e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device
KR101591997B1 (ko) 촬영영상물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수정한 영상처리시스템
CN103929589B (zh) Ccd相机调整机构
KR10231084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0921790B1 (ko) 도화를 위한 지피에스 형식의 기준점 적용 형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427631B1 (ko)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초로 적용한 영상 처리시스템
KR101265071B1 (ko) 고정밀 입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시스템
CN113954089A (zh) 一种用于无损检测机器人的智能检测装置及方法
KR100946783B1 (ko) 지피에스수신기의 동선을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지리정보시스템
KR101350926B1 (ko)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인식용 영상처리장치
CN116538940A (zh) 基于多向高精度相机的高精度测量装置及测定方法
KR101349147B1 (ko) 다수의 gps를 이용한 고정밀 영상이미지의 항공촬영장치
KR101467880B1 (ko)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초로 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942450B1 (ko) 다수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고정밀 영상이미지 항공촬영 시스템
KR101850546B1 (ko)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입체 이미지 확보장치
KR101355108B1 (ko) 동일지면의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영상의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CN207937612U (zh) 一种可用于三维激光扫描标靶的gnss接收机
CN109451204A (zh) 一种调轴摄像装置及摄像终端
KR101342632B1 (ko) 위치정보 및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처리시스템
KR101492421B1 (ko)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초로 한 영상 처리시스템
CN112303454A (zh) 背包式测绘装置
CN208443386U (zh) 一种单人作业的管道探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